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470B1 -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470B1
KR101091470B1 KR1020090065969A KR20090065969A KR101091470B1 KR 101091470 B1 KR101091470 B1 KR 101091470B1 KR 1020090065969 A KR1020090065969 A KR 1020090065969A KR 20090065969 A KR20090065969 A KR 20090065969A KR 101091470 B1 KR101091470 B1 KR 101091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vehicle
access means
heigh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565A (ko
Inventor
박순만
위성립
김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065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47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8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B66C15/045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B66C13/30Circuits for braking, traversing, or slew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복수의 기 설정된 높이로 상위출입수단 및 하위출입수단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고,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을 기 설정된 높이로 통과할 때 차량높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차량높이 감지센서; 상기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을 통과할 때, 차량이동방향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동방향 감지센서; 상기 차량높이 감지신호 및 상기 차량이동방향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각 구역 내의 차량높이를 추적하고, 상기 크레인이 해당 출입수단을 통과할 때 상기 추적된 차량높이에 따라 해당 출입수단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출입수단 제어부; 상기 크레인에 구비되어 상기 크레인의 위치를 추적하고, 해당 구역에서의 차량높이에 따라 상기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크레인 제어부; 및 상기 추적된 차량높이 및 크레인의 위치로부터 해당 출입수단을 통하여 진입하려는 해당 크레인의 제품 하부의 높이와 상기 추적된 차량높이를 비교하고, 상기 크레인의 제품 하부의 높이가 상기 차량높이보다 작으면 상기 크레인 제어부를 동작시켜 상기 크레인을 정지시키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65969
크레인, 차량, 출입수단, 차량높이, 차량이동방향

Description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Crane movement control system and crane movement control method for conflict prevention between crane and vehicle}
본 발명은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구역에서 크레인이 차량과 충돌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을 통하여 생산된 강판은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원형의 코일상태로 권취하고 있다. 이러한 코일은 공장의 천정에 설치된 크레인을 이용하여 목적지로 이동시킨다.
한편, 공장의 내부에는 코일을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데, 공장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크레인 코일수송 작업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장의 천정부에는 크레인(10)이 설치되어 있고, 크레인(10)의 하부에는 와이어(11)를 매개로 후크(12)가 설치되어 있다. 후크(12)에는 코일(20)이 파지된다.
그리고, 공장의 내부에는 코일(20)을 목적지로 수송하기 위한 차량(30)이 주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크레인의 코일수송작업에서는 운전자가 크레인에 탑승하여 운전함으로써, 운전자의 임의 판단에 따른 판단착오로 인하여 크레인이 차량과 충돌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작업구역에서 크레인이 차량과 충돌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크레인과 차량의 파손으로 인한 물적피해 및 작업시간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상위출입수단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는 상위구역과, 상기 상위구역에 진입한 후 하위출입수단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하위구역에서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복수의 기 설정된 높이로 상기 상위출입수단 및 하위출입수단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고,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을 기 설정된 높이로 통과할 때 차량높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차량높이 감지센서; 상기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을 통과할 때, 차량이동방향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동방향 감지센서; 상기 차량높이 감지신호 및 상기 차량이동방향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각 구역 내의 차량높이를 추적하고, 상기 크레인이 해당 출입수단을 통과할 때 상기 추적된 차량높이에 따라 해당 출입수단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출입수단 제어부; 상기 크레인에 구비되어 상기 크레인의 위치를 추적하고, 해당 구역에서의 차량높이에 따라 상기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크레인 제어부; 및 상기 추적된 차량높이 및 크레인의 위치로부터 해당 출입수단을 통하여 진입하려는 해당 크레인의 제품 하부의 높이와 상기 추적된 차량높이를 비교하고, 상기 크레인의 제품 하부의 높이가 상기 차량높이보다 작으면 상기 크레인 제어부 를 동작시켜 상기 크레인을 정지시키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높이 감지신호의 발생을 감지한 후 상기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방향 감지센서는 상기 차량의 진입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 진입할 때, 상기 서버는 해당 구역 내에 차량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구역 내에 차량이 있으면 상기 크레인 제어부를 동작시켜 상기 크레인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서 진출할 때, 상기 서버는 상기 크레인 제어부를 동작시켜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 내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 진입한 후,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 내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출입수단 제어부를 동작시켜 상기 출입수단을 인터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서 진출한 후,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 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출입수단 제어부를 동작시켜 상기 출입수단의 인터록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에서 진출한 후, 상기 서버는 상기 해당 구역 내의 차량의 높이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위출입수단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는 상위구역과, 상기 상위구역에 진입한 후 하위출입수단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하위구역에서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을 기 설정된 높이로 통과할 때, 차량높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을 통과할 때, 차량이동방향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차량높이 감지신호 및 상기 차량이동방향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각 구역 내의 차량높이를 추적하고, 상기 크레인이 해당 출입수단을 통과할 때 상기 추적된 차량높이에 따라 해당 출입수단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크레인의 위치를 추적하고, 해당 구역에서의 차량높이에 따라 상기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적된 차량높이 및 크레인 위치에 관한 정보로부터 해당 출입수단을 통하여 진입하려는 해당 크레인의 제품 하부의 높이와 상기 추적된 차량높이를 비교하고, 상 기 크레인의 제품 하부의 높이가 상기 차량높이보다 작으면 상기 크레인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이동방향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차량높이 감지신호의 발생을 감지한 후 상기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차량의 진입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크레인 제어부를 동작시켜 상기 크레인이 정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 진입할 때, 해당 구역 내에 차량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구역 내에 차량이 있으면 상기 크레인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해당 출입수단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서 진출한 후,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 내로 진입하도록 상기 출입수단을 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해당 출입수단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 진입한 후, 상기 차량이 해당 구역 내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출입수단을 인터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한 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해당 출입수단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서 진출한 후, 상기 차량이 해당 구역 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출입수단의 인터록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해당 출입수단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에서 진출한 후, 상기 해당 구역 내의 차량의 높이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구역에서 크레인이 차량과 충돌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크레인과 차량의 파손으로 인한 물적피해 및 작업시간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구역에서 크레인과 차량의 동작 및 정지를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원활한 작업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크레인과 차량이 이동하는 구역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크레인(700)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700) 동작 제어시스템은, 크레인(700)의 제품 하부의 높이와 차량높이를 비교하여, 크레인(700)의 제품 하부의 높이가 차량높이보다 낮은 경우에 해당 구역 내에서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높이 감지센서(100), 이동방향 감지센서(200), 출입수단 제어부(300), 크레인 제어부(400), 서버(500), 출입수단(600), 크레인(700), 신호등(800), 싸이렌(900), 램프(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수단 제어부(300) 및 크레인 제어부(400)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크레인(700)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은, 상위출입수단(610)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는 상위구역과, 상위구역에 진입한 후 하위출입수단(620, 630, 640)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하위구역에서 크레인(7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위구역은 공장 내의 구역으로서 하위구역에 속하지 않은 구역이고, 하위구역은 공장 내의 각동 내를 예로 들 수 있다.
차량높이 감지센서(100)는 지면으로부터 복수의 기 설정된 높이로 상위출입 수단(610) 및 하위출입수단(620, 630, 64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고,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600)을 기 설정된 높이로 통과할 때 차량높이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동방향 감지센서(200)는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600)을 통과할 때, 차량이동방향 감지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이동방향 감지센서(200)는 차량높이 감지신호의 발생을 감지한 후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600)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 차량의 진입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는 반대로, 차량높이 감지신호의 발생을 감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600)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진출신호를 발생시킨다. 간단히 말하면, 차량높이 감지센서(100)의 차량높이 감지신호가 먼저 발생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차량의 진출신호 또는 차량의 진입신호 발생이 결정된다.
출입수단 제어부(300)는 차량높이 감지신호 및 상기 차량이동방향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각 구역 내의 차량높이를 추적하고, 크레인(700)이 해당 출입수단(600)을 통과할 때 추적된 차량높이에 따라 해당 출입수단(600)의 개폐동작을 제어한다. 출입수단(600)은 자동문으로 구현될 수 있다.
크레인 제어부(400)는 크레인(700)에 구비되어 크레인(700)의 위치를 추적하고, 해당 구역에서의 차량높이에 따라 크레인(7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서버(500)로부터 차량높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크레인(700)의 제품 하부의 높이가 해당 구역 내에 있는 차량높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크레인(70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크레인(700)의 제품 하부의 높이가 해당 구역 내에 있는 차량높이보다 높은 경우에는 크레인(700)이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서버(500)는 추적된 차량높이 및 크레인(700)의 위치로부터 해당 출입수단(600)을 통하여 진입하려는 해당 크레인(700)의 제품 하부의 높이와 추적된 차량높이를 비교하고, 크레인(700)의 제품 하부의 높이가 차량높이보다 작으면 크레인 제어부(400)를 동작시켜 크레인(700)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서버(500)는 크레인(700)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600)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 진입할 때, 해당 구역 내에 차량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구역 내에 차량이 있으면 크레인 제어부(400)를 동작시켜 크레인(700)을 정지시킨다.
또한, 서버(500)는 크레인(700)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600)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 진입한 후,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600)을 통하여 해당 구역 내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출입수단 제어부(300)를 동작시켜 출입수단(600)을 인터록시킨다 (interlock). 이때, 출입수단 제어부(300)는 신호등(800)을 빨간색으로 점등시키는데, 차량 운전자는 신호등(800)의 색깔이 빨간색인 것을 알고 차량을 정지시키게 된다. 만약, 차량 운전자가 신호등(800)의 색깔이 빨간색인 상태에서 실수로 차량을 주행하여 해당 구역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차량높이 감지센서(100)가 차량의 높이를 감지하게 되면, 출입수단 제어부(300)는 싸이렌(900)을 울리는 동시에 램프(1000)를 깜박이게 하여 운전자에게 알린다. 싸이렌(900)을 듣게 되면, 운전자는 해당 구역 내에 크레인(700)이 있다는 것을 알고 주행을 정지하게 된다. 서버(500)가 이와 같이 출입수단 제어부(300)를 동작시키는 이유는, 해당 구역에 크레인(700)이 진입한 상태에서 차량이 해당 구역 내로 진입하게 되면 크레인(700)과 차량이 충돌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서버(500)는 차량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600)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서 진출할 때, 크레인 제어부(400)를 동작시켜 크레인(700)이 해당 구역 내로 진입하도록 한다.
또한, 서버(500)는 크레인(700)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600)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서 진출한 후,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600)을 통하여 해당 구역 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출입수단 제어부(300)를 동작시켜 출입수단(600)의 인터록을 해제한다. 이때, 출입수단 제어부(300)는 신호등(800)을 초록색으로 점등시키는데, 차량 운전자는 신호등(800)의 색깔이 초록색인 것을 알고 차량을 주행하여 해당 구역 내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서버(500)는 해당 구역 내의 차량의 높이에 관한 정보를 삭제한다. 서버(500)가 이와 같이 출입수단 제어부(300)를 동작시키는 이유는, 해당 구역에서 크레인(700)이 진출한 상태에서는 차량이 해당 구역 내로 진입하여도 크레인(700)과 차량이 충돌할 가능성은 전혀 없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이 공장 내에서 진출하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4를 도 2와 함께 살펴보면, 차량(550)이 공장 내에서 진출하는 경우에는 차량(550)이 해당 출입수단(600)을 통과할 때 이동방향 감지센서(200)가 차량(550)의 진출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차량높이 감지신호의 발생을 감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550)이 해당 출입수단(600)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이므로, 이동방향 감지센서(200)는 차량의 진출신호를 발생시킨다.
공장 내의 구역 입구에는 차량높이 감지센서(110, 120, 130, 140)와 이동방향 감지센서(200)가 출입수단(600)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때, 차량높이 감지센서(110, 120, 130, 140)는 지지대(350a)에 4.5m, 3.5m, 3.0m, 2.5m의 높이로 부착되어 있고, 이동방향 감지센서(210)는 지지대(360a)에 2.5m의 높이로 부착되어 있다. 출입수단(600)은 양측의 차량높이 감지센서(110, 120, 130, 140)와 양측의 이동방향 감지센서(210)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550)이 통과할 때 출입수단 제어부(3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이 공장 내에 진입하는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5를 도 2와 함께 살펴보면, 차량(550)이 공장 내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차량(550)이 해당 출입수단(600)을 통과할 때 이동방향 감지센서(200)가 차량(550)의 진입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차량높이 감지신호의 발생을 감지한 상태에서 차량(550)이 해당 출입수단(600)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이므로, 이동방향 감지센서(200)는 차량(550)의 진입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5에서는 차량(550)이 도 4에서와는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차량높이 감지센서(110, 120, 130, 140)와 이동방향 감지센서(200)가 부착되어 있는 각각의 지지대(350a, 360a) 사이의 거리는 0.5m로 이격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이 공장 내의 각동 내에 진입하는 경우의 측면도이다.도 6을 도 2와 함께 살펴보면, 차량(550)이 공장 내의 각동 내에 진입하는 경우에 는 차량(550)이 해당 출입수단(600)을 통과할 때 이동방향 감지센서(200)가 차량(550)의 진입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진입신호 발생의 원리는 공장 내에 진입하는 경우와 같다.
도 6의 경우는 공장 내의 각동 내의 구역 입구에 설치된 차량높이 감지센서(150, 160)와 이동방향 감지센서(220)의 높이가 공장 내의 구역 입구에 설치된 도 5의 경우와는 다르다. 공장 내의 각동 내의 구역 입구에는 차량높이 감지센서(150, 160)가 지지대(370a)에 3.5m, 2.5m의 높이로 부착되어 있고, 이동방향 감지센서(210)는 지지대(380b)에 2.0m의 높이로 부착되어 있다. 즉, 도 5에서 공장 내의 구역 입구에는 지지대(150a)에 4개의 차량높이 감지센서(110, 120, 130, 140)를 구비하지만, 도 6과 같이 공장 내의 각동 내의 구역 입구에는 지지대(370a)에 2개의 차량높이 감지센서(150, 16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크레인 코일수송 작업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크레인과 차량이 이동하는 구역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이 공장 내에서 진출하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이 공장 내에 진입하는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이 공장 내의 각동 내에 진입하는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10, 120, 130, 140, 150, 160 : 차량높이 감지센서
200, 210, 220 : 이동방향 감지센서 300 : 출입수단 제어부
350a, 350b, 360a, 360b, 370a, 380a : 지지대
400 : 크레인 제어부 500 : 서버
550 : 차량 600 : 출입수단
610 : 상위출입수단 620 : 제1 하위출입수단
630 : 제2 하위출입수단 640 : 제3 하위출입수단
700 : 크레인 800 : 신호등
900 : 싸이렌 1000 : 램프

Claims (14)

  1. 상위출입수단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는 상위구역과, 상기 상위구역에 진입한 후 하위출입수단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하위구역에서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복수의 기 설정된 높이로 상기 상위출입수단 및 하위출입수단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고,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을 기 설정된 높이로 통과할 때 차량높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차량높이 감지센서;
    상기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을 통과할 때, 차량이동방향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이동방향 감지센서;
    상기 차량높이 감지신호 및 상기 차량이동방향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각 구역 내의 차량높이를 추적하고, 상기 크레인이 해당 출입수단을 통과할 때 상기 추적된 차량높이에 따라 해당 출입수단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출입수단 제어부;
    상기 크레인에 구비되어 상기 크레인의 위치를 추적하고, 해당 구역에서의 차량높이에 따라 상기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크레인 제어부; 및
    상기 추적된 차량높이 및 크레인의 위치로부터 해당 출입수단을 통하여 진입하려는 해당 크레인의 제품 하부의 높이와 상기 추적된 차량높이를 비교하고, 상기 크레인의 제품 하부의 높이가 상기 차량높이보다 작으면 상기 크레인 제어부를 동작시켜 상기 크레인을 정지시키는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높이 감지신호의 발생을 감지한 후 상기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이동방향 감지센서는 상기 차량의 진입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 진입할 때, 상기 서버는 해당 구역 내에 차량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구역 내에 차량이 있으면 상기 크레인 제어부를 동작시켜 상기 크레인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서 진출할 때, 상기 서버는 상기 크레인 제어부를 동작시켜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 내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 진입한 후,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 내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출입수단 제어부를 동작시켜 상기 출입수단을 인터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서 진출한 후,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 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출입수단 제어부를 동작시켜 상기 출입수단의 인터록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에서 진출한 후, 상기 서버는 상기 해당 구역 내의 차량의 높이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
  8. 상위출입수단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는 상위구역과, 상기 상위구역에 진입한 후 하위출입수단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하위구역에서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을 기 설정된 높이로 통과할 때, 차량높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을 통과할 때, 차량이동방향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차량높이 감지신호 및 상기 차량이동방향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각 구역 내의 차량높이를 추적하고, 상기 크레인이 해당 출입수단을 통과할 때 상기 추적된 차량높이에 따라 해당 출입수단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크레인의 위치를 추적하고, 해당 구역에서의 차량높이에 따라 상기 크레인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적된 차량높이 및 크레인 위치에 관한 정보로부터 해당 출입수단을 통하여 진입하려는 해당 크레인의 제품 하부의 높이와 상기 추적된 차량높이를 비교하고, 상기 크레인의 제품 하부의 높이가 상기 차량높이보다 작으면 상기 크레인을 정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동방향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차량높이 감지신호의 발생을 감지한 후 상기 차량이 해당 출입수단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차량의 진입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 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제어부를 동작시켜 상기 크레인이 정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 진입할 때, 해당 구역 내에 차량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해당 구역 내에 차량이 있으면 상기 크레인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출입수단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서 진출한 후,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 내로 진입하도록 상기 출입수단을 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출입수단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 진입한 후, 상기 차량이 해당 구역 내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출입수단을 인터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출입수단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의 출입수단을 통하여 해당 구역에서 진출한 후, 상기 차량이 해당 구역 내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출입수단의 인터록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출입수단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크레인이 해당 구역에서 진출한 후, 상기 해당 구역 내의 차량의 높이에 관한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방법.
KR1020090065969A 2009-07-20 2009-07-20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091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969A KR101091470B1 (ko) 2009-07-20 2009-07-20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969A KR101091470B1 (ko) 2009-07-20 2009-07-20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565A KR20110008565A (ko) 2011-01-27
KR101091470B1 true KR101091470B1 (ko) 2011-12-07

Family

ID=4361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969A KR101091470B1 (ko) 2009-07-20 2009-07-20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371B1 (ko) 2012-06-25 2014-07-14 주식회사 포스코 무인 크레인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충돌 방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371B1 (ko) 2012-06-25 2014-07-14 주식회사 포스코 무인 크레인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충돌 방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565A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445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loading and unloading at a dock station
US20160293468A1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JP4508904B2 (ja) クレーンの巻下げ衝突防止装置
CN105974925B (zh) Agv小车行驶的控制方法
WO2008047406A1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elevator
JPH0926826A (ja) 自動走行車の障害物検知方法及び装置
JP5390419B2 (ja) 自動搬送車
JP5103714B2 (ja) 搬送設備
KR101091470B1 (ko) 크레인과 차량간 충돌방지를 위한 크레인 동작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10079407A (ja) 無人搬送車の走行制御方法
JPH11305837A (ja) 無人搬送車の衝突防止装置
JP2022038295A (ja) 自律移動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そ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自律移動ロボット制御装置
KR101992096B1 (ko) 컨테이너 집기 시스템 및 방법
JP6651822B2 (ja) 走行管理システム
JP2000187513A (ja) 搬送システム
TWM637696U (zh) 配送管制裝置
KR100953731B1 (ko) 실시간 추적 정보를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방법 및 이에적합한 시스템
JP4003494B2 (ja) 搬送システム
JP4640607B2 (ja) 物品搬送設備
JP5835052B2 (ja) 無人搬送車システム
JP2018203427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その運用方法
KR100522991B1 (ko) 반송시스템
JP2022162335A (ja) 庫内安全監視装置と方法
JPH06144720A (ja) 自走式エレベータ
JP6015539B2 (ja) 移動体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