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679B1 -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679B1
KR101095679B1 KR1020080134801A KR20080134801A KR101095679B1 KR 101095679 B1 KR101095679 B1 KR 101095679B1 KR 1020080134801 A KR1020080134801 A KR 1020080134801A KR 20080134801 A KR20080134801 A KR 20080134801A KR 101095679 B1 KR101095679 B1 KR 101095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ilicon film
film
gate
forming
poly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675A (ko
Inventor
노경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80134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679B1/ko
Priority to US12/491,983 priority patent/US7785945B2/en
Publication of KR2010007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7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ng layer, e.g. the length, the sectional shape or the lay-out
    • H01L29/4237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ng layer, e.g. the length, the sectional shape or the lay-out characterised by the length or the sectional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158Making the insulator
    • H01L21/28167Making the insulator on single crystalline silicon, e.g. using a liquid, i.e. chemical oxidation
    • H01L21/28202Making the insulator on single crystalline silicon, e.g. using a liquid, i.e. chemical oxidation in a nitrogen-containing ambient, e.g. nitride deposition, growth, oxynitridation, NH3 nitridation, N2O oxidation, thermal nitridation, RTN, plasma nitridation, RP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5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 H01L29/51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with a compositional variation, e.g. multilayer structures
    • H01L29/513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with a compositional variation, e.g. multilayer structures the variation being perpendicular to the channel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575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 H01L29/6659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with both lightly doped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nd source and drain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e.g. lightly doped drain [LDD] MOSFET, double diffused drain [DDD] MOSFET
    • H01L29/6659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with both lightly doped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nd source and drain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e.g. lightly doped drain [LDD] MOSFET, double diffused drain [DDD] MOSFET forming drain [D] and lightly doped drain [LDD] simultaneously, e.g. using implantation through the wings a T-shaped layer, or through a specially shaped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659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ith asymmetry in the channel direction, e.g. lateral high-voltage MISFETs with drain offset region, extended drain MISF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33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lightly doped drain or source extension, e.g. LDD MOSFET's; DDD MOSFET's
    • H01L29/7835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lightly doped drain or source extension, e.g. LDD MOSFET's; DDD MOSFET's with asymmetrical source and drain regions, e.g. lateral high-voltage MISFETs with drain offset region, extended drain MISF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게이트산화막의 열화없이 보론(B) 이온의 침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은, 반도체기판 상에 게이트절연막 및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폴리실리콘막의 일정 두께를 경사식각하는 단계와, 경사 식각된 폴리실리콘막을 P형 도펀트로 도핑시키는 단계와, 폴리실리콘막의 도펀트를 확산시키는 단계와, 폴리실리콘막의 경사부분을 제거하여 평탄화하는 단계와, 평탄화된 폴리실리콘막 상에 게이트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게이트금속막 상에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형성될 영역을 한정하는 하드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게이트금속막, 폴리실리콘막 및 게이트절연막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스택을 형성하는 단계, 및 게이트 스택 양측의 반도체기판에 소스/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론(B) 침투, 게이트산화막 열화, PMOS, 듀얼 게이트

