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889B1 - 비가역 회로소자 - Google Patents

비가역 회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889B1
KR101095889B1 KR1020090058969A KR20090058969A KR101095889B1 KR 101095889 B1 KR101095889 B1 KR 101095889B1 KR 1020090058969 A KR1020090058969 A KR 1020090058969A KR 20090058969 A KR20090058969 A KR 20090058969A KR 101095889 B1 KR101095889 B1 KR 101095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entering
ring
elements
fer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435A (ko
Inventor
김창식
강경식
윤충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모스
Priority to KR102009005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889B1/ko
Publication of KR20110001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32Non-reciprocal transmis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32Non-reciprocal transmission devices
    • H01P1/38Circulators
    • H01P1/383Junction circulators, e.g. Y-circulators
    • H01P1/387Strip line circ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Landscapes

  • Non-Reversible Transmitting Devices (AREA)

Abstract

무선 송신부에 위치하면서 전송파의 역류를 방지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비가역 회로소자(isolator)가 제공된다.
상기 비가역 회로소자는 그 구성 일예로서, 전송파와 역류되는 반송파의 전송 및 반송 회로를 구현하는 소자들로 구성된 삽입 소자부가 탑재되는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에 내장되어 소자의 센터링을 구현토록 제공되는 소자 센터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소자 센터링수단은, 삽입 소자와 메인바디 사이에 간격을 두고 개재되는 비전도성 분리형 조정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조정기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소자의 센터링 조정이나 소자와 바디간 접촉을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소자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한편, 조정기구 사용에 따른 별도의 바디 가공 등이 필요없어 제조공정의 단순화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선 시스템, 송신부, 비가역 회로소자, 소자 특성

Description

비가역 회로소자{ISOLATOR}
본 발명은 무선 송신부에 위치하면서 전송파의 역류를 방지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비가역 회로소자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조정기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소자의 센터링 조정이나 소자와 바디간 접촉을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소자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한편, 조정기구 사용에 따른 별도의 바디 가공 등이 필요없어 제조공정의 단순화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비가역 회로소자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비가역 회로소자(isolator)는 무선 송신부에 위치하면서 핸드폰 등의 무선 통신 기기나 무선 통신을 위한 기지국 장비등의 시스템(system)상에 사용되어 시스템의 회로 및 역 반송파에 의한 송출단의 출력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전자부품 소자이다.
예컨대, 전송파가 시스템에서 연결된 각각의 기기(device)를 거치면서 회로정합(임피던스 정합)의 오차로 인하여 반송파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된 반송파의 역류를 접지 저항으로 전송하여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부 품이 비가역 회로소자이며, 기능적으로는 일종의 전류계에서 비유한다면 다이오드의 일 방향성 특징을 가지는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가역 회로소자는 기지국 전송장치, 위성방송 장비등의 고출력 시스템(장비)에서 부터 무선통신기기의 대표적인 핸드폰 등의 각종 무선통신기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알려진 비가역 회로소자는 도 1a에서 도시한 일체형 비가역 회로소자(one body type)(1a)와 도 1b에서 도시한 분리형 비가역 회로소자(heat sink type)(1b)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일체형 비가역 회로소자는 하나의 바디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그 생산단가가 저렴하나, 고출력용이나 저손실(low loss)의 전자기적 특성을 구현하는 것이 어려웠다. 반면에, 분리형 비가역 회로소자는 발열과 접지 저항값의 증,감 및, 전자기적 특성의 안정화, 고출력 저손실 특성의 구현을 개선한 소자이다.
한편, 도 1a 및 도 1b를 토대로 한 알려진 비가역 회로소자(1a)(1b)는, 무선 송신부에 제공되어 전송파의 역류를 방지함으로서, 파워 앰프 모듈을 보호하여 전체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을 안정화시키는 한편, 반송파의 제거를 위한 접지저항(50)이 메인바디(30)와 일체로 되거나 분리되어 조립되는 저항 탑재바디(40a) (40b)에 탑재(실장)되고, 메인바디(30)에는 삽입 소자부(10)가 탑재된다.
이때, 상기 삽입 소자부(10)는,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입,출력되는 정상적으로 전송되는 전송파와 그 역류의 반송파의 전송 및 반송회로를 구현하도록 적층된 여러개의 소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내부도체(18)를 기준으로 상,하측에 한쌍이 적층되는 (강) 자성체(자성소자)(Magnet)(12)는 페라이트 소자(16)(garnet ferrite)에 정자계(正磁界)를 인가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자성체(12)의 하부 및 상측에 배치된 한쌍의 폴 피스(pole piece)(14)는 상기 자성체(112)의 자력을 집적(集積)시켜 상기 페라이트 소자(16)에 자력을 원활하게 전이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며, 동시에 내부도체와 페라이트 소자간에 특정 캐패시터를 구현시키기 위한 접지면(도 1c의 G1) 기능을 제공하여 도 1c와 같이 전계와 자계 흐름이 원활하게 구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폴 피스(14)의 내측으로 내부도체(18)의 상,하측에 적층되는 페라이트 소자(16)는, 도 1a,b와 같이 (가네트) 페라이트(16a)에 유전체(16b)가 결합된 형태의 소자 또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은 일체형 가네트 페라이트 소자로 제공될 수 있고, 도 1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도체(18)의 도체사이에 각각 인덕턴스인 L값과 캐패시터의 C값을 형성시켜 LC 필터(filter) 구조로 삽입소자부(10)를 구현시키어 신호원인 전파의 가역 전송 및 비가역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와 같은 페라이트 소자는 통상 세라믹재질이다.
