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753B1 - 충돌 시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 장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충돌 시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 장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753B1
KR101092753B1 KR1020090120172A KR20090120172A KR101092753B1 KR 101092753 B1 KR101092753 B1 KR 101092753B1 KR 1020090120172 A KR1020090120172 A KR 1020090120172A KR 20090120172 A KR20090120172 A KR 20090120172A KR 101092753 B1 KR101092753 B1 KR 101092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gorithm
crash
door lock
vehic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3216A (ko
Inventor
신광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753B1/ko
Priority to US12/861,951 priority patent/US20110137507A1/en
Priority to DE102010037519A priority patent/DE102010037519A1/de
Priority to JP2010205608A priority patent/JP2011116350A/ja
Priority to CN2010102871121A priority patent/CN102085843A/zh
Publication of KR20110063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52Devices other than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 에어백이 미채택된 자동화 사양에서, 측면 충돌 시 차량의 도어를 자동으로 해제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속도 이상으로 운행하는 경우 차량의 도어가 자동으로 잠긴 상태에서 측면 에어백이 미채택된 경우에는 새롭게 추가되는 측면 충돌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Side Crash Algorithm)을 사용하여 충돌 도어락 해제(Crash Unlock)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차량 도어락을 해제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충돌 시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 장착 시스템{System Having Crash Unlock Algorithm}
본 발명은 충돌 시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 및 로직을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차량에 적용되어 있는 오토 도어락 장치는 차량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하게 되면 BCM(Body Control Module)이 신호를 보내 각 도어들을 자동으로 잠기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차량의 오토 도어락 장치는 고속 주행 상태에서 승객들의 실수나 부주의로 인해 도어가 열리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차량 충돌시에는 상기와 반대로 외부 사람들이 차량 내의 다친 승객을 구조하기 위해 도어가 언락되도록 하고 있다.
기존의 도어락 해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장착 자동차가 에어백 전개 수준의 충돌 사고가 발생한 경우, ACU(Airbag Control Unit)는 에어백 및 프리텐셔너를 전개시키게 되고, 크래쉬 아웃풋(Crash Output)을 출력하여 BCM에 그 신호를 전달한다. BCM은 크래쉬 아웃풋을 인식하여 액추에이터(Actuator) 를 작동시키게 되고 릴레이(Relay)가 작동을 하면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도어락을 해제시키게 된다.
즉, 종래의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이 발생하면 즉시 ACU는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그 값이 설정 값 이상이면, 즉시 BCM으로 도어락 해제 신호를 보내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종래의 도어락 해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차량의 측면에 에어백을 적용하지 않은 자동차의 경우 에어백 전개 판단이 이루어 지지 않으므로 ACU에서 도어락 해제 신호를 송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기계식 또는 전자식 센서를 적용하여 BCM에 충돌 신호를 송출하나 설치 비용 및 설치 공간의 문제점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측면 에어백이 미채택된 자동화 사양에서, 측면 충돌 시 차량의 도어를 자동으로 해제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속도 이상으로 운행하는 경우 차량의 도어가 자동으로 잠긴 상태에서 측면 에어백이 미채택된 경우에는 새롭게 추가되는 측면 충돌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Side Crash Algorithm)을 사용하여 충돌 도어락 해제(Crash Unlock)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차량 도어락을 해제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ACU(Airbag Control Unit), 상기 ACU에서 측정한 값과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알고리즘 및 상기 알고리즘을 통해 판단된 신호가 전달되는 BCM(Body Control Module)을 포함하는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 장착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CU(Airbag Control Unit)는 듀얼 가속도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 장착 시스템에서 측면 에어백을 적용한 경우는 상기 측면 에어백 전개 시 측면 충돌 알고리즘(Side Crash Algorithm) 신호를 송출하여 도어락을 해제하고, 측면 에어백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는 측면 충돌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Side Crash Unlock Algorithm) 신호를 송출하여 도어락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고리즘은 롤오버 알고리즘(Rollover Algorithm), 정면 충돌 알고리즘(Front Crash Algorithm), 측면 충돌 알고리즘(Side Crash Algorithm) 및 측면 충돌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Side Crash Unlock Algorith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고리즘이 동작한 후, 일정 시간 동안 리셋(reset) 수 