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840B1 - 탄소나노구조체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나노구조체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840B1
KR101095840B1 KR1020070072669A KR20070072669A KR101095840B1 KR 101095840 B1 KR101095840 B1 KR 101095840B1 KR 1020070072669 A KR1020070072669 A KR 1020070072669A KR 20070072669 A KR20070072669 A KR 20070072669A KR 101095840 B1 KR101095840 B1 KR 101095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ol
metal
carbon
diglycol
carbon nano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419A (ko
Inventor
김재하
진명국
홍순형
모찬빈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주)바이오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주)바이오니아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70072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840B1/ko
Publication of KR20090009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3/0009Forming specific nano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8After-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나노구조체와 금속을 결합한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나노구조체를 환원성 용매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산액과 금속 전구체의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액을 열처리하여 금속 전구체를 환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탄소나노구조체에 수nm 내지 수백nm의 금속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고, 금속입자 크기가 일정하며, 금속입자 형태가 구형으로 결합되어 있는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탄소나노구조체, 탄소나노튜브, 금속, 나노, 나노복합체, 환원

Description

탄소나노구조체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eparing nanocomposites consisting of carbon nanostructures and metal}
본 발명은 탄소나노구조체와 금속을 결합한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탄소나노구조체에 수nm 내지 수백nm의 금속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고, 금속입자 크기가 일정하며, 금속입자 형태가 구형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나노구조체는 형태에 따라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탄소나노혼(carbon nano horn),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 fiber)등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 열전도도, 전기전도도 및 화학적 안정성으로 인하여 에너지, 환경 및 전자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1991년 일본전기회사(NEC) 부설 연구소의 이지마박사가 전기방전법을 사용하여 흑연 음극상에 형성시킨 탄소 덩어리를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분석하는 과정에서 가늘고 긴 대롱 모양의 탄소나노튜브를 발견하여 네이처(Nature)에 처음으로 발표한 것이 탄소나노튜브의 시작이다. 탄소나노튜브는 흑연면이 나노 크기의 직경으로 둥글게 말린 상태이며, 이 흑연면이 말리는 각도 및 구조에 따라서 금속 또는 반도체의 특성을 보인다. 탄소나노튜브는 초미세 연결선, 초미세 파이프, 초미세 액체 주입 장치, 가스센서와 탄소의 생체 조직과의 친화성을 이용한 의료용 소재로의 응용이 기대된다.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전자방출원 및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ED)로의 응용은 최근에 활발히 연구되는 분야 중 하나이다. 또한 대체 에너지원으로 각광 받는 연료전지 및 이차전지의 소재로, 경량고강도를 요구하는 벌크 소재 등으로도 응용연구가 활발하다.
현재의 전계방출 디스플레이, 연료전지의 전극물질 및 수소저장 장치 등의 전자산업 소재 및 고강도 소재로 개발되고 있는 탄소나노튜브보다 높은 성능을 줄 수 있는 소재가 탄소나노튜브-금속 복합체이다. 이것은 탄소나노튜브에 관능기를 유도하고, 유도된 관능기에 금속(코발트, 구리, 니켈 등)을 반응시켜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신소재로, 함유하고 있는 금속 성분 때문에 전계방출 디스플레이 제작, 수소저장장치 결합체 제작, 전극 제작, 슈퍼커패시터(Super Capacitor) 제작, 전자파 차단체 제작, 경량 고강도 응용제품 제작 등의 구조체 성형 제작에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탄소나노튜브-금속 복합체에 대한 소재로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최근에 탄소나노튜브와 금속들을 물리적으로 혼합하여 소결하는 복합체가 개발되었다(P.J.F. Harris, International Materials Reviews, Vol 49, p31-43, 2004). 그러나 이러한 복합체는 금속이 탄소나노튜브에 결합되어 있지 않아, 균일하게 분 산되지 않고, 뭉쳐져 있어 소재로의 응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왔다. 