다음, 상기 내부도체(18)는 전송파와 반송파의 전파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데,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입력단자(18a)와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자(18b) 및, 상기 저항 탑재바디(40)상에 탑재되는 접지저항(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반송파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접지단자(18c)을 구비한다.
상기 내부도체(18)의 단자(strip line)들은 메인바디(30)의 3방향으로 절개 된 단자통과홈(31a)(31b)(31c)을 통하여 메인바디 외곽으로 돌출되어 시스템(미도시) 및 접지저항(50)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측 자성체(12)상에 배치되는 열보상판(20)은, 내부도체(18)와 그 상,하측 페라이트 소자(18)간의 전기적 특성값을 구현하기 위한 자로(磁路)을 형성시키면서 메인바디(30)의 소자탑재부(32) 내부에서 생성되는 열을 냉각시켜주는 방열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열보상판(20)의 상측에는 상기 메인바디 소자 탑재부(32)의 내주면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32a)(도 8)에 체결되는 커버(22)가 덮여지게 된다.
한편, 도 1c에서는 도 1a의 일체형 비가역 회로소자(1a)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d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삽입소자부(10)의 전기적인 특성구현을 이해하기 위한 등가회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c 및 도 1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도체(18)의 입력단자(18a)에는 고주파 송신신호가 입력되며, 이때 입력단자(18a)와 접지(G1)(폴피스)(14)사이에는 입력 캐패시터(C1)가 구현되고, 내부도체의 출력단자(18b)는 안테나 모듈(미도시)와 연결되어 입력된 고주파 신호가 최종적으로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되며, 이때 출력단자(18b)와 접지(폴피스)(14)사이에는 출력 캐패시터(C2)가 구현된다.
또한, 상기 내부도체(18)의 접지단자(18c)는 저항 탑재바디(40)에 탑재된 접지 저항(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때 내부도체의 접지 단자(18c)와 폴피스(14)(G1)사이에는 접지 캐패시터(C3)가 구현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도체(18)의 각 단자(18a)(18b)(18c)들과 접지(G1)사이에서 구현되는 캐패시터 값들은 내부도체(18)를 통하여 전송되는 전파의 전송 또는 반송 회로를 구현하여 전송파와 반송파의 전송이 수행되어 전송파는 전송되고, 반송파는 그 역류를 방지하도록 접지저항(50)으로 전송되는 흡수 제거된다.
이때, 상기 접지저항(50)의 반송파 제거시 발생되는 열은 각각의 저항 탑재바디(40a)(40b)에서 방열되는데, 고출력인 경우에는 방열 효과를 높인 도 1b의 분리형 저항 탑재바디(40b)를 사용하는 분리형 비가역 회로소자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이와 같은 알려진 비가역 회로소자(1a)(1b)에서, 소자의 센터링 불량 예를 들어, 페라이트 소자(16)의 센터링 불량과 소자의 메인바디(30)의 접촉 예를 들어, 자성체(자성소자)(Magnet)(12)의 메인바디 접촉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페라이트 소자(16)가 소자들의 메인바디 탑재시, 내부도체를 개재하는 페라이트 소자들의 슬립현상 등으로 그 센터가 C1 -> C2로 벗어나면서 한쪽으로 치우지게 되면, 내부도체(18)의 단자와 페라이트 소자의 접촉면적이 단자들(18a)(18b)(18c)사이에 서로 다르게 되고, 이는 도 1d의 회로에서 캐패시터(C1-C3)의 값들이 일정하게 구현되지 않게 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페라이트 소자(16)가 한쪽(좌측)으로 치우치면, 내부도체(18)의 단자(18c)와 페라이트 소자(16)의 접촉('A' 부분 참조)이 정상적이지 않게 되고, 따라서 구현되는 캐패시터 값(예를 들어 상기 'A'부분에 대응되는 도 1d 의 'C3')이 정상적으로 구현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체(12)(magnet)의 조립시 자성체가 한쪽으로 치우치면서 메인바디(30)의 소자 탑재부(32)의 내면에 접촉하게 되면, 도 1c에서와 같은 정상적인 자계가 구현되지 않고, 도 3과 같이 자계가 메인바디로 바로 전달되는 '비정상 자계'가 구현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메인바디(30)의 소자 탑재부(32)에 앞에서 설명한 소자(12)(14)(16)(18)(20)들을 탑재하고 커버(22)를 메인바디 나사부(32a)에 체결 조립하는 경우, 발생되는 페라이트 소자의 슬립에 의한 센터링 불량이나, 자성체와 메인 바디간 접촉에 의한 캐패시터 구현 불량이나 비정상 자계 발생 등으로 전체적인 소자 특성이 불량하게 되고, 이는 제품 불량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는 이와 같은 소자 예를 들어, 페라이트 소자(16)의 바디 탑재시 센터링 조정을 위한 조정기구(200)를 개략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구 베이스(210)의 중앙에는 소자 바디(30)가 탑재되는 좌우 지지블록(222)과 메인바디(30)의 볼트 조립공(h)에 삽입되는 고정봉(224)을 포함하는 소자 바디 탑재부(200)가 배치되고, 그 좌우에는 레일(232)을 따라 조작봉(234a)으로 이동하는 이동블록(234)이 배치된다.
