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905B1 - 틸팅 기능을 겸비한 구조물 표면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 - Google Patents

틸팅 기능을 겸비한 구조물 표면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905B1
KR101094905B1 KR1020090016991A KR20090016991A KR101094905B1 KR 101094905 B1 KR101094905 B1 KR 101094905B1 KR 1020090016991 A KR1020090016991 A KR 1020090016991A KR 20090016991 A KR20090016991 A KR 20090016991A KR 101094905 B1 KR101094905 B1 KR 101094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jet
support
high pressure
attachment device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8031A (ko
Inventor
여창현
송재준
권영철
김정규
Original Assignee
(주)건우기술
대한주택공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우기술, 대한주택공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건우기술
Priority to KR1020090016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90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8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0Hydraulically loosening or dislodging undesirable matter; Raking or scraping apparatus ; Removing liquids or semi-liquids e.g., absorbing water, sliding-off mud
    • E01H1/101Hydraulic loosening or dislodging, combined or not with mechanical loosening or dislodging, e.g. road washing machines with brushes or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수단을 구비한 차량에 설치된 직선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태치먼트 장치로서, 상기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관통공이 구비된 지지체;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분사노즐이 지면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지지체에 대해 틸팅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워터젯 분사모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틸팅 기능을 겸비한 구조물 표면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Water jet attachment apparatus provided with tilting function for structure surface treatment}
본 발명은 구조물내 콘크리트의 레이턴스나 블리딩, 또는 에폭시 등의 페인트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국토해양부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의 첨단도시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고유번호: 06건설핵심B04, 과제명: 친환경 도시재생을 위한 첨단 해체기술 개발]
일반적으로 워터젯 시스템(Water jet system)은 보수가 필요한 교량, 도로, 건축물 등의 구조물의 표면을 초고압수로 파쇄시켜 제거하는 시스템을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워터젯 시스템은 초고압수를 생성시키는 파워팩(power pack)과, 상기 파워팩으로부터 초고압수를 전달받아 보수면에 대한 직접적인 칩핑(chipping) 작업, 즉 파쇄작업을 수행하는 어태치먼트(attachment) 장치와, 상기 어태치먼트를 달고 이동하는 차량(vehicle)으로 구성된다.
워터젯 시스템에서 어태치먼트 장치는 고압의 물을 구조물의 표면을 향해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있다. 분사노즐은 예컨대 콘크리트 표면에 형성된 레이턴스(laitance)와 주차장 바닥의 에폭시 등을 제거하는 핵심부품이다. 레이턴스란 콘크리트를 친 후 양생(물이 상승하는 현상)에 따라 내부의 미세한 물질이 부상하여 콘크리트가 경화한 뒤, 표면에 형성되는 흰빛의 얇은 막을 가리킨다. 레이턴스의 성분의 대부분은 시멘트의 미립분이지만, 부착력이 약하고 수밀성(水密性)도 나쁘기 때문에 콘크리트를 그 위에 쳐서 이어나갈 때는 레이턴스(laitance)를 제거해야 한다. 그리고 에폭시(epoxy)란 실내나 옥상 주차장 등의 바닥 코팅을 위한 페인트로 일정시간이 지나면 제거한 후 보수를 해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레이턴스나 에폭시 등의 페인트를 제거하는 작업을 치핑(chipping)이라 한다.
