KR20180001722U - 전면 삽탈식 액자 - Google Patents

전면 삽탈식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722U
KR20180001722U KR2020180002363U KR20180002363U KR20180001722U KR 20180001722 U KR20180001722 U KR 20180001722U KR 2020180002363 U KR2020180002363 U KR 2020180002363U KR 20180002363 U KR20180002363 U KR 20180002363U KR 20180001722 U KR20180001722 U KR 201800017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dge
holder
display shee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홍
Original Assignee
김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홍 filed Critical 김길홍
Priority to KR2020180002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722U/ko
Publication of KR20180001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2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66Frontloading picture fram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시용 시트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사각틀 형상의 액자 프레임을 갖는 액자를 개시한다. 상기 액자 프레임은; 상기 전시용 시트의 테두리 중 좌측 가장자리의 전면과 우측 가장자리의 전면을 덮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의 좌측 가장자리와 상기 액자 프레임의 우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한 쌍의 세로 홀더; 및 상기 전시용 시트의 테두리 중 상측 가장자리의 전면과 하측 가장자리의 전면을 덮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의 상측 가장자리와 상기 액자 프레임의 하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로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세로 홀더와 한 쌍의 가로 홀더 중 어느 한 쌍의 홀더는 부동(Immovable)의 고정 홀더이고, 다른 한 쌍의 홀더는 상기 전시용 시트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액자 프레임의 테두리 중 서로 나란한 2개의 가장자리를 개방하여 전시용 시트를 장착하거나 교체할 수 있으므로, 전시용 시트의 착탈이 용이하고 전시용 시트의 전방 착탈을 위한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면 삽탈식 액자{Front Inserting/Removing Type Frame}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스터나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 시트를 액자의 전방에서 삽탈 즉 끼우거나 빼낼 수 있는 구조의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Frame or Picture Frame)는 사진이나 포스터나 그림 등의 이미지 시트를 끼우는 틀을 말하며, 상술한 포스터나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를 보존하거나 전시하거나 안전한 이동을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술한 액자는, 대략 사각형의 테두리 형상으로 구성된 액자 프레임과, 포스터 등과 같은 이미지 시트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판과, 상기 이미지 시트의 전면을 지지하는 투명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배면판과 투명 패널 사이에 상기 이미지 시트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따라서, 상술한 이미지 시트를 상기 액자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액자 프레임을 뒤집어서 상기 배면판을 구속하고 있는 고정쇠의 잠금을 해제한 후, 상기 배면판을 상기 액자 프레임에서 분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시트를 상기 투명 패널의 뒤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배면판을 상기 액자 프레임에서 분리하는 과정의 역순을 거치면, 상기 액자 프레임의 내부에 이미지 시트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액자에 끼워지는 시트, 예를 들면 광고용 포스터와 같은 그림이나 광고문 등의 시트는 빈번한 또는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데, 종래의 액자는 이러한 시트의 장착이나 교체 과정이 번거로우며, 시트의 장착과정에서 액자의 파손이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근래에는 액자 프레임의 일측 모서리를 통해 시트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는 구조의 액자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구조의 액자 역시 이미지 시트의 장착이나 교체 과정이 번거롭고 액자 프레임(액자틀)이 투박하며, 시트의 장착이나 교체를 위해 액자의 옆에 여유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10087호, 벽걸이용 액자, 2011년 10월 26일 공개