이때, 이동블록에는 조정핀(240)이 한쌍이 설치되고, 이 조정핀(240)은 지지블록(222)의 관통공(222a)과 메인바디(30)에 형성된 핀 관통공(60)을 통과하여 메인바디 내측에 탑재된 소자 예를 들어, 페라이트 소자(16)의 좌우에 밀착되면서 페라이트 소자(16)는 도 1c 및 도 4와 같이, 메인바디 탑재 소자부(32)의 내측에 정 상적인 센터(C1)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기구(200)를 이용한 소자 센터링 조정이 완료되었다 해도, 커버(22)를 메인바디의 소자 탑재부의 나사부(32a)에 체결하여 소자 탑재를 완료하기 때문에, 커버 체결시 소자들의 유동에 따른 슬립에 따른 소자 특히, 페라이트 소자(16)의 센터링 불량이나 자성체와 바디간 접촉을 완전하게 방지하지 못하는 것이다.
특히, 종래의 경우 별도의 조정기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메인바디(30)는 통상 주물 공정으로 대량 제작하는데, 상기 핀 관통공(60)은 별도의 추가 가공공정을 통하여 형성시켜야 하기 때문에, 비가역 회로소자(1a)(1b)의 제조 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더하여, 앞에서 도 4를 토대로 설명한 바와 같이, 센터링 조정기구(200)를 이용한 소자 센터링 조정시간이 상당하여 결과적으로 생산 비용이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기구를 이용한 종래 소자 센터링 조정이나 소자와 바디간 접촉 차단 등의 소자의 메인바디 탑재 조립시 발생되는 문제들을 간단하게 해소 가능하게 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별도의 조정기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소자의 센터링 조정이나 소자와 바디간 접촉을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소자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한편, 조정기구 사용에 따른 별도의 바디 가공 등이 필요없어 제조공정의 단순화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비가역 회로소자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전송파와 역류되는 반송파의 전송 및 반송 회로를 구현하는 소자들로 구성된 삽입 소자부가 탑재되는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에 내장되어 소자의 센터링을 구현토록 제공되는 소자 센터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소자 센터링수단은, 삽입 소자와 메인바디 사이에 간격을 두고 개재되는 비전도성 분리형 조정블록으로 형성된 비가역 회로소자를 제공한다.
다음, 기술적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전송파와 역류되는 반송파의 전송 및 반송 회로를 구현하는 소자들로 구성된 삽입 소자부가 탑재되는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에 내장되어 소자의 바디 접촉을 차단토록 제공되는 소자의 바디 접촉 차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소자의 바디 접촉 차단수단은, 소자의 바디 접촉을 차단토록 삽입 소자와 메인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비자성 차단링 또는 일부 절개형 차단링; 및, 상기 소자 측면에 제공되는 비자성 차단재;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복합 구성되며, 상기 차단링은, 상기 삽입 소자부에 포함된 소자들 중 적어도 자성체에 대응 위치되면서 메인바디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자성체와 단차를 형성하는 높이를 갖고, 상기 차단재는 상기 자성체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거나 부착되는 비자성물질 또는 비자성 필름 중 하나 또는 이들이 복합 구성된 비가역 회로소자를 제공한다.
다음, 기술적인 또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전송파와 역류되는 반송파의 전송 및 반송 회로를 구현하는 소자들로 구성된 삽입소자부가 탑재되는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에 내장되어 소자의 센터링 구현과 소자와 바디 접촉을 차단토록 제공되는 소자 센터링 겸용 바디 접촉 차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소자 센터링 겸용 바디 접촉 차단수단은, 상기 삽입 소자부에 포함된 소자들과 메인바디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수직체; 및, 삽입링 또는 일부 절개형 삽입링;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직체의 상,하측 중 적어도 상측에 연결되는 연결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링 또는 일부 절개형 삽입링은 자성체와 단차를 형성하는 높이로 형성된 비가역 회로소자를 제공한다.
