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764B1 - 습윤 지시자가 구비된 개인 착용 제품 - Google Patents

습윤 지시자가 구비된 개인 착용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764B1
KR101092764B1 KR1020057023047A KR20057023047A KR101092764B1 KR 101092764 B1 KR101092764 B1 KR 101092764B1 KR 1020057023047 A KR1020057023047 A KR 1020057023047A KR 20057023047 A KR20057023047 A KR 20057023047A KR 101092764 B1 KR101092764 B1 KR 101092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absorbent
absorbent structure
wear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800A (ko
Inventor
크리스토퍼 피. 올손
셜리 앤 웨버
로렌스 하웰 소여
레이 후앙
체릴 에이. 퍼킨스
재호 김
제프리 이. 피쉬
얀빈 후앙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351140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9276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60027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6Wetness-indicators or colou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6Moisture sensitive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for articles with superabsorb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only in particular parts or specially arranged
    • A61F2013/53052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only in particular parts or specially arranged the maximum being at front or r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quantity or ratio of superabsorbent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에게 착용자의 체액 분비물 방출을 경고할 수 있는 개인 착용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제품은 흡수 구조물, 및 상기 체액 분비물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습윤 지시자를 포함한다. 상기 습윤 지시자는 체액 분비물을 흡수하면 딱딱해져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촉감을 부여한다. 습윤 지시자는, 흡수 구조물이 습윤 지시자의 위치에서 일반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습윤 지시자의 위치로부터 일반적으로 연장될수록 흡수 구조물의 흡수능이 증가하도록 흡수능 구배를 갖는 흡수 구조물의 일부분에 대해 위치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제품은, 체액 분비물에 반응하여 그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온도 변화 감지를 촉진시키는 온도 변화제를 포함한다.
체액 분비물, 흡수 구조물, 습윤 지시자, 흡수능 구배, 라이너, 외부 커버, 초흡수 재료, 액체 투과성 외피, 흡수체, 온도 변화제

Description

습윤 지시자가 구비된 개인 착용 제품{PERSONAL WEAR ARTICLE WITH WETNESS INDICATOR}
본 발명은 개인 착용을 위한 제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착용자가 체액 분비물을 배출하였음을 착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습윤 지시자가 구비된 개인 착용 제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기저귀, 배변연습용 팬티, 여성용 위생 제품, 성인용 실금(失禁: incontinence) 제품, 붕대, 의료용 가먼트 등과 같은 여러가지 개인 착용 제품은 장시간의 습윤 노출에 의해 초래되는 피부 자극을 감소시키기 위해 착용자로부터의 소변, 월경, 혈액 등을 포함하는 체액 분비물으로부터 수분을 빨아들이기에 충분히 흡수적이도록 설계된다. 화장실 배변연습 아동용과 같은 일부 예에서는, 배뇨 행위가 발생했음을 아동이 보다 잘 깨닫게 함으로써 화장실 배변연습을 촉진시키기 위해 피부에 불쾌하고(하거나) 젖은 느낌과 같은 신호를 아동에게 주어야 한다는 믿음이 있었다. 한편, 아동이 습윤도를 지각할 수 있도록 제품이 덜 흡수적이면 피부에 대한 장시간의 습윤 상태로 인해 초래되는 피부 자극 및 발진 가능성에 대한 상쇄적 관심도 존재한다. 그러나, 배변연습용 팬티와 같은 제품을 매우 흡수적으로 만들어냄으로써, 착용자는 제품의 손상이 발생했음을 알아차리기 어렵다.
이를 위해, 화장실 배변연습 중에 개인이 착용하기 위한 종래의 제품은 피부에 대한 습도를 상당 정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아동에게 배뇨를 경고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그러한 한 가지 제품은 착용자가 배뇨시에 피부에 대한 온도 변화를 느낌으로써 착용자에게 배뇨를 경고할 수 있는 온도 변화 소자를 포함한다. 그러나, 그러한 제품에 소변을 흡수 및 유지(착용자의 피부로부터 습도를 추출 및 유지)하기 위한 종래의 초흡수 재료(SAM: superabsorbent material)가 포함되면, 소변과 같은 전해질 함유 액체의 흡수는 초흡수 재료의 흡수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형적인, 통상적으로 시판되는 SAM, 즉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의, 탈이온수 및 0.9중량% 염화나트륨(NaCl) 용액에서의 흡수 특성은 전해질 함유 용액이 일부 SAM에서 가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은 0 psi에서는 SAM 1그램당 146.2그램(g)의 탈이온수를 흡수할 수 있고, 0.28psi에서는 중합체 1그램당 103.8g의 탈이온수를 흡수할 수 있으며, 0.7psi에서는 중합체 1그램당 34.3g의 탈이온수를 흡수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동일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은 0psi, 0.28psi, 0.7psi에서 각각 0.9% 수성 NaCl을 43.5g, 29.7g, 24.8g만 흡수할 수 있다. 소변 및 월경과 같은 체액에 대한 SAM의 흡수능은 따라서 탈이온수에 대한 것보다 현저히 떨어지는 바, 이는 그러한 체액이 전해질을 함유하기 때문이다. 예상되는 배출 정도를 수용하도록 충분한 흡수능을 형성함으로써 그 목표 액체를 흡수하기 위한 제품이 설계되었다. 이러한 설계는 배출 유체의 이온 강도에 기인하는 초흡수능의 완화를 감안한다. 그러나, 제품에서의 온도 변화 소자 역시 (종 래기술에서 알 수 있듯이) 전해질인 경우, 초흡수능에 대한 부정적 효과는 더 심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능력 손실은 조기 누설을 포함한 부정적인 제품 성능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제품의 착용자가 피부에 대한 온도 감각을 느끼게 하려면, 예를 들어 제품의 가열 또는 냉각되는 층과 피부가 직접 접촉하는 곳인 제품과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서 열전도성 열 전달이 발생해야 한다. 그러한 제품에서 대류 및 복사 효과는 비교적 덜 중요하다. 따라서, 가열 또는 냉각되는 층과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 어떤 공간이 존재하면, (예를 들어 "보온병" 효과 이상의) 열전도성 열 전달이 발생할 수 없다.
배뇨를 감지하게 해주는 배변연습용 팬티의 다른 예는 배뇨후 크기가 변화하는, 예를 들어 착용자의 가랑이 부위를 향해 팽창하는 소자를 구비한다. 그러나, 그러한 소자는 통상 상기 소자로부터 소변에 맞서서 이를 흡인할 수 있는 고흡수성 구조물(때로는 흡수 코어로도 지칭됨)로 둘러싸이며, 따라서 그 팽창을 확장하거나 방지하고 그 잠재적 배변연습 효과를 손상시킨다. 또한, 그러한 제품의 고흡수성 구조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초흡수 재료(SAM)는 소변을 흡수하면 팽창한다. 그러한 팽창은 팽창된 감지 소자의 느낌을 가리거나 완화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착용자가 의도된 신호를 감지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착용자에게 체액 분비물의 방출을 경고할 수 있는 개인 착용 제품의 설계에 있어서 진전이 있어왔지만, 그러한 제품의 개선에 대한 필요성은 지속되고 있다.
<발명의 요약>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착용자에게 착용자의 체액 분비물 방출을 경고할 수 있는 개인 착용 제품이다. 상기 제품은 체액 분비물을 흡수하기에 적합한 흡수 구조물을 구비하며, 이 흡수 구조물은 그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서 흡수능 구배(gradient)를 갖는다. 상기 제품은 추가로 체액 분비물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습윤 지시자를 구비하며, 이 습윤 지시자는 체액 분비물에 반응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촉감을 부여한다. 상기 습윤 지시자는, 흡수 구조물이 습윤 지시자의 위치로부터 습윤 지시자의 위치에서 전체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연장될수록 흡수 구조물의 흡수능이 증가하도록 상기 흡수능 구배를 갖는 흡수 구조물의 일부분에 대해 위치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착용자에게 착용자의 체액 분비물 방출을 경고할 수 있는 개인 착용 제품이다. 상기 제품은 체액 분비물을 흡수하기에 적합한 흡수 구조물을 구비한다. 상기 제품은 추가로 체액 분비물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습윤 지시자를 구비하며, 이 습윤 지시자는 체액 분비물에 반응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촉감을 부여한다. 습윤 지시자는 흡수 구조물과의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도록 흡수 구조물과 이격된 관계로 배치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착용자에게 제품으로의 착용자 체액 분비물의 방출을 경고하기 위한 개인 착용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습윤 지시자이다. 상기 습윤 지시자는 액체 투과성 외피(enclosure)와, 체액 분비물을 흡수하도록 상기 액체 투과성 외피 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구비한다. 상기 흡수체는 체액 분비물을 흡수 할 때 팽창할 수 있고, 상기 외피는 흡수체가 체액 분비물을 흡수함에 따라 습윤 지시자가 딱딱해지도록 흡수체의 팽창을 제한한다. 상기 습윤 지시자는 추가로, 체액 분비물에 반응하여 체액 분비물의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온도 변화 감지를 촉진시키는 온도 변화제를 구비한다. 상기 온도 변화제는 흡수체에 의해 체액 분비물이 흡수되기 전에 또는 흡수될 때 습윤 지시자의 흡수체에 의해 흡수된 체액 분비물이 온도 변화제에 의해 온도 변화를 겪도록 액체 투과성 외피 상에 또는 외피 내에 배치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착용자에게 착용자의 체액 분비물 방출을 경고할 수 있는 제품이다. 상기 제품은 착용자의 피부와 인접한 관계에 있기에 적합한 라이너(liner)와, 외부 커버(cover), 및 상기 라이너와 외부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습윤 지시자를 구비한다. 상기 습윤 지시자는 액체 투과성 외피와, 상기 액체 투과성 외피 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구비한다. 상기 흡수체는 체액 분비물을 흡수하면 팽창할 수 있고, 상기 외피는 흡수체가 체액 분비물을 흡수함에 따라 습윤 지시자가 딱딱해지도록 흡수체의 팽창을 제한한다. 상기 제품은 또한, 체액 분비물에 반응하여 그 온도를 변화시키는 온도 변화제를 구비한다. 상기 온도 변화제는 습윤 지시자의 흡수체에 의해 체액 분비물이 흡수되기 전에 또는 흡수되는 동안에 습윤 지시자의 흡수체에 의해 흡수된 체액 분비물이 온도 변화제에 의해 온도 변화를 겪도록 습윤 지시자에 대해 배열된다.
다른 태양에서, 본 발명은 개인 착용 제품의 착용자에게 제품으로의 착용자 체액 분비물의 방출을 경고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체액 분비물이 제품에 수용되면 체액 분비물의 온도가 변화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체액 분비물의 온도가 변화된 후에 또는 변화되는 동안에 체액 분비물이 제품에 흡수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변화된 온도를 갖는 체액 분비물이 흡수되었을 때 제품의 적어도 일부분이 팽윤되거나 딱딱해짐으로써 상기 부분이 착용자의 피부와 열전도성으로 접촉하게 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온도 변화 감지를 부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하에서 부분적으로는 명백해지고 부분적으로는 지적될 것이다.
도 1은 배변연습용 팬티의 일 측면에는 체결되고 다른 측면에는 체결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된 기계적 체결 시스템을 갖는 한 쌍의 배변연습용 팬티 형태로 도시된 본 발명의 제품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비체결, 비절첩, 편평하게 놓인 조건에서의 도 1의 배변연습용 팬티의 저면도로서, 착용자로부터 멀리 향하는 배변연습용 팬티의 표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착용시 착용자를 향하는 배변연습용 팬티의 표면을 도시하는 도 2와 유사한 평면도로서, 기저(underlying) 특징을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은 절취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와 유사한 저면도로서, 흡수 구조물 및 팬티의 습윤 지시자를 나타내기 위해 배변연습용 팬티의 라이너가 생략된 도면이다.
도 4A는 도 4의 4A-4A선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와 유사하지만, 흡수 구조물 및 팬티의 습윤 지시자의 제2 실시태양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5의 5A-5A선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와 유사하지만, 흡수 구조물 및 팬티의 습윤 지시자의 제3 실시태양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A는 도 6의 6A-6A선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습윤 지시자의 확대 정면도로서,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부분 절취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8-8선의 평면에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와 유사하지만, 배변연습용 팬티의 자유-액체 유지 부재와 함께 흡수 구조물 및 팬티의 습윤 지시자의 제4 실시태양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과 유사하지만, 습윤 지시자의 제2 실시태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습윤 지시자의 제3 실시태양의 횡단면도이다.
상응하는 참조 기호들은 몇몇 도면들에서 상응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정의
본 명세서의 내용에 있어서, 후술하는 각각의 용어 또는 구절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부착"이란 두 소자의 결합(joining), 접착, 연결, 접합 등을 지칭한다. 두 소자는 각각이 중간 소자에 직접 부착될 때와 같이 상호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될 때 상호 부착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자유-액체(free-liquid)"란 모세관 흡인, 수소 접합 또는 다른 힘에 의해 딱딱하게 유지되지 않으며, 중력 및 착용자의 이동에 의해 초래되는 일체의 압력 또는 착용자의 체중에 의해 초래되는 압축 하에 자유롭게 유동하는 액체를 지칭한다.
"친수성(親水性: hydrophilic)"이란 섬유와 접촉하는 수성 액체에 의해 습윤해지는 섬유 또는 섬유 표면을 지칭한다. 또한 재료의 습윤 정도는 액체 및 관련 재료의 접촉 각도 및 표면 장력으로 기술될 수 있다. 특정 섬유 재료 또는 섬유 재료 혼합물(blend)의 습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설비 및 기술은 Cahn SFA-222 Surface Force Analyzer System 또는 거의 동등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시스템에 의해 측정될 때, 90도 미만의 접촉 각도를 갖는 섬유를 "습윤성(wettable)" 또는 친수성으로 지칭하며, 90도를 초과하는 접촉 각도를 갖는 섬유를 "비습윤성" 또는 소수성(疎水性: hydrophobic)으로 지칭한다.
단수로(in the singular) 사용되는 "층"은 단일 소자 또는 다수 소자의 이중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단일 층 또는 복수 층 적층체를 기술하는데 사용될 때의 "액체 불투과성"이란, 소변과 같은 폐기 체액이 액체 접촉 지점에서 층 또는 적층체의 평면에 대해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통상적인 사용 조건 하에서 상기 층 또는 적층체를 통과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액체 투과성"이란 액체가 불투과성이 아닌 임의의 재료를 지칭한다.