이와는 다르게 최근에 탄소나노튜브에 금속을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방법도 제시되었으나 미세구조상에서 금속이 탄소나노튜브 전체를 덮어 코팅되어 있어 탄소나노튜브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단점이 있어 왔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16071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98784호에서는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된 용매에 금속전구체 및 환원제를 투입하여 금속전구체를 환원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환원제 투입에 따른 환원 반응이 반응액 전체에서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제조되는 탄소나노튜브-금속 복합체에서 금속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지 않고 분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나노구조체에 수nm 내지 수백nm의 금속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고, 금속입자 크기가 일정하며, 금속입자 형태가 구형으로 결합되어 있는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다가알코올, 글리콜에테르류 또는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환원성 용매에 탄소나노구 조체를 분산시킨 후 금속전구체를 가하고 열처리함으로써 환원된 금속 입자가 탄소나노구조체에 균일하게 분산 결합된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환원성 용매는 탄소나노구조체를 분산시키는 역할 및 금속 전구체를 환원하는 역할을 하며, 환원성 용매로 사용되는 다가알코올, 글리콜에테르류 또는 이의 혼합물은 온화한 환원력을 가지므로 적절한 속도로 환원반응이 진행되어 균일한 크기의 금속 입자를 형성할 수 있으며 형성되는 금속 입자의 응집을 억제하여 제조되는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에 금속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더 나아가 환원성 용매로 다가알코올 및 글리콜에테류를 혼합한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환원된 금속 입자의 분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소나노구조체를 환원성 용매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산액과 금속 전구체의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액을 열처리하여 금속 전구체를 환원시키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상기 탄소나노구조체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탄소나노혼(carbon nano horn),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 fiber)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며, 그 응용성 및 물리적 특성 등을 고려할 때 탄소나노튜 브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이중벽 탄소나노튜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탄소나노구조체에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탄소나노튜브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시판되는 탄소나노튜브 표면에는 결함점(defect site)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결함점에는 탄소나노튜브의 정제과정상 카르복실 기능기와 같은 음이온 기능기가 유도되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W. Marshall et. al., Carbon, Vol 44, p1137-1141, 2006). 탄소나노튜브를 화학증착법(CVD)으로 제조 시에 사용되어진 금속 촉매를 제거해야 하는데, 정제공정에서 염산 또는 질산을 사용하여 촉매금속을 용융하여 제거한다. 이때 탄소나노튜브에도 산이 접촉하게 되는데, 접촉된 산은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카르복실 기능기를 유도한다. 탄소나노튜브에 더 많은 기능기가 필요하면, 카르복실기를 더 유도하기 위하여 강산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카르복실기와 같은 음이온성 기능기를 가진 탄소나노튜브에 금속염을 액체에 용해하여 접촉하면, 용해된 양이온성 금속이 카르복실기 주위에 산화물 형태로 결합하게 되고, 여기에 환원제를 사용하여 온도를 승온하며 환원 반응을 시키면 탄소나노튜브에 환원된 금속이 결합하게 되어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가 제조되어 진다.
본 발명에서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첫 단계에서는 탄소나노구조체를 환원성 용매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탄소나노구조체를 유기용제에 투입하고 다음에 환원제를 투입하여 환원반응을 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경제적으로 저렴한 환원제를 용매로 사용하여 니트(neat)로 환 원반응을 함으로써 보다 완전한 금속의 환원반응을 하는데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환원제로는 소디움보로하이드라이드(Sodium borohydride), 하드라진(Hydrazine)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원제는 환원력이 좋으나 고가이므로 생산 비용에 있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구입비용이 저렴하여 생산 단가에 장점이 있는 다가알코올, 글리콜 에테르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니트로 사용하여 용매와 환원제의 두 가지 역할을 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별도의 환원제를 사용하지 않지 때문에 제조방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용매가 환원제로 작용하고 환원력이 온화하기 때문에 환원 반응이 반응액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적절한 