또는, 기술적인 또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전송파와 역류되는 반송파의 전송 및 반송 회로를 구현하는 소자들로 구성된 삽입 소자부가 탑재되는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에 내장되어 소자의 센터링을 구현토록 제공되는 소자 센터링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센터링수단은, 삽입 소자들 사이 또는 메인바디에 탑재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된 센터링 조정단으로 형성된 센터링 조정구로 구성되고, 상기 센터링 조정구의 플레이트는 삽입 소자부에 포함된 폴 피스로 제공되며, 상기 센터링 조정단은 삽입 소자부에 포함된 소자들 중 적어도 페라이트 소자에 대응 위치되면서 상기 페라이트 소자와 단차를 형성하는 높이로 구성된 비가역 회로소자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 소자부는, 페라이트에 정자계를 인가하기 위한 자성체와, 자력집중과 페라이트의 유전체 접지를 위한 폴 피스 및, 상기 폴피스 내측으로 내부도체를 개재하여 특정 캐패시터를 구현하여 전송파와 반송파의 전송 및 반송회로를 구현하는 페라이트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비가역 회로소자에 의하면, 별도의 조정기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소자의 센터링 조정이나 소자와 바디간 접촉을 차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소자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정기구 사용에 따른 별도의 바디 가공 등이 필요없어 제 조공정의 단순화와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궁극적으로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다른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일체형 비가역 회로소자(1a)와, 이를 구성하는 삽입 소자부(10)의 소자(12)(14)(16)(18)들과 열보상판(20) 및 커버(22)가 탑재되는 메인바디(30), 저항 탑재바디(40a) 및 저항(50) 등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종래 기술부분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신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간략한다.(물론, 분리형 비가역 회로소자(1b)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자 센터링수단(110)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비가역 회로소자(1a)를 도시하고 있고, 도 7,8에서는 소자의 바디 접촉 차단수단(130)을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의 비가역 회로소자를 도시하고 있고, 도 9에서는 소자 센터링 겸용 바디 접촉 차단수단(15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비가역 회로소자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각각의 실시예들을 순서대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본 발명 비가역 회로소자(1a)(도 1b의 분리형 비가역 회로소자(1b)도 해당됨)는, 전송파와 역류되는 반송파의 전송 및 반송 회로를 구현하는 소자들로 구성된 삽입 소자부(10)가 탑재되는 메인바디(30) 및, 상기 메인바디(30)에 내장되어 소자의 센터링을 구현토록 제공되는 소자 센터링수단(110)을 포함하여 실시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본 발명의 상기 소자 센터링수단(11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자 특히, 페라이트 소자(16)의 센터링이 불량인 경우, 도 1d의 회로에서, 캐패시터의 구현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 비가역 회로소자의 소자 특정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한편, 도 1c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삽입 소자부(10)가 탑재되는 메인바디(30)의 소자 탑재부(원형의 공간)(32)의 직경은 소자(12)(14)(16)(18)들의 직경 보다는 커서 소자들과 메인바디(30)의 탑재부 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는, 앞의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성체(12) 등의 소자들이 금속의 메인바디에 접촉함에 따른 자계 또는 전계(도 1c 참조)의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소자 센터링수단(110)은, 앞에서 설명한 소자들과 메인바디 사이 공간에 개재되어 소자 특히, 도 2와 같이 내부도체(18)와의 배열에 따라 캐패시터의 구현에 영향을 미치는 페라이트 소자(16)의 센터링을 유지시키는 센터링 조정링(112)(도 5a) 또는 일부 절개형 센터링 조정링(112')(도 5b)이나, 다른 형태의 분리형 센터링 조정블록(114)(도 5c)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a와 같이, 상기 센터링 조정링(112)은 소자 특히, 페라이트 소 자(16)와 메인바디(30)(의 소자 탑재부 내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일체의 환형 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터링수단(110)은, 일부분이 절개된 일부 절개형 센터링 조정링(112')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정링(112)(112')들에는 삽입 소자부(10)에 포함된 내부도체(18)의 입,출력 및 접지 단자(18a)(18b)(18c)들이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자 통과부(112a)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센터링 조정링(112)과 일부 절개형 센터링 조정링(112')은 내부도체(18)와 그 상,하측의 페라이트 소자(16)의 외연에 밀착되면서 페라이트 소자와 내부도체의 센터링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도 5a의 일체형의 센터링 조정링(112)은 파이프 형태의 소재를 일정간격으로 절단하여 제작하나, 도 5b의 일부 절개형 센터링 조정링(112')은, 파이프 소재가 아닌 판이나 띠 형태를 만곡시키어 제작 가능하기 때문에, 제조상 더 유리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특히, 도 5b의 일부 절개형 센터링 조정링(112')의 경우, 일체형 조정링 (112) 보다 직경이 다소 작아도 소자와 메인바디 사이에 벌어지면서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는 탄성력으로 소자와 메인바디 사이에서 밀착되면서 유동없이 배치된다. 즉, 소자와 메인바디 밀착성이 일체형 센터링 조정링(112) 보다는 더 우수할 것이다.
이때, 일부 절개형 센터링 조정링(112')의 경우에, 내부도체의 단자가 통과 하는 부분을 절개하면, 일체형 센터링 조정링 보다는 단자 통과부(112a)의 형성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일부 절개형 링의 여러 이점은 다음에 설명하는 소자의 바디 접촉 차단수단(130)의 일부 절개형 차단링(132')에도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도 5c와 같이, 다른 형태의 소자 센터링수단인 상기 분리형 조정블록(114)은 소자 특히, 페라이트 소자(16)와 메인바디(30)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예를 들어 120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개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정블록은 원주에 맞추어 평면상 만곡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조정링(112)(112')들과 조정블록(114)은, 바람직하게는 도 1c와 같이 전계의 바디 전이를 차단하는 비전도성 재질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어 고분자 수지, 레진, 이미드, 테프론 등의 절연체나 PVA와 같은 폴리머 등의 합성수지 성형물로 제공될 수 있고,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비전도성 재질이면 가능하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자 센터링수단인 센터링 조정링(112)(112') 또는 분리형 조정블록(114)은, 삽입 소자부(10)에 포함된 페라이트 소자(16)와 메인바디(30)사이 공간에 페라이트 소자에 대응하여 위치 조정되면서 개재되되 커버 체결시 소자들의 압착을 가능토록 상측 페라이트 소자(16)와 단차(D1)를 형성하는 높이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즉, 커버(22)가 메인바디 소자 탑재부(32)의 상면 나사부(32a)에 체결되기 위하여 회전될때, 커버는 소자들을 압착하여 소자들의 탑재를 견고하게 하는데, 이 때 상기 조정링들이나 조정블록이 상측 페라이트 소자 보다 높으면 커버에 의한 압착 고정을 어렵게 할 것이다.