"멜트블로운(meltblown)"이란 용융 열가소성 재료를 복수의 미세한, 대개 원형의 다이(die) 모세관을 통해서, 용융 열가소성 재료의 필라멘트를 그 직경이 감소되도록 감쇠시키는 수렴형 고속 가열 가스(예를 들면, 공기) 스트림 내로 압출함으로써 형성되는 섬유를 지칭한다. 이후,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 가스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고, 수집면 상에 적층되어, 랜덤하게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로 이루어진 웹(web)을 형성한다. 그러한 공정은 예를 들어 Buti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849,241호에 개시되어 있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는 미세섬유(microfibers)이며, 일반적으로 대략 0.6 데니어(denier)보다 작고, 수집면에 적층될 때 일반적으로 자기 접합적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멜트블로운 섬유는 길이가 거의 연속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non-woven)" 및 "부직 웹"은 섬유 직물 또는 편물 공정의 도움 없이 형성되는 재료 및 재료의 웹을 지칭한다.
"초흡수성"이란, 가장 바람직한 조건 하에서 0.9중량%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적어도 그 중량의 대략 열다섯배를 흡수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 중량의 대략 삼십배를 흡수할 수 있는 수팽윤성(water-swellable), 수용성 유기 또는 무기 재료를 지칭한다. 초흡수성 재료는 천연, 합성, 변성(modified) 천연 중합체 및 재료이거나, 그러한 재료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초흡수성 재료는 실리카 겔과 같은 무기 재료이거나, 가교결합된(cross-linked) 중합체와 같은 유기 화합물일 수 있다.
"서지(surge) 층"이란, 큰 서지의 액체를 흡수할 수 있고 이를 단수 또는 복수의 다른 층으로 천천히 방출할 수 있는 부직물로 통상 구성된 층을 지칭한다.
"열가소성"이란, 열에 노출될 때 유연해지고 실온으로 냉각될 때 비유연(non-softened) 조건으로 실질적으로 복귀하는 재료를 지칭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상세한 설명
이제 도면,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는 아동의 화장실 배변연습용 팬티 형태의 본 발명의 제품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그 전체가 도면부호 20으로 도시되고, 습윤 지시자(도 1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되고 45로 도시됨)를 갖는다. 상기 제품은 흡수성이거나 비흡수성일 수 있으며, 이는 인체로부터 방출된 다양한 액상 폐기물을 흡수 및(또는) 유지하기 위해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또는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는 흡수성 제품을 지칭한다. 상기 제품은 또한 일회용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바, 이는 세탁되거나 재사용을 위해 회수되는 대신에 일정 기간 사용후 폐기되게 되어 있는 제품을 지칭한다. 습윤 지시자(45)를 포함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천, 기저귀, 여성용 위생 제품, 실금 제품, 의료용 가먼트, 외과용 패드 및 붕대, 다른 개인 위생 또는 보건 위생 가먼트 등과 같은 개인 착용을 위한 다양한 다른 제품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이해된다.
단지 예시적으로, 배변연습용 팬티(20)를 구조하기 위한 다양한 재료 및 방법은 2000년 6월 29일자로 공개된 A. Fletcher 등의 PCT 특허원 WO 00/37009호, 1990년 7월 10일자로 Van Gomple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40,464호, 및 1998년 6월 16일자로 Brand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66,38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공보는 본원에 참조로 원용된다.
한 쌍의 배변연습용 팬티(20)는 도 1에서 부분 체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전방 허리부(22), 후방 허리부(24), 상기 전방 및 후방 허리부를 상호 연결하는 가랑이부(26), 착용자와 인접 관계로 구성된 내표면(28), 및 상기 내표면과 대향하는 외표면(30)을 포함한다. 추가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배변연습용 팬티(20)는 또한 한 쌍의 측방으로 대향하는 측부 가장자리(36), 및 전방 허리 가장자리(38)와 후방 허리 가장자리(39)로 각각 지칭되는 한 쌍의 종방향으로 대향하는 허리 가장자리를 구비한다. 상기 전방 허리부(22)는 전방 허리 가장자리(38)와 인접하며, 후방 허리부(24)는 후방 허리 가장자리(39)와 인접한다.
도시된 팬티(20)는 편평하게 놓였을 때 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소정 형상일 수 있는 중앙 흡수 조립체(32), 전방 허리부(22)에서 그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전방 측부 패널(panel)(34), 및 후방 허리부(24)에서 그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후방 측부 패널(134)을 포함한다. 상기 흡수 조립체(32) 및 측부 패널(34, 134)은 도 1에 도시하듯이 둘 이상의 별도 소자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태양의 중앙 흡수 조립체(32)는 외부 커버(40), 및 접착제, 초음파 본드, 열 본드, 또는 기타 종래 기술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상기 외부 커버에 대해 중첩 관계로 연결되는 신체측(bodyside) 라이너(42)(도 1 및 도 3)를 포함한다. 후술하듯이 외부 커버와 신체측 라이너 사이에는 초흡수 구조물(44)(도 3)이 습윤 지시자(45)(도 3)와 함께 배치된다. 체액 분비물의 측방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신체측 라이너(42)에는 한 쌍의 봉쇄 플랩(containment flap)(46)(도 3 참조)이 고정된다.
중앙 흡수 조립체(32)는 전방 및 후방 허리 가장자리(38, 39)의 부분을 형성하는 대향 단부, 및 배변연습용 팬티(20)의 측부 가장자리(36)의 부분을 형성하는 대향 측부 가장자리(47)를 갖는다(도 2 및 도 3). 일체 형성된 측부 패널(34, 134) 및 흡수 조립체(32)는 신체측 라이너, 플랩 복합체, 외부 커버, 다른 재료, 및(또는) 그 조합체와 같은 적어도 일부 공통적인 재료를 포함하며, 원피스(one piece) 탄성,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 팬티를 형성할 수 있다. 추가적인 참조를 위해, 화살표 48 및 49는 배변연습용 팬티(20)의 종축과 횡축의 방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에 부분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연습용 팬티(20)가 체결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전방 및 후방 측부 패널(34, 134)은 체결 시스템(80)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 허리 개구(waist opening)(50) 및 한 쌍의 다리 개구(leg opening)(52)를 갖는 3차원 팬티 구조를 한정한다. 전방 허리부(22)는 착용시 착용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배변연습용 팬티(20) 부분을 포함하며, 후방 허리부(24)는 착용자의 후방에 위치하는 배변연습용 팬티 부분을 포함한다. 배변연습용 팬티(20)의 가랑이부(26)는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하부 몸통을 커버하는 배변연습용 팬티(20)의 부분을 포함한다. 전방 및 후방 측부 패널(34, 134)은 착용시에 착용자의 엉덩이에 배치되는 배변연습용 팬티(20)의 부분을 포함한다. 배변연습용 팬티(20)의 허리 가장자리(38, 39)는 착용자의 허리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두 가장자리가 함께 허리 개구(50)(도 1)를 한정한다. 가랑이부(26)에서의 측부 가장자리(36) 부분은 일반적으로 다리 개구(52)를 한정한다.
중앙 흡수 조립체(32)는 착용자로부터 배출된 분비물을 함유 및(또는)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봉쇄 플랩(46)은 체액 분비물의 횡단 유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플랩 탄성 부재(53)(도 3)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각각의 봉쇄 플랩(46)과 작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탄성을 갖는 봉쇄 플랩(46)은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배변연습용 팬티(20)의 적어도 가랑이부(26)에서 직립 구조를 갖는 부분적으로 비부착되는 가장자리를 한정한다. 봉쇄 플랩(46)은 팬티(20)의 측부 가장자리(36)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으며, 흡수 조립체(32)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흡수 조립체의 길이를 따라서 부분 연장될 수도 있다. 봉쇄 플랩(46)에 대한 적절한 구조 및 배열은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본원에 원용되는 1987년 11월 3일자로 Enloe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704,116호에 개시되어 있다.
체액 분비물의 봉쇄 및(또는) 흡수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배변연습용 팬티(20)는 또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듯이, 전방 허리 탄성 부재(54)(도 3), 후방 허리 탄성 부재(56), 및 다리 탄성 부재(58)를 적절하게 구비한다. 허리 탄성 부재(54, 56)는 대향 허리 가장자리(38, 39)를 따라서 외부 커버(40)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42)에 작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허리 가장자리의 부분 또는 전체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다리 탄성 부재(58)는 대향 측부 가장자리(36)를 따라서 외부 커버(40)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42)에 작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배변연습용 팬티(20)의 가랑이부(26)에 위치될 수 있다. 다리 탄성 부재(58)는 흡수 조립체(32)의 각 측부 가장자리(47)를 따라서 종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각각의 다리 탄성 부재(58)는 전방 말단 지점(63) 및 후방 말단 지점(65)을 구비하며, 이들 지점은 다리 탄성 부재에 의해 초래되는 탄성 집합부의 종방향 단부를 나타낸다.
플랩 탄성 부재(53), 허리 탄성 부재(54, 56), 및 다리 탄성 부재(58)는 임의의 적합한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듯이, 적절한 탄성 재료에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진 시트, 스트랜드(strand) 또는 리본이 구비된다. 탄성 재료는 기판에 신축 부착되거나, 집합된 기판에 부착되거나, 기판에 부착된 후 기판에 탄성 수축력이 부여되도록 예를 들어 열을 가함으로써 탄성부여 또는 수축될 수 있다. 특정한 일 실시태양에서, 예를 들어, 다리 탄성 부재(58)는 미국 델라웨어 윌밍톤 소재의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로부터 상표명 LYCRA(등록상표)로 시판되는 복수의 건식 방사 합체된(dry-spun coalesced) 멀티필라멘트 스판덱스 탄성중합사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커버(40)는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커버(40)는 액체 불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진 단일 층일 수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층이 액체 불투과성인 복층 적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외부 커버(40)는 적층 접착제, 초음파 본드, 열 본드 등에 의해 함께 적절히 결합되는 액체 투과성 외층과 액체 불투과성 내층을 구비할 수 있다. 비드(beads), 스프레이, 평행 와류 등으로서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도포될 수 있는 적절한 적층 접착제는 미국 위스콘신 와우와토사 소재의 Findley Adhesive, Inc. 또는 미국 뉴저지 브리지워터 소재의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Company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액체 투과성 외층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천과 같은 질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재료의 한가지 예는 20 gsm(grams per square meter)의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이다. 외층은 또한 그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42)를 제조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외층이 액체 투과성일 필요는 없지만, 착용자에게 비교적 천과 같은 질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커버(40)의 내층은 액체 및 기체 불투과성일 수 있거나, 액체 불투과성 및 기체 투과성일 수 있다. 내층은 다른 가요성 액체 불투과성 재료도 사용될 수 있지만 플라스틱 박막으로 제조될 수 있다. 내층, 또는 단일 층일 때의 액체 불투과성 외부 커버(40)는 폐기물이 침대 시트 및 의복과 같은 제품뿐 아니라 착용자 및 간호자를 젖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액체 불투과성 내층 또는 단일층 액체 불투과성 외부 커버(40)로서 사용하기 위한 적절한 액체 불투과성 필름은 미국 일리노이 샤움버그 소재의 Pliant Corporation으로부터 시판되는 0.2mm 폴리에틸렌 필름이다.