Description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PMOS transistor}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게이트산화막의 열화없이 보론(B) 이온의 침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소자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물질로는 흔히 폴리실리콘이 사용된다. 이는 폴리실리콘이 고융점, 박막 형성 및 라인패턴 형성의 용이함 및 평탄한 표면 형성 등 게이트 물질로서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공정의 단순화 차원에서 NMOS 및 PMOS 트랜지스터 모두 N형으로 도핑된 폴리실리콘으로 게이트를 형성하였으며, 그로 인해 PMOS 트랜지스터의 경우 매몰채널(buried channel)이 형성되게 되었다. 그러나, 반도체소자의 디자인 룰(design rule)이 점점 작아지고 고전력 및 고속동작이 요구되면서 매몰채널을 갖는 PMOS 트랜지스터의 경우 한계에 도달하게 되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NMOS 영역에는 N형으로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PMOS 영역에는 P형으로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사용하는 듀얼 게이트(dual gate) 공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PMOS 트랜지스터를 표면 채널 방식으로 바꾸면 전류 온/오프 비율 및 단채널 문턱전압의 롤 오프(role off) 특성이 개선된다. PMOS 트랜지스터를 표면 채널 구조로 만들기 위해서는 N+로 도핑된 폴리실리콘 대신에 P+로 도핑된 폴리실리콘을 사용하여야 한다. 통상, 공정의 단순화를 위하여 N형 도펀트로 도핑된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한 다음, PMOS 트랜지스터 영역의 폴리실리콘막에 이온주입 또는 플라즈마 도핑 방법으로 P형 도펀트를 고농도로 카운트 도핑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카운트 도핑된 P형 도펀트인 보론(B)이 후속 공정을 진행하는 동안 게이트산화막을 뚫고 반도체기판 표면으로 침투(penetration)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보론(B) 이온이 반도체기판으로 침투하면, 반도체기판 내부의 도핑 농도를 변화시켜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Vt)을 변화시키고, 이로 인해 소자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결과가 초래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게이트산화막을 형성한 후 게이트산화막의 표면을 질화처리함으로써 도핑된 폴리실리콘막으로부터의 보론(B) 이온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여전히 보론(B) 침투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게이트산화막을 질화처리하는 경우 게이트산화막의 막질을 저하시켜 핫 캐리어 효과(hot carrier effect)에 매우 취약한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어 반도체소자 특성의 열화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게이트산화막의 열화없이 보론(B) 이온의 침투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은, 반도체기판 상에 게이트절연막 및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폴리실리콘막의 일정 두께를 경사식각하는 단계와, 경사 식각된 폴리실리콘막을 P형 도펀트로 도핑시키는 단계와, 폴리실리콘막의 도펀트를 확산시키는 단계와, 폴리실리콘막의 경사부분을 제거하여 평탄화하는 단계와, 평탄화된 폴리실리콘막 상에 게이트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게이트금속막 상에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형성될 영역을 한정하는 하드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게이트금속막, 폴리실리콘막 및 게이트절연막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스택을 형성하는 단계, 및 게이트 스택 양측의 반도체기판에 소스/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경사식각하는 단계에서,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식각 면에 반도체기판의 표면에 대해 1 ∼ 45°의 각도를 갖도록 식각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도핑시키는 단계는 플라즈마 도핑 방법 또는 이온주입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도핑시키는 단계에서, 5 ∼ 7KeV의 에너지와 5 × 1015 ∼ 1 × 1017원자/㎠의 농도로 도핑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도펀트를 확산시키는 단계는 폴리실리콘막이 도핑된 상기 반도체기판을 급속열처리(RTP) 공정으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평탄화하는 단계는,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좌 또는 우측에 식각 정지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식각 정지막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식각 정지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식각하는 단계는 에치백 또는 화학기계적연마(CMP)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소스/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폴리실리콘막으로부터 반도체기판으로 확산된 도펀트에 의한 국지적 농도 증가가 작은 곳에 LDD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도펀트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폴리실리콘막으로부터 반도체기판으로 확산된 도펀트에 의한 국지적 농도 증가가 큰 경우, 할로 이온주입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은, 반도체기판 상에 게이트절연막 및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폴리실리콘막의 일정 두께를 경사식각하는 단계와, 경사 식각된 폴리실리콘막을 P형 도펀트로 도핑시키는 단계와, 폴리실리콘막의 도펀트를 확산시키는 단계와, 폴리실 리콘막 상에 