이하일 경우에는 충돌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Side Crash Unlock Algorithm)을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측면 에어백이 미채택된 자동화 사양에서, 측면 충돌 시 차량의 도어를 자동으로 해제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속도 이상으로 운행하는 경우 차량의 도어가 자동으로 잠긴 상태에서 측면 에어백이 미채택된 경우에는 새롭게 추가되는 측면 충돌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Side Crash Algorithm)을 사용하여 충돌 도어락 해제(Crash Unlock)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차량 도어락을 해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알고리즘/로직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이 측면 에어백(Side Airbag) 사양을 갖춘 경우는 측면 충돌 센서(Side Impact Sensor)를 적용하여 측면 에어백의 전개 후, 도어락을 해제한다. 반면에, 차량이 측면 에어백 사양을 갖추지 못한 경우는 측면 충돌 센서가 적용되지 않고, ACU(Airbag Control Unit)가 그 내부에 'Y' 가속도 센서 장치를 이용하여 'Y' 가속도를 측정해서 충돌 시 도어락 해제 송출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ACU의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을 보면, 'Y' 가속도를 측정해서 일정 'G'값 이상 발생 시 알고리즘이 동작한다(S300)
이후, 알고리즘이 동작한 후, 일정 'G' 적분 값이 쓰레스홀드(Threshold, GT) 값의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S310) 여기서, 쓰레스홀드(Threshold, GT) 값은 윈도우(Window) 구간 내 적분 값을 의미한다. 이때, 알고리즘이 동작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연속해서 리셋(Reset) 숫자 이하일 경우이거나(S305), 일정 'G' 적분 값이 쓰레스홀드(Threshold, GT) 값의 이하일 경우(S310)에는 충돌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Side Crash Unlock Algorithm)을 리셋(reset)한다(S315)
상기 충돌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Side Crash Unlock Algorithm)을 리셋(reset)한 후, 'Y' 가속도를 측정해서 일정 'G'값 이상 발생 시 알고리즘이 다시 동작한다(S300)
반면에, 일정 'G' 적분 값이 쓰레스홀드(Threshold, GT) 값의 이상일 경우는 충돌 도어락 해제 신호를 송출한다(S320)
상기 충돌 도어락 해제 신호를 송출한 후, 모든 도어락을 해제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Actuator)가 작동된다(S33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 시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로직을 나타낸 도면이 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의 충돌이 발생하면 즉시 ACU(Airbag Control Unit, 400)는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한 값이 설정 값 이상이면, 알고리즘(410)이 작동된다. 이때, 알고리즘은 롤오버 알고리즘(Rollover Algorithm), 정면 충돌 알고리즘(Front Crash Algorithm), 측면 충돌 알고리즘(Side Crash Algorithm) 및 측면 충돌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Side Crash Unlock Algorithm)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알고리즘들을 통해 판단된 신호는 즉시 BCM(Body Control Module, 420)으로 도어 해제 신호를 보낸다.
본 발명은 측면 에어백이 미채택된 자동화 사양에서, 측면 충돌 시 차량의 도어를 자동으로 해제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속도 이상으로 운행하는 경우 차량의 도어가 자동으로 잠긴 상태에서 측면 에어백이 미채택된 경우에는 새롭게 추가되는 측면 충돌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Side Crash Algorithm)을 사용하여 충돌 도어락 해제(Crash Unlock)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차량 도어락을 해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성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락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락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알고리즘/로직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돌 시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로직을 나타낸 도면.

Claims (5)

  1.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ACU(Airbag Control Unit);
    상기 ACU에서 측정한 값과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판단하는 알고리즘; 및
    상기 알고리즘을 통해 판단된 신호가 전달되는 BCM(Body Control Module)
    을 포함하되, 상기 차량의 측면 에어백을 적용한 경우는 상기 측면 에어백 전개 시 측면 충돌 알고리즘(Side Crash Algorithm) 신호를 송출하여 도어락을 해제하고, 측면 에어백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는 측면 충돌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Side Crash Unlock Algorithm) 신호를 송출하여 도어락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 장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CU(Airbag Control Unit)는 듀얼 가속도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 장착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은 롤오버 알고리즘(Rollover Algorithm), 정면 충돌 알고리 즘(Front Crash Algorithm), 측면 충돌 알고리즘(Side Crash Algorithm) 및 측면 충돌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Side Crash Unlock Algorith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 장착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이 동작한 후, 일정 시간 동안 리셋(reset) 수 이하일 경우에는 충돌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Side Crash Unlock Algorithm)을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 장착 시스템.