외부 커버(40)가 단일 재료층이면, 이는 보다 천같은 질감을 제공하도록 엠보싱 처리되고(되거나) 매트 처리(matte finish)될 수 있다. 전술했듯이, 액체 불투과성 재료는 일회용 흡수 제품의 내부로부터 기체를 이탈시킬 수 있는 한편, 액체가 외부 커버(40)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적절한 "통기성(breathable)" 재료는 소정 레벨의 액체 불투과성을 제공하도록 처리되거나 코팅된 부직포 또는 미공성(microporous) 중합체 필름으로 구성된다. 적절한 미공성 필름은 일본 도쿄 소재의 Mitsui Toatsu Chemicals, Inc.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PMP-1 필름 재료 또는 미국 미네소타 미네아폴리스 소재의 3M Company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XKO-8004 폴리올레핀 필름이다.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42)는 외부 커버(40), 흡수 코어(44), 및 습윤 지시자(45)와 중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외부 커버(40)와 동일한 치수를 가질 필요는 없다. 신체측 라이너(42)는 적절히 유연하고, 부드러운 느낌이면서, 아동의 피부에 무자극적이다. 또한, 신체측 라이너(42)는 착용자에게 비교적 마른 표면을 제공하고 액체가 그 두께를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흡수 구조물(44)보다 덜 친수성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신체측 라이너(42)는 착용자에게 비교적 습한 표면을 제공하여 습윤 감각을 증대시키기 위해 흡수 구조물보다 친수성일 수 있거나, 또는 흡수 구조물(44)과 동일한 수분 친화성을 본질적으로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습윤 감각은 배변연습의 보조 수단으로서 유용할 수 있다. 친수성/소수성 특성은 소정의 습도 감지 또는 누설 능력을 달성하기 위해 신체측 라이너(42) 및 흡수 구조물(44)의 길이, 폭 및(또는) 깊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42)는 합성 섬유(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천연 섬유(예를 들면, 목재 또는 면 섬유), 천연 및 합성 조합 섬유, 다공성 발포체, 망상 발포체, 개구형 플라스틱 필름 등과 같은 웹 재료의 다양한 선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42)용으로는 다양한 직포 또는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측 라이너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멜트블로운 또는 스펀본딩 웹으로 조성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는 또한 천연 섬유 및(또는) 합성 섬유로 조성된 접합-소모(梳毛)(bonded-carded) 웹일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는 거의 소수성인 재료로 조성될 수 있으며, 소수성 재료는 선택적으로 계면활성제로 처리될 수 있거나 또는 소정 레벨의 습윤성 및 친수성을 제공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료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마운트 홀리 소재의 Hodgson Textile Chemicals로부터의 Ahcovel N-62, 및 펜실베니아 앰블러 소재의 Henkel Corporation으로부터의 Glucopan 220UP을 3:1의 활성비로 포함하는 대략 0.45중량%의 계면활성제 혼합물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분사, 프린팅, 브러쉬 코팅 등의 임의의 종래 수단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전체 신체측 라이너(42)에 도포될 수 있거나, 또는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서 신체측 라이너의 중간 섹션과 같은 특정 섹션에 선택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적절한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42)는 대략 27gsm의 기초 중량을 갖는 2성분 부직포이다. 2성분 부직포는 스펀본딩된 2성분 부직포이거나 접합-소모 웹일 수 있다. 적절한 2성분 섬유는 일본 오사카 소재의 CHISSO Corporation으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2성분 섬유를 구비한다. 이 특정한 2성분 섬유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은 코어를 형성하고 폴리에틸렌은 섬유의 외피(sheath)를 형성한다. 다른 섬유 배향은 다원호(multi-lobe), 병렬(side-by-side), 단부대 단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했듯이, 도시된 배변연습용 팬티(20)는 흡수 조립체(32)의 각 측면에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 측부 패널(34, 134)을 갖는다. 측부 패널(34, 134)은 각각의 전방 및 후방 허리부(22, 24)에서 시임부(seams)(66)를 따라서 중앙 흡수 조립체(32)에 영구 접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가장 잘 도시하듯이, 전방 측부 패널(34)은 전방 허리부(22)에서 흡수 조립체(32)의 측부 가장자리(47)에 영구 접합되고 이를 지나서 외측으로 횡방향 연장될 수 있으며, 후방 측부 패널(134)은 후방 허리부(24)에서 흡수 조립체의 측부 가장자리에 영구 접합되고 이를 지나서 외측으로 횡방향 연장될 수 있다. 측부 패널(34, 134)은 접착성, 열 또는 초음파 접합과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부착 수단을 사용하여 흡수 조립체(32)에 접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측부 패널(34, 134)은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태양의 체결 시스템(80)에 의해 영구적으로 결합되거나 상호 해제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전방 및 후방 측부 패널(34, 134) 각각은, 시임부(66)로부터 측방 이격된 외부 가장자리(68), 배변연습용 팬티(20)의 종방향 중심을 향해 배치된 다리 단부 가장자리(70), 및 배변연습용 팬티의 종방향 단부를 향해 배치된 허리 단부 가장자리(72)를 구비한다. 다리 단부 가장자리(70)와 허리 단부 가장자리(72)는 흡수 조립체(32)의 측부 가장자리(47)로부터 외부 가장자리(68)로 연장된다. 측부 패널(34, 134)의 다리 단부 가장자리(70)는 배변연습용 팬티(20)의 측부 가장자리(36)의 부분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태양의 다리 단부 가장자리(70)는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보다 양호한 끼움을 제공하기 위해 횡축(49)에 대해 적절하게 만곡되고(되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후방 허리부(24)의 다리 단부 가장자리와 같은 하나의 단부 가장자리(70)만이 만곡되거나 각도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어떠한 다리 단부 가장자리도 만곡되거나 각도형성되지 않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허리 단부 가장자리(72)는 횡축(49)에 대해 적절하게 평행하다. 전방 측부 패널(34)의 허리 단부 가장자리(72)는 배변연습용 팬티(20)의 전방 허리 가장자리(38)의 일부를 형성하며, 후방 측부 패널(134)의 허리 단부 가장자리(72)는 팬티의 후방 허리 가장자리(39)의 일부를 형성한다.
측부 패널(34, 134)은 반드시는 아니지만, 배변연습용 팬티(20)의 횡축(49)에 대해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는 탄성 재료를 포함한다. 적절한 탄성 재료뿐 아니라, 탄성 측부 패널을 배변연습용 팬티에 합체시키는 하나의 방법이, 1990년 7월 10일자로 Van Gompe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40,464호, 1993년 7월 6일자로 Pohjola에게 허여된 제5,224,405호, 1992년 4월 14일자로 Pohjola에게 허여된 제5,104,116호, 및 1991년 9월 10일자로 Vogt 등에게 허여된 제5,046,272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 이들 공보는 모두 본원에 참조로 원용된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탄성 재료는 신장-열 적층체(STL: stretch-thermal laminate), 네크-접합 적층체(NBL), 역네크형 적층체, 또는 신장-접합 적층체(SBL)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재료의 제조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1987년 5월 5일자로 Wisneski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663,220호, 1993년 7월 13일자로 Morma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226,992호, 1987년 4월 8일자로 Taylor 등의 이름으로 공개된 EP 0 217 032호, 및 Welch 등의 이름으로 공개된 PCT 출원 WO 01/8824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 이들 공보는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대안적으로, 측부 패널 재료는 외부 커버(40) 또는 신체측 라이너(42)용으로 적합한 전술한 것과 같은 다른 직조 또는 부직물, 기계적으로 사전-변형된(pre-strained) 복합체, 또는 신축적이지만 비탄성적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시스템(80)은 제2 체결 부품(84)에 대응하는 재체결가능한(refastenable) 결합에 적합한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체결 부품(82)을 포함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체결 부품(82, 84) 각각의 전방 또는 외부 표면은 복수의 결합 소자를 포함한다. 팬티(20)를 그 3차원 구조로 해제가능하게 확보하기 위해 제1 체결 부품(82)의 결합 소자는 제2 체결 부품(84)의 대응 결합 소자와 반복적으로 결합 및 해제되도록 되어있다.
체결 부품(82, 84)은 접착성 체결구, 점착성 체결구, 기계식 체결구 등과 같은, 흡수 제품에 적합한 임의의 재체결가능한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체결 부품은 성능 향상을 위한 기계적 체결 소자를 포함한다. 적절한 기계적 체결 소자는 후크, 루프, 벌브(bulbs), 버섯(mushrooms), 화살촉, 스템상 볼(balls on stems), 암수 결합 부품, 버클(buckles), 스냅 등과 같은 기하학적 형상의 재료를 인터로킹(interlocking)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제1 체결 부품(82)은 루프 체결구를 포함하며 제2 체결 부품(84)은 상보형 후크 체결구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1 체결 부품(82)은 후크 체결구를 포함하고 제2 체결 부품(84)은 상보형 루프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체결 부품(82, 84)은 인터로크되는 유사한 표면 체결구, 또는 접착 체결구와 같은 접착성 및 점착성 체결 소자, 및 접착제 수용성 랜딩 영역 또는 재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배변연습용 팬티(20)는 연결시에 전방 측부 패널(34)과 중첩되는 후방 측부 패널(134)을 도시하지만(이것이 편리함), 배변연습용 팬티(20)는 전방 측부 패널이 연결시에 후방 측부 패널과 중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체결 부품(82, 84) 사이에서 소정 레벨의 결합을 얻도록 후크의 형상, 밀도, 및 중합체 조성이 선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보다 공격적인 후크 재료는 보다 큰 평균 후크 높이 및(또는) 보다 큰 퍼센트의 직접적으로 정렬된 후크를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시에, 도시된 실시태양의 체결 부품(82, 84)은 재체결가능한 결합 시임부(85)(도 1)를 형성한다.
흡수 구조물(44)은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대체로 압축적이고, 합치될 수 있으며, 비자극적이고, 체액 분비물을 흡수 및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물일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또한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다양한 흡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수 구조물(44)은 흡수 섬유의 매트릭스를 적절하게 포함하며, 보다 특별하게는 셀룰로스 면모(綿毛: fluff) 재질의 웹과 같은 친수성 섬유를 포함한다. 특별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흡수 구조물(44)은 목재 펄프 면모와 같은 셀룰로스 면모의 매트릭스, 및 초흡수 입자를 포함한다. 목재 펄프 면모는 합성, 고분자, 멜트블로운 섬유 또는 쇼트 커트(short cut) 호모필(homofil) 2성분 합성 섬유 및 천연 섬유로 교체될 수 있다. 초흡수 입자는 친수성 섬유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혼합되거나 불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면모 및 초흡수 입자는 또한 체액 분비물을 보다 양호하게 함유 및 흡수하기 위해 흡수 구조물(44)의 소정 구역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초흡수 입자의 농도는 또한 흡수 코어(44)의 두께에 걸쳐서 변화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흡수 구조물(44)은 섬유 웹 및 초흡수 재료의 적층체를 포함하거나 초흡수 재료를 국소 영역에 유지하는 다른 적절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초흡수 재료는 천연, 합성, 및 변성 천연 중합체 및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초흡수 재료는 실리카 겔과 같은 무기 재료이거나, 또는 예를 들어 나트륨 중화된 폴리아크릴산과 같은 가교결합된 중합체와 같은 유기 화합물일 수 있다. 적절한 초흡수 재료는 미국 미시간 미들랜드 소재의 Dow Chemical Company, 및 독일 D-47805 크레펠트 소재의 Stockhausen GmbH & Co. KG와 같은 다양한 시장 판매자들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흡수 구조물(44)은 목재 펄프 면모와 초흡수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펄프 면모의 바람직한 한 형태는 미국 앨라배마 칠더스버그 소재의 U.S. Alliance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상표명 CR1654로 확인되는 바, 이는 주로 연질 목재 섬유를 함유하고 대략 16퍼센트의 경질목재 섬유를 함유하는 표백된 고흡수성 황산 목재 펄프이다. 일반적인 규칙으로서, 초흡수 재료는 흡수 조립체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흡수 구조물(44) 내에 0 내지 대략 90중량 퍼센트의 양으로 존재한다. 흡수 구조물(44)은 대략 0.10 내지 0.35g/㎤의 밀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구조물(44)은 흡수 조립체의 일체성 및(또는) 형상 유지를 보조하는 적절한 티슈 랩(tissue wrap)에 의해 래핑 또는 포위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특별히 참조하면, 습윤 지시자(45)는 외피의 내부에 봉입되는 액체 흡수체(93)를 갖는 액체 투과성 외피(9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윤 지시자(45)를 형성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적합한 액체 투과성 외피(92) 및 흡수체(93)는 2001년 12월 31일자로 Olson 등이 출원하고 공동 양도되었으며 발명의 명칭이 "착용자에게 배뇨를 경고하기 위한 습윤 지시자"인 미국 특허출원 제10/038,863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원용된다. 일 실시태양에서, 습윤 지시자(45)의 흡수체(93)는 적어도 두 층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한 번 접히는 시트 재료를 포함한다. 흡수체(93)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절첩선(94)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적어도 두 층의 흡수성 시트 재료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흡수체(93)는 3층 절첩 구조를 형성하도록 종방향 절첩선(94)을 따라서 두 번 접히는 시트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한 "팬-절첩형(fan-folded)" 구조물은 각각의 절첩층이 인접하는 절첩층을 지지하는 작용을 하므로 흡수체(93)의 강도를 개선하며, 외피(92) 내의 팽창 압력을 추가로 확장한다. 따라서, 흡수체(93)의 전체 강도 및 강성은 절첩선(94)의 방향으로 증가한다. 절첩선(94)의 수 및 층의 폭을 변화시킴으로써, 크기 및(또는) 형상이 상이한 흡수체(93)가 제조될 수 있다.
흡수체(93)는 로드하 고흡수성/고 겔강도(high-absorbency-under-load/high-gel-strength)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흡수체는 대략 50퍼센트의 초흡수 재료와 대략 50퍼센트의 목재 펄프를 포함하는 초박형 흡수성(UTA: Ultra Thin Absorbent)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그러한 UTA 재료는 대략 0.65mm의 두께에서 대략 225gsm의 기초 중량을 갖는다. 하나의 그러한 UTA 재료는 2001년 8월 24일자로 Sawyer 등에 의해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박형 고성능 흡수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인 미국 출원 제09/939,061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온라인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원용된다. 또한, Kellenberge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147,343호 및 Melius 등에게 허여된 제5,601,542호는 적절한 UTA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다른 흡수체 재료는 조지아 Jessup 소재의 EAM Corporation으로부터 상표명 NovaThin(등록상표) 재료로 구입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습윤 지시자(45)는 대략 89mm의 건조 길이, 대략 51mm의 건조 폭, 및 대략 4mm의 건조 두께(예를 들면, 높이 H)를 가지며, 3층으로 접혀진 550gsm 기초 중량 UTA 재료로 구성된 흡수체(93)를 갖는다.
일 실시태양에서, 액체 투과성 외피(92)는 위스콘신 니나 소재의 Kimberly-Clark Corporation으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20gsm 스펀본딩 부직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특별하게, 그러한 재료로 이루어진 한 쌍의 대향 시트는 그 사이에 흡수체(93)가 배치된 상태에서 습윤 지시자(45)의 둘레 주위의 가장자리 여유부를 따라서 초음파 방식으로 함께 접합되어 흡수체를 외피 내에 밀봉한다. 외피 재료는 또한 미국 노스 캐롤라이나 마운트 홀리 소재의 Hodgson Textile Chemicals로부터의 Ahcovel N-62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대략 0.45중량 퍼센트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스펀본딩된 부직물의 전체 표면에 도포될 수 있거나, 또는 신체와 대면하는 표면 부분과 같은 특정 표면 부분에 선택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외피(92)는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착용자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부분과 같은 액체 불투과성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체액 분비물이 흡수체(93)와 접촉하여 후속 흡수되도록 외피의 내부로 투과할 수 있도록 외피의 일부분이 충분히 액체 투과적인 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스펀본딩된 부직물 이외의 재료가 외피(92)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흡수체(93)는 대안적으로 비절첩 상태로 유지되는 단일 웹 또는 기타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자체로 접혀지는 한 장의 시트와 반대로) 상호 중첩되는 복수의 개별 재료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제 도 4 및 도 4A를 특별히 참조하면, 습윤 지시자(45)는 예를 들어, 배변연습용 팬티의 경우에 소변과 같은 체액 분비물이 먼저 팬티(20)에 배출되기 전에 착용자에게 실질적으로 인지될 수 없도록 신체측 라이너(42)와 외부 커버(40) 사이에 적절하게 배치된다. 습윤 지시자(45)는 배변연습용 팬티(20)의 다리 개구(52)(도 1)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26)에 종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가랑이부(26) 내에서 습윤 지시자(45)의 종방향 위치는 한 쌍의 팬티(20)가 남아(boy)에 의해 착용되는지 또는 여아(girl)에 의해 착용되는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남아의 경우에는 가랑이부(26)에서 보다 전방 위치에 습윤 지시자(45)를 배치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는 반면에, 여아의 경우에는 가랑이부에서 보다 중심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보다 적절할 수 있다. 습윤 지시자(45)는 체액 분비물이 팬티에 배출될 때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습윤해지도록 적절하게 배치되는 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랑이부(26) 이외에 위치될 수 있다고도 생각된다.