속도로 진행될 수 있어 금속 전구체의 환원반응으로 생성되는 금속 입자의 크기가 수nm 내지 수백nm 범위 안에서 균일하고 탄소나노구조체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금속 입자의 형태가 거의 구형으로 형태적으로도 균일성을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원성 용매로 바람직한 것은 다가알코올, 글리콜에테르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상기 다가알코올은 히드록시기(-OH)가 2 이상인 화합물로 하기 화학식 1의 글리콜류, 글리세린(Glycerine), 트레이톨(Threitol), 아라비톨(Arabitol), 글루코스(Glucose), 만니톨(Mannitol), 갈락시톨(Galactitol), 솔비톨(Sorbit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글리콜류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글리콜에테르류는 글리콜류의 히드록시기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두 개가 알킬, 아릴 알킬카르보닐 등으로 치환된 것을 의미하며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히드록시기를 하나 가지 고 있는 글리콜에테르류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이톨, 아라비톨, 글루코스, 만니톨, 갈락시톨 및 솔비톨 등과 같이 융점이 높은 물질의 경우에는 융점이 낮은 환원성 용매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학식 1]
H-(OR1)n-OH
[화학식 2]
R4-(OR2)m-OR3
(상기 화학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2~C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으로부터 선택되고; R3는 수소원자, 알릴, C1~C10의 알킬, C5~C20의 아릴, 또는 C6~C30의 아르알킬기고; R4는 알릴, C1~C10의 알킬, C5~C20의 아릴, C6~C30의 아르알킬기, 또는 C2~C10의 알킬카르보닐기로부터 선택되며; n 및 m은 독립적으로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상기 글리콜류에 포함되는 화합물로는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트리에틸렌 글리콜(Triethylene Glycol), 테트라에틸렌 글리콜(Tetraeth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헥실렌 글리콜(Hexylene Glycol)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트리에틸렌 글리콜이 보다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글리콜 에테르류에 포함되는 화합물로는 메틸 글리콜(Methyl Glycol), 메틸 디글리콜(Methyl Diglycol), 메틸 트리글리콜(Methyl Triglycol), 메틸 폴리글리콜(Methyl Polyglycol), 에틸 글리콜(Ethyl Glycol), 에틸 디글리콜(Ethyl Diglycol), 부틸 글리콜(Butyl Glycol), 부틸 디글리콜(Butyl Diglycol), 부틸 트리글리콜(Butyl Triglycol), 부틸 폴리글리콜(Butyl Polyglycol), 헥실 글리콜(Hexyl Glycol), 헥실 디글리콜(Hexyl Diglycol), 에틸헥실 글리콜(Ethyl Hexyl Glycol), 에틸헥실 디글리콜(Ethyl Hexyl Diglycol), 아릴 글리콜(Allyl Glycol), 페닐 글리콜(Phenyl Glycol), 페닐 디글리콜(Phenyl Diglycol), 벤질 글리콜(Benzil Glycol), 벤질 디글리콜(Benzil Diglycol), 메틸 프로필렌 글리콜(Methyl Propylene Glycol), 메틸 프로필렌 디글리콜(Methyl Propylene Diglycol), 메틸 프로필렌 트리글리콜(Methyl Propylene Triglycol), 프로필 프로필렌 글리콜(Propyl Propylene Glycol), 프로필 프로필렌 디글리콜(Propyl Propylene Diglycol), 부틸 프로필렌 글리콜(Butyl Propylene Glycol), 부틸 프로필렌 디글리콜(Butyl Propylene Diglycol), 페닐 프로필렌 글리콜(Phenyl Propylene Glycol), 메틸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테이트(Methyl Propylene Glycol Acetate)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환원성 용매로 상기 다가알코올 및 상기 글리콜에테르류의 화합물을 혼합한 혼합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제조되는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에서 금속 입자 크기의 균일성 및 탄소나노구조체에 대한 금속 입자의 분산성이 더욱 우수하고, 입자의 형태에 있어서도 구형으로 균일한 특징을 나타내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다가알코올로 글리콜류를 사용하여 글리콜에테르류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글리콜류와 메틸 폴리 글리콜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탄소나노구조체를 환원성 용매에 분산시키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초음파 처리에 의해 분산시키는 것이 제조방법이 용이하고 분산성이 우수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나노튜브 등의 탄소나노구조체는 구입 시 일반적으로 서로 엉켜져 있는 것을 전자 현미경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탄소나노구조체의 엉킴은 금속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되는데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 제조시 반드시 수행하여야 할 공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두 번째는 탄소나노구조체의 분산액과 금속전구체의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수nm 내지 수백nm의 금속 입자를 탄소나노구조체 분산되어 결합하기 위해서는 금속 전구체를 사용하여 