게이트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게이트금속막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와, 평탄화된 게이트금속막 상에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형성될 영역을 한정하는 하드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게이트금속막, 폴리실리콘막 및 게이트절연막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스택을 형성하는 단계, 및 게이트 스택 양측의 반도체기판에 소스/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경사식각하는 단계에서,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식각 면에 반도체기판의 표면에 대해 1 ∼ 45°의 각도를 갖도록 식각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도핑시키는 단계는 플라즈마 도핑 방법 또는 이온주입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도핑시키는 단계에서, 5 ∼ 7KeV의 에너지와 5 × 1015 ∼ 1 × 1017원자/㎠의 농도로 도핑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도펀트를 확산시키는 단계는 폴리실리콘막이 도핑된 상기 반도체기판을 급속열처리(RTP) 공정으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금속막을 평탄화하는 단계는 에치백 또는 화학기계적연마(CMP)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소스/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폴리실리콘막으로부터 반도체기판으로 확산된 도펀트에 의한 국지적 농도 증가가 작은 곳에 LDD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도펀트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폴리실리콘막으로부터 반도체 기판으로 확산된 도펀트에 의한 국지적 농도 증가가 큰 경우, 할로 이온주입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일반적으로, 보론(B) 이온의 침투(penetration)와 게이트산화막의 막질 열화는 상호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였다. 즉, 폴리실리콘막에 주입되어 있던 보론(B)이 반도체기판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게이트산화막의 표면을 질화시키는 공정에서 질소의 농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질소의 농도를 증가시킬 경우 게이트산화막의 막질이 열화되어 핫 캐리어 효과를 야기할 수 있고, 동시에 게이트 제어성(gate controllability)을 약화시킨다. 반면, 게이트산화막의 막질 확보를 위해 질화처리시 질소의 농도를 낮출 경우 반도체기판의 전면에 걸쳐 보론(B)의 침투(penetration)가 발생하게 되고 결국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Vt)이 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보론(B) 침투의 감소를 위해 시행하는 질화처리 공정에서 질소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종래에 비해 게이트산화막의 막질이 우수하며 게이트 제어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기판(100) 상에 게이트절연막(110)을 형성한다. 상기 반도체기판(100)은 예를 들면 P형 실리콘(Si) 기판일 수 있다. 게이트절연막(110)은 반도체기판(100)의 표면을 산화시켜 형성하거나, 산화막, 질화막 또는 산질화막(SiON)을 화학기상증착(CVD)과 같이 잘 알려진 방법으로 증착하여 형성하거나, 산화막/질화막/산화막을 차례로 적층하여 ONO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산화 방법으로는 열산화, 라디칼 산화, 습식 또는 건식 산화, 급속 열산화(rapid thermal oxidation)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게이트절연막(110)이 형성된 반도체기판을 질소를 포함하는 가스 분위기에서 소정 시간 질화처리하여 상기 게이트절연막(110)의 표면상에 질화막(120)을 형성한다. 상기 질화막(120)은 게이트도전층인 폴리실리콘막으로부터 반도체기판으로 보론(B)이 침투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서 질화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질화처리 단계에서 질소의 농도는, 언급한 바와 같이 상호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는 보론(B) 이온의 침투와 게이트절연막의 막질의 열화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한다.
상기 질화막(120) 상에 폴리실리콘막(130)을 일정 두께 증착하여 게이트도전막을 형성한다. 폴리실리콘막(130)은 도핑된 폴리실리콘 또는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핑되지 않은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한다. 폴리실리콘막(130)의 두께는 후속 공정에서 식각으로 제거될 두께를 고려하여 적절한 두께로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형성될 영역을 한정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한 후, 이를 마스크로 PMOS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영역의 폴리실리콘막을 식각한다. 다음에, 식각된 PMOS 트랜지스터 영역의 폴리실리콘막에 대해 경사식각을 수행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식각된 면이 경사를 이루도록 한다. 폴리실리콘막(130a)의 식각된 면과 반도체기판의 표면이 이루는 각도는 1 ∼ 45°범위 내에서 소자의 특성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폴리실리콘막에 대한 식각 결과, 폴리실리콘막(130a)의 좌, 우 두께가 서로 다르게 되어 경사를 이루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비대칭적으로 식각된 상기 폴리실리콘막(130a)을 P형 도펀트로 도핑시킨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플라즈마 도핑 장비에 반도체기판을 로딩한 다음, BF3 가스를 이용하여 폴리실리콘막(130a)을 도핑시킨다. 이때, 얇은 쪽의 폴리실리콘막(130a)의 두께가 800Å 정도인 경우, 5 ∼ 7KeV 정도의 에너지와 5 × 1015 ∼ 1 × 1017원자/㎠ 정도의 농도로 도핑시킬 수 있다. 또는, 이온주입 방법으로 보론(B) 이온을 주입하여 폴리실리콘막(130a)을 도핑시킬 수도 있는데, 플라즈마 도핑의 경우와 동일한 에너지와 농도로 도펀트를 주입할 수 있다.
폴리실리콘막(130a)의 표면이 비대칭적으로 식각된 상태에서 도펀트를 주입하면 폴리실리콘막(130a)의 식각 경사에 따라 불순물층 또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된다.