도 1은 종래의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가 부착된 워터젯 시스템의 작업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1)는 차량(2)에 설치된 레일(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어태치먼트 장치(1)는 복수의 분사노즐(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분사노즐(4)은 중앙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치핑 작업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회전형 분사노즐(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핑 작업이 불가능한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A" 영역은 어태치먼트 장치(1)의 바퀴(5) 때문에 접근이 불가능한 영역이며, "B"영역은 분사노즐(4)이 회전하는 구조에 따른 작업불가 영역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1)는 수작업에 의해 제거하여야 하는 영역이 존재함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분사노즐이 치핑되는 작업면에 대해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구조물 표면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기능을 겸비한 구조물 표면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는, 주행수단을 구비한 차량에 설치된 직선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태치먼트 장치로서,
상기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관통공이 구비된 지지체;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분사노즐이 지면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지지체에 대해 틸팅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워터젯 분사모듈;을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며 상기 지지체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한 출력축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체에 상대 고정된 회전 구동원;
상기 출력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출력축에 상대 고정되는 틸팅 가이드;
일단부가 상기 지지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출력축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제1링크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제1링크 부재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 기 틸팅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은 상기 제2링크부재와 상대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은,
상기 제2링크부재와 상대고정된 몸체;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고압수관;
상기 고압수관의 하단부에 설치된 분사노즐;
상기 고압수관과 상대 고정되며, 상기 몸체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진동 부재;
상기 진동 부재와 상기 몸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진동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탄성 부재의 맞은 편에 배치되며, 상기 진동 부재와 접촉되어 편심 회전하는 캠 부재;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노즐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그 분사노즐들은 상기 레일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부재는 상기 몸체에 설치된 진동 가이드를 따라 왕복이동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기능을 겸비한 구조물 표면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는, 분사노즐이 지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그 지면에 대해 틸팅이 가능하여 건물내외나 교량, 도로의 표면처리에 있어서, 종래의 회전형 분사노즐의 작업이 불가능한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이 진동이 가능한 경우에는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4에 도시된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에서 지지체와 제1링크부재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해당 부분만을 추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에서 워터젯 분사모듈이 틸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어태치먼트 장치에서 워터젯 분사모듈의 저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모서리부를 포함한 표면처리 작업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에서 워터젯 분사모듈이 지면에 대해 틸팅된 상태로 작업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틸팅기능을 겸비한 구조물 표면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10, 이하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라 칭함)는 무한궤도와 같은 주행수단을 구비한 차량에 설치된 직선형 레일(2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태치먼트 장치로서 지지체(20)와, 워터젯 분사모듈(5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지체(30)는 상기 레일(25)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30)는 제1관통공(32)과 제2관통공(3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체(30)에는 회전 구동원(3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 구동원(34)은 90°의 회전각을 갖는 회전실린더로써 상기 제1관통공(3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체(30)의 후면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 구동원(34)은 상기 지지체(30)에 상대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전 구동원(34)의 출력축(35)은 상기 제1관통공(32)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체(30)의 전면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출력축(35)은 상기 지지체(30)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50)은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5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50)은 상기 분사노즐(56)이 지면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지지체(30)에 대해 틸팅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제부터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50)이 상기 지지체(30)에 대해 틸팅이 가능하도록 된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상기 출력축(35)의 단부에는 틸팅 가이드(4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틸팅 가이드(40)는 상기 출력축(35)에 상대고정되어 그 출력축(35)과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틸팅 가이드(40)는 후술하는 제2링크부재(44)가 슬라이딩할 때 그 제2링크부재(44)의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2관통공(33)에는 