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1098B1 -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1098B1
KR100511098B1 KR10-2003-0049938A KR20030049938A KR100511098B1 KR 100511098 B1 KR100511098 B1 KR 100511098B1 KR 20030049938 A KR20030049938 A KR 20030049938A KR 100511098 B1 KR100511098 B1 KR 100511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implantation
oxide film
forming
silicon
s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1096A (ko
Inventor
김진관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9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1098B1/ko
Publication of KR20050011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1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10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01L21/7623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of trenches having a shape other than rectangular or V-shape, e.g. rounded corners, oblique or rounded trench w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01L21/26586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characterised by the angle between the ion beam and the crystal planes or the main crystal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using self aligned silicidation, i.e. salic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575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 H01L29/6659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with both lightly doped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nd source and drain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e.g. lightly doped drain [LDD] MOSFET, double diffused drain [DDD] MOSF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TI 모서리에서의 전계집중 현상에 의해 임계전압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STI 모서리의 코너를 굴곡시켜 전계집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 개선 방법은 실리콘 기판 상에 실리콘 산화막과 실리콘 질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STI 포토 마스크를 이용하여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및 실리콘 기판을 소정 깊이까지 식각하는 단계와, 실리콘 이온 주입을 실시하는 단계와, STI의 코너를 굴곡지게 하기 위하여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실리콘 산화막을 STI 내에 형성한 후, 실리콘 산화막을 평탄화하는 단계와, 실리콘 질화막 및 실리콘 산화막을 식각하여 제거하는 단계와, 이온주입을 실시하는 단계와, 게이트 산화막 및 폴리 실리콘 게이트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이용하여 게이트 패터닝을 실행한 다음,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제거한 후, LLD 이온 주입을 및 할로(halo) 이온주입을 실시함으로써, LDD 이온주입영역 및 할로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LDD 스페이서로 SiO2 막과 Si3N4 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소오스/드레인 형성하는 단계와, Co 실리사이드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 개선 방법{METHOD FOR IMPROVING INVERSE NARROW WIDTH EFFECT BY USING SHALLOW TRENCH ISOLATION STRUCTURE IMPROVEMEN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에 있어서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STI; shallow trench isolation)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inverse narrow width effect)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반도체 소자제조 공정에서 아이솔레이션을 위한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게이트 구조는 STI(12)가 형성된 실리콘 기판(10), 실리콘 기판(10) 상에 형성된 폴리 실리콘 게이트(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STI 구조에서는, 채널폭(channel width) 감소에 따라 임계전압(Vt; threshold voltage)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것은 STI 구조에 따른 문제로 액티브 에지(active edge)에 전기장(electrical field)이 집중되어 에지 전류(edge current)가 발생되는데, 채널폭 감소에 따라 전체 전류에 대한 에지 전류의 부분이 점점 커져 임계전압(Vt)이 감소하는 현상에 의해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STI 모서리에서의 전계집중 현상에 의해 임계전압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STI 모서리의 코너를 굴곡시켜 전계집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리콘 기판 상에 실리콘 산화막과 실리콘 질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STI 포토 마스크를 이용하여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막 및 실리콘 기판을 소정 깊이까지 식각하는 단계와, STI 포토 마스크를 제거한 다음, 실리콘 이온 주입을 실시하는 단계와, STI의 코너를 굴곡지게 하기 위하여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실리콘 산화막을 STI 내에 형성한 후, CMP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실리콘 산화막을 평탄화하는 단계와, 실리콘 질화막 및 실리콘 산화막을 식각하여 제거하는 단계와,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이용하여 N 웰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을 실시하는 단계와,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제거한 다음, 게이트 산화막 및 폴리 실리콘 게이트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이용하여 게이트 패터닝을 실행한 다음,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제거한 후, LLD 이온 주입을 및 할로(halo) 이온주입을 실시함으로써, LDD 이온주입영역 및 할로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LDD 스페이서로 SiO2 막과 Si3N4 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소오스/드레인 형성하는 단계와, Co 실리사이드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m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먼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100) 상에 실리콘 산화막(SiO2)(102)을 약 100 Å 내지 200 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실리콘 산화막(102) 상에 실리콘 질화막(Si3N4)(104)을 대략 1400 Å 정도로 증착한다.