본 고안은 액자의 전방에서 포스터나 그림이나 사진 등의 시트를 착탈, 즉 삽탈할 수 있는 구조의 액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각 액자의 전면 테두리 중 좌우측 가장자리와 상하측 가장자리 중 어느 한 쌍의 가장자리가 개폐될 수 있는 구조의 액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형태는 전시용 시트가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사각틀 형상의 액자 프레임을 갖는 액자로서: 상기 액자 프레임은; 상기 전시용 시트의 테두리 중 좌측 가장자리의 전면과 우측 가장자리의 전면을 덮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의 좌측 가장자리와 상기 액자 프레임의 우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한 쌍의 세로 홀더; 및 상기 전시용 시트의 테두리 중 상측 가장자리의 전면과 하측 가장자리의 전면을 덮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의 상측 가장자리와 상기 액자 프레임의 하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로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세로 홀더와 한 쌍의 가로 홀더 중 어느 한 쌍의 홀더는 부동(Immovable)의 고정 홀더이고, 다른 한 쌍의 홀더는 상기 전시용 시트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세로 홀더는, 상기 전시용 시트의 좌측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좌측홈의 전방 벽을 형성하는 좌측 홀더와, 상기 전시용 시트의 우측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우측홈의 전방 벽을 형성하는 우측 홀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로 홀더는, 상기 전시용 시트의 상측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상측홈의 전방 벽을 형성하는 상부 홀더와, 상기 전시용 시트의 하측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하측홈의 전방 벽을 형성하는 하부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액자 프레임의 상측 가장자리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액자 프레임의 하측 가장자리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액자 프레임의 상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구비되어 가로 방향의 회전 축선을 형성하는 상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액자 프레임의 하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구비되어 가로 방향의 회전 축선을 형성하는 하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액자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이며; 상기 전시용 시트의 배면을 덮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액자 프레임의 후방 개구부를 막는 배면 패널이 삽입되고; 상기 전시용 시트의 전면은, 상기 한 쌍의 세로 홀더와 한 쌍의 가로 홀더에 의해 사방의 가장자리가 구속되며 상기 액자 프레임의 전방 개구부를 막는 투시 가능한 재질의 전면 패드에 의해 커버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액자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첫째, 본 고안에 의하면, 액자 프레임의 테두리 중 서로 나란한 2개의 가장자리를 개방하여 전시용 시트(이미지 시트)를 장착하거나 교체할 수 있으므로, 전시용 시트의 착탈이 용이하고 전시용 시트의 전방 착탈을 위한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의하면, 전시용 시트의 전방 착탈 즉 삽탈을 위한 액자 프레임의 제조가 용이하며, 액자 프레임의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셋째, 본 고안에 의하면, 전시용 시트의 착탈을 위한 액자 프레임이 좁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액자의 미려한 제작이 용이하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장점들은 후술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음에 설명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들 중: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자용 액자 프레임에 적용되는 가로 홀더의 분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자용 액자 프레임의 테두리 단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그림이나 포스터나 사진 등의 시트(이하 '전시용 시트'라 칭함)를 끼우는 틀 즉 액자의 일 실시 예이며, 본 실시 예에 따른 액자는 상기 전시용 시트를 상기 액자의 전방에서 착탈 즉 삽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전방 삽탈식 액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자(10)가 설명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중,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자용 액자 프레임에 적용되는 가로 홀더의 분해도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자용 액자 프레임의 테두리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자(10)는, 전시용 시트(1)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사각틀 형상의 액자 프레임(100)을 갖는다. 상기 전시용 시트(1)는 그림과 사진과 글 중 적어도 한 종류로서 일반적으로 쉽게 구부릴 수 있는 얇은 시트이다.
상기 액자 프레임(100)은, 상기 전시용 시트가 상기 액자(10)의 전방에서 보이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100)의 전방(전면)이 개방된 형상 즉 전면에 창이 형성된 형태이며, 상기 전시용 시트(1)의 유지를 위해 상기 한 쌍의 세로 홀더(110)와 한 쌍의 가로 홀더(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세로 홀더(110)는, 상기 전시용 시트(1)의 테두리 중 좌측 가장자리의 전면과 우측 가장자리의 전면을 덮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로 홀더(120)는 상기 전시용 시트(1)의 테두리 중 상측 가장자리의 전면과 하측 가장자리의 전면을 덮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세로 홀더(110)는 상기 전시용 시트(1)의 좌측과 우측 가장자리를 잡아주고, 상기 가로 홀더(120)는 상기 전시용 시트(1)의 상측과 하측 가장자리를 잡아준다.