더하여, 상기 페라이트 소자(16)는, 상기 조정링 또는 조정블록의 메인바디내 탑재를 가능토록 하측의 폴 피스(14)사이에 직경방향으로 단차(S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5와 같이, 센터링 조정링 또는 조정블록의 센터링수단(110)은 폴 피스의 에지 부분에 걸리어 지지되면서 폴피스 상측에 안전하게 탑재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정링의 내부도체 단자 통과부(112a)도 물론, 소자들의 적층 높이와 내부도체 단자들의 통과 높이를 감안하여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는 소자 센터링수단(110)의 조정링이나 조정블록의 높이는 페라이트 소자들과 그 사이의 내부도체에 대응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다음의 도 6 및 도 9와 같이, 메인바디의 소자 탑재부(32)의 바닥에서 부터 상측의 자성체(12)까지의 삽입 소자(12)(14)(16)(18)들에 대응하여 도 5의 링 보다는 더 신장된 높이를 갖는 일체형 링 또는 일부 절개형 링이나, 분리형 블록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소자 특히, 페라이트 소자의 센터링 구현과 병행하여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소자 특히, 자성체(12)의 메인바디 접촉을 같이 차단할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캐패시터 구현에 영향을 미치는 페라이트 소자(16)의 센터링을 일정하게 하도록 상,하측 페라이트 소자에 대응하여 조정링 또는 조정블록의 높이와 탑재 위치를 조정하는 것일 것이다.
다음, 도 6에서는 본 발명 소자 센터링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소자 센터링수단(110)은, 삽입 소자부(10)의 소자들 사이에 또는 메인바디의 바닥에 탑재되는 플레이트(116a)와 상기 플레이트 외연에 구비된 센터링 조정단(116b)을 포함하는 센터링 조정구(116)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터링 조정단(116b)은 도 6과 같이, 원형 플레이트의 외연을 따라 적어도 120°각도로 3개가 일체로 수직 돌출되어 제공될 수 있다.(수직하게 절곡되는 것과 같음)
한편, 상기 센터링 조정구(116)의 플레이트는 삽입 소자부(10)의 폴 피스(14) 예를 들어, 하측의 폴 피스(14)로 제공될 수 있다.(물론, 상측의 폴 피스인 경우 센터링 조정단이 하방으로 절곡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상기 센터링 조정구(116)의 플레이트(116a)(폴 피스(14)에 하측 페라이트 소자(16)와 내부 도체(18) 및 상측 페라이트 소자(16)가 탑재되면, 그 외연에 수직하게 구비된(절곡된) 센터링 조정단(116b)들은 페라이트 소자들과 내부도체를 동일한 중심선( 도 2의 'C1')으로 유지시키어 센터링을 조정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때, 폴 피스가 메인바디 내부에서 약간 유동되어도 페라이트 소자와 내부 도체들은 서로 슬립되지 않고 같은 중심선상에 위치되기 때문에, 일정한 캐패시터 구현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한편, 도 6과 같이, 센터링 조정구(116)의 조정단(116b)과 메인바디는, 접촉 시 전계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소자들과 메인바디 사이에 다음의 도 9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앞에서 설명한 삽입링(156 또는 156')을 더 개재시키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센터링 조정구(116)는 기존의 폴 피스(14)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 부품 사용을 필요없게 하는 이점도 제공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6과 같이, 상기 센터링 조정구(116)의 플레이트(116a)(폴피스(14))의 조정단(116b)의 높이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측 페라이트 소자(16)와 단차(D2)를 이루도록 그 높이가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커버(22)의 메인바디 체결시 소자들의 압착 고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정단들은 도 6과 같이 내부도체(18)의 단자(18a)(18b)(18c) 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대략 3개 정도가 적당할 것이나, 설치 수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도 7 및 도 8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비가역 회로소자를 도시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전송파와 역류되는 반송파의 전송 및 반송 회로를 구현하는 소자들로 구성된 삽입 소자부(10)가 탑재되는 메인바디(30) 및, 상기 메인바디(30)에 내장되어 소자의 바디 접촉을 차단토록 제공되는 소자의 바디 접촉 차단수단(130)을 포함하여 실시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3과 같이, 삽입 소자부(10)의 소자 중 특히, 자계(도 1c 참조)에 영향을 미치는 자성체(12)의 메인바디 접촉을 차단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상기 소자의 바디 접촉 차단수단(130)은, 소자 즉, 자성체(12)의 바디 접촉을 차단토록 상기 소자와 바디사이에 개재되는 차단링(132) 또는 일부 절개형 차단링(132')이나, 상기 소자 측면에 제공되는 차단재(134)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일체형의 차단링(132)이나 일부 절개형 차단링(132')은, 상기 자성체(12)와 메인바디(30)의 소자 탑재부(32)사이에 개재되고, 이때 상기 차단링들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의 메인바디 체결시 소자들의 압착 고정을 위하여 자성체와 단차(D3)를 형성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차단링(132)(132')들은 적어도 자성체(12)가 메인바디(30)와 접촉하여 도 3과 같이 자계의 흐름을 비정상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하여 비가역 회로소자의 소자 특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한다.
이때, 상기 차단링(132)(132')들은 비자성체 예를 들어, 자력이 전이되지 않은 고분자 수지, 알루미늄(Al), 구리(Cu), 마그네슘 등의 비자성 금속이나, 이미드, 테프론 등의 비자성의 합성수지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부 절개형 차단링(132')은 앞에서 일부 절개형 센터링 조정링(112')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자와 메인바디 사이에서 유동없이 밀착 배치될 것이고, 일체형의 차단링(132) 보다 제작도 더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어 제작상 이점을 제공할 것이다.