또한, 습윤 지시자(45)는 라이너와 외부 커버 사이 이외의 장소에 배치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면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기 위해 라이너 상에 배치되는 것도 본 발명이 범위에 포함된다. 이러한 실시태양에서, 습윤 지시자는 라이너에 대해 예를 들어 접착 또는 접합되는 것에 의해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팬티를 남아가 착용하느냐 여아가 착용하느냐에 따라 간호자가 습윤 지시자를 소정의 종방향 위치에서 라이너 상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라이너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태양에서는 단일의 습윤 지시자(45)가 도시되어 있지만, 착용자에 대한 신호를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습윤 지시자가 사용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단일 습윤 지시자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력으로는 착용자에게 그 자신의 배뇨를 경고하기에 불충분한, 다리가 더 큰 좀더 크거나 나이든 아이에게는 추가적인 습윤 지시자(45)가 필요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습윤 지시자(45)가 사용될 수도 있는 바, 하나의 습윤 지시자는 남아가 배뇨시 더 젖어들 것 같은 위치에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습윤 지시자는 여아가 배뇨시 더 젖어들 것 같은 위치에 종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남아와 여아의 목표 습윤 영역 사이의 차이가 상쇄된다.
도시된 실시태양의 습윤 지시자(45)는, 흡수 구조물(44)의 폭과 거의 동등한 길이(L)를 갖는, 팬티(20)의 가랑이부(26)의 대부분을 횡으로 가로질러 적절하게 연장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습윤 지시자(45)는 습윤 지시자의 길이(L)(예를 들면, 횡방향 연장)보다 작은 폭(W)을 갖는다. 일 예로서, 습윤 지시자(45)의 길이(L)는 대략 50mm 내지 대략 130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70mm 내지 대략 100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폭(W)은 대략 20mm 내지 대략 100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30mm 내지 대략 60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예로서, 습윤 지시자(45)의 길이(L)에 대한 폭(W)의 백분율(예를 들면, (W:L)×100)은 대략 40 내지 대략 80퍼센트가 바람직하고, 대략 60퍼센트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대 치수의 일 예로서, 도 4의 팬티(20)의 가랑이부(26)는 대략 109mm의 폭을 갖고, 흡수 구조물(44)은 가랑이부에서 대략 89mm의 폭을 가지며, 습윤 지시자(45)는 대략 89mm의 길이(L)와 대략 51mm의 폭(W)을 갖는다. 그러나, 습윤 지시자(45)는 흡수 구조물(44)의 폭보다 짧거나 길 수 있다고 이해된다. 또한, 습윤 지시자(45)의 종방향 정도는 그 횡방향 정도 이상일 수 있거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는 도 4에 도시된 것보다 작은 정도일 수 있다.
건조시에 습윤 지시자(45)의 두께 또는 높이(H)(도 8)는 대략 2mm 내지 대략 15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략 3mm 내지 대략 15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시에, 습윤 지시자의 두께 또는 높이(H)는 건조시 그 높이의 적어도 대략 2배 팽창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시 높이의 적어도 대략 6배 팽창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전히 도 4 및 도 4A를 참조하면, 흡수 구조물(44)은 일반적으로 팬티(20)의 전방 허리부(22) 내부로부터 가랑이부(26)를 통해서 팬티의 후방 허리부(24)내로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습윤 지시자(45)는 가랑이부(26) 내에서 흡수 구조물(44)과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흡수 구조물과 습윤 지시자가 일반적으로 상호 중첩된 관계에 있는 한, 대안적으로 습윤 지시자(45)는 흡수 구조물(44) 아래에 놓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흡수 구조물의 일부분은 습윤 지시자와 중첩되고 흡수 구조물의 일부분은 습윤 지시자의 아래에 놓이는 상태에서 흡수 구조물 내에 포위될 수 있다. 습윤 지시자(45)는 초음파 접합, 접착제, 열 본드, 또는 다른 적합한 부착 기술 등에 의해 흡수 구조물(44)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42)에(또는 습윤 지시자가 흡수 구조물 아래에 놓이는 외부 커버에) 부착될 수도 있다.
흡수 구조물(44)은 도 4에 도시된 흡수 구조물에서의 변화된 도트 밀도만큼만 예시 목적으로 도시된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서 불균일한 흡수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특별하게, 흡수 구조물이 습윤 지시자의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흡수 구조물(44)의 흡수능은 종방향으로 증대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습윤 지시자의 위치는 팬티(20) 내에서의 습윤 지시자의 종방향 및 측방향 중심을 지칭한다. 따라서, 흡수 구조물(44)의 흡수능은 습윤 지시자(45)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예를 들면, 종방향으로 및(또는) 측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거나, 및(또는) 흡수 구조물이 습윤 지시자의 가장자리를 지나서 연장될수록 예를 들어 팬티(20)의 전방 및 후방 허리부(22, 24) 쪽으로 증가할 수 있다. 흡수 구조물(44)의 흡수능은 흡수 구조물이 일 방향으로만 연장될 때 예를 들어 남아용 목표 습윤 영역이 위치하는 팬티(20)의 전방 허리부(22) 쪽으로 증가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불균일한 흡수능에 의해 정해지는 흡수능 구배는 단계적일 수 있거나, 또는 점진적이거나 비단계적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흡수능이란, 체액 분비물을 내부에 빨아들여 유지하기 위한 흡수 구조물(44)의 능력을 넓게 지칭한다. 습윤 지시자(45)의 위치 또는 그 근처 영역에서 흡수 구조물의 낮은 흡수능은 체액 분비물이 예를 들면 중력을 통해서 습윤 지시자 쪽으로 유동하는 것을 쉽게 촉진할 수 있다. 흡수능이 낮은 영역의 크기, 즉 (변화가 단계적 변화인 경우) 흡수능이 증가하는 종방향 위치 또는 (변화가 점진적이거나 비단계적인 경우) 흡수능이 증가하는 속도는, 특히 제1 배출 중에, 습윤 지시자를 작동시키기 위해 습윤 지시자(45)로 유동해야 하는 체액 분비물의 양, 및 (예를 들어 흡수 구조물(44) 및 습윤 지시자에 의해) 팬티(20)로 배출되어야 하는 착용자가 통상 삼출하는 체액 분비물 양에 따라 달라진다.
일 예로서, 일 실시태양에서는 흡수 구조물이 습윤 지시자(45)의 위치로부터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태양에서는 종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흡수 구조물(44)에는 흡수 구조물의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흡수능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습윤 지시자(45)의 위치 및(또는) 그 종방향으로 인접한 위치에서의 흡수 구조물(44)의 밀도는 흡수 구조물이 습윤 지시자의 위치로부터 종방향으로 더 멀리 연장될수록 흡수 구조물의 밀도보다 상당히 낮다. 습윤 지시자(45)에 가까울수록 밀도가 저하됨으로써 습윤 지시자 근처에서의 흡수 구조물(44)의 흡수능이 저하되고, 따라서 습윤 지시자로의 액체 유동이 촉진된다. 일 예로서, 습윤 지시자(45)의 위치 및 그 근처 위치에서 가랑이부(26)에서의 흡수 구조물(44)의 밀도는 대략 0.1 내지 0.5g/㎤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0.2 내지 0.4g/㎤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 구조물이 습윤 지시자(45)의 위치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흡수 구조물(44)의 밀도는 대략 0.2 내지 대략 0.6g/㎤ 범위의 밀도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0.25 내지 대략 0.5g/㎤ 범위의 밀도로 증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흡수능 구배는 습윤 지시자(45)의 위치 및(또는) 그 인접 위치에서는 초흡수 재료의 비교적 낮은 농도를 제공하고 흡수 구조물이 습윤 지시자의 위치로부터 멀리 종방향으로 연장될수록 초흡수 재료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습윤 지시자(45) 영역에서의 초흡수 재료의 농도는 흡수 구조물(44)의 대략 0 내지 대략 70중량 퍼센트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0 내지 대략 50중량 퍼센트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 구조물(44)에서 초흡수 재료의 농도는 흡수 구조물이 습윤 지시자(45)의 위치로부터 멀리 종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대략 30 내지 대략 95중량 퍼센트 범위의 농도로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40 내지 대략 90중량 퍼센트 범위의 농도로 증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 구조물(44)의 흡수능 구배는, 흡수 구조물의 밀도 및(또는) 그 내부의 초흡수 재료의 농도를 변화시키는 것 외의 방식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초흡수 재료의 기본 중량, 두께, 형태, 흡수 섬유의 형태, 입자 크기, 및 초흡수 재료의 입자 크기 분포, 섬유와 초흡수 재료의 배열 또는 배향, 및 투과성, 로드하(under load) 흡수도, 및 유체 흡입율과 같은 초흡수 재료 특징을 변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흡수능 구배를 갖는 흡수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적절한 기술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원에서 기술되지 않을 것이다. 일 예로서, 1988년 8월 2일자로 K. Enloe에게 허여되고 발명의 명칭이 "가볍고 무거운 면모 영역의 제어 형성"인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제4,761,258호, 2001년 12월 18일자로 J.T. Hahn 등에게 허여되고 발명의 명칭이 "기본 중량 능력이 향상된 레이드(laid) 섬유 웹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인 미국 특허 제6,330,735호, 및 2002년 7월 30일자로 Venturino 등이 출원하고 발명의 명칭이 "공기 형성된 섬유 웹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형태"인 미국 특허 출원 제10/207,929호(attoreny docket No. 16,900)가 적절한 기술의 예를 개시하는 바, 이들 공보는 본원에 참조로 원용된다.
사용시에, 습윤 지시자(45)는 일반적으로 건조 상태에서 부드럽고, 유연하며 천과 같고, 팬티(20)의 다른 부분, 보다 구체적으로 흡수 구조물(44)과 비슷한 강성을 갖는 바, 습윤 지시자의 존재를 착용자가 배뇨 전에 알 수 없게 만든다. 유연한 습윤 지시자(45)는 착용자의 대퇴부가 자유롭게 이동하여 정상 이동 중에 습윤 지시자(45)를 쉽게 압축할 수 있게 한다. 먼저 소변과 같은 체액 분비물이 배출될 때, 액체는 신체측 라이너(42)를 통해 투과한다. 흡수 구조물(44)의 흡수능 구배는 액체의 적어도 일부가 예를 들어 중력에 의해 습윤 지시자(45) 쪽으로 흐르는 것을 촉진시키며, 따라서 액체는 외피 내의 흡수체(93)에 의해 흡수되도록 예를 들면 모세관, 투과성 흡수력에 의해 습윤 지시자(45)의 액체 투과성 외피(92)를 통해 인출된다.
습윤 지시자(45)가 액체를 흡수함에 따라, 외피(92) 내의 흡수체(93)는 팽윤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흡수체(93)의 팽윤은 외피(92)에 대해 수압을 가한다. 외피가 그 내부의 흡수체의 팽창을 제한함으로써 습윤 지시자(45)가 딱딱해지도록 흡수체(93)의 억제되지 않은 포화 체적은 액체 투과성 외피(92)의 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투과성 외피(92)가 너무 팽창가능하면, 흡수체(93)에 의한 액체의 흡수는 습윤 지시자(45)를 딱딱하게 하거나 그 유연성의 일부를 손실하지 않고서 습윤 지시자를 단지 팽창시킬 것이다. 예를 들어, 액체의 흡수 시에 습윤 지시자의 강성은 건조시 습윤 지시자의 강성의 적어도 대략 5배로 증가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건조시 습윤 지시자의 강성의 대략 5배 내지 8배 이상의 범위로 증가한다. 상이한 습윤 지시자 사이를 비교하기 위해, 습윤 지시자의 1그램 중량당 대략 10그램 중량의 소변 또는 모의 소변을 습윤 지시자가 흡수했을 때 강성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윤 지시자(45)의 증가된 강성은, 착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특히 가랑이부(26)에서 팬티(20)의 구부러짐, 접힘, 주름잡힘, 휘어짐 등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증가된 강성은 착용자가 대퇴부를 모으는 운동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 그러한 내측 대퇴부에 대한 저항은 클 필요는 없지만, 착용자가 결국 배뇨로 인해 결국 알게 되는 저항을 인지하도록 착용자의 다리 내부의 다리 운동을 적어도 부드럽게 견딜 수 있기에 충분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액 분비물은 정상 이동 중에 착용자의 다리에 의해 가해지는 것과 같은 외부 압력 하에서도 외피(92) 내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습윤 지시자(45)는 착용자가 앉거나, 걷거나, 비틀때 마주치는 것과 같은 압축성 압력이 습윤 지시자에 가해질 때 흡수체(93)와 외피(92)로부터 액체가 역류하는 것을 금지함으로써 습윤 지시자의 증가된 강성을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기간이 늘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체측 라이너(42)의 투과성 및 습윤성은, 제품의 제1 액체 분출의 거의 전부가 라이너를 통해서 흡수 코어(44) 내로 즉시 통과하지 않도록 균형잡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가 앉아있거나 서있을 때, 신체측 라이너의 투과가 이렇게 지연되면 중력은 액체를 흡수 구조물(44)의 다른 부분으로 분포시키기보다는 습윤 지시자(45)를 향해서 팬티(20)의 가랑이부(26) 내로 끌어내리게 된다. 이러한 채널 유동 기구는 남아가 착용하는 배변연습용 팬티(20)와 같은 제품에서 특히 유용한 데 그 이유는 여아에 비해서 소변이 대개는 (습윤 지시자(45)가 위치하는) 가랑이부(26)로부터 더 멀리 요도를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 배출후 아이가 촉감 피드백을 얻도록 습윤 지시자에 강성을 발생하기 위해 제1 배출로부터의 다량의 소변이 습윤 지시자(45)의 흡수체(93)에 도달한다. 이는 아이가 원인(배뇨)을 결과(불쾌한 팬티(20))와 보다 밀접하게 연관시키는 것을 도와준다.