상술한 한 쌍의 세로 홀더(110)는, 상기 액자 프레임(100)의 좌측 가장자리(101)와 상기 액자 프레임의 우측 가장자리(102)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술한 한 쌍의 가로 홀더(120)는, 상기 액자 프레임의 상측 가장자리(103)와 상기 액자 프레임의 하측 가장자리(104)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세로 홀더(110)와 한 쌍의 가로 홀더(120) 중 어느 한 쌍의 홀더는 부동(Immovable)의 고정 홀더 즉 개방이 불가한 비개폐식 홀더이고, 다른 한 쌍의 홀더는 상기 전시용 시트(1)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도록 개폐 가능한 구성 즉 상기 액자의 전방에서 상기 전시용 시트가 착탈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한 쌍의 세로 홀더(110)는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가로 홀더(120)는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상기 액자 프레임(100)의 전방에 개구부(전방 개구부) 즉 창(Window)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세로 홀더(110)와 한 쌍의 가로 홀더(120)는, 상기 액자 프레임의 창 즉 전방 개구부의 테두리(좌우측 가장자리 및 상하측 가장자리)를 이룬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세로 홀더(110)는, 상기 전시용 시트(1)의 좌측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좌측홈(101a)의 전방 벽을 형성하는 좌측 홀더(111)와, 상기 전시용 시트(1)의 우측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우측홈(102a)의 전방 벽을 형성하는 우측 홀더(112)로 구분된다. 따라서, 상기 전시용 시트(1)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가 상기 좌측 홀더(111)와 우측 홀더(112)의 내측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 좌측 홀더(111)와 우측 홀더(112)에 의해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로 홀더(120)는, 상기 전시용 시트(1)의 상측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상측홈(103a)의 전방 벽을 형성하는 상부 홀더(121)와, 상기 전시용 시트(1)의 하측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하측홈(104a)의 전방 벽을 형성하는 하부 홀더(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시용 시트(1)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는 상기 좌측 홀더(111)와 우측 홀더(112)의 내측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상부 홀더(121)와 하부 홀더(122)에 의해 구속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세로 홀더(110) 즉 상기 좌측 홀더(111)와 우측 홀더(112)가 부동식의 고정 홀더이고, 상기 한 쌍의 가로 홀더 즉 상기 상부 홀더(121)와 하부 홀더(122)가 개폐 가능한 홀더이나, 그 반대도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상부 홀더(121)는 상기 액자 프레임(100)의 상측 가장자리(103)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부 홀더(122)는 상기 액자 프레임의 하측 가장자리(104)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상부 홀더(121)는, 상기 액자 프레임의 상측 가장자리(103)에 일체로 구비되는 상부 축(103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상부 축(103b)은 상기 액자 프레임의 상측 가장자리(103)에 가로 방향의 회전축선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홀더(122)는 상기 액자 프레임의 하측 가장자리(104)에 일체로 구비되는 하부 축(104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하부 축(104b)은 상기 액자 프레임의 하측 가장자리(104)에 가로 방향의 회전 축선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상부 홀더(121)와 하부 홀더(122)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개폐됨으로써, 상기 전시용 시트(1)의 상측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의 수용 공간(상측홈과 하측홈)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나, 상기 상부 홀더(121)와 하부 홀더(122)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슬라이딩 개폐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 홀더(121)와 하부 홀더(122)가 상기 액자 프레임(100)의 상측 가장자리(103)와 하측 가장자리(104)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축(103b)은, 둘레의 일측부(본 실시 예에서는 하측부)가 상기 액자 프레임(100)의 상측 가장자리(103)에 일체로 구비된 원단 단면을 가지며, 상기 액자 프레임(100)의 상측 가장자리(103)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홀더(121)에는 원호 형상으로 곡률진 커플링 홈을 갖는 상부 커플러(121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축(104b)은, 역시 둘레의 일측부(본 실시 예에서는 상측부)가 상기 액자 프레임(100)의 하측 가장자리(104)에 일체로 구비된 원단 단면을 가지며, 상기 액자 프레임(100)의 하측 가장자리(104)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홀더(122)에는 원호 형상으로 곡률진 커플링 홈을 갖는 하부 커플러(122a)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커플러(121a)와 하부 커플러(122a)의 커플링 홈에 각각 상기 상부 축(103b)과 하부 축(104b)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상부 커플러(121a)와 하부 커플러(122a)가 상기 상부 축(103b)과 하부 축(104b)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상부 홀더(121)와 하부 홀더(122)의 상하 방향 회전이 가능해진다. 상기 상부 커플러(121a)와 하부 커플러(122a)가 상기 상부 축(103b)과 하부 축(104b)에 결합될 때, 상기 상부 커플러(121a)과 하부 커플러(122a)는 탄력적으로 확장되었다가 다시 복원된다. 