이를 환원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금속전구체는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금속 성분의 종류에 제한을 둘 필요는 없으며, Mg, Al, K, Ca,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Ga, Rb, Sr, Y, Zr, Mo, Ru, Rh, Pd, Ag, Cd, In, Sn, Cs, Ba, La, Ce, Nd, Sm, Eu, Gd, Tb, Hf, Ir, Pt, Tl, Pb 또는 Bi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금속 전구체로는 금속염화물 등의 무기금속염 보다는 유기리간드가 금속이온에 배위된 유기금속 착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기 금속 착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환원성 용매에 잘 용해되고 환원되는 금속 입자의 크기가 보다 균일하게 제조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유기금속 착화합물로는 하기 화학식 3의 카복실레이트 화합물, 화학식 4의 β-디케토네이트 화합물, 또는 이들의 수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07052640660-pat00001
[화학식 4]
Figure 112007052640660-pat00002
(상기 화학식에서 M은 Mg, Al, K, Ca,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Ga, Rb, Sr, Y, Zr, Mo, Ru, Rh, Pd, Ag, Cd, In, Sn, Cs, Ba, La, Ce, Nd, Sm, Eu, Gd, Tb, Hf, Ir, Pt, Tl, Pb 또는 Bi로부터 선택되고, R5, R6 및 R7은 독립 적으로 알릴, C1~C10의 알킬, C5~C20의 아릴, 또는 C6~C30의 아르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R8은 수소원자 또는 C1~C7의 알킬기로부터 선택되며, p 및 q는 독립적으로 M의 원자가이다.)
상기 화학식 3 또는 4에서 금속 성분(M)은 Co, Cu, Ni, Fe 또는 Ti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금속 전구체 화합물로는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 구리 아세테이트, 니켈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니켈 아세테이트, 철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철 아세테이트, 티타늄 아세테이트, 티타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또는 이들의 수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세 번째 단계는 탄소나노구조체 및 금속 전구체의 혼합액을 열처리하여 금속 전구체를 환원하는 단계로서 반응기 내부를 질소 등의 불활성 기체로 치환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원반응 후에 형성된 금속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합성된 금속이 고온에서 산소와 반응하여 폭발하는 것을 예방하는 위험 방지 역할도 한다. 반응기를 불활성 기체로 치환한 후 혼합액을 일정 온도 이상으로 승온시켜 환원 반응이 일어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원성 용매는 상온에서는 환원제 효과가 없으나, 일정 온도 이상으로 승온하는 경우환원반응을 일으킨다. 상기 열처리 온도는 환원성 용매의 조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승온하는 온도 범위에 제한을 둘 필요는 없으나 80 내지 300℃의 범위에서 진행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온도가 80℃ 미만인 경우에는 환원 반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온도가 3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환원 반응 속도를 적절히 조절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 범위에서 환원 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상기 세 번째 단계 이후에 통상적인 여과, 세척 및 건조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례로 제조된 탄소나노튜브-금속 복합체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 도 1 내지 도 5에 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의 사진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탄소나노튜브-금속 복합체는 금속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고, 금속 입자의 크기가 수nm 내지 수백nm 범위 내에서 일정하며, 금속 입자의 형태가 구형으로 탄소나노튜브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경제적으로 저렴한 다가알코올, 글리콜 에테르류 또는 이의 혼합물을 환원제로 사용하여 탄소나노구조체에 나노크기의 금속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고, 금속입자 크기가 일정하며, 금속입자 형태가 구형으로 결합되어 있는 다양한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전구체의 종류에 따라 제조된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는 전자산업 소재 및 고강도 경량 구조체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환원성 용매에 따른 탄소나노튜브-금속 복합체의 제조
[실시예 1] 환원성 용매로 트리에틸렌 글리콜(TEG)을 사용한 경우