도 5와 도 5A는 도 4와 유사한 다른 실시태양을 도시하지만, 흡수 구조물(44)은,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가 상호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습윤 지시자(45)가 상기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 사이에 그것과 맞닿는 관계로 가장자리 대향(edge-facing-edge) 관계로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투피스(two piece) 구조가 바람직하다. 하나의 흡수 구조물 부재(44A)는 습윤 지시자(45)로부터 전방으로 팬티(20)의 전방 허리부(22)를 향하여 연장되며, 다른 흡수 구조물 부재(44B)는 습윤 지시자로부터 후방으로 팬티의 후방 허리부(24)를 향하여 연장된다. 전방 흡수 구조물(44A)은 불균일한 흡수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습윤 지시자의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태양에서는 종방향으로) 습윤 지시자와 맞닿는 가장자리로부터 특히 습윤 지시자의 가장자리로부터 증가하는 흡수능 구배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후방 흡수 구조물 부재(44B) 또한 불균일한 흡수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습윤 지시자의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태양에서는 종방향으로) 습윤 지시자(45)와 맞닿는 가장자리로부터 특히 습윤 지시자의 가장자리로부터 증가하는 흡수능 구배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중 하나만이 불균일한 흡수능을 가질 수 있다고도 생각된다. 예를 들어, 전방 흡수 구조물 부재(44A)는 예를 들어 남아에 의한 목표 습윤 영역에 대응하는 불균일한 흡수능을 가질 수도 있는 반면, 후방 흡수 구조물 부재(44B)는 대체로 균일한 흡수능을 갖거나 습윤 지시자의 위치로부터 멀리 연장될 때 증가하지 않는 흡수능을 가질 수도 있다.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 각각의 흡수능 구배는 도 4의 흡수 구조물에 대해 전술한 임의의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의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습윤 지시자(45)의 두께는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습윤 지시자(45)의 두께는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의 두께와 다를(예를 들면, 그보다 크거나 또는 작을)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습윤 지시자(45)의 길이(예를 들면, 횡방향 연장)는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의 폭과 거의 동일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되어 있지만, 흡수 구조물 부재의 폭에 비해 짧거나 길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6 및 도 6A에 도시된 다른 실시태양에서, 흡수 구조물(44)은 도 5와 유사한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를 갖는 유사한 투피스 구조이다. 이 실시태양에서, 습윤 지시자(45)는 또한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 사이에 가장자리 대향 관계로 종방향으로 배치되지만, 흡수 구조물 부재는 습윤 지시자의 종방향 가장자리와 흡수 구조물 부재의 각 종방향 내측 가장자리 사이에 각각의 갭(88)을 형성하도록 습윤 지시자(45)로부터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일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갭(88)의 각각은 대략 1mm 내지 대략 30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략 3mm 내지 대략 10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대략 5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습윤 지시자(45)와 전방 흡수 구조물 부재(44A) 사이의 갭(88)은 습윤 지시자와 후방 흡수 구조물 부재(44B) 사이의 갭과 거의 같은 크기인 것으로 도 6 및 도 6A에 도시되어 있지만, 갭의 크기는 달라질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는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중 하나만이 습윤 지시자(45)로부터 종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는 것으로도 생각된다.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는 각각 도 5의 실시태양의 흡수 구조물 부재와 유사한 불균일한 흡수능을 갖는다. 즉,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의 각각은 습윤 지시자에 가장 가까운 가장자리로부터 습윤 지시자의 위치로부터 종방향으로 멀리(예를 들면 팬티(20)의 전방 및 후방 허리부를 향하여) 증가하는 흡수능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중 하나만이 불균일한 흡수능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두 부재중 어느 것도 불균일한 흡수능을 갖지 못할 수 있다.
도 6 및 도 6A에 도시된 습윤 지시자(45)와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를 포함하는 팬티(20)에 착용자가 체액 분비물을 방출하면, 액체는 라이너(42)를 통해 투과하고, 중력은 액체를 배변연습용 팬티(20)의 가랑이부(26)에 있는 습윤 지시자를 향하여 끌어내리는 경향이 있다. 액체는 가랑이부(26)에 고이는 바, 특히 습윤 지시자(45)와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 사이의 갭(88)에 고이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제1 배출에서의 액체의 대부분은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 보다는 습윤 지시자(45)에 흡수된다. 또한, 습윤 지시자(45)를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로부터 격리시키면 배뇨가 일어났다는 착용자에게로의 촉감 피드백이 향상된다. 즉, 흡수 구조물(44)중의 초흡수 재료는 액체를 흡수하여 팽창시키며, 따라서 흡수 구조물이 팽창된다. 이러한 팽창은 습윤 지시자(45)의 감지 효과를 완화하거나 감출 수 있다. 습윤 지시자(45)를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흡수 구조물 부재들에 의한 감춤 또는 완화 위험이 줄어든다.
습윤 지시자(45)를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로부터 분리시키면 습윤 지시자와 흡수 구조물 부재 사이에서의 모세관 감쇠도 금지된다. 즉, 상기 분리는 흡수 구조물 부재가 습윤 지시자로부터 소변을 다시 인출할 수 없도록 습윤 지시자(45)와 흡수 구조물 부재(44A, 44B) 사이에서의 모세관 브릿지 형성을 금지한다. 그 결과, 습윤 지시자(45)의 강성은 일단 젖으면 보다 쉽게 유지된다.
도 9는 습윤 지시자(45)를 향한 액체의 서지 또는 분출을 감속 및 채널유동시키기 위해 자유-액체 유지 부재(99)가 채용되는 배변연습용 팬티(20)의 다른 실시태양을 도시한다. 바람직하게, 자유-액체 유지 부재(99)는 습윤 지시자(45)로 방출되기 전에 액체를 신속히 흡인하여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자유-액체 유지 부재(99)는 라이너(42)와 습윤 지시자(45) 사이에 적절하게 배치되며, 흡수 구조물(44)과 중첩된 관계로 습윤 지시자를 지나서 종방향으로 전후로 연장된다. 대안적으로, 자유-액체 유지 부재(99)는 라이너(44)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습윤 지시자(45)와 마찬가지로, 자유-액체 유지 부재(99)의 종방향 위치는 배변연습용 팬티(20)가 여아용인지 남아용인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아의 경우에는 가랑이부(26)의 보다 전방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여아의 경우에는 다리 사이의 보다 중심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자유-액체 유지 부재(99)는 액체를 신속히 수집하여 습윤 지시자(45) 근처에 유지하는 유체 유지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압축 셀룰로스 스폰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쇄 외피(92) 및 흡수체(93)의 로드하 고흡수성/고 겔강도 SAM에 의해 제공되는 압력에 대해 습윤 지시자(45)가 팽윤함에 따라, 액체 흡수가 비교적 느리다. 자유-액체 유지 부재(99)는 습윤 지시자(45)를 자유 액체가 공급된 상태로 유지하며, 따라서 이는 봉쇄 외피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치로 팽윤할 수 있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착용자에게 배뇨를 경고하기 위해 증가된 강성을 제공하는 습윤 지시자(45)에 추가적으로, 팬티(20)는, 배뇨가 발생했음을 착용자에게 추가로 경고하기 위해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촉감 신호(예를 들면, 고온 또는 저온 감지)를 촉진시키는 온도 변화제(11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온도 변화제(112)는 본원에서 흡수능 구배가 있는 흡수 구조물(44)을 갖는 것으로 기술된 임의의 실시태양와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온도 변화제(112)는 흡수 구조물이 대체로 균일한 흡수능을 갖거나 본원에서 전술한 것 외의 흡수능을 갖는 팬티에 배치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온도 변화는 소변의 온도 및 그로 인한 팬티의 주위 부품의 온도를 착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온도로 변화시키기 위한 온도 변화제에 의한 흡열 또는 발열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변화제(112)에 의한 흡열은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저온(cool) 감지를 제공할 것이며, 온도 변화제에 의한 발열은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예를 들어, 착용자의 피부 온도보다 높은) 고온(warm) 감지를 제공할 것이다.
온도 변화제(112)는 소변과 같은 수용액과의 접촉에 반응하여 흡열 또는 발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달성하는 메커니즘은 수용액 중에서 온도 변화제가 용해, 팽윤, 및(또는) 반응되는 것일 수 있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온도 변화제(112)는 용해된 상태와 결정 상태 사이에서 상당한 에너지 차이를 갖는 입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소변과 같은 수용액과 접촉할 때 열 형태의 에너지가 흡수되거나 주위로 방출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온도 변화제(112)는 팽창 중에 또는 소변과 같은 수용액과의 반응 중에 에너지를 방출하거나 흡수한다.
다양한 온도 변화제(112)가 수용액과의 접촉에 반응하여 온도 변화될 수 있지만, 특정 온도 변화제의 선택 및 사용될 양의 결정은 착용자가 겪을 소정의 온도 변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온도 변화제(112)는 소변 배출 이전의 건조한 피부 온도와 소변 배출 이후의 피부 온도 사이에 대략 화씨 5도 내지 25도(2.8℃ 내지 13.8℃)의 온도 변화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온도 변화의 추가적인 예는 소변 온도가 대략 화씨 98도 내지 100도(37℃ 내지 38℃)의 초기 보디 코어 온도로부터 대략 화씨 55도 내지 75도(13℃ 내지 24℃)의 저온으로 감소되는 것이지만, 소변 온도가 13℃ 이하로 저하되는 것도 습윤 지시자(45)에서는 적합할 수 있다. 이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온도 변화제(112), 사용량, 및 배변연습용 팬티내의 온도 변화제 위치는 잠재적인 전체 에너지 변화가 대략 6 내지 대략 30cal/㎠(칼로리/㎠)이도록 선택되며, 이는 대략 6 내지 대략 30cal/㎠의 잠재 전체 에너지 방출 또는 대략 6 내지 대략 30cal/㎠의 잠재 전체 에너지 흡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온도 변화제(112), 사용량, 및 팬티내의 온도 변화제 위치는 잠재적인 전체 에너지 변화가 대략 12 내지 대략 24cal/㎠이도록 선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대략 18cal/㎠이도록 선택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했듯이, 배변연습용 팬티(20)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온도 변화제(112)는 수용액에서 용해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한 온도 변화제(112)의 용해도는 변화제 1그램당 대략 0.1 내지 대략 0.3그램(g/g)의 물(H2O)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며, 대략 0.1 내지 대략 2g/g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정한 일 실시태양에서, 온도 변화제(112)는, 본원에서 사용될 때 수용액과의 접촉시에 열을 흡수하여 온도 저하(예를 들면 수용액의 냉각)를 제공하는 임의의 재료를 지칭하는, 흡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수용액과의 접촉시에 용해 중에 열을 흡수하는 적절한 흡열 재료는 아세트산 나트륨(H2O), 탄산나트륨(10H2O), 황산나트륨(10H2O), 티오황산나트륨(5H2O), 인산나트륨(10H2O)과 같은 염 수화물; 질산암모늄, 질산칼륨, 염화암모늄, 염화칼륨, 브롬화나트륨, 염화 마그네슘, 염화칼슘(6H2O), 황산마그네슘, 및 질산나트륨과 같은 무수염; 요소(尿素: urea), 자일리톨, 및 기타 당과 같은 유기 화합물 등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온도 변화제(112)는 염화알루미늄, 황산알루미늄, 황산칼륨알루미늄 등을 비제한적으로 구비하는, 용해 중에 열을 방출하는 재료를 포함한다.
온도 변화제(112)는 또한 수용액과의 접촉시에 팽윤 중에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대신에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그러한 팽윤 중에 열을 방출하는 하나의 바람직한 재료는 가볍게 가교결합된 부분 중화된 폴리아크릴산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온도 변화제(112)는 수용액과 반응할 때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온도 변화제(112)의 추가 예는, 1997년 12월 30일자로 Glaug 등에게 허여되고 공동 양도되었으며 발명의 명칭이 "온도 및 치수 변화 감지를 제공하는 화장실 배변연습 보조수단"인 미국 특허 제5,702,376호에 추가로 기재되어 있다.
도 10의 도시된 실시태양에서, 온도 변화제(112)는 습윤 지시자(45)의 액체 투과성 외피(92) 내에 배치되는 요소 입자와 같은 흡열 재료 입자 형태이다. 상기 입자는 외피(92)와 흡수체(93) 사이 및(또는) 흡수체의 절첩부(예를 들면, 층)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외피(92)와 흡수체(93)는 습윤 지시자(45)가 건조 상태에 있을 때 습윤 지시자 내에서 온도 변화제(112)의 이동을 봉쇄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 적어도 금지한다. 일 예로서, 도 10의 습윤 지시자(45)의 외피 내에 포위되는 요소 입자의 바람직한 양은 대략 5 내지 대략 70그램 중량의 범위에 있다. 요소 입자 양을 이렇게 선택함으로써 습윤 지시자(45)의 표면에서의 온도는, 소변이 염분과 함께 배출된 후 대략 30초 내지 60초 후에 대략 화씨 65도 내지 75도(18℃ 내지 24℃)로 저하된다.
사용시에, 소변이 도 10의 습윤 지시자(45)의 액체 투과성 외피(92)를 통과함에 따라, 소변은 배뇨 중에 또는 배뇨 직후에 온도 변화제(112)와 접촉하여 이를 용해한다. 온도 변화제(112)는 용해시에 소변으로부터 열을 흡수하며, 온도저하된 소변은 이후 흡수체(93)에 흡수된다. 습윤 지시자(45)는 전술했듯이 온도저하된 소변이 흡수될 때 딱딱해지고, 전술했듯이 착용자의 내측 대퇴부와 같은 착용자의 피부에 압력을 가한다. 온도저하된 습윤 지시자(45)는 (예를 들면, 팬티(20)의 라이너(42) 및(또는) 봉쇄 플랩을 통해서) 착용자의 피부와 열 전도적으로 접촉하는 열 싱크로 작용함으로써 착용자로부터 열을 흡열하고 착용자의 피부에는 저온 감지를 제공한다. 온도저하된 습윤 지시자를 상당한 기간 동안 착용자와 열 전도성 접촉 관계로 위치시킴으로써 온도 변화제(112)로부터 기인하는 온도 변화를 착용자가 보다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습윤 지시자(45)의 팽윤 및 딱딱해짐은 온도저하된 습윤 지시자와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서 보다 직접적인 열 전도성 접촉을 촉진시킨다. 습윤 지시자로서 온도 변화에 의존하는 종래 제품에서 발생할 수 있듯이 제품과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 공기 간극이 존재하면, 전도성 열 전달은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경우 상당히 감소된다. 대류 및 복사의 효과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저온 감지를 유지하기 위해 딱딱해진 습윤 지시자(45)를 사용하면 착용자가 그 체위를 바꿈으로써 열 싱크(예를 들면, 온도저하되고 딱딱해진 습윤 지시자(45))와의 열 전도성 접촉을 벗어나는 능력을 저하시킨다.