물론, 상기 상부 홀더(121)와 하부 홀더(122)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부 축(103b)과 하부 축(104b)을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홀더(121)와 하부 홀더(122)는 상기 전시용 시트(1)의 후방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130)에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30)은 상기 액자 프레임의 상하/좌우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상기 좌측 홀더(111)와 우측 홀더(112)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30)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좌측 홀더(111)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30)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일체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액자 프레임의 좌측 가장자리(101)에 우측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의 홈, 즉 상기 좌측 홈(101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우측 홀더(112)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30)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일체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액자 프레임의 우측 가장자리에 좌측 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의 홈, 즉 상기 우측 홈(102a)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위한 액자 프레임(100)은, 전시용 시트의 후방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13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30)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한 쌍의 세로 홀더(110)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30)의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로 홀더(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로 홀더(120)는 개폐 가능한 홀더이고, 상기 한 쌍의 세로 홀더(110)는 개폐가 불가한 부동식의 고정 홀더이나, 그 반대의 구조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액자 프레임(100)은 배면이 개방된 구조 즉 배면에 개구부(후방 개구부)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30)이 배면이 개방된 사각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액자 프레임(100)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이며,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시용 시트(1)의 배면이 배면 패널(210)에 의해 덮이고, 상기 전시용 시트(1)의 전면은 투시 가능한 재질의 전면 패드(220; 예를 들면 얇은 투명 시트)에 의해 커버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전시용 시트(1)의 배면을 덮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상기 액자 프레임(100)의 후방 개구부를 막는 배면 패널(210)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전시용 시트(1)의 전면은 상기 전면 패드(220)에 의해 보호되며, 상기 전면 패드(220)의 테두리(사방의 가장자리)는 상기 한 쌍의 세로 홀더(110)와 한 쌍의 가로 홀더(120)에 의해 구속되며, 상기 전면 패드(220)는 상기 액자 프레임(100)의 전방 개구부를 막는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30)은 가벼운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재질의 프레임이나 그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도 가능하다.
상기 홀더들 중 개폐식 홀더(본 실시 예에서는 가로 홀더) 역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배면 패널(210)의 예로는 대략 3T(3mm) 정도의 MDF(중질 섬유판)나 포멕스를 들 수 있으나, 그 재질이나 두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개폐식 홀더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액자 프레임(100)에는 로커(Locker; 도시되지 않음)가 적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개폐식 홀더(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를 개방을 방지하는 로커의 예로는 일명 원터치 빠찌링이라 불리는 로커, 보다 구체적으로 마그네틱 로커를 들 수 있으나 압력식 로커(누르는 힘에 의해 개폐되는 장치)도 가능하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로커는, 상기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의 개방을 방지하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의 상측 가장자리와 상기 액자 프레임의 하측 가장자리에 구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로커 예를 들면 상술한 마그네틱 로커는 상기 액자 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홈(103c, 104c)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로커 그 자체의 기능과 종류 및 설치 방법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상술한 구조의 액자(10)에 전시용 시트(1)를 삽입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부 홀더(121)와 하부 홀더(122)가 개방(도 5 참조,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된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시용 시트(1)의 전면이 앞쪽으로 볼록하게 되도록 상기 전시용 시트(1)가 좌우로 구부러진 상태로, 상기 전시용 시트(1)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가 각각 상기 액자 프레임의 좌측 홈(101a)과 우측 홈(102a)에 삽입되면, 상기 배면 패널(210)의 전면에 상기 전시용 시트(1)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드(220)를 상기 전시용 시트(1)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액자 프레임(100)의 내부에 배치하면, 상기 전시용 시트(1)의 전면에 상기 전면 패널(220)이 적층된다. 물론, 상기 전시용 시트(1)와 상기 전면 패드(220)가 포개진 상태로 동시에 상기 액자 프레임(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시용 시트(1)와 전면 패드(220)의 배치 후에 상기 상부 홀더(121)와 하부 홀더(122)가 닫히면, 상기 전시용 시트(1)의 장착이 완료된다. 상기 전시용 시트(1)의 분리는 상기 전시용 시트(1)를 액자에 삽입하는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액자는, 사각틀 액자 프레임의 사방 가장자리를 모두 개폐하는 구조에 비해 테두리 구조가 단순화되고 제조가 용이하며, 전시용 시트의 삽입이나 탈거 과정에서도 기존에 비해 크게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들을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전시용 시트 10: 액자