폴리실리콘막(130a)을 도핑시킨 다음에는, 주입된 도펀트들이 확산 또는 활 성화되도록 반도체기판을 열처리한다. 열처리 공정은 급속열처리(RTP)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면, 폴리실리콘막(130a)에 주입되어 있던 도펀트들이 활성화되면서 반도체기판(100) 쪽으로 확산된다. 이때, 폴리실리콘막(130a)의 경사에 따라, 주입되어 있던 도펀트들이 반도체기판으로 확산되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대칭적인 불순물영역(140)을 형성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후속 공정을 위해 폴리실리콘막의 경사부분을 제거하여 평탄화한다. 구체적으로, 비대칭적으로 식각된 폴리실리콘막의 표면을 예를 들어 화학기계적연마(CMP) 공정을 이용하여 경사식각된 두께만큼 식각하여 평탄화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평탄화하기 위하여 먼저, 경사식각된 폴리실리콘막의 좌 또는 우측에 폴리실리콘막과 비슷한 높이의 산화막 또는 질화막을 형성한다. 상기 산화막 또는 질화막을 식각 종료층(etch stopper)로 하여 폴리실리콘막을 식각한 후 산화막 또는 질화막을 제거하면 폴리실리콘막의 경사 부분이 제거되어 표면이 평탄화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평탄화된 폴리실리콘막(130b) 상에 텅스텐(W) 또는 텅스텐실리사이드(WSi)와 같은 금속막을 증착하여 게이트금속막(150)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금속막(150) 상에 질화막을 증착한 다음, 게이트용 포토마스크를 이용한 사진식각 공정으로 상기 질화막을 패터닝하여 하드마스크(160)를 형성한다. 상기 하드마스크(160)는 질화막 외에도, 게이트금속막(150) 및 폴리실리콘막(130b)에 대한 이방성 식각 공정에서 마스크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하드마스크(160)를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게이트금속막(150)과 폴리실리콘 막(130b), 질화막(120) 및 게이트절연막(110)을 차례로 식각하여 게이트 스택을 형성한다. 결과물 상에 예를 들어 산화막과 같은 절연막을 증착한 후 에치백하여 게이트 스택의 측벽에 스페이서(170)를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반도체기판(100)에 P형의 도펀트를 고농도로 주입하여 소스/드레인(190)을 형성한다.
상기 보론(B) 이온의 침투(penetration)로 형성된 불순물영역(140)은 PMOS 트랜지스터의 LDD 영역으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게이트 스택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불순물영역(140)이 얕게 형성되거나, 또는 불순물영역의 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LDD 영역(180) 형성을 위한 별도의 이온주입을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게이트 스택의 측벽에 스페이서(170)를 형성하기 전에 LDD 영역이 형성될 영역을 한정한 후, 한정된 영역에 보론(B)과 같은 P형의 도펀트를 소정의 농도로 이온주입한다. 한편, 상기 보론(B) 침투로 형성된 불순물영역(140)의 농도가 너무 높을 경우에는 별도의 할로(halo) 이온주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PMOS 트랜지스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게이트 도전막으로서 증착된 폴리실리콘막을 경사식각하고 폴리실리콘막(130a)을 도핑시킨 다음에, 폴리실리콘막의 표면을 평탄화하지 않고 경사 식각된 상태에서 게이트금속막(150a)을 형성한다. 다음에, 경사를 이루며 증착된 게이트금속막(150a)에 대해 에치백 또는 CMP 공정을 실시하여 전체적으로 평탄화되도록 한다. 게이트금속막(150a)에 대한 평탄 화 공정은 첫 번째 실시예의 폴리실리콘막에 대한 평탄화 공정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평탄화된 게이트금속막(150a) 상에 게이트 패터닝을 위한 하드마스크(160)을 형성하고, 게이트 패터닝 및 소스/드레인 형성 등의 공정을 첫 번째 실시예와 동일하게 진행한다.
경사식각된 폴리실리콘막(130a)를 평탄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게이트금속막(150a)을 형성할 경우, 드레인 유도성 전위장벽 저하(Drain Induced Barrier Lowering) 현상이 개선된다. 또는, 폴리실리콘막을 경사식각한 후 게이트금속막과 하드마스크를 형성한 후, 하드마스크에 대해 에치백 또는 CMP 공정을 실시하여 게이트 스택의 표면을 평탄화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게이트 도전막인 폴리실리콘막을 경사식각한 상태에서 도펀트를 주입함으로써 반도체기판에 비대칭적인 불순물영역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형성된 비대칭 불순물영역을 트랜지스터의 LDD 영역을 사용하면 핫 캐리어 효과(hot carrier effect)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펀트의 침투(penetration)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게이트절연막의 질화처리를 감소시킬 수 있어 게이트절연막의 특성 약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PMOS 트랜지스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Claims (17)

  1. 반도체기판 상에 게이트절연막 및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일정 두께를 경사식각하는 단계;
    경사 식각된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P형 도펀트로 도핑시키는 단계;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도펀트를 확산시키는 단계;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경사부분을 제거하여 평탄화하는 단계;
    평탄화된 상기 폴리실리콘막 상에 게이트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금속막 상에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형성될 영역을 한정하는 하드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금속막, 폴리실리콘막 및 게이트절연막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스택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스택 양측의 반도체기판에 소스/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경사식각하는 단계에서,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식각 면에 반도체기판의 표면에 대해 1 ∼ 45°의 각도를 갖도록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도핑시키는 단계는,
    플라즈마 도핑 방법 또는 이온주입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도핑시키는 단계에서,
    5 ∼ 7KeV의 에너지와 5 × 1015 ∼ 1 × 1017원자/㎠의 농도로 도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도펀트를 확산시키는 단계는,
    폴리실리콘막이 도핑된 상기 반도체기판을 급속열처리(RTP) 공정으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평탄화하는 단계는,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좌 또는 우측에 식각 정지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식각 정지막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식각하는 단계, 및
    상기 식각 정지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식각하는 단계는 에치백 또는 화학기계적연마(CMP) 공정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폴리실리콘막으로부터 반도체기판으로 확산된 도펀트에 의한 국지적 농도 증가가 작은 곳에 LDD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도펀트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폴리실리콘막으로부터 반도체기판으로 확산된 도펀트에 의한 국지적 농도 증가가 큰 경우, 할로 이온주입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10. 반도체기판 상에 게이트절연막 및 폴리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일정 두께를 경사식각하는 단계;