도 11은 습윤 지시자(45)의 외피(92)에 의해 그 횡방향 측부 가장자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개별 구획(113)에 온도 변화제(112)가 배치되는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저온 유체를 구획(113) 내에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전술한 CR1654와 같은 목재 펄프 면모 또는 기타 흡수 재료가 구획(113)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 실시태양에서, 패널(114)은 흡수체가 설치되는 습윤 지시자(45)의 흡수체(93)로부터 구획(113)을 분리시킨다. 상기 패널(114)은 구획(113)에 형성되는 저온 액체가 습윤 지시자(45)의 흡수체(93) 내로 흐르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액체 불투과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온도저하된 소변은 구획 내에 남아있게 된다. 그러나, 패널(114)은 일부 저온 액체가 흡수체(93) 내로 흐를 수 있도록 액체 투과성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시에, 습윤 지시자(45)의 횡방향 측부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개별 구획(113)은 저온 액체를, 습윤 지시자가 팽윤되어 딱딱해질 때 착용자의 내측 대퇴부와 더욱 직접 열전도 접촉하는 습윤 지시자(45)의 횡방향 외측 가장자리(116)를 향하여 농축한다. 온도 변화제(112)를 습윤 지시자(45) 내의 흡수체(93)로부터 분리 유지하는 것은 또한, 온도 변화제(112)로부터의 염이 흡수체의 초흡수 재료와 접촉하여 그 흡수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지연시킬 수 있다.
온도 변화제(112)가 도 10 및 도 11의 실시태양에 도시하듯이 습윤 지시자(45) 내에 배치되는 것을 대신하여 또는 그것에 추가적으로, 온도 변화제는 신체측 라이너(42)와 내측 부품들(예를 들면 흡수 구조물(44), 습윤 지시자(45), 서지 층(존재할 경우) 및(또는) 라이너와 외부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임의의 기타 층 또는 부품)사이와 같은 팬티내 다른 곳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및(또는) 온도 변화제(112)는 라이너 내에 또는 라이너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한 실시태양에서, 소변은 배뇨 중에 또는 배뇨 직후에, 그러나 소변이 습윤 지시자(45)의 액체 투과성 외피(92)를 통해서 흐르기 전에 온도 변화제(112)와 접촉한다. 따라서 온도 변화제(112)는 소변이 습윤 지시자(45)의 액체 투과성 흡수용 외피를 통과하여 습윤 지시자 내의 흡수체를 팽윤시키기 전에 소변을 용해하여 냉각시킨다.
온도 변화제(112)가 흡열 염과 같은 염인 경우에, 습윤 지시자(45)의 흡수체(93)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초흡수 재료는 양극성(bipolar) 초흡수 흡수 재료(양극성 SAM)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성 SAM은 흡수 조성물 내에 양이온 및 음이온 모노머 종(monomeric species)을 포함하는 초흡수 재료의 등급을 지칭한다. 양극성 SAM은 종래의 SAM 만큼 소변과 같은 전해질-함유 액체에 의해 비활성화되지 않는다. 오히려, 양극성 SAM의 흡수능은 산기와 아민기가 소변으로부터의 이온에 의해 중화될수록 증가된다. 또한, 양극성 SAM은 용액으로부터 자유 이온을 소제(掃除:scavenge)함으로써 온도 변화제(112)용으로 사용되는 흡열 염의 용해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소변중 이온이 양극성 SAM의 이러한 탈염 효과에 의해 탈취(deplete)되기 때문에 냉각 효과를 증대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용액으로부터 이온을 소제 또는 탈취하는 물질은 생리 식염수내의 자유 나트륨 이온 레벨을 측정가능하게 저하시킬 수 있는 임의의 물질이다.
양극성 SAM은 적어도 하나의 기본 수분-흡수 수지의 적어도 하나의 미세도메인(microdomain)과 접촉하거나 밀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분-흡수 수지의 적어도 하나의 개별 미세도메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성 SAM 입자는, 입자를 통해 분산된 산성 수분-흡수 수지 및(또는) 기본 수분-흡수 수지로 이루어진 복수의 미세도메인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바람직한 양극성 초흡수 재료는 2000년 12월 12일자로 Beihoffer 등에게 허여되고 발명의 명칭이 "다성분 초흡수 겔 입자"인 미국 특허 제6,159,59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모노머 종들은, 수팽윤성(water swellable)이지만 불용성인 양이온 및 음이온 중합체로 중합 및 가교결합된 후 함께 혼합됨으로써 체액 흡수시 상호 작용한다. 두 개의 중합체 형태는 각각의 종의 개별 입자와 같은 큰 도메인으로서, 또는 양이온 및 음이온 중합체 도메인이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로 존재하는 동일 입자를 포함하는 미세 도메인으로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등급의 흡수 중합체는 종래의 폴리(아크릴산) 초흡수제가 실제로 그러하듯이 통상 중화되지 않는다. 염분 함유 액체가 양이온 중합체 성분과 관련한 염으로부터의 음이온 및 음이온 중합체 성분과 관련한 염으로부터의 양이온을 갖는 양극성 흡수 조성물과 접촉할 때 중화가 발생한다.
이들 샘플에서의 두 중합체 형태는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비닐 아민)이다. 합성 음이온 중합체의 다른 예로는 폴리(메타크릴산), 가수분해된 폴리(아크릴아미드), 비닐 에테르 및 알파-올레핀을 구비한 무수말레산 코중합체, 폴리(비닐 아세트산), 폴리(비닐 황산), 폴리(비닐 인산), 폴리(비닐 에테르), 폴리(비닐 피롤리딘), 폴리(비닐모르폴리논), 폴리(비닐 알콜), 및 그 혼합물과 코중합체가 포함될 수 있다. 천연 기초 음이온 중합체의 예로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 전분, 알긴산염, 및 카라기난이 포함된다. 음이온 중합체의 다른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아스파라긴산 및 폴리글루타민산과 같은 합성 폴리펩티드가 포함된다. 대안적인 합성 양이온 중합체에는 폴리(알릴아민), 폴리(에틸렌 이민), 폴리(아미노 프로파놀 비닐 에테르), 폴리(아크릴아미도프로필 트리메틸 염화암모늄), 폴리(디알릴디메틸 염화암모늄)이 포함된다. 천연 기초 양이온 중합체의 예로는 부분 디아세틸레이티드 키틴, 키토산, 및 키토산염이 포함된다. 또한 폴리아스파라긴, 폴리리신, 폴리글루타민, 폴리아르기닌과 같은 합성 폴리펩티드가 양이온 중합체의 예가 될 수 있다.
습윤 지시자(45)의 흡수체(93)가 비양극성(non-bipolar) SAM을 포함하는 일 실시태양에서, 온도 변화제(112)는 (수분을 흡수하여 딱딱해지기 위한 비양극성 SAM의 능력에 유해한 1가(mono-valent) 양이온을 포함하는) 나트륨이 거의 없다. 보다 구체적으로, 온도 변화제(112)는 칼슘, 마그네슘, 등과 같은 다가 양이온을 갖는 흡열성 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온도 변화제(112)는 SAM 분자 사슬 사이의 가교결합을 증대시킴으로써 비양극성 SAM의 흡수능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이러한 가교결합은 또한 SAM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흡수체(93)는 소변 흡수시 더 딱딱해지며, 따라서 습윤 지시자(45)의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원에서는 습윤 지시자(45)가 주로 아동 배변연습용 팬티(20)에 사용되는 내용을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습윤 지시자(45)는 또한 그것이 흡수성이거나 비흡수성이거나 간에 또한 일회용이거나 재사용가능하거나 간에, 속옷이나 다른 재사용가능한 가먼트, 기저귀, 의료용 가먼트, 붕대, 여성용 위생 제품, 성인용 실금 제품 등과 같은 다른 제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또는 그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소자들을 설명할 때, 관사 및 정관사는 소자가 단수 또는 복수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포함한다", "구비한다", "갖는다"라는 용어는 포괄적으로 사용된 것이며, 열거된 소자들 외의 추가적인 소자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지만, 전술한 내용에 포함되거나 첨부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8)

  1. 착용자의 체액 분비물을 흡수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흡수능 구배를 갖는 흡수 구조물; 및
    상기 체액 분비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액 분비물에 반응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촉감을 부여하는 습윤 지시자
    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습윤 지시자가 상기 흡수능 구배를 갖는 흡수 구조물의 일부분에 대해 흡수 구조물이 습윤 지시자의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습윤 지시자의 위치로부터 연장될수록 흡수 구조물의 흡수능이 증가하도록 위치하는 것인, 착용자에게 착용자의 체액 분비물 방출을 경고할 수 있는 개인 착용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습윤 지시자가 흡수 구조물과 중첩된 관계에 있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3. 제1항에 있어서, 습윤 지시자가 흡수 구조물과 가장자리 대향(edge-facing-edge) 관계로 배열되어, 흡수 구조물이 습윤 지시자에 근접한 흡수 구조물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흡수 구조물의 흡수능이 증가하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4. 제3항에 있어서, 습윤 지시자에 근접한 흡수 구조물의 가장자리가 습윤 지시자와 인접하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5. 제3항에 있어서, 흡수 구조물이, 습윤 지시자와 습윤 지시자에 근접한 흡수 구조물의 가장자리 사이에 갭(gap)을 형성하도록 습윤 지시자와 이격된 관계에 있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6. 제5항에 있어서, 갭이 5mm 내지 30mm 범위의 폭을 갖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7. 제3항에 있어서, 흡수 구조물이 상호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 흡수 구조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흡수 구조물 부재 사이에는 습윤 지시자가 이들과 가장자리 대향 관계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흡수 구조물 부재중 하나 이상이 흡수능 구배를 가지고, 이때 상기 흡수 구조물 부재의 흡수능이 제1 및 제2 흡수 구조물 부재중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로부터 습윤 지시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8. 제1항에 있어서, 착용하는 동안 착용자의 피부와 인접한 관계로 형성된 라이너(liner), 및 외부 커버(cover)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때 상기 라이너와 외부 커버 사이에 습윤 지시자가 배치되어 있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9. 제1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허리 주위에 착용하도록 구성되고, 전방부, 후방부, 및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를 연결하고 이들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랑이부를 가지며, 이때 상기 가랑이부 내에 습윤 지시자가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10. 제1항에 있어서, 흡수 구조물의 흡수능 구배가 흡수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르는 흡수 구조물의 밀도 구배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되어, 흡수 구조물이 습윤 지시자의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습윤 지시자의 위치로부터 연장될수록 흡수 구조물의 밀도가 증가하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11. 제1항에 있어서, 흡수 구조물이 흡수 섬유와 초흡수 재료를 포함하고, 흡수 구조물의 흡수능 구배가 흡수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르는 흡수 구조물의 초흡수 재료 농도 구배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되어, 흡수 구조물이 습윤 지시자의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습윤 지시자의 위치로부터 연장될수록 흡수 구조물 내의 초흡수 재료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습윤 지시자의 위치 및 그에 인접한 위치중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의 흡수 구조물의 일부분에는 초흡수 재료가 없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13. 제1항에 있어서, 착용자에 의해 체액 분비물이 방출될 때 이를 흡인하여 습윤 지시자 쪽으로 채널(channel) 유동시키기 위해 습윤 지시자 및 흡수 구조물에 대해 배열되는 자유-액체 유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개인 착용 제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자유-액체 유지 부재가 압축된 스폰지를 포함하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15. 제1항에 있어서, 습윤 지시자가 액체 투과성 외피와 이 액체 투과성 외피 내의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체는 체액 분비물을 흡수시 팽창할 수 있으며, 상기 외피는 상기 흡수체의 팽창을 제한하여, 체액 분비물이 흡수체에 의해 흡수될 때 습윤 지시자가 딱딱해져 착용자의 피부에 촉감을 부여하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착용자에게 착용자의 체액 분비물 방출을 경고하기 위해 제품에 의해 수용된 체액 분비물에 반응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온도 변화 감지를 촉진시키는 온도 변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개인 착용 제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습윤 지시자의 흡수체가 양극성 초흡수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18. 제17항에 있어서, 온도 변화제가 습윤 지시자 구조물의 액체 투과성 외피 상에 또는 외피 내에 또는 둘 다에 배치되는 입자 형태인 개인 착용 제품.
  19. 제17항에 있어서, 온도 변화제가 흡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20. 제19항에 있어서, 흡열 재료가 염인 개인 착용 제품.
  21. 제20항에 있어서, 흡열 염이 다가 양이온을 갖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22. 제16항에 있어서, 습윤 지시자의 흡수체가 용액으로부터 이온을 탈취하는 이온 소제 성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함유하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23. 착용자의 체액 분비물을 흡수하도록 형성된 흡수 구조물; 및
    상기 체액 분비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액 분비물에 반응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촉감을 부여하며, 상기 흡수 구조물과 이격된 관계로 배치되어 흡수 구조물과의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습윤 지시자
    를 포함하는, 착용자에게 착용자의 체액 분비물 방출을 경고할 수 있는 개인 착용 제품.
  24. 제23항에 있어서, 갭이 1mm 내지 30mm 범위의 폭을 갖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25. 제23항에 있어서, 갭이 3mm 내지 10mm 범위의 폭을 갖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26. 제23항에 있어서, 습윤 지시자가 흡수 구조물과 가장자리 대향 관계로 배열되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27. 제26항에 있어서, 흡수 구조물이 종축을 가지고, 습윤 지시자가 상기 흡수 구조물과 가장자리 대향 관계로 흡수 구조물로부터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28. 제23항에 있어서, 흡수 구조물이 상호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 흡수 구조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흡수 구조물 부재 사이에는 습윤 지시자가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흡수 구조물 부재 중 하나 이상이 습윤 지시자로부터 이격되어 습윤 지시자와 제1 및 제2 흡수 구조물 부재 중 하나 이상의 사이에 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29. 제2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흡수 구조물 부재 각각이 습윤 지시자로부터 이격되어 이들 사이에 각각의 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30. 제23항에 있어서, 착용하는 동안 착용자의 피부와 인접한 관계로 형성된 라이너, 및 외부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때 상기 라이너와 외부 커버 사이에 습윤 지시자가 배치되어 있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31. 제23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허리 주위에 착용하도록 구성되고, 전방부, 후방부, 및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를 연결하고 이들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랑이부를 가지며, 이때 상기 가랑이부 내에 습윤 지시자가 배치되어 있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32. 제23항에 있어서, 착용자에 의해 체액 분비물이 방출될 때 이를 흡인하여 습윤 지시자 쪽으로 채널 유동시키기 위해 습윤 지시자 및 흡수 구조물에 대해 배열되는 자유-액체 유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개인 착용 제품.