100: 액자 프레임 110: 세로 홀더
111: 좌측 홀더 112: 우측 홀더
120: 가로 홀더 121: 상부 홀더
121a: 상부 커플러 122: 하부 홀더
122a: 하부 커플러 130: 베이스 프레임
210: 배면 패널 220: 전면 패드

Claims (3)

  1. 전시용 시트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사각틀 형상의 액자 프레임을 갖는 액자로서:
    상기 액자 프레임은;
    상기 전시용 시트의 테두리 중 좌측 가장자리의 전면과 우측 가장자리의 전면을 덮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의 좌측 가장자리와 상기 액자 프레임의 우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한 쌍의 세로 홀더; 및
    상기 전시용 시트의 테두리 중 상측 가장자리의 전면과 하측 가장자리의 전면을 덮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의 상측 가장자리와 상기 액자 프레임의 하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로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세로 홀더는 부동(Immovable)의 고정 홀더이고, 상기 한 쌍의 가로 홀더는 상기 전시용 시트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도록 개폐 가능하며;
    상기 한 쌍의 세로 홀더는, 상기 전시용 시트의 좌측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좌측홈의 전방 벽을 형성하는 좌측 홀더와, 상기 전시용 시트의 우측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우측홈의 전방 벽을 형성하는 우측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로 홀더는, 상기 전시용 시트의 상측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상측홈의 전방 벽을 형성하는 상부 홀더와, 상기 전시용 시트의 하측 가장자리가 끼워지는 하측홈의 전방 벽을 형성하는 하부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액자 프레임의 상측 가장자리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액자 프레임의 하측 가장자리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액자 프레임의 상측 가장자리와 상기 액자 프레임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 홀더와 하부 홀더의 개방을 방지하는 로커가 구비되는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는, 상기 액자 프레임의 상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구비되어 가로 방향의 회전 축선을 형성하는 상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부 홀더는 상기 액자 프레임의 하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구비되어 가로 방향의 회전 축선을 형성하는 하부 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액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 프레임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이며; 상기 전시용 시트의 배면을 덮도록, 상기 액자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액자 프레임의 후방 개구부를 막는 배면 패널이 삽입되고; 상기 전시용 시트의 전면은, 상기 한 쌍의 세로 홀더와 한 쌍의 가로 홀더에 의해 사방의 가장자리가 구속되며 상기 액자 프레임의 전방 개구부를 막는 투시 가능한 재질의 전면 패드에 의해 커버되는 액자.
KR2020180002363U 2018-05-31 2018-05-31 전면 삽탈식 액자 KR201800017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363U KR20180001722U (ko) 2018-05-31 2018-05-31 전면 삽탈식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363U KR20180001722U (ko) 2018-05-31 2018-05-31 전면 삽탈식 액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249A Division KR20180055410A (ko) 2016-11-17 2016-11-17 전면 삽탈식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22U true KR20180001722U (ko) 2018-06-11

Family

ID=62598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363U KR20180001722U (ko) 2018-05-31 2018-05-31 전면 삽탈식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72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389B1 (ko) * 2022-05-04 2023-04-17 서성원 액자 프레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087A (ko) 2008-04-22 2011-01-31 톰슨 라이센싱 멀티-홉 중계 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캐스트 트리 관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087A (ko) 2008-04-22 2011-01-31 톰슨 라이센싱 멀티-홉 중계 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캐스트 트리 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389B1 (ko) * 2022-05-04 2023-04-17 서성원 액자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1722U (ko) 전면 삽탈식 액자
KR20180055410A (ko) 전면 삽탈식 액자
JP2008206874A (ja) 差し替え額縁
KR200471250Y1 (ko) 커버 회전형 액자 프레임
US8695255B2 (en) Holder for displaying a sheet of material
KR200245967Y1 (ko) 액자
JP3499334B2 (ja) 大型表示体
KR20110007180U (ko) 전면 개방형 사진액자틀
KR200440181Y1 (ko) 앨범 보관용 액자
KR20240063426A (ko) 액자
KR102522389B1 (ko) 액자 프레임
CN213483326U (zh) 一种翻盖式广告灯箱
JP3539154B2 (ja) 自動販売機の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298825A (ja)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80074954A (ko)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KR200455847Y1 (ko) 주차용 전화번호 표시판
JP2585857Y2 (ja) 立体写真立て
KR200185092Y1 (ko) 개폐식 액자
JP2012249795A (ja) スケッチブック用額縁
JP3049676U (ja) 自動販売機用のダミー体
US9854926B1 (en) Reconfiguring a picture frame
KR200259038Y1 (ko) 거울이 부설된 액자
KR20060129703A (ko) 액자테
KR200275054Y1 (ko) 액자
KR100849996B1 (ko) 사진교체가 용이한 액자 겸 경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