    경사 식각된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P형 도펀트로 도핑시키는 단계;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도펀트를 확산시키는 단계;
    상기 폴리실리콘막 상에 게이트금속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금속막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
    평탄화된 상기 게이트금속막 상에 P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가 형성될 영역을 한정하는 하드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금속막, 폴리실리콘막 및 게이트절연막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스택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스택 양측의 반도체기판에 소스/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경사식각하는 단계에서,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식각 면에 반도체기판의 표면에 대해 1 ∼ 45°의 각도를 갖도록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도핑시키는 단계는,
    플라즈마 도핑 방법 또는 이온주입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막을 도핑시키는 단계에서,
    5 ∼ 7KeV의 에너지와 5 × 1015 ∼ 1 × 1017원자/㎠의 농도로 도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리콘막의 도펀트를 확산시키는 단계는,
    폴리실리콘막이 도핑된 상기 반도체기판을 급속열처리(RTP) 공정으로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금속막을 평탄화하는 단계는 에치백 또는 화학기계적연마(CMP) 공정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폴리실리콘막으로부터 반도체기판으로 확산된 도펀트에 의한 국지적 농 도 증가가 작은 곳에 LDD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도펀트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폴리실리콘막으로부터 반도체기판으로 확산된 도펀트에 의한 국지적 농도 증가가 큰 경우, 할로 이온주입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20080134801A 2008-12-26 2008-12-26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1095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801A KR101095679B1 (ko) 2008-12-26 2008-12-26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US12/491,983 US7785945B2 (en) 2008-12-26 2009-06-25 Method for fabricating PMOS transis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801A KR101095679B1 (ko) 2008-12-26 2008-12-26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675A KR20100076675A (ko) 2010-07-06
KR101095679B1 true KR101095679B1 (ko) 2011-12-19

Family

ID=42285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801A KR101095679B1 (ko) 2008-12-26 2008-12-26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785945B2 (ko)
KR (1) KR101095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3738B2 (en) * 2011-07-21 2013-08-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SD field-effect transistor and integrated diffusion resistor
US20130122711A1 (en) * 2011-11-10 2013-05-16 Alexei Marakhtanov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lasma sheath voltag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8499B2 (ja) * 2000-09-01 2011-11-1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134188B2 (en) * 2006-08-23 2012-03-13 Agere Systems Inc. Circuits and methods for improved FET matching
KR100837555B1 (ko) * 2006-11-24 2008-06-1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85945B2 (en) 2010-08-31
KR20100076675A (ko) 2010-07-06
US20100167483A1 (en)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6968B2 (en) Reducing poly-depletion through co-implanting carbon and nitrogen
US8466030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0861835B1 (ko) 듀얼 게이트 cmos형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74957B1 (ko) 오프셋 스페이서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및 관련된소자
KR101095679B1 (ko)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US6313020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7217625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shallow source/drain region
JP2008305950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JP2000252366A (ja) Cmosデバイスのデュアル・ゲート構造を製造するプロセス
TW200532856A (en) Spacer approach for CMOS device
KR100703835B1 (ko) 폴리실리콘 공핍 현상을 방지한 듀얼 폴리실리콘 게이트를구비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80062030A (ko) 모스펫 소자의 형성 방법
US7081419B2 (en) Gate dielectric structure for reducing boron penetration and current leakage
US7696053B2 (en) Implantation method for doping semiconductor substrate
KR20040054919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1051954B1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20050007664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26886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73734B1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100312657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KR100679810B1 (ko) 보론의 침투가 방지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56703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511098B1 (ko)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개선 방법
KR101094952B1 (ko) 초박형 에피채널을 갖는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KR100779400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