KR1020090120172A 2009-12-04 2009-12-04 충돌 시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 장착 시스템 KR101092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172A KR101092753B1 (ko) 2009-12-04 2009-12-04 충돌 시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 장착 시스템
US12/861,951 US20110137507A1 (en) 2009-12-04 2010-08-24 System having crash unlock algorithm
DE102010037519A DE102010037519A1 (de) 2009-12-04 2010-09-14 System mit einem Aufprall-Entriegelungs-Algorithmus
JP2010205608A JP2011116350A (ja) 2009-12-04 2010-09-14 衝突時のドアロック解除アルゴリズム付きシステム
CN2010102871121A CN102085843A (zh) 2009-12-04 2010-09-16 具有碰撞解锁算法的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172A KR101092753B1 (ko) 2009-12-04 2009-12-04 충돌 시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 장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216A KR20110063216A (ko) 2011-06-10
KR101092753B1 true KR101092753B1 (ko) 2011-12-09

Family

ID=4397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172A KR101092753B1 (ko) 2009-12-04 2009-12-04 충돌 시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 장착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37507A1 (ko)
JP (1) JP2011116350A (ko)
KR (1) KR101092753B1 (ko)
CN (1) CN102085843A (ko)
DE (1) DE1020100375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550B1 (ko) * 2017-11-08 2022-10-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08791052A (zh) * 2018-05-31 2018-11-13 河南理工大学 校车安全综合预警系统
DE102019208564B4 (de) 2019-06-12 2023-08-1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 und Rettungssystem für die Verwendung in einem Fahrzeug
CN111140107A (zh) * 2019-12-31 2020-05-12 大陆汽车电子(连云港)有限公司 基于安全气囊控制器的解门锁装置及基于安全气囊控制器的解门锁方法
KR20220152828A (ko) * 2021-05-10 2022-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
DE102021206913A1 (de) 2021-07-01 2023-01-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Notentriegelungssystem für ein Fahrzeug
DE102021208068B4 (de) 2021-07-27 2024-04-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proaktiven Ansteuern eines Schließsystems eines Fahrzeug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9227B2 (ja) * 1991-09-30 1997-10-27 日本精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ク制御装置
JPH06234342A (ja) * 1993-02-10 1994-08-23 Toyota Motor Corp 衝突時集中制御装置
JP3186390B2 (ja) * 1993-12-27 2001-07-1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制御装置
JP3370218B2 (ja) * 1995-09-04 2003-01-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衝突時のドアロック解除装置
US5894906A (en) * 1996-11-08 1999-04-20 Weber; Harold J. Accident responsive safety release for a motor vehicle's rear door child-lock device
JP4215472B2 (ja) * 2002-09-13 2009-01-2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ドアアンロック制御装置
JP2006116986A (ja) * 2004-10-19 2006-05-11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20080007723A (ko) * 2006-07-18 2008-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록/언록 제어 방법
KR20090120172A (ko) 2008-05-19 2009-11-24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레벨커버로 덮인 하부구조를 갖는 방음벽
US20100007463A1 (en) * 2008-07-09 2010-01-14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le handle with control circuit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16350A (ja) 2011-06-16
DE102010037519A1 (de) 2011-06-09
KR20110063216A (ko) 2011-06-10
CN102085843A (zh) 2011-06-08
US20110137507A1 (en)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753B1 (ko) 충돌 시 도어락 해제 알고리즘 장착 시스템
US7484756B2 (en) Vehicle side impact crash detection for deployment of curtain and side airbags
EP1024977B1 (en) Crash detection system
US9421929B2 (en) Airbag deployme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20100042286A1 (en) Device and Method for Side Impact Detection in a Vehicle
CN102137775B (zh) 用于控制可致动的安全设备的方法和装置
EP14678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deployment of a safety restraint device in an occupant restraining system
US9334681B2 (en) Automatic door child safety lock release in a crash event
JP5797407B2 (ja) 車両における前面衝突をセンシングするための回路装置
KR101006094B1 (ko) 에어백 제어 장치
CN102052014B (zh) 汽车门锁控制系统
RU2016136082A (ru) Диагностирование датчика давления в конструкции кузов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5185396B2 (ja) 車両安全システム
CN106585489A (zh) 一种车辆安全开门的控制系统、方法及车辆
US201001797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vehicle side impact sensing with unit area impulse technique
CN110139780B (zh) 使用低计算开销检测车辆的轻度撞击
CN108216115B (zh) 用于控制车辆门锁系统的系统和方法
JP2004519383A (ja) 側面衝突センサ装置
JP4841520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制御装置
KR100747399B1 (ko) 사이드 에어백모듈의 제어방법
KR20080007723A (ko) 차량의 도어 록/언록 제어 방법
JP6893585B2 (ja) 自動車の非アクティブ化された動作状態の確定方法
KR100534304B1 (ko) 차량의 도난 및 충돌 감지시스템
KR100992541B1 (ko) 측면 에어백 시스템 제어방법
JP6940144B2 (ja) 車両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