  33. 제23항에 있어서, 습윤 지시자가 액체 투과성 외피와 이 액체 투과성 외피 내의 흡수체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체는 체액 분비물을 흡수시 팽창할 수 있으며, 상기 외피는 상기 흡수체의 팽창을 제한하여, 체액이 흡수체에 의해 흡수될 때 습윤 지시자가 딱딱해져 착용자의 피부에 촉감을 부여하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34. 액체 투과성 외피;
    체액 분비물을 흡수하기 위해 상기 액체 투과성 외피 내에 배치되고 체액 분비물 흡수시 팽창할 수 있는 흡수체; 및
    체액 분비물에 반응하여 체액 분비물의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온도 변화 감지를 촉진시키는 온도 변화제
    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외피가 상기 흡수체의 팽창을 제한하여 흡수체가 체액 분비물을 흡수할 때 습윤 지시자가 딱딱해지며, 습윤 지시자의 흡수체에 의해 흡수된 체액 분비물이 흡수체에 의해 체액 분비물이 흡수되기 전 또는 흡수될 때 또는 둘 다에서 상기 온도 변화제에 의해 온도가 변화되도록 상기 온도 변화제가 상기 액체 투과성 외피 상에 또는 외피 내에 또는 둘 다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착용자에게 개인 착용 제품으로의 착용자의 체액 분비물 방출을 경고하기 위해 개인 착용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습윤 지시자.
  35. 제34항에 있어서, 온도 변화제가 흡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습윤 지시자.
  36. 제35항에 있어서, 흡열 재료가 염인 습윤 지시자.
  37. 제36항에 있어서, 흡열 염이 다가 양이온을 갖는 것인 습윤 지시자.
  38. 제34항에 있어서, 온도 변화제가 요소, 질산암모늄, 아세트산나트륨, 질산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염화칼슘-6H2O, 염화나트륨, 브롬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탄산나트륨, 황산나트륨, 인산나트륨, 질산칼륨, 염화암모늄, 염화칼륨, 황산마그네슘 및 자일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입자 형태인 습윤 지시자.
  39. 제34항에 있어서, 온도 변화제가 염인 습윤 지시자.
  40. 제39항에 있어서, 흡수체가 양극성 초흡수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습윤 지시자.
  41. 제34항에 있어서, 온도 변화제가 체액 분비물에 가용성이고, 온도 변화제가 상기 체액 분비물에 용해될 때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것인 습윤 지시자.
  42. 제34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신체와 인접한 관계로 형성된 라이너, 외부 커버, 및 상기 라이너와 외부 커버 사이에 배치된 습윤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품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습윤 지시자.
  43. 제34항에 있어서, 외피가 흡수체가 배치되는 내부를 한정하고, 습윤 지시자가 외피의 내부 내에서 상기 흡수체와 분리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구획을 추가로 포함하며, 온도 변화제가 상기 하나 이상의 구획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습윤 지시자.
  44. 제43항에 있어서, 외피의 내부에서 하나 이상의 구획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구획을 흡수체로부터 분리하는 액체 불투과성인 패널(panel)을 추가로 포함하는 습윤 지시자.
  45. 착용자의 피부와 인접한 관계로 형성된 라이너;
    외부 커버;
    상기 라이너와 외부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액체 투과성 외피, 및 착용자의 체액 분비물 흡수시 팽창할 수 있는 상기 액체 투과성 외피 내의 흡수체를 포함하는 습윤 지시자; 및
    체액 분비물에 반응하여 체액 분비물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온도 변화제
    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외피가 상기 흡수체의 팽창을 제한하여, 흡수체가 체액 분비물을 흡수할 때 습윤 지시자가 딱딱해지며, 습윤 지시자의 흡수체에 의해 흡수된 체액 분비물이 습윤 지시자의 흡수체에 의해 체액 분비물이 흡수되기 전 또는 흡수될 때 또는 둘 다에서 상기 온도 변화제에 의해 온도가 변화되도록 상기 온도 변화제가 상기 습윤 지시자에 대해 배치되어 있는 것인, 착용자에게 착용자의 체액 분비물 방출을 경고할 수 있는 개인 착용 제품.
  46. 제45항에 있어서, 온도 변화제가 습윤 지시자의 외피 내부 이외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47. 제46항에 있어서, 온도 변화제가 라이너 내에 배치되거나 라이너와 습윤 지시자 사이에 또는 둘 다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48. 제45항에 있어서, 온도 변화제가 흡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49. 제48항에 있어서, 흡열 재료가 염인 개인 착용 제품.
  50. 제49항에 있어서, 흡열 염이 다가 양이온을 갖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51. 제45항에 있어서, 온도 변화제가 요소, 질산암모늄, 아세트산나트륨, 질산나트륨, 티오황산나트륨, 염화칼슘-6H2O, 염화나트륨, 브롬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탄산나트륨, 황산나트륨, 인산나트륨, 질산칼륨, 염화암모늄, 염화칼륨, 황산마그네슘 및 자일리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입자 형태인 개인 착용 제품.
  52. 제45항에 있어서, 온도 변화제가 염인 개인 착용 제품.
  53. 제52항에 있어서, 흡수체가 양극성 초흡수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54. 제45항에 있어서, 온도 변화제가 체액 분비물에 가용성이고, 온도 변화제가 상기 체액 분비물에 용해될 때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것인 개인 착용 제품.
  55. 개인 착용 제품에 체액 분비물이 수용될 때 체액 분비물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단계;
    상기 체액 분비물의 온도가 변화된 후에 또는 변화되는 동안 또는 둘 다에서 체액 분비물을 상기 제품에 흡수시키는 단계; 및
    변화된 온도를 갖는 체액 분비물이 흡수되었을 때 상기 제품의 적어도 일부분을 팽윤시키거나 딱딱해지게 하여 상기 제품의 일부분을 착용자의 피부와 열전도성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온도 변화 감지를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 착용 제품의 착용자에게 상기 제품으로의 착용자의 체액 분비물의 방출을 경고하기 위한 방법.
  56. 제55항에 있어서, 제품이 체액 분비물에 반응하여 체액 분비물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온도 변화제를 가지며, 상기 체액 분비물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단계가 체 액 분비물을 온도 변화제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체액 분비물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단계가 체액 분비물에 용해될 때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온도 변화제를 체액 분비물에 용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58. 제55항에 있어서, 체액 분비물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단계가 체액 분비물의 온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057023047A 2003-06-16 2004-02-11 습윤 지시자가 구비된 개인 착용 제품 KR101092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62,166 US20040254549A1 (en) 2003-06-16 2003-06-16 Personal wear article with wetness indicator
US10/462,166 2003-06-16
PCT/US2004/004066 WO2005004771A1 (en) 2003-06-16 2004-02-11 Personal wear article with wetness indic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800A KR20060027800A (ko) 2006-03-28
KR101092764B1 true KR101092764B1 (ko) 2011-12-09

Family

ID=3351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3047A KR101092764B1 (ko) 2003-06-16 2004-02-11 습윤 지시자가 구비된 개인 착용 제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40254549A1 (ko)
EP (1) EP1633296B2 (ko)
KR (1) KR101092764B1 (ko)
BR (1) BRPI0410966A (ko)
DE (1) DE602004015782D1 (ko)
MX (1) MXPA05012996A (ko)
WO (1) WO20050047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8579A1 (en) 1998-12-18 2001-08-30 Walter Klemp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having stretchable side waist regions
US20040254549A1 (en) * 2003-06-16 2004-12-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wear article with wetness indicator
US7250548B2 (en) * 2003-06-16 2007-07-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temperature change member disposed on the outer cover and between absorbent assembly portions
US20050192205A1 (en) * 2004-02-27 2005-09-01 Toan Trinh Multiple use fabric conditioning article with replacement indicium
US8129582B2 (en) 2004-12-29 2012-03-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 temperature change member
US20060293632A1 (en) * 2004-12-29 2006-12-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 non-abrasive temperature change member
US20060142716A1 (en) * 2004-12-29 2006-06-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 non-abrasive temperature change member
US20060142713A1 (en) * 2004-12-29 2006-06-29 Long Andrew M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 temperature change member
US7956235B2 (en) 2004-12-29 2011-06-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 temperature change member
US20060149204A1 (en) * 2004-12-30 2006-07-06 Niemeyer Michael J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bsorbent core exhibiting planar growth when wet
US7750202B2 (en) * 2004-12-30 2010-07-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interactive graphics
US9579238B2 (en) 2005-02-17 2017-0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s capable of taking complex three-dimensional shape in use
US8211078B2 (en) 2005-02-17 2012-07-0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s capable of taking complex three-dimensional shape in use
US7632978B2 (en) 2005-04-29 2009-12-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n endothermic temperature change member
US7915476B2 (en) * 2005-08-31 2011-03-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or interactive toilet training
WO2007044569A2 (en) * 2005-10-06 2007-04-19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Wetness indicating composition
US7297835B2 (en) 2005-10-07 2007-1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 temperature change member
US20070083173A1 (en) * 2005-10-07 2007-04-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 temperature change member
US7432413B2 (en) 2005-12-16 2008-10-0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side panels with structurally, functionally and visually different regions
WO2007073254A1 (en) * 2005-12-21 2007-06-28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liquid-permeable material layer
US8664467B2 (en) 2006-03-31 2014-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feedback signal upon urination
US8057450B2 (en) 2006-03-31 2011-1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sensation member
US8491558B2 (en) 2006-03-31 2013-07-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egnated sensation material for toilet training
US7910797B2 (en) 2006-09-18 2011-03-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a sensation aspect
US8604268B2 (en) * 2006-09-29 2013-12-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nsor and associated articles for toilet training
US8697933B2 (en) * 2006-09-29 2014-04-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oilet training using sensor and associated articles
EP2088979A2 (en) 2006-12-04 2009-08-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graphics
US8338659B2 (en) * 2007-04-30 2012-12-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leakage warning
US7883495B2 (en) * 2007-05-24 2011-02-08 First Quality Retail Services, Ll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and polymer film having odor control and/or skin health agents
US8383875B2 (en) 2007-08-30 2013-02-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ness indicator with hydrophanous element for an absorbent article
US20090157022A1 (en) * 2007-12-13 2009-06-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a wetness indicator
JP4536814B2 (ja) * 2007-12-28 2010-09-01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N101909565B (zh) * 2007-12-28 2013-03-13 大王制纸株式会社 一次性尿布
US8044258B2 (en) * 2008-06-27 2011-10-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leakage warning
US8324445B2 (en) 2008-06-30 2012-12-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llection pouches in absorbent articles
US20100145294A1 (en) * 2008-12-05 2010-06-10 Xuedong Song Three-dimensional vertical hydration/dehydration sensor
US20100152689A1 (en) * 2008-12-15 2010-06-17 Andrew Mark Long Physical sensation absorbent article
US9452090B2 (en) * 2008-12-30 2016-09-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gender specific indicia
MX2011007131A (es) * 2008-12-30 2011-10-28 Procter & Gamble Articulos desechables para llevar puestos con marcas distintivas especificas de genero.