500 ml 둥근 플라스크에 탄소나노튜브(일진나노텍, CM-95, Multi-well CNT grade) 0.07g을 넣고, 트리에틸렌 글리콜(TEG) 128ml를 둥근 플라스크 반응기에 투입한다. 교반기를 장착하여 30분간 교반하고, 반응기를 초음파 세척기에 넣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3시간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킨다. 이 때 반응기의 온도는 50도가 넘지 않도록 한다. 초음파 처리가 끝나면 교반기를 다시 장착하고, 온도계와 냉각용 콘덴서를 연결한다. 반응기에 코발트아세틸아세토네이트 4.06g을 투입한다. 반응기에 진공 펌프를 연결하여, 반응기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고 질소로 치환시킨다. 질소를 계속 투입하며 질소가 반응기 내부를 통하여 외부로 흐르게 하여 산소 유입을 막는다. 플라스크 하부에 맨틀을 설치하고 반응기 내부 온도를 280도까지 1시간에 걸쳐 승온하고, 30분 동안 유지한다. 환원 반응이 종료되면 3시간에 걸쳐 반응기 온도를 상온까지 서서히 내린다. 합성된 탄소나노튜브-코발트 복합체를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에탄올로 수회 세척하여 제조물을 얻는다. 제조된 탄소나노튜브-코발트 복합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결과, 코발트 입자가 구형이며 일 정한 크기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환원성 용매로 TEG와 MPG를 함께 사용한 경우
500 ml 둥근 플라스크에 탄소나노튜브(일진나노텍, CM-95) 0.3g을 넣고, 트리에틸렌 글리콜(TEG) 128ml를 반응기에 투입한다. 교반기를 장착하여 30분간 교반하고, 반응기를 초음파 세척기에 넣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3시간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킨다. 이 때 반응기의 온도는 50도가 넘지 않도록 한다. 초음파 처리가 끝나면 교반기를 다시 장착하고, 온도계와 냉각용 콘덴서를 연결한다. 반응기 용액을 교반하면서 메틸 폴리 글리콜(MPG, CH3(OCH2CH2)nOH, n=4~5, 한농화성, 제품명:MPG) 4.26ml를 플라스크 반응기에 투입하고 이어서 코발트아세틸아세토네이트 3.48g을 추가로 투입한다. 반응기에 진공 펌프를 연결하여, 반응기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고 질소로 치환시킨다. 질소를 계속 투입하며 질소가 반응기 내부를 통하여 외부로 흐르게 하여 산소 유입을 막는다. 플라스크 하부에 맨틀을 설치하고 반응기 내부 온도를 280도까지 1시간에 걸쳐 승온하고, 30분 동안 유지한다. 환원 반응이 종료되면 3시간에 걸쳐 반응기 온도를 상온까지 서서히 내린다. 합성된 탄소나노튜브-코발트 복합체를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에탄올로 수회 세척하여 제조물을 얻는다. 제조된 탄소나노튜브-코발트 복합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결과는 도 1과 같으며, 도 2는 도 1을 10배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코발트 입자가 구형이며 일정한 크기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환원성 용매로 글리콜 에테르 BTG와 MPG를 함께 사용한 경우
500 ml 둥근 플라스크에 탄소나노튜브(일진나노텍, CM-95) 0.3g을 넣고, 부틸트리 글리콜(BTG) 128ml를 반응기에 투입한다. 교반기를 장착하여 30분간 교반하고, 반응기를 초음파 세척기에 넣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3시간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킨다. 이 때 반응기의 온도는 50도가 넘지 않도록 한다. 초음파 처리가 끝나면 교반기를 다시 장착하고, 온도계와 냉각용 콘덴서를 연결한다. 반응기 용액을 교반하면서 메틸폴리 글리콜(MPG, CH3(OCH2CH2)nOH, n=4~5, 한농화성, 제품명:MPG) 4.26ml를 플라스크 반응기에 투입한다. 다음 코발트아세틸아세토네이트 3.48g을 추가로 투입한다. 반응기에 진공 펌프를 연결하여, 반응기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고 질소로 치환시킨다. 질소를 계속 투입하며 질소가 반응기 내부를 통하여 외부로 흐르게 하여 산소 유입을 막는다. 플라스크 하부에 맨틀을 설치하고 반응기 내부 온도를 280도까지 1시간에 걸쳐 승온하고, 30분 동안 유지한다. 환원 반응이 종료되면 3시간에 걸쳐 반응기 온도를 상온까지 서서히 내린다. 합성된 탄소나노튜브-코발트 복합체를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에탄올로 수회 세척하여 제조물을 얻는다. 제조된 탄소나노튜브-코발트 복합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결과, 코발트 입자가 구형이며 일정한 크기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환원성 용매로 다가알코올 TEG와 글리콜 에테르 BPG를 함께 사용 한 경우
500 ml 둥근 플라스크에 탄소나노튜브(일진나노텍, CM-95) 0.3g을 넣고, 트리에틸렌 글리콜(TEG) 128ml를 반응기에 투입한다. 교반기를 장착하여 30분간 교반하고, 반응기를 초음파 세척기에 넣고 초음파를 이용하여 3시간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킨다. 이 때 반응기의 온도는 50도가 넘지 않도록 한다. 초음파 처리가 끝나면 교반기를 다시 장착하고, 온도계와 냉각용 콘덴서를 연결한다. 반응기 용액을 교반하면서 부틸폴리 글리콜(BPG, C4H9(OCH2CH2)nOH, n=4~5, 한농화성, 제품명:BPG) 4.26ml를 플라스크 반응기에 투입한다. 다음 코발트아세틸아세토네이트 3.48g을 추가로 투입한다. 반응기에 진공 펌프를 연결하여, 반응기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고 질소로 치환시킨다. 질소를 계속 투입하며 질소가 반응기 내부를 통하여 외부로 흐르게 하여 산소 유입을 막는다. 플라스크 하부에 맨틀을 설치하고 반응기 내부 온도를 280도까지 1시간에 걸쳐 승온하고, 30분 동안 유지한다. 환원 반응이 종료되면 3시간에 걸쳐 반응기 온도를 상온까지 서서히 내린다. 합성된 탄소나노튜브-코발트 복합체를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에탄올로 수회 세척하여 제조물을 얻는다. 제조된 탄소나노튜브-코발트 복합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결과, 코발트 입자가 구형이며 일정한 크기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금속 전구체에 따른 탄소나노튜브-금속 복합체의 제조
[실시예 5] 금속염으로 코발트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무수물을 사용한 경우
