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672B1 - 항염 활성이 탁월한 금은화 추출 정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 활성이 탁월한 금은화 추출 정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672B1
KR101090672B1 KR1020090063514A KR20090063514A KR101090672B1 KR 101090672 B1 KR101090672 B1 KR 101090672B1 KR 1020090063514 A KR1020090063514 A KR 1020090063514A KR 20090063514 A KR20090063514 A KR 20090063514A KR 101090672 B1 KR101090672 B1 KR 101090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ater
gold
purified
sil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060A (ko
Inventor
윤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온스
Priority to KR1020090063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67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은화 추출 정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금은화 추출 정제물은 카라기닌(carrageenin)으로 유도한 부종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NO, TNF-α 및 IL-1β 생성을 저해하는 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이용될 수 있다.
금은화, 염증, 카라기닌, NO, TNF-α, IL-1β

Description

항염 활성이 탁월한 금은화 추출 정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A method for preparing purified fractions of Lonicerae Flos showing potent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본 발명은 금은화 추출 정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Miller, M. J. et al., Nitric oxide as a mediator of inflammation?-You had better believe it, Mediators . Inflamm ., 4, pp.387-396, 1995
[문헌 2] Appleton, I. et al., Induction of cyclo-oxygenase and nitric oxide synthase in inflammation, Adv . Pharmacol ., 35, pp.27-78, 1996
[문헌 3] Weisz, A. et al., Regulation of the mouse inducible-type nitric oxide synthase gene promoter by interferon-gamma, bacterial lipopolysaccharide and NG-monomethyl-L-arginine, Biochem . J., 316, pp.209-215, 1996
[문헌 4] Lee, T.H. et al., Methanol extracts of Stewartia koreana inhibit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gene expression by blocking NF-kappaB transactivