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360B1 - 후석 소음 저감을 위한 서스펜션 마운팅부 하중 분산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후석 소음 저감을 위한 서스펜션 마운팅부 하중 분산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360B1
KR101092360B1 KR1020090082754A KR20090082754A KR101092360B1 KR 101092360 B1 KR101092360 B1 KR 101092360B1 KR 1020090082754 A KR1020090082754 A KR 1020090082754A KR 20090082754 A KR20090082754 A KR 20090082754A KR 101092360 B1 KR101092360 B1 KR 101092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liding door
load distribution
suspension moun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659A (ko
Inventor
최승찬
김기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2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360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센터 필러가 없는 슬라이딩 도어 방식을 적용한 차량의 리어부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센터 필러가 없는 슬라이딩 도어 방식의 차량이 가진 문제점인 결합 강성 취약으로 인한 서스펜션 마운팅부 차체와 도어의 과다한 변위발생 때문에 오는 진동 및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리어부 차체의 기본틀을 제공하는 쿼터 필러 이너 판넬,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과 이격되어 내부 공간을 갖도록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결합하는 사이드 아웃터 판넬,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의 외측면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 레일이 결합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이격된 내부 공간에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하중 분산 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마운팅부 하중 분산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서스펜션 마운팅, 하중 분산, 진동소음, NVH

Description

후석 소음 저감을 위한 서스펜션 마운팅부 하중 분산 결합 구조{Load dispersion combination structures of suspension mounting parts for noise reduction of a back seat}
본 발명은 센터 필러가 없는 슬라이딩 도어 방식을 적용한 차량의 리어부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센터 필러가 없는 슬라이딩 도어 방식의 차량이 가진 문제점인 결합 강성 취약으로 인한 서스펜션 마운팅부 차체와 도어의 과다한 변위발생 때문에 오는 진동 및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리어부 차체의 기본틀을 제공하는 쿼터 필러 이너 판넬,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과 이격되어 내부 공간을 갖도록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결합하는 사이드 아웃터 판넬,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의 외측면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 레일이 결합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이격된 내부 공간에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하중 분산 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마운팅부 하중 분산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운행함에 따라 소음 및 진동은 필수적으로 수반되기 마련이다. 다만, 최근들어 차량에 적용되는 기술이 점차 발전하고 저진동 및 저소음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Noise), 진동(Vibration) 및 충격(Harshness) 등을 분석하여 승차감을 극대화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NVH 해석을 통하여 소음 및 진동의 발생 및 저감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크게 2가지 종류로, 고체 전달음(structure-borne noise)과 공기 전달음(air-borne noise)으로 구분된다. 고체 전달음은 차량을 구성하고 있는 각종 구조물의 공진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으로 배기계, 구동계, 차체의 소음, 로드 노이즈(Road noise), 기타 보기류의 진동음 등이 있다. 공기 전달음은 차량을 구성하고 있는 구조물의 공진에 의하지 않고 각종 소음원으로부터 직접 차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으로, 엔진 투과음, 흡기음, 배기음, 타이어 패턴에 따른 소음(tire pattern noise), 브레이크 소음(brake squeal noise), 기어 소음(gear noise), 풍절음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차량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은 소음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즉, 고체 전달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으로는 완충 물질(Damping material)을 이용하여 진동원으로부터 진동 전달 절연하거나, 강성 증대 또는 질량 변경 등으로 공진 주파수 이동시키거나, 각 진동 모드간의 연성 정도를 확인하여 연성을 회피하거나, 보강재 및 제진재를 적용하고 흡진기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 다. 또한, 공기 전달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으로는 엔진 소음, 흡기계 소음, 배기계 소음 등 음원에서의 소음 발생을 감소시키거나, 차음재를 적용하고 마감을 철저히 하여 차음 대책을 마련하거나, 각종 방음재 및 흡음재를 적용하여 방음 대책을 마련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또한, 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가장 큰 원인은 엔진의 진동과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다. 상용 구간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차체의 고유진동수와 일치하면 공진(resonance)이 일어나 큰 진동과 충격이 발생하기 때문에, 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차체의 고유진동수를 피해서 제작하여야 한다. 진동의 종류로는 정지간의 진동 및 주행시의 진동이 있으며, 정지간의 진동은 공회전시 주로 발생되는 진동으로 휠 및 차체 바닥의 상하 진동(shake)을 말하고 오토매틱 차량이 수동차량보다 심각하게 나타나며, 주행시의 진동으로는 차량 주행시 발생되는 휠에서의 상하 방향 진동과 원주 방향 진동(shimmy) 및 차체 바닥의 상하 방향 진동(shake) 등이 있다.
이러한 차량 진동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원과 이를 전달하는 전달계, 전달된 진동을 최종적으로 이를 받아들여 현상으로 나타내는 응답계로써 크게 3단계로 나눌 수 있다. 즉, 엔진, 구동계, 흡기계, 냉각계, 배기계, 조향계, 현가계, 노면, 바람 등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원과 이를 전달하는 차량의 구조물과 지지계 등의 전달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응답계인 차체를 통해 진동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은 단순히 진동으로만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다시 공기를 매개로 하여 사람의 귀로 전달되는 소음으로 파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각각의 시스템 자체의 강성 해석을 통하여 목표 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각각의 시스템들의 고유 진동수 사이에 공진에 의한 진동이 유발되지 않도록 설계한다.
최근에는 경소형 SUV 차량에 슬라이딩 도어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개발되고 있으며, 차량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센터 필러(center pillar)를 없앤 구조를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센터 필러가 없는 구조를 사용하면 탑승자들의 승하차가 편리하고, 시야가 넓으며, 차량의 내부 공간을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차량의 상부와 하부 사이를 지지할 수 있는 필러가 없기 때문에 도어 개구부의 강성이 저하되어, 차량 전체 및 차체의 비틀림과 굽힘이 많아지게 되고 변형에 의한 소음이 증가하게 된다.
즉, 종래에 사용되던 센터 필러가 없는 슬라이딩 도어 방식으로는,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부로 하중이 입력될 때 슬라이딩 도어 개구부의 강성이 저하되어 차체의 변형이 많아지게 되고, 차체를 이루고 있는 쿼터 필러 이너 판넬(quarter pillar inner panel) 및 사이드 아웃터 판넬(side outer panel)과 그 내부에 존재하는 쿼터 필러 아웃터 레인포스(quarter pillar outer reinforce)에 의하여 상하 방향의 하중이 전달되어 지지가 가능하지만,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발생하는 하중에는 굉장히 취약하게 되어 차체의 진동 및 변형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후석은 발생하는 소음에 상대적으로 매우 불리하게 된다.
종래에도 사이드 아웃터 판넬 외부에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 레일(sliding door guide rail)이 부착되기는 하지만, 이는 슬라이딩 도어가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의 외측면에서 출입문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의 일부로 취급될 뿐, 그 결합 구조상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차체 강성 구조로 기능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차량을 편리하게 사용함과 동시에 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차체의 강성을 강화시키는 방안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도어 방식의 차량에 있어서, 승하차를 용이하게 하고 차량 내부 공간을 여유롭게 사용하기 위하여 센터 필러를 없애면서도, 슬라이딩 도어 개구부의 강성이 저하되어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부의 하중에 의한 차체 변형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여 후석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소음을 최소화 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은,
슬라이딩 도어 방식을 적용한 차량의 리어부 결합 구조에 있어서, 리어부 차체의 기본틀을 제공하는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과 이격되어 내부 공간을 갖도록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결합하는 사이드 아웃터 판넬(10),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의 외측면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 레일(40)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 레일(40)이 결합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이격된 내부 공간에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하중 분산 구조체(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 마운팅부 하중 분산 결합 구조를 구성하는 상기 하중 분산 구조체(50)는 'ㄷ'자형 좌우 박스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전후 절곡형 박스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스펜션 마운팅부를 통하여 차량에 입력되는 상하 방향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격된 내부 공간에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상하 방향으로 쿼터 필러 아웃터 레인포스(30)를 더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효과는,
슬라이딩 도어 차량에 있어서 센터 필러를 생략한 채로 차량을 제작하더라도,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부에 하중이 입력될 때 사이드 아웃터 판넬(10)과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 사이의 내부 공간에 각각의 측면이 고정 결합되는 하중 분산 구조체(50)를 더 삽입 결합함으로써 차체의 강성을 강화할 수 있고, 차량에 전달되는 전후 및 좌우 방향의 하중도 더욱 잘 견뎌낼 수 있으므로, 차체 서로간의 고정 및 결속을 강화하여 차체의 진동 및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차체의 진동 및 변형으로 인한 고체 전달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차량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켜 차체의 고유진동수와 일치하지 않도록 하여 공진형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차량 후석에서의 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부에 하중이 입력되더라도 상기 하중 분산 구조체를 통하여 그 하중을 분산시켜 차체에 가해지는 진동 및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어 높은 강성을 갖는 차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차량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고, 차량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므로 연비도 좋아지며, 센터 필러를 제거하여 차량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들이 차량에 승하차 하기가 용이해지며 차량의 내부 공간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 차량에 사용되는 서스펜션 마운팅부 하중 분산 결합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 센터 필러가 없는 슬라이딩 도어 방식을 적용한 차량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최근 경소형 SUV 차량에 슬라이딩 도어 방식을 적용함에 있어, 차량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하여 센터 필러(center pillar)를 없앤 구조를 활용하고 있다. 센터 필러가 없는 구조를 사용하면 탑승자들의 승하차가 편리하고, 시야가 넓으며, 차량의 내부 공간을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차량의 상부와 하부 사이를 지지할 수 있는 필러가 없기 때문에 도어 개구부의 강성이 저하되어 차량 전체 및 차체의 비틀림과 굽힘이 많아지게 되고,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발생하는 하중에는 굉장히 취약하게 되어 차체의 진동 및 변형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후석은 발생하는 소음에 상대적으로 매우 불리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 는 종래 기술인 센터 필러가 없는 슬라이딩 도어 방식을 적용한 차량의 리어부 중 사이드 아웃터 판넬(side outer panel, 10)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은 종래 기술인 센터 필러가 없는 슬라이딩 도어 방식을 적용한 차량의 리어부 중 사이드 아웃터 판넬(10)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 며, 도 4 는 도 3 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은 차량의 측면에서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차량의 프론트부의 일부에서부터 리어부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은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과 이격되어 내부 공간을 갖도록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결합한다.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에 사용되는 재질로는 주로 강(iron)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합금 등 녹이 슬지 않으며 무게가 가볍고 강성이 강한 재질이 사용된다.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은 창문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크기의 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별적인 차량 디자인에 맞게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 외부로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 레일(sliding door guide rail, 40)이 더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 레일(40)이 부착되는 면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은 내부로 오목하게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 레일(40)은 슬라이딩 도어가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의 외측면에서 출입문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의 일부로 취급될 뿐, 그 결합 구조상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차체 강성 구조로 기능하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종래 사용되던 사이드 아웃터 판 넬(10)에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부 하중이 입력되면 그 진동 및 변형이 증가하게 된다.
즉, 도 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을 제외한 내부 결합 구조는,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하중을 지지하고, 각각의 리어부 형상에 알맞은 차체의 기본틀을 이루고 있는 쿼터 필러 이너 판넬(quarter pillar inner panel, 20) 및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과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이 결합된 사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의 차량 전면쪽 일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쿼터 필러 아웃터 레인포스(quarter pillar outer reinforce, 30)가 더 부착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은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과 맞물리도록 결합하여 차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 및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어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공간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쿼터 필러 아웃터 레인포스(30)가 상하 방향으로 더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의 하중은 상기 쿼터 필러 아웃터 레인포스(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지만,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의 하중은 지지되기가 힘들다. 이는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과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 사이의 내부공간이 많이 남아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부공간에 일정한 형상의 구조체를 더 부착함으로써 진동 및 변형을 줄여 이로 인하여 발생하 는 소음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도 5 는 하중 분산 구조체(50)가 결합된 방식을 적용한 차량의 리어부 중 사이드 아웃터 판넬(10)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은 하중 분산 구조체(50) 중 또다른 형태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 은 도 5 및 도 6 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인 하중 분산 결합 구조를 갖는 리어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종래 사용되던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부의 결합 구조와 동일하게, 사이드 아웃터 판넬(10),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 쿼터 필러 아웃터 레인포스(30),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 레일(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과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이 결합된 사이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 레일(40)이 결합한 위치에 대응하여 삽입 결합된 하중 분산 구조체(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하중 분산 구조체(50)의 일측면은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에 고정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측면은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의 오목하게 굴곡진 부분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 레일(40)과 동시에 고정 결합되어 이격된 내부 공간에 삽입되며, 또다른 측면은 상기 쿼터 필러 아웃터 레인포스(3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과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 사이의 내부 공간에 상기 하중 분산 구조체(50)가 위치하여 각각의 측면에 고정 결합할 수 있으므로,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부에 입력되는 하중을 분산하여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에 집중되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 에 진동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소음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하중 분산 구조체(50)의 각각의 측면은 종래 사용되던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부의 결합 구조에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전후 방향의 하중은 쿼터 필러 아웃터 레인포스(30) 및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에 분산시킬 수 있고, 좌우 방향의 하중은 사이드 아웃터 판넬(10) 및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에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하중 분산 구조체(50)를 더 부가함으로 인하여 차체에 가해지는 진동 및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인 하중 분산 구조체(50) 중 'ㄷ'자형 좌우 박스 구조로 이루어진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인 하중 분산 구조체(50) 중 전후 절곡형 박스 구조로 이루어진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하중 분산 구조체(5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9 에서와 같이 'ㄷ'자형 좌우 박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0 에서와 같이 전후 절곡형 박스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에서의 실시예를 상부에서 보면 'ㅁ'자 형태의 내공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며 박스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 에서의 실시예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보면 'ㄹ'자 형태인 구조체가 연속적으로 반복 생성되는 형상, 즉 상기 하중 분산 구조체(50)는 이너판넬(20)과의 접촉면들 및 아웃터판넬(10)과의 접촉면들이 서로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 교차되도록 연속적인 요철면(凹凸面)이 형성되는 전후 절곡형 박스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은 상기 하중 분산 구조체(50)가 가질 수 있는 형상의 예를 든 것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하중을 분산시키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도 11 은 종래 기술을 사용하였을 경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에 발생하는 변위를 측정하여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2 는 도 9 의 하중 분산 구조체(50)를 사용하였을 경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에 발생하는 변위를 측정하여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3 은 도 10 의 하중 분산 구조체(50)를 사용하였을 경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에 발생하는 변위를 측정하여 도시한 상태도이다.