제1링크부재(42)의 일단부가 상기 지지체(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링크부재(42)는 상기 제2관통공(33)으로 부터 상기 출력축(35)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1링크부재(42)의 타단부는 제2링크부재(44)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링크부재(44)는 핀(46)에 의해 상기 제1링크부재(42)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링크부재(44)의 타단부는 상기 틸팅 가이드(40)에 수용되어 그 틸팅 가이드(40)의 내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제2링크부재(44)는 상기 제1링크부재(42)에 의해 상기 틸팅 가이드(4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제2관통공(33)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50)은 상기 제2링크부재(44)의 중앙부에 상대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50)은 상기 제2링크부재(44)의 움직임에 종속되어 움직이게 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50)은 몸체(52)와, 고압수관(54)과, 분사노즐(56)과, 탄성 부재(58)와, 진동 가이드(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체(52)는 상기 지지체(30)에 상대고정되어 있다. 상기 몸체(52)는 상부와 하부가 열려 있는 사각의 프레임이다. 상기 고압수관(54)은 상기 몸체(52)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고압수관(54)은 외부로부터 고압의 물을 전달받아 후술하는 분사노즐(56)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압수관(54)은 진동 부재(55)에 의해 상기 몸체(52)에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진동 부재(55)는 상기 고압수관(54)과 상대고정된 상태로 상기 몸체(52)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동 부재(55)가 상기 몸체(52)에 대해 상대 이동할 때 일정한 궤적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52)에는 진동 가이드(6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 부재(55)는 상기 진동 가이드(60)를 따라 직선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진동 부재(55)는 탄성 부재(58)에 의해 상기 몸체(52)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58)는 예컨대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몸체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진동 부재(55)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 부재(55)는 상기 탄성 부재(58)를 사이에 두고 몸체(5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받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 부재(55)를 사이에 두고 상기 탄성 부재(58)의 맞은 편에는 캠 부재(5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 부재(58)는 독립된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편심회전 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 부재(58)는 상기 진동 부재(55)와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캠 부재(58)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진동 부재(55)는 상기 진동 가이드(60)를 따라 왕복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왕복이동이 반복됨에 따라 상기 진동 부재(55)는 진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 부재(55)와 일체로 결합된 상기 고압수관(54)도 진동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압수관(54)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분사노즐(56)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분사노즐(56)들은 상기 고압수관(54)으로부터 전달된 고압의 물을 지면을 향해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사노즐(56)들은 상기 레일(25)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즉, 상기 분사노즐(56)들은 상기 차량(20)이 주행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10)의 작용을 그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10)를 장착한 워터젯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로나 교량의 레이턴스를 제거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10)를 부착한 차량이 교량이나 도로의 중앙 분리대 부근의 레이턴스를 제거하는 모습을 이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50)이 상기 지지체(30)에 대해 틸팅이 된 상태로 고압의 물을 지면을 향해 분사하는 상태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분리대에 인접한 도로면의 레이턴스를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10)는 워터젯 분사모듈(50)을 지면에 대해 틸팅 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지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지면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고압의 물을 분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레이턴스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효과적인 분사노즐(56)이 지면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가진 상태로 틸팅이 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10)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0)에 설치되어 있다고 전제한다. 도로의 레이턴스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50)을 가동하여 고압의 물을 상기 고압수관(54)에 공급한다. 상기 고압수관(54)을 통하여 상기 분사노즐(56)에 전달된 고압의 물은 지면 즉 도로면을 향해 고압으로 분사된다. 분사노즐(56)에서 분사된 고압의 물은 도로의 콘크리트 표면에 형성된 레이턴스를 파쇄함으로써 치핑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도로의 중앙 분리대로부터 먼 위치에서의 작업은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50)이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위치한다. 