이어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STI 포토 마스크(105)를 이용하여 실리콘 질화막(104), 실리콘 산화막(102) 및 실리콘 기판(100)을 소정 깊이까지 식각한다.
다음 단계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STI 포토 마스크(105)을 제거한 다음, 실리콘(Si) 이온 주입을 실시한다. 이때, 이온 주입은 대략 5 KeV 내지 10 KeV의 에너지로 5 x 1014 내지 2 x 1015 atoms/cm2의 농도로 이온주입 각도는 약 7도로 4 회전 방식의 이온주입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STI의 코너를 굴곡지게 하기 위하여 노(furnace)에서 약 1000 ℃ 내지 l100 ℃ 정도의 온도로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열처리를 수행한다.
이어서, 도 2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산화막(106)을 STI 내에 약 6000 Å 내지 7000 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계속하여, 도 2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 chemical mechanical polshing)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실리콘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실리콘 산화막(106)을 평탄화 한다.
그리고 나서, 도 2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질화막(104) 및 실리콘 산화막(102)를 식각하여 제거한다. 그리고 나서, 포토레지스트 마스크(108)을 이용하여 N 웰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을 실시한다.
다음 단계로, 도 2h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마스크(108)를 제거한 다음, 게이트 산화막(110) 및 폴리 실리콘 게이트(112)를 순차적으로 증착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도 2i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마스크(114)를 이용하여 게이트 패터닝을 실행한다.
이어서, 도 2j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마스크(114)를 제거한 후, 약하게 도핑된 드레인(LLD; lightly doped drain) 이온 주입을 BF2, 5 KeV, 2 x 10 14 atoms/cm2으로 실시한다. 그리고 할로(halo) 이온주입을 P/30 KeV/3E13 atoms/cm2, 30도, 4 회전 방식을 이용하여 실시함으로써, LDD 이온주입영역(116) 및 할로 이온주입 영역(118)을 형성한다.
연속하여, 도 2k에 도시한 바와 같이, LDD 스페이서로 SiO2 막(120)을 150 Å 정도, Si3N4 막(122)을 800 Å 정도를 증착한다.
다음으로, 도 2l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오스/드레인 이온주입을 실시한 후, 소오스/드레인 급속열처리 공정(RTP; rapid thermal process) 어닐링 공정을 실행함으로써, 소오스/드레인 영역(124)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도 2m에 도시한 바와 같이, Co 층을 약 120 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 후, TiN 층을 약 250 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1차 RTP 어닐링을 약 470 ℃에서 약 60 초 정도 실시한다. 이어서, Co 층 및 TiN 층을 제거한 후 2차 RTP 어닐링을 약 760 ℃에서 약 30 초 정도 실행함으로써, Co 실리사이드 층(126)을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 주입법을 이용하여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션을 라운딩시킨 PMOS 소자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30은 웰 도핑 영역을 나타내며, 126은 Co 실리사이드 층을 나타내며, 106은 STI를 나타내고 128은 폴리 실리콘 전극을 나타낸다.