금속염으로 코발트아세틸아세토네이트 무수물 4.06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진행하여 탄소나노튜브-코발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탄소나노튜브-코발트 복합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결과, 코발트 입자가 구형이며 일정한 크기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금속염으로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를 사용한 경우
금속염으로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 4.04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진행하여 탄소나노튜브-구리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탄소나노튜브-구리 복합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결과는 도 3과 같으며, 도면에서 구리 입자가 구형에 가까우며 일정한 크기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7] 금속염으로 니켈 아세틸아세토네이트를 사용한 경우
금속염으로 니켈 아세틸아세토네이트 3.48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진행하여 탄소나노튜브-니켈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탄소나노튜브-니켈 복합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결과는 도 4와 같으며, 도면에서 니켈 입자가 구형에 가까우며 일정한 크기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8] 금속염으로 티타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를 사용한 경우
금속염으로 티타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 8.0 ml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진행하여 탄소나노튜브-티타늄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탄소나노튜브-티타늄 복합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결과는 도 5와 같으며, 도면에서 티타늄 입자가 구형이며 일정한 크기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탄소나노튜브-코발트 나노복합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2은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탄소나노튜브-코발트 나노복합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확대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탄소나노튜브-구리 나노복합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4은 실시예 7에서 제조한 탄소나노튜브-니켈 나노복합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5은 실시예 8에서 제조한 탄소나노튜브-티타늄 나노복합체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Claims (11)

  1. 탄소나노구조체를 다가알코올과 글리콜에테르류가 혼합된 환원성 용매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분산액과 금속 전구체의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액을 열처리하여 금속 전구체를 환원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코올은 하기 화학식 1의 글리콜류, 글리세린, 트레이톨, 아라비톨, 글루코스, 만니톨, 갈락시톨 및 솔비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글리콜에테르류는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H-(OR1)n-OH
    [화학식 2]
    R4-(OR2)m-OR3
    (상기 화학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2~C10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렌으로부터 선택되고; R3는 수소원자, 알릴, C1~C10의 알킬, C5~C20의 아릴, 또는 C6~C30의 아르알킬기고; R4는 알릴, C1~C10의 알킬, C5~C20의 아릴, C6~C30의 아르알킬기, 또는 C2~C10의 알킬카르보닐기로부터 선택되며; n 및 m은 독립적으로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류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헥실렌 글리콜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글리콜 에테르류는 메틸 글리콜, 메틸 디글리콜, 메틸 트리글리콜, 메틸 폴리글리콜, 에틸 글리콜, 에틸 디글리콜, 부틸 글리콜, 부틸 디글리콜, 부틸 트리글리콜, 부틸 폴리글리콜, 헥실 글리콜, 헥실 디글리콜, 에틸헥실 글리콜, 에틸헥실 디글리콜, 아릴 글리콜, 페닐 글리콜, 페닐 디글리콜, 벤질 글리콜, 벤질 디글리콜, 메틸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프로필렌 디글리콜, 메틸 프로필렌 트리글리콜, 프로필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 프로필렌 디글리콜, 부틸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 프로필렌 디글리콜, 페닐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메틸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코올은 글리콜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구조체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탄소나노혼(carbon nano horn),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 fiber)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전구체는 Mg, Al, K, Ca,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Ga, Rb, Sr, Y, Zr, Mo, Ru, Rh, Pd, Ag, Cd, In, Sn, Cs, Ba, La, Ce, Nd, Sm, Eu, Gd, Tb, Hf, Ir, Pt, Tl, Pb 또는 Bi로부터 선택되는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전구체는 하기 화학식 3의 카복실레이트 화합물, 화학식 4의 β-디케토네이트 화합물, 또는 이들의 수화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3]