다만, 일부 절개형 차단링(132)의 경우 탄성 작동되는 것을 감안할때, 합성 수지 성형물이 바람직하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하여, 상기 소자 즉, 자성체(12)의 모서리면에 상기 차단재(134)를 구비되도록 하면, 자성체가 도 3과 같이 메인바디에 접촉하여도 자계의 비정상 흐름을 차단할 것이다.
이때, 상기 차단재(34)는 상기 자성체의 측면(원주면)에, 각각 코팅 또는 부착되는 비자성 물질 또는 비자성 필름 중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드, 테프론 등의 합성수지재를 코팅하거나 필름을 부착하여 차단재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도 8과 같이, 페라이트 소자(16)가 내부도체(18)를 개재하여 분리된 자성체(12)들 내측에 배치되고 그 상,하측에 폴 피스(14)가 배치되어 메인바디(30)의 베이스(30a)상의 소자 탑재부(30b)에 탑재되는 다른 형태의 비가역 회로소자(1c)에서도, 차단링(132)(132')과 차단재(134)를 이용하여 자성체의 바디 접촉이나 페라이트 소자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차단재(34)가 자성체(12)들의 측면(유전체와 접촉하는 부분과 메인바디 탑재부를 향하는 부분)과 페라이트 소자(16)의 측면에 제공되면, 페라이트 소자와의 접촉이나 메인바디 탑재부 면과의 접촉시에도 자계나 전계의 비정상적인 구현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도 7 및 도 8과 같이, 자성체(12)의 외연에 배치하는 차단링(132) (132')들과, 자성체나 페라이트 소자의 측면에 부착 또는 코팅되는 차단재(134)를 같이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5,6에서 설명한 센터링수단(110)의 조정링(112)(112')들이나 분리형 조정블록(114) 또는 폴 피스 일 수 있는 센터링 조정구(116)를 도 7과 같이, 차단링(132)(132')과 차단재(134)를 같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 도 9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비가역 회로소자(1a)를 도시하고 있는데, 예컨대 전송파와 역류되는 반송파의 전송 및 반송 회로를 구현하는 소자들로 구성된 삽입소자부(10)가 탑재되는 메인바디(30) 및, 상기 메인바디(30)에 내장되어 소자의 센터링 구현과 소자와 바디 접촉을 차단토록 제공되는 소자 센터링 겸용 바디 접촉 차단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실시예적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 9a 내지 도 9c와 같이, 상기 소자 센터링 겸용 바디 접촉 차단수단(150)은, 상기 삽입 소자부(10)에 포함된 소자들 즉, 자성체(12)와 폴 피스(14)와 페라이트 소자(16) 및 내부도체(18)들 및, 메인바디(30)의 소자 탑재부의 내면 사이 공간에 (일체로) 배치되면서 소자 센터링 구현과 소자의 바디접촉을 차단토록 제공되는 수직체(152)과 상기 수직체의 상,하측 또는 상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링(154)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9a와 같이, 상,하측에 연결링(154)이 구비되는 경우, 하측의 연결링은 내부도체(18)의 단자(18a)(18b)(18c)들이 통과도록 부분 절개된 연결링(154')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소자 센터링 겸용 바디 접촉 차단수단(150)은 소자들의 메인바디 탑재시 소자들의 외연에 끼우기만 하면, 도 9와 같이 페라이트 소자(16)의 센터링과 자성체(12)의 메인바디 접촉을 동시에 차단하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은 수직체(152)와 연결링(154)(154')을 비자성 및 비전도성의 합성수지 성형물로 제공되면, 도 9b와 같이, 커버(22)가 메인바디 나사부에 체결될때, 소자들을 압착하면 일체로 압착되면서 수직체(152)는 휘어지면서 소자의 센터링과 바디 접촉을 차단하는 것이 유지된다.
이 경우,도 9b와 같이 휘어진 합성수지로 된 수직체(152)는 반발력(화살표)을 커버(22)에 가하게 되고, 따라서 커버 체결 구조가 견고하게 된다.(커버의 나사와 메인바디 나사부분의 밀착이 더 강해진다)
따라서, 도 9a 내지 도 9c의 본 발명 소자 센터링 겸용 바디 접촉 차단수단(150)은, 소자들의 메인바디 탑재시 그 외연에 삽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실제 소자 조립을 용이하게 하면서, 커버의 바디 체결 구조도 견고하게 할 것이다.
이때, 도 9a 또는 도 9c와 같이, 상기 연결링(154)(154')+수직체(152) 또는 연결링과 수직체의 높이 'T1'은 메인바디의 소자 탑재부(32)의 바닥에서 커버(22) 아래의 열보상판(20)까지의 높이와 같거나 조금 커도 된다.
이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체 메인바디에 체결되면 수직체(152)는 휘어져 소자들의 센터링이나 바디 접촉을 차단하고, 이때 형성되는 반발력은 열보상판과 커버에 전달되어 커버의 메인바디 체결 구조를 견고하게 할 것이다.