본 발명을 본 명세서 내에서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에서 개시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많은 변형 및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STI 형성 부분을 이온 주입법에 에 의해 비정질화를 시킨 후 열처리를 통해 STI 코너 부분을 굴곡지게 함으로써, STI 모서리와 액티브 모서리에서의 전계집중 현상에 의해 임계전압이 감소하는 현상에 의해 야기되는 INWE를 방지하여 우수한 소자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반도체 소자제조 공정에서 아이솔레이션을 위한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m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 개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온 주입법을 이용하여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션을 라운딩시킨 PMOS 소자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실리콘 기판 102 : 실리콘 산화막
104 : 실리콘 질화막 105 : STI 포토 마스크
106 : 실리콘 산화막 108, 114 :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110 : 게이트 산화막 112 : 폴리 실리콘 게이트
116 : LDD 이온주입영역 118 : 할로 이온주입 영역
120 : SiO2 막 122 : Si3N4
124 : 소오스/드레인 영역 126 : Co 실리사이드 층

Claims (9)

  1. 실리콘 기판 상에 실리콘 산화막과 실리콘 질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STI 포토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실리콘 질화막, 상기 실리콘 산화막 및 상기 실리콘 기판을 소정 깊이까지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STI 포토 마스크를 제거한 다음, 실리콘 이온 주입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STI의 코너를 굴곡지게 하기 위하여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실리콘 산화막을 상기 STI 내에 형성한 후, CMP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실리콘 산화막을 평탄화하는 단계와,
    상기 실리콘 질화막 및 상기 실리콘 산화막을 식각하여 제거하는 단계와,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이용하여 N 웰 형성을 위한 이온주입을 실시하는 단계와,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제거한 다음, 게이트 산화막 및 폴리 실리콘 게이트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이용하여 게이트 패터닝을 실행한 다음, 포토레지스트 마스크를 제거한 후, LLD 이온 주입을 및 할로(halo) 이온주입을 실시함으로써, LDD 이온주입영역 및 할로 이온주입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LDD 스페이서로 SiO2 막과 Si3N4 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소오스/드레인 형성하는 단계와,
    Co 실리사이드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 개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산화막을 약 100 Å 내지 200 Å 정도의 두께로 그리고 상기 실리콘 질화막을 대략 1400 Å 정도로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 개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이온 주입은 대략 5 KeV 내지 10 KeV의 에너지로 5 x 1014 내지 2 x 1015 atoms/cm2의 농도로 이온주입 각도는 약 7도로 4 회전 방식의 이온주입 방법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 개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TI의 코너를 굴곡지게 하기 위하여 노에서 약 1000 ℃ 내지 l100 ℃ 정도의 온도로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열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 개선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산화막을 STI 내에 약 6000 Å 내지 7000 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 개선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LD 이온 주입을 BF2, 5 KeV, 2 x 10 14 atoms/cm2으로 실시하고 상기 할로(halo) 이온주입을 P/30 KeV/3E13 atoms/cm2, 30도, 4 회전 방식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 개선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DD 스페이서로 SiO2 막을 150 Å 정도, Si3N4 막(122)을 800 Å 정도를 증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 개선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오스/드레인 이온주입을 실시한 후, 소오스/드레인 RTP 어닐링 공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 개선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o 실리사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는
    Co 층을 약 120 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는 단계와,
    TiN 층을 약 250 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는 단계와,
    1차 RTP 어닐링을 약 470 ℃에서 약 60 초 정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 Co 층 및 상기 TiN 층을 제거한 후 2차 RTP 어닐링을 약 760 ℃에서 약 30 초 정도 실행함으로써, Co 실리사이드 층(126)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 개선 방법.
KR10-2003-0049938A 2003-07-21 2003-07-21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개선 방법 KR100511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938A KR100511098B1 (ko) 2003-07-21 2003-07-21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개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938A KR100511098B1 (ko) 2003-07-21 2003-07-21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개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096A KR20050011096A (ko) 2005-01-29
KR100511098B1 true KR100511098B1 (ko) 2005-08-30

Family

ID=37223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938A KR100511098B1 (ko) 2003-07-21 2003-07-21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개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10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096A (ko) 200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6228B2 (en) Low noise transis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3188373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78137A (ja) 高められたソース/ドレインをポリスペーサーを用いて形成する方法
WO2009026403A2 (en) Semiconductor device formed with source/drain nitrogen implant
TW574746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OSFET with recessed channel
KR10057417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20070105295A1 (en) Method for forming lightly-doped-drain metal-oxide-semiconductor (LDD MOS) device
US6727558B1 (en) Channel isolation using dielectric isolation structures
KR100511098B1 (ko)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 구조 개선을 이용한 inwe개선 방법
JPH10200097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1705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51950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49324B1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100418571B1 (ko) 저농도 도핑 드레인 구조의 모스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449323B1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100459930B1 (ko) 부분적으로 셀프 얼라인 된 살리사이드 콘택 형성 방법
KR100606952B1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20050065229A (ko) 모스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0228334B1 (ko) 반도체 장치의 전계효과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548524B1 (ko)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JP2002094053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702833B1 (ko) 고속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778862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38255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39191B1 (ko) 살리사이드 콘택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