    Figure 112007052640660-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07052640660-pat00004
    (상기 화학식에서 M은 Mg, Al, K, Ca, Sc, Ti, V, Cr, Mn, Fe, Co, Ni, Cu, Zn, Ga, Rb, Sr, Y, Zr, Mo, Ru, Rh, Pd, Ag, Cd, In, Sn, Cs, Ba, La, Ce, Nd, Sm, Eu, Gd, Tb, Hf, Ir, Pt, Tl, Pb 또는 Bi로부터 선택되고, R5, R6 및 R7은 독립적으로 알릴, C1~C10의 알킬, C5~C20의 아릴, 또는 C6~C30의 아르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R8은 수소원자 또는 C1~C7의 알킬기로부터 선택되며, p 및 q는 독립적으로 M의 원자가이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성분(M)은 Co, Cu, Ni, Fe 또는 Ti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금속 전구체는 코발트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코발트 아세테이트, 구리 아세틸 아세토네이트, 구리 아세테이트, 니켈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니켈 아세테이트, 철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철 아세테이트, 티타늄 아세테이트, 티타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또는 이들의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나노구조체-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20070072669A 2007-07-20 2007-07-20 탄소나노구조체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의제조방법 KR101095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669A KR101095840B1 (ko) 2007-07-20 2007-07-20 탄소나노구조체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669A KR101095840B1 (ko) 2007-07-20 2007-07-20 탄소나노구조체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419A KR20090009419A (ko) 2009-01-23
KR101095840B1 true KR101095840B1 (ko) 2011-12-21

Family

ID=40489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669A KR101095840B1 (ko) 2007-07-20 2007-07-20 탄소나노구조체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8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405B1 (ko) 2008-05-28 2012-11-23 (주)바이오니아 탄소나노튜브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 및 이의제조방법
WO2015005665A1 (ko) 2013-07-12 2015-01-15 (주)바이오니아 탄소나노튜브 또는 탄소나노류브 -금속 복합체를 이용한 세라믹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전성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505B1 (ko) * 2009-02-05 2010-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계 입자/구리로 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US9266070B2 (en) 2009-03-27 2016-02-23 Bioneer Corporation Oil pu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porous membrane
KR101118473B1 (ko) 2009-03-27 2012-03-12 (주)바이오니아 나노다공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41647A (ko) * 2009-10-16 2011-04-22 (주)바이오니아 탄소나노튜브-금속 열전도성 복합 소재
KR101299226B1 (ko) 2009-12-21 2013-08-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13149B1 (ko) * 2010-04-16 2013-09-30 (주)바이오니아 탄소나노튜브―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KR101331112B1 (ko) * 2011-09-28 2013-11-19 (주)바이오니아 탄소나노튜브 및 금속산화물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137957B (zh) * 2013-02-27 2014-12-10 中国石油大学(北京) 一种多孔石墨烯-金属氧化物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813584B1 (ko) 2015-09-02 2017-12-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탄소나노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42803B1 (ko) * 2016-07-22 2019-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아연-카본블랙 복합체 촉매의 제조방법
CN106964362A (zh) * 2017-04-10 2017-07-21 中国科学技术大学 金属钼酸盐/碳复合纳米纤维及其制备方法以及复合材料及其应用