물론, 상기 수직체는 도 9a와 도 9c와 같이, 내부도체의 단자를 벗어나서 3 개 또는 4개가 바람직하나, 그 설치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도 9d(도 6 참조)와 같이, 소자 센터링 겸용 바디 접촉 차단수단(150)은, 소자들과 메인바디사이에 일체로 된 삽입링(156) 또는 점선으로 도시한 일부 절개형 삽입링(156')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삽입링(156)(156')은 소자 즉, 중앙을 기준으로 내부도체+페라이트 소자+폴피스+자성체의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로 일체로 되고, 다만 내부도체의 단자들이 통과하는 단자 통과부(156a)는 도 5의 센터링 조정링에 비하여 그 길이가 더 길게 단자 통과높이에 맞추어 형성되면 된다.
이와 같은 도 9d의 삽입링은 일체형(156)이든 일부 절개형(156')이든, 커버의 메인바디 체결시 소자들의 압착을 가능토록 도 9a,c의 수직체와 연결링들의 높이 T1 보다는 T2로 형성되어, 최상측 자성체(12)와는 단차(미부호)를 형성하는 높이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9d의 삽입링(156)(156')들은, 앞에서 설명한 도 5 및 도 7의 센터링 조정링(112)(112')들과 분리형 조정블록(114) 및, 차단링(132)(132')들을 합친 구조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9a 내지 도 9c의 수직체+연결링 또는 도 9d의 삽입링을 이용하는 경우 소자들의 직경은 거의 동일하게 하여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몰론, 적어도 센터링이 중요한 페라이트 소자사이만의 틈새를 주지 않아 유동되지 않게 하고, 자성체의 경우 틈새가 발생되어도 그 접촉만을 차단하면 된다.
이때, 도 9d의 일부 절개형 삽입링(156')도 앞에서 설명한 일부 절개형 센터링 조정링(112)과 차단링(132')과 마찬가지로, 소자와 메인바디 밀착이 일체형 보가는 더 긴밀하게 구현되고, 제작상 이점도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체(152)와 연결링(154)(154') 및 삽입링(156)(156')들은 페라이트 소자와 관련된 전계 및 자성체와 관련된 자계의 영향을 받지 않는 비전도및 비자성체 예를 들어, 합성수지, 고분자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비가역 회로소자는, 적어도 캐패시터 구현에 영향을 미치는 페라이트 소자의 센터링을 일정하게 하여 소자의 메인바디 탑재시 페라이트 소자들의 슬립이 차단되고, 소자 특히 자성체의 메인바디 접촉을 차단하여, 전체적인 비가역 회로소자의 소자 특성을 안정적으로 우수하게 하고, 별도 가공이나 기존의 조정기구(도 4의 200 참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 생산성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비가역 회로소자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일체형 비가역 회로소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b)는 분리형 비가역 회로소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c)는 도 1a의 조립 구성도
(d)는 소자에 의해 구현되는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종래 비가역 회로소자의 페라이트 소자 센터링불량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3는 종래 비가역 회로소자의 자성체와 바디간 접촉에 따른 자계의 비정상 흐름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종래 비가역 회로소자의 센터링 조정기구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소자 센터링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가역 회로소자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소자의 바디 접촉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가역 회로소자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일체형 비가역 회로소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소자 센터링 겸용 바디 접촉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가역 회로소자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1b,1c.... 비가역 회로소자 10.... 탑재 소자부
12.... 자성체 14.... 폴 피스
16.... 페라이트 소자 18.... 내부도체
18a,18b,18c.... 내부도체의 입,출력 및 접지 단자
20.... 열보상판 22.... 커버
30.... 메인바디 32.... 소자 탑재공간
40a,40b.... 저항 탑재바디 50.... 접지저항
110.... 소자 센터링수단 112,112'.... 센터링 조정링
114.... 분리형 조정블록 116.... 센터링 조정구
130.... 소자의 바디 접촉 차단수단 132,132'.... 차단링
134.... 차단재
150.... 소자 센터링 겸용 바디 접촉 차단수단
152.... 수직체 154.... 연결링
156,156'.... 삽입링 200.... 센터링 조정기구

Claims (15)

  1. 전송파와 역류되는 반송파의 전송 및 반송 회로를 구현하는 소자들로 구성된 삽입 소자부(10)가 탑재되는 메인바디(30); 및, 상기 메인바디(30)에 내장되어 소자의 센터링을 구현토록 제공되는 소자 센터링수단(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소자 센터링수단(110)은, 삽입 소자와 메인바디 사이에 간격을 두고 개재되는 비전도성 분리형 조정블록(114)으로 형성된 비가역 회로소자.
  2. 전송파와 역류되는 반송파의 전송 및 반송 회로를 구현하는 소자들로 구성된 삽입 소자부(10)가 탑재되는 메인바디(30); 및, 상기 메인바디(30)에 내장되어 소자의 바디 접촉을 차단토록 제공되는 소자의 바디 접촉 차단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소자의 바디 접촉 차단수단(130)은, 소자의 바디 접촉을 차단토록 삽입 소자와 메인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비자성 차단링(132) 또는 일부 절개형 차단링(132'); 및, 상기 소자 측면에 제공되는 비자성 차단재(134);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복합 구성되며, 상기 차단링은, 상기 삽입 소자부에 포함된 소자들 중 적어도 자성체(12)에 대응 위치되면서 메인바디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자성체와 단차를 형성하는 높이를 갖고, 상기 차단재는 상기 자성체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거나 부착되는 비자성물질 또는 비자성 필름 중 하나 또는 이들이 복합 구성된 비가역 회로소자.