종래에 사용되던 리어 서스펜션 마운팅부 결합 구조에 따르면, 리어 서스펜션 하중이 입력되면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없었기 때문에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에 발생되는 진동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없었고, 도 1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의 내부에 진하게 표시된 부분에서 진동 및 변형이 많이 발생하여 이에 따른 소음이 많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과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 사이의 내부 공간에 하중 분산 구조체(50)를 더 설치하여 각각의 결합 구조를 고정시키면,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발생되는 하중을 각각의 부품에 분산시켜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에 발생되는 진동 및 변형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고, 이는 도 12 및 도 13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의 내부가 도 10 에 표시된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옅은 색으로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에 발생되는 진동 및 변형이 줄어들면 이로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슬라이드 도어 방식 차량의 후석에서도 소음으로 인한 불편함을 느낄 수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인 센터 필러가 없는 슬라이딩 도어 방식을 적용한 차량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는 종래 기술인 센터 필러가 없는 슬라이딩 도어 방식을 적용한 차량의 리어부 중 사이드 아웃터 판넬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종래 기술인 센터 필러가 없는 슬라이딩 도어 방식을 적용한 차량의 리어부 중 사이드 아웃터 판넬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인 하중 분산 구조체가 결합된 방식을 적용한 차량의 리어부 중 사이드 아웃터 판넬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인 하중 분산 구조체 중 또다른 형태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5 및 도 6 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인 하중 분산 결합 구조를 갖는 리어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인 하중 분산 구조체 중 'ㄷ'자형 좌우 박스 구조로 이루어진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인 하중 분산 구조체 중 전후 절곡형 박스 구조로 이루어진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은 종래 기술을 사용하였을 경우, 쿼터 필러 이너 판넬에 발생하는 변 위를 측정하여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2 은 도 9 의 하중 분산 구조체를 사용하였을 경우, 쿼터 필러 이너 판넬에 발생하는 변위를 측정하여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3 은 도 10 의 하중 분산 구조체를 사용하였을 경우, 쿼터 필러 이너 판넬에 발생하는 변위를 측정하여 도시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사이드 아웃터 판넬 20 : 쿼터 필러 이너 판넬
30 : 쿼터 필러 아웃터 레인포스 40 :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 레일
50 : 하중 분산 구조체

Claims (4)

  1. 슬라이딩 도어 방식을 적용한 차량의 리어부 결합 구조에 있어서,
    리어부 차체의 기본틀을 제공하는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
    상기 쿼터 필러 이너 판넬(20)과 이격되어 내부 공간을 갖도록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결합하는 사이드 아웃터 판넬(10);
    상기 사이드 아웃터 판넬(10)의 외측면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 레일(40);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 가이드 레일(40)이 결합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이격된 내부공간에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삽입되는 하중 분산 구조체(50);를 포함하고,
    상기 하중 분산 구조체(50)는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속적인 요철면(凹凸面)이 형성되는 전후 절곡형 박스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마운팅부 하중 분산 결합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서스펜션 마운팅부를 통하여 차량에 입력되는 상하 방향의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격된 내부 공간에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상하 방향으로 삽입 결합되는 쿼터 필러 아웃터 레인포스(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마운팅부 하중 분산 결합 구조.
KR1020090082754A 2009-09-03 2009-09-03 후석 소음 저감을 위한 서스펜션 마운팅부 하중 분산 결합 구조 KR101092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754A KR101092360B1 (ko) 2009-09-03 2009-09-03 후석 소음 저감을 위한 서스펜션 마운팅부 하중 분산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754A KR101092360B1 (ko) 2009-09-03 2009-09-03 후석 소음 저감을 위한 서스펜션 마운팅부 하중 분산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659A KR20110024659A (ko) 2011-03-09
KR101092360B1 true KR101092360B1 (ko) 2011-12-09

Family

ID=4393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754A KR101092360B1 (ko) 2009-09-03 2009-09-03 후석 소음 저감을 위한 서스펜션 마운팅부 하중 분산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3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0900B2 (ja) * 2017-04-28 2021-07-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JP6588073B2 (ja) * 2017-12-06 2019-10-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659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0236B2 (en) Cowl cross member assembly for vehicle
US20080099966A1 (en) Powertrain mount for vehicle
US8523264B2 (en) Windshield glass support structure
JP4673798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101705146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구조
EP1479596A1 (en) Upper mounting structure of rear strut assembly
US20070145228A1 (en) Bracket fixing structure
KR101092360B1 (ko) 후석 소음 저감을 위한 서스펜션 마운팅부 하중 분산 결합 구조
JP6544635B2 (ja) 車両側部構造
US20020092699A1 (en) Damped steering assembly
CN105089386A (zh) 用于车辆的行李舱的开启和关闭装置
US8985605B2 (en) Rear shock absorber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KR100812441B1 (ko) 차량의 쿼터 후방차체구조
KR100916396B1 (ko) 하이브리드형 서브 프레임 언더 커버
US10576813B2 (en) Mounting bracket for a vehicle component and method of forming
JP6476784B2 (ja) キャブマウント
Hassan et al. Hydraulically Damped Rubber Body Mounts with High Lateral Rate for Improved Vehicle Noise, Vibration and Ride Qualities
JP4154141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ーの取付構造
JP2022055078A (ja) 車両用静音装置
JP2020122512A (ja) 自動車用の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101304882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부 입력점 강성 보강 장치
KR101338457B1 (ko) 차량용 엔진 마운트 보강유닛
KR20230166168A (ko) 차량용 롤로드
JP4422749B2 (ja) 前部車体構造
KR20150026643A (ko) 캐빈형 작업차의 방진 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