US8552250B2 (en) 2008-12-30 2013-10-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multiple indicating widths
US8859839B2 (en) * 2008-12-30 2014-10-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gender specific indicating
US20100168701A1 (en) * 2008-12-30 2010-07-01 Mattias Schmidt Absorbent Articles With Primary and Secondary Indicia
US8674168B2 (en) * 2008-12-30 2014-03-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multiple indicating colors
US8383876B2 (en) * 2008-12-30 2013-02-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patterns of indicating
US9895272B2 (en) 2008-12-30 2018-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primary and secondary indicating
JP5569921B2 (ja) * 2009-02-02 2014-08-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20110144602A1 (en) * 2009-12-11 2011-06-16 Andrew Mark Long Absorbent Article With Shorter Rise And Tactile Training Cue
US9907707B2 (en) 2011-06-03 2018-03-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nsor systems comprising auxiliary articles
EP2535060B1 (en) * 2011-06-17 2014-02-1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hydratable non-deliquescent inorganic salts
US10562281B2 (en) 2011-08-02 2020-02-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oling signal device for use in an absorbent article
WO2013170433A1 (en) 2012-05-15 2013-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characteristic waist end
EP3421664B1 (en) 2012-08-10 2020-06-17 International Paper Company Fluff pulp and high sap loaded core
US8734419B2 (en) 2012-09-14 2014-05-27 The Natural Baby Company, LLC Cloth training diaper
US20140200539A1 (en) * 2013-01-15 2014-07-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ray of absorbent articles having functional enhancement indicators
JP6214895B2 (ja) * 2013-03-29 2017-10-18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GB2578841B (en) 2013-08-08 2020-09-30 Procter & Gamble Sensor systems for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sensor gates
WO2015056018A1 (en) 2013-10-18 2015-04-23 Bodychillz Limited Cooling device
US9820897B2 (en) * 2015-12-28 2017-11-21 Veronica Lee Berry Composite liquid-retentive substrate for a hygiene article
JP7045626B2 (ja) * 2016-02-17 2022-04-01 パラソル・メディカル・エルエルシー 患者の動き及び失禁通知デバイス
WO2017151710A1 (en) 2016-03-01 2017-09-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adapted for collection of uncontaminated and intact stool sample from an infant
WO2017151712A1 (en) 2016-03-01 2017-09-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product adapted for collection of urine sample from an infant
US10285871B2 (en) 2016-03-03 2019-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sensor
US10578559B2 (en) * 2016-03-04 2020-03-03 Apple Inc. Liquid contact indicator
WO2019005650A1 (en) 2017-06-27 2019-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YER PRODUCT FOR COLLECTING A SAMPLE OF INFANT EXUDATE
WO2019005451A1 (en) 2017-06-27 2019-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FIGU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VISUALIZATION AND SAMPLING OF BODY EXPRESSION
US10470689B2 (en) 2017-08-10 2019-11-12 Parasol Medical, Llc Patient movement and incontinence notification system
EP3787583A1 (en) 2018-05-04 2021-03-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nsor devices and systems for monitoring the basic needs of an infant
US11051996B2 (en) 2018-08-27 2021-07-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nsor devices and systems for monitoring the basic needs of an infant
CN110251315A (zh) * 2019-07-03 2019-09-20 湖北宝灿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含有吸水珠防渗漏的婴儿纸尿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2376A (en) 1994-12-22 1997-12-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oilet training aid providing a temperature and dimensional change sensation
DE19745878C1 (de) 1997-10-17 1998-12-10 Hartmann Paul Ag Windel mit Nässeindikator

Family Cites Families (9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5827A (en) * 1965-03-30 1968-04-02 Kimberly Clark Co Sanitary napkin with flow control element
US3849241A (en) * 1968-12-23 1974-11-19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Non-woven mats by melt blowing
US3918454A (en) * 1973-03-02 1975-11-11 Miklos B Korodi Soilage-indicating diaper
US4231370A (en) * 1979-06-18 1980-1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type garment having wetness indicator
US4375448A (en) * 1979-12-21 1983-03-01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web of air-laid dry fibers
US4449979A (en) 1980-08-26 1984-05-22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Absorbent structure having gradient densities
US4507121A (en) * 1983-05-02 1985-03-26 Leung Martin C Disposable diaper with isolated wetness indicator
US4960477A (en) * 1983-12-01 1990-10-02 Mcneil-Ppc, Inc. Disposable diaper with folded absorbent batt
US4699619A (en) * 1984-08-31 1987-10-13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structure designed for absorbing body fluids
US4604313A (en) * 1984-04-23 1986-08-05 Kimberly-Clark Corporation Selective layering of superabsorbents in meltblown substrates
US4655757A (en) * 1984-04-23 1987-04-07 Kimberly-Clark Corporation Selective layering of superabsorbents in meltblown substrates
US4578066A (en) * 1984-05-29 1986-03-25 Kimberly-Clark Corporation Incontinent garment, catamenial device or wound dressing
US4653491A (en) * 1984-06-20 1987-03-31 Nippon Kodoshi Corporation Water content sensing and informing system for a disposable diaper
CA1341430C (en) * 1984-07-02 2003-06-03 Kenneth Maynard Enloe Diapers with elasticized side pockets
NZ215904A (en) * 1985-04-26 1988-06-30 Johnson & Johnson Prod Inc Disposable diaper with water dispersible wetness indicator
US4663220A (en) * 1985-07-30 1987-05-05 Kimberly-Clark Corporation Polyolefin-containing extrudabl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formation into elastomeric products including microfibers
US4673403A (en) * 1985-10-30 1987-06-16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and pad allowing improved placement of catamenial device
US4761258A (en) * 1985-12-10 1988-08-02 Kimberly-Clark Corporation Controlled formation of light and heavy fluff zones
US4781962A (en) * 1986-09-09 1988-11-01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cover material for absorbent articles and the like
US4834733A (en) * 1987-11-12 1989-05-30 Kimberly-Clark Corporation Fluid activated mechanical absorbency gauge
US4940464A (en) * 1987-12-16 1990-07-10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incontinence garment or training pant
CA1321062C (en) * 1988-04-21 1993-08-10 Stanley Roy Kellenberger Absorbent products containing hydrogels with ability to swell against pressure
US5147343B1 (en) * 1988-04-21 1998-03-17 Kimberly Clark Co Absorbent products containing hydrogels with ability to swell against pressure
US5226992A (en) * 1988-09-23 1993-07-13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a composite elastic necked-bonded material
US5178139A (en) * 1990-03-05 1993-01-12 Stephen P. Angelillo Absorbent pad and thermal pack
US5224405A (en) * 1990-04-06 1993-07-06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cess for rotating and placing a strip of material on a substrate
US5104116A (en) * 1990-04-06 1992-04-14 Kimberly-Clark Corporation Applicator apparatus and process for rotating and placing a strip of material on a substrate
US5046272A (en) * 1990-05-01 1991-09-10 Kimberly-Clark Corporation Fluid-operated stabilizing apparatus and method
US4994037A (en) 1990-07-09 1991-02-19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structure designed for absorbing body fluids
EP0525245A1 (en) * 1991-08-01 1993-02-03 NOVAMONT S.p.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FR2682591A1 (fr) * 1991-10-16 1993-04-23 Proteco Sarl Couche-culotte a haut pouvoir absorbant.
WO1993013736A1 (fr) * 1992-01-13 1993-07-22 Uni-Charm Co., Ltd. Serviette hygienique
US5235515A (en) * 1992-02-07 1993-08-10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utting and placement of components on a moving substrate
US5236428A (en) * 1992-03-19 1993-08-17 Paragon Trade Brands,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uxillary absorbent member having standing leg gathers
CA2090795A1 (en) * 1992-11-19 1994-05-20 Donald Joseph Sanders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absorbent materials in an absorbent product
MX213505B (ko) * 1993-02-24 2003-04-03
JP3437183B2 (ja) * 1993-06-23 2003-08-18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選択的に膨張可能または膨らまし可能な構成部品を備えた使い捨て吸収性物品
US5713881A (en) * 1993-10-22 1998-02-03 Rezai; Ebrahim Non-continuous absorbent composites comprising a porous macrostructure of absorbent gelling particles and a substrate
US5425725A (en) * 1993-10-29 1995-06-20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hich includes superabsorbent material and hydrophilic fibers located in discrete pockets
CA2123329C (en) * 1993-12-17 2005-01-11 Mary Eva Garvie Weber Liquid absorbent material for personal care absorbent articles and the like
US5540672A (en) * 1994-06-13 1996-07-30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asymmetric leg elastics
US5494622A (en) * 1994-07-12 1996-02-27 Kimberly-Clark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zoned placement of superabsorbent material
US5702377A (en) * 1994-09-01 1997-12-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liner for child toilet training aid
US5681298A (en) 1994-12-22 1997-10-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oilet training aid creating a temperature change
ZA964746B (en) * 1995-06-07 1997-01-08 Kimberly Clark Co Absorbent article including liquid containment beam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575785A (en) * 1995-06-07 1996-11-19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liquid containment beams and leakage barriers
US5913851A (en) * 1995-06-07 1999-06-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liquid containment beams
US5769835A (en) * 1995-06-07 1998-06-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tubular, elasticized bumpers
US6126648A (en) * 1995-06-07 2000-10-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ized bumpers
US5609587A (en) * 1995-08-03 1997-03-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having a lotioned topsheet comprising a liquid polyol polyester emollient and an immobilizing agent
US5607760A (en) * 1995-08-03 1997-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lotioned topsheet containing an emollient and a polyol polyester immobilizing agent
US5681289A (en) * 1995-08-14 1997-10-28 Medicinelodge Inc. Chemical dispensing system
US5863288A (en) * 1995-09-29 1999-01-26 Paragon Trade Brands, Inc. Overlapped-style absorbent core structure comprising multiple storage and acquisition cells
US5658268A (en) * 1995-10-31 1997-08-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nhanced wet signal response in absorbent articles
JP3386644B2 (ja) * 1995-12-28 2003-03-17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5766389A (en) * 1995-12-29 1998-06-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gistered graphic and process for making
DE19607529A1 (de) * 1996-02-28 1997-09-04 Basf Ag Absorberelement aus superabsorbierenden Schäumen mit anisotropem Quellverhalten
JP3343191B2 (ja) * 1996-07-02 2002-1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トレーニングパンツ
JP3675601B2 (ja) * 1996-09-12 2005-07-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
SE507535C2 (sv) 1996-10-28 1998-06-15 Moelnlycke Ab Absorberande struktur med förbättrade absorptionsegenskaper
JP3325486B2 (ja) 1997-02-28 2002-09-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トレーニングパンツ
US5827253A (en) 1997-03-27 1998-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 material having high flux capabilities
DE69722460T3 (de) 1997-03-27 2008-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Absorbierender artikel mit verbesserten flüssigkeitsaufnahmeverhalten
US6072101A (en) 1997-11-19 2000-06-06 Amcol International Corporation Multicomponent superabsorbent gel particles
US5947943A (en) * 1998-02-02 1999-09-07 Lee; Frances Meiling Diaper visual indicator
US6162961A (en) * 1998-04-16 2000-12-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6284942B1 (en) * 1998-05-04 2001-09-04 Long Island Jewish Medical Center Confidence building incontinence pad
EP1091716B1 (en) * 1998-06-29 2003-08-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translational operative members
GB2350046B (en) * 1999-05-20 2002-12-18 British Sugar Plc Edible compositions containing trehalose
US6306412B1 (en) * 1999-08-13 2001-10-23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strip with an agent for inducing a temperature change
US6515194B2 (en) * 1999-12-23 2003-02-04 Ryan R. Neading Diaper having centrally-located chromatographic layer with peripherally-located wetness indicator
US8309789B2 (en) * 2000-06-13 2012-11-13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US6657099B1 (en) * 2000-10-25 2003-12-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heet for alerting a wearer to urination
US6867343B2 (en) * 2000-10-27 2005-03-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Odor control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US6605752B2 (en) 2000-10-30 2003-08-12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product with improved instantaneous liquid adsorption, and improved fit
JP3811010B2 (ja) * 2001-01-12 2006-08-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US6506958B2 (en) * 2001-01-26 2003-01-14 Playtex Products, Inc. Signal tampon
US6330735B1 (en) 2001-02-16 2001-12-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aratus and process for forming a laid fibrous web with enhanced basis weight capability
US6642427B2 (en) * 2001-05-14 2003-1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a temperature change element
US6627786B2 (en) 2001-11-26 2003-09-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a wetness sensation member
US20030139291A1 (en) 2001-12-04 2003-07-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composites having cooling effect
DE10161495B4 (de) * 2001-12-14 2005-06-02 Stockhausen Gmbh Absorbierende Hygieneartikel mit Einnässindikator
US6887496B2 (en) * 2001-12-20 2005-05-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ducts for controlling microbial organic compound production
US20030130636A1 (en) * 2001-12-22 2003-07-10 Brock Earl David System for improving skin health of absorbent article wearers
US7767875B2 (en) * 2001-12-31 2010-08-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ness indicator for alerting a wearer to urination
US7176344B2 (en) * 2002-09-06 2007-02-13 Sca Hygiene Products Ab Sensoring absorbing article
DE60334183D1 (de) * 2002-09-18 2010-10-28 Toray Industries Faserplat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20040185093A1 (en) * 2003-03-18 2004-09-23 Szymczak Christopher E. Compositions containing sucralose
US20040254550A1 (en) * 2003-06-16 2004-12-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emperature change element for use in personal care products
US20040254549A1 (en) * 2003-06-16 2004-12-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wear article with wetness indicator
US7250548B2 (en) * 2003-06-16 2007-07-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temperature change member disposed on the outer cover and between absorbent assembly portions
US7662745B2 (en) * 2003-12-18 2010-02-16 Kimberly-Clark Corporation Stretchable absorbent composites having high permeability
US20050148961A1 (en) * 2003-12-29 2005-07-07 Sosalla Paula M. Article featuring an interior graphic
US7002055B2 (en) * 2004-04-13 2006-02-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oilet training article containing a foaming agent
US7772456B2 (en) * 2004-06-30 2010-08-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etchable absorbent composite with low superaborbent shake-out
US7247215B2 (en) * 2004-06-30 2007-07-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absorbent articles having shaped absorbent cores on a substrate
US20060142713A1 (en) * 2004-12-29 2006-06-29 Long Andrew M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 temperature change member
US7632978B2 (en) * 2005-04-29 2009-12-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eaturing an endothermic temperature change memb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2376A (en) 1994-12-22 1997-12-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oilet training aid providing a temperature and dimensional change sensation
DE19745878C1 (de) 1997-10-17 1998-12-10 Hartmann Paul Ag Windel mit Nässeindik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33296B1 (en) 2008-08-13
US20070088303A1 (en) 2007-04-19
BRPI0410966A (pt) 2006-07-04
MXPA05012996A (es) 2006-03-16
US20040254549A1 (en) 2004-12-16
EP1633296A1 (en) 2006-03-15
KR20060027800A (ko) 2006-03-28
EP1633296B2 (en) 2012-02-08
WO2005004771A1 (en) 2005-01-20
DE602004015782D1 (de)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764B1 (ko) 습윤 지시자가 구비된 개인 착용 제품
EP1175880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containment dam
KR100345268B1 (ko) 개별포켓내에 위치하는 초흡수성재료 및 친수성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KR101197373B1 (ko) 온도 변화 부재를 갖는 흡수성 제품
EP2076227B1 (en) Absorbent article featuring leakage warning
US7250548B2 (en) Absorbent article with temperature change member disposed on the outer cover and between absorbent assembly portions
US6600086B1 (en) Breathable diaper outer cover with foam dampness inhibitor
US6121510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containment flaps
KR101660099B1 (ko) 옆으로 누운 누설 향상을 갖는 1회용 흡수성 물품
JP2001505803A (ja) 3次元縦方向封じ込めバリヤー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20000065119A (ko) 사용시자기형상화가능한통기성일회용흡수제품
KR20070090973A (ko) 불쾌하지 않은 온도 변화 부재를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KR20080053360A (ko) 온도 변화 부재를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KR20080053361A (ko) 온도 변화 부재를 특징으로 하는 흡수용품
KR100950361B1 (ko) 갭 형성 흡수성 패드를 갖는 흡수성 제품
KR20030044051A (ko) 빌트인 배수 기전을 가진 흡수 수영복
AU2005290286B2 (en) Disposable garment with system for reducing humidity
KR20030044052A (ko) 배수구를 갖는 흡수 수영복
JP2003116912A (ja) 吸収性物品
JP4093844B2 (ja) 吸収性物品
KR20180022788A (ko) 산소를 전달하는 흡수 용품 및 제조 방법
KR20200003919A (ko) 일회용 흡수 용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