도 4 및 도 8은 분사노즐(56)이 지면과 수직이게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50)은 틸팅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상기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10)가 상기 레일(25)을 따라 이동하면서 레이턴스 제거 작업을 하는 도중에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분리대에 인접한 부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중앙 분리대 때문에 상기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10)를 그 중앙 분리대로부터 일정거리가 이격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밖에 없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10)의 기능이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즉,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워터젯 분사모듈(50)이 틸팅이 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분사노즐(56)을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 구동원(34)의 출력축(35)을 회전시키도록 그 회전 구동원(34)에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회전 구동원(34)의 출력축(35)이 회전하면, 그 출력축(35)에 상대 고정된 상기 틸팅 가이드(4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틸팅 가이드(4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링크부재(44)가 상기 틸팅 가이드(40)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부재(42)는 상기 제2링크부재(44)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링크부재(44)는 상기 제2관통공(3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링크부재(44)는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부재(42)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채 상기 지지체(3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워터젯 분사 모듈(50)은 상기 제2링크부재(44)와 상대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링크부재(44)의 운동에 종속되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50)에 설치된 분사노즐(56)이 지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고압의 물이 상기 분사노즐(56)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종래에 존재하던 작업불가 영역의 레이턴스 영역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50)이 틸팅되는 것과는 독립적으로 복수의 분사노즐(56)들은 상기 캠 부재(58)의 회전에 의해 진동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캠 부재(58)가 독립된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캠 부재(58)는 상기 진동 부재(55)를 밀게 된다. 그런데, 상기 진동 부재(55)는 상기 탄성 부재(58)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기 몸체(52)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캠 부재(58) 쪽으로 탄성 복원력을 받게 된다. 상기 캠 부재(58)는 상기 탄성 부재(58)의 탄성 복원력보다 큰 힘으로 상기 진동 부재(55)를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 부재(55)는 상기 캠 부재(58)의 회전에 따라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가이드(60)를 따라 진동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동 부재(55)에는 상기 고압수관(54)이 상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압수관(54)이 진동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56)은 상기 고압수관(54)의 하단부에 상대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분사노즐(56)이 진동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56)에 의한 치핑작업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며 상기 지지체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한 출력축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체에 상대 고정된 회전 구동원; 상기 출 력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출력축에 상대 고정되는 틸팅 가이드; 일단부가 상기 지지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출력축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제1링크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제1링크 부재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틸팅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은 상기 제2링크부재와 상대고정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이 상기 지지체에 대해 틸팅이 가능한 구조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른 구조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은, 상기 제2링크부재와 상대고정된 몸체;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고압수관; 상기 고압수관의 하단부에 설치된 분사노즐; 상기 고압수관과 상대 고정되며, 상기 몸체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진동 부재; 상기 진동 부재와 상기 몸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진동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탄성 부재의 맞은 편에 배치되며, 상기 진동 부재와 접촉되어 편심 회전하는 캠 부재;를 포함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분사노즐이 진동하지 않는 구조라도 본 실시예보다 효과는 다소 떨어지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노즐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그 분사노즐들은 상기 레일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분사노즐들의 배열은 본 실시예에 구속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 부재는 상기 몸체에 설치된 진동 가이드를 따라 왕복이동 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진동 가이드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도 1은 종래의 워터젯 시스템의 작업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의 분사노즐 주위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면의 레이턴스를 제거할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4에 도시된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에서 지지체와 제1링크부재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해당 부분만을 추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에서 워터젯 분사모듈이 틸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어태치먼트 장치에서 워터젯 분사모듈의 저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모서리부를 포함한 표면처리 작업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에서 워터젯 분사모듈이 지면에 대해 틸팅된 상태로 작업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10 : 틸팅 기능을 겸비한 구조물 표면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
20 : 차량 25 : 레일
30 : 지지체 32 : 제1관통공
33 : 제2관통공 34 : 회전 구동원
35 : 출력축 40 : 틸팅 가이드
42 : 제1링크부재 44 : 제2링크부재
46 : 핀 50 : 워터젯 분사모듈
52 : 몸체 54 : 고압수관
55 : 진동 부재 56 : 분사노즐
58 : 탄성 부재 60 : 진동 가이드
62 : 캠 부재

Claims (6)

  1. 삭제
  2. 주행수단을 구비한 차량에 설치된 직선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태치먼트 장치로서,
    상기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관통공이 구비된 지지체;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분사노즐이 지면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지지체에 대해 틸팅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워터젯 분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며 상기 지지체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한 출력축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체에 상대 고정된 회전 구동원;
    상기 출력축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출력축에 상대 고정되는 틸팅 가이드;
    일단부가 상기 지지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출력축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제1링크부재; 및
    일단부가 상기 제1링크 부재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틸팅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은 상기 제2링크부재와 상대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기능을 겸비한 구조물 표면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
  3. 주행수단을 구비한 차량에 설치된 직선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태치먼트 장치로서,
    상기 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관통공이 구비된 지지체;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상기 분사노즐이 지면에 대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지지체에 대해 틸팅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워터젯 분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워터젯 분사모듈은,
    상기 제2링크부재와 상대고정된 몸체;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고압수관;
    상기 고압수관의 하단부에 설치된 분사노즐;
    상기 고압수관과 상대 고정되며, 상기 몸체에 대해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진동 부재;
    상기 진동 부재와 상기 몸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진동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탄성 부재의 맞은 편에 배치되며, 상기 진동 부재와 접촉되어 편심 회전하는 캠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기능을 겸비한 구조물 표면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기능을 겸비한 구조물 표면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그 분사노즐들은 상기 레일과 수직인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기능을 겸비한 구조물 표면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재는 상기 몸체에 설치된 진동 가이드를 따라 왕복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기능을 겸비한 구조물 표면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
KR1020090016991A 2009-02-27 2009-02-27 틸팅 기능을 겸비한 구조물 표면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 KR101094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991A KR101094905B1 (ko) 2009-02-27 2009-02-27 틸팅 기능을 겸비한 구조물 표면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991A KR101094905B1 (ko) 2009-02-27 2009-02-27 틸팅 기능을 겸비한 구조물 표면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031A KR20100098031A (ko) 2010-09-06
KR101094905B1 true KR101094905B1 (ko) 2011-12-15

Family

ID=43005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991A KR101094905B1 (ko) 2009-02-27 2009-02-27 틸팅 기능을 겸비한 구조물 표면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3850A (zh) * 2011-09-24 2012-05-02 刘华侠 一种马路栏杆清洗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4983B (zh) * 2019-11-08 2021-04-23 黄大明 一种桥梁伸缩缝清理装置
CN111794154B (zh) * 2020-07-14 2022-06-24 聊城市洛溪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清洁湿润效果良好的护栏喷水机构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664B1 (ko) 2004-08-31 2005-05-17 (주)건우기술 워터젯 시스템의 어태치먼트장치
JP2005262420A (ja) 2004-03-22 2005-09-29 Watanabegumi:Kk コンクリートハツリ機
KR100705356B1 (ko) 2006-12-14 2007-04-09 (주)건우기술 워터젯 시스템의 칩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2420A (ja) 2004-03-22 2005-09-29 Watanabegumi:Kk コンクリートハツリ機
KR100489664B1 (ko) 2004-08-31 2005-05-17 (주)건우기술 워터젯 시스템의 어태치먼트장치
KR100705356B1 (ko) 2006-12-14 2007-04-09 (주)건우기술 워터젯 시스템의 칩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3850A (zh) * 2011-09-24 2012-05-02 刘华侠 一种马路栏杆清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031A (ko)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905B1 (ko) 틸팅 기능을 겸비한 구조물 표면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
CN108677672A (zh) 一种摆动喷枪以及水射流设备
JP2008308833A (ja) 道路の雪氷の除去方法と雪氷除去装置
CN103103956A (zh) 道路清洁车
CN102108699B (zh) 一种振冲器
JP2008101361A (ja) 舗装路補修工法、舗装路補修装置及び舗装路補修用充填材
US200500139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painting and/or treating traffic barriers
KR20150039544A (ko) 제설장비
CN203543783U (zh) 一种车辆激光导航设备及工程机械
KR200431559Y1 (ko) 수직구용 습식 숏크리트 타설장치
KR20160021690A (ko) 제설장비
CN210439202U (zh) 城市道路激光清洗车
CA2271371C (en) Multiple jet hydrodemoli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682409B1 (ko) 플라즈마 및 레이저를 이용한 터널 및 각종 벽면용 세척시스템
CN104005328B (zh) 履带式破碎机
KR101035700B1 (ko) 구조물의 모서리 부위 표면 처리용 워터젯 어태치먼트 장치
KR20140047391A (ko) 프레임 젯 및, 이를 구비하고 건물의 해체 또는 리모델링에 사용되는 워터젯 장치
KR20080000436A (ko) 교면 포장의 보수공법
US6435620B2 (en) Multiple jet hydrodemoli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181038B1 (ko) 교량에 설치된 스틸박스거더의 노후 도장막 제거시스템
KR102061103B1 (ko) 제설 기능이 강화된 제설 차량
KR101189879B1 (ko) 도로의 자동차배기가스와 먼지 청소기
KR200333291Y1 (ko) 표지병 청소장치
JPH041369A (ja) ジエツト水によ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切断装置
JP3687752B2 (ja) 舗装の目詰まり物の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