  3. 전송파와 역류되는 반송파의 전송 및 반송 회로를 구현하는 소자들로 구성된 삽입소자부(10)가 탑재되는 메인바디(30); 및, 상기 메인바디(30)에 내장되어 소자의 센터링 구현과 소자와 바디 접촉을 차단토록 제공되는 소자 센터링 겸용 바디 접촉 차단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소자 센터링 겸용 바디 접촉 차단수단(150)은, 상기 삽입 소자부에 포함된 소자들과 메인바디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수직체(152); 및, 삽입링(156) 또는 일부 절개형 삽입링(156');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직체(152)의 상,하측 중 적어도 상측에 연결되는 연결링(15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링 또는 일부 절개형 삽입링은 자성체(12)와 단차를 형성하는 높이로 형성된 비가역 회로소자.
  4. 전송파와 역류되는 반송파의 전송 및 반송 회로를 구현하는 소자들로 구성된 삽입 소자부(10)가 탑재되는 메인바디(30); 및, 상기 메인바디(30)에 내장되어 소자의 센터링을 구현토록 제공되는 소자 센터링수단(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센터링수단(110)은, 삽입 소자들 사이 또는 메인바디에 탑재되는 플레이트(116a)와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된 센터링 조정단(116b)으로 형성된 센터링 조정구(116)로 구성되고, 상기 센터링 조정구의 플레이트는 삽입 소자부에 포함된 폴 피스(14)로 제공되며, 상기 센터링 조정단은 삽입 소자부에 포함된 소자들 중 적어도 페라이트 소자(16)에 대응 위치되면서 상기 페라이트 소자(16)와 단차를 형성하는 높이로 구성된 비가역 회로소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소자부(10)는, 페라이트에 정자계를 인가하기 위한 자성체(12);
    자력집중과 페라이트의 유전체 접지를 위한 폴 피스(14); 및,
    상기 폴피스 내측으로 내부도체(18)를 개재하여 특정 캐패시터를 구현하여 전송파와 반송파의 전송 및 반송회로를 구현토록 제공되는 페라이트 소자(16);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역 회로소자.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분리형 조정블록은 상기 삽입 소자부에 포함된 소자들 중 적어도 페라이트 소자(16)에 대응 위치되면서 메인바디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역 회로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분리형 조정블록은 상기 페라이트 소자(16)와 단차를 형성하는 높이를 갖고, 상기 페라이트 소자(16)는, 상기 비전도성 분리형 조정블록의 탑재를 가능토록 폴 피스(14)사이에 직경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역 회로소자.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체는 삽입 소자부의 소자들을 덮는 커버의 메인바디 체결시 탄성 작동이 가능한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비자성과 비전도성으로 형성되는 상기 삽입링 또는 일부 절개형 삽입링에는 내부도체의 단자들이 통과하는 단자 통과부(156a)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가역 회로소자.
KR1020090058969A 2009-06-30 2009-06-30 비가역 회로소자 KR101095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969A KR101095889B1 (ko) 2009-06-30 2009-06-30 비가역 회로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969A KR101095889B1 (ko) 2009-06-30 2009-06-30 비가역 회로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435A KR20110001435A (ko) 2011-01-06
KR101095889B1 true KR101095889B1 (ko) 2011-12-21

Family

ID=43610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969A KR101095889B1 (ko) 2009-06-30 2009-06-30 비가역 회로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8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0022A (ja) * 2003-10-21 2005-05-19 Hitachi Metals Ltd 非可逆回路素子
KR100617623B1 (ko) * 2004-03-31 2006-09-08 주식회사 세모스 소자특성이 우수한 비가역 회로소자
KR100856136B1 (ko) * 2007-07-03 2008-09-03 (주)파트론 비가역 회로소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0022A (ja) * 2003-10-21 2005-05-19 Hitachi Metals Ltd 非可逆回路素子
KR100617623B1 (ko) * 2004-03-31 2006-09-08 주식회사 세모스 소자특성이 우수한 비가역 회로소자
KR100856136B1 (ko) * 2007-07-03 2008-09-03 (주)파트론 비가역 회로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435A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3435B2 (ja) 組み込みプレーナ・サーキュレータ
US20090040109A1 (en) Antenna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9859602B2 (en)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11959954B2 (en) Contactless microstrip to waveguide transition
US5172080A (en) Garnet centering ring for circulators and isolators
KR101095889B1 (ko) 비가역 회로소자
US6765453B2 (en)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having a thermal conductor
KR100617623B1 (ko) 소자특성이 우수한 비가역 회로소자
CN110620284B (zh) 非可逆电路元件及使用其的通信装置
JP6900963B2 (ja) 非可逆回路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装置
US20170110229A1 (en) Communication module alignment
KR100553967B1 (ko) 접지성 및 방열성이 우수한 비가역 회로소자
JP2007295361A (ja) デュプレクサ
US11916276B2 (en) Circulator conductor and housing configuration
EP4175060A1 (en) Non-reciprocal circuit element and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837217B1 (ko) 비가역 회로소자
US11612962B2 (en) Laser direct structure (LDS) antenna assembly
JP6949239B2 (ja) 空中線
KR20190053245A (ko) 일체형 스프링 장착 칩 터미네이션
JP2002185339A (ja) 放熱素子とそれを用いた高周波電子回路基板
JP2006287442A (ja) 非可逆回路素子
JP4968486B2 (ja) 非可逆回路装置、通信装置、及び非可逆回路装置の特性調整方法
KR100311816B1 (ko) 가역 회로소자
CN113097707A (zh) 一种介质谐振器天线模组及通信终端
KR20210055528A (ko) 캐비티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