KR102607954B1 (ko) * 2021-02-26 2023-12-01 (주)쓰리에이씨 전이금속이 담지된 살균 및 항균용 다공성 탄소복합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5726A1 (en) 2002-05-09 2004-06-03 Hannay Richard C. Conductor polymer backfill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as a reinforcement material for utility po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5726A1 (en) 2002-05-09 2004-06-03 Hannay Richard C. Conductor polymer backfill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as a reinforcement material for utility pol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stevam V. Spinace et al. Electro-oxidation of ethanol using PtRu/C electrocatalysts prepared by alcohol-reduction process. Journal of Power Sources. 2004, Vol. 137, pp. 17-23*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405B1 (ko) 2008-05-28 2012-11-23 (주)바이오니아 탄소나노튜브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 및 이의제조방법
WO2015005665A1 (ko) 2013-07-12 2015-01-15 (주)바이오니아 탄소나노튜브 또는 탄소나노류브 -금속 복합체를 이용한 세라믹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전성 필름
US10249404B2 (en) 2013-07-12 2019-04-02 Bioneer Corporation Ceramic paste composition using carbon nanotube or carbon nanotube-metal complex, and conductive film contain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419A (ko) 2009-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840B1 (ko) 탄소나노구조체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의제조방법
KR101202405B1 (ko) 탄소나노튜브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 및 이의제조방법
KR101331112B1 (ko) 탄소나노튜브 및 금속산화물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Gao et al. Preparation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polycrystalline and single crystalline CuO nanorods as anode materials for Li ion battery
Shi et al. Obtaining ultra-long copper nanowires via a hydrothermal process
Peng et al. Morphology control of nanoscale PbS particles in a polyol process
CN111500001B (zh) 一种碳纳米管纳米复合材料的制备方法与应用
KR101368241B1 (ko) 감마선을 이용한 그래핀 산화물의 환원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그래핀
US8119093B2 (en) C70fullerene tub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130063718A (ko) 플라즈마-용액 시스템을 이용한 탄소-금속 나노복합체의 제조 방법
KR101100745B1 (ko) 마이크로웨이브-폴리올 합성법을 이용한 전이금속 산화물및 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357145B1 (ko) 탄소나노튜브 및 플라티늄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3149B1 (ko) 탄소나노튜브―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성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Liu et al. Microwave-assisted synthesis of Pt nanocrystals and deposition on carbon nanotubes in ionic liquids
JP6848882B2 (ja) ナノ構造体分散液入り容器、ナノ構造体分散液の貯蔵方法および輸送方法、並びに、ナノ構造体分散液を用いた複合材料用組成物および集合体の製造方法
KR20110033652A (ko) 고 전기 전도성 탄소나노튜브-금속 복합체의 제조방법
Sharma et al. Supercritical processing of thermally stable multiwalled carbon nanotube/boron nitride nanohybrids with synergistically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RU2391289C2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азотсодержащего углеродного материала нанотрубчатой структуры
Shi et al. Multicomponent and hybrid hydrogels comprised of carbon nanotube–nickel/nickel oxide core/shell nanoparticle heterostructures incorporated in polyvinyl alcohol
KR101343907B1 (ko) 탄소나노튜브 및 금속으로 이루어진 나노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430923A (zh) 氧化穩定度增強之金屬奈米粒子及其製備方法
JP2013204046A (ja) 銅−ニッケル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13575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rbon nanotube composite conductive film combined with metal nanoparticles
Chen et al. In situ assembly of Ag2O nanoparticles on low defect density carbon nanotubes
JPWO2019124159A1 (ja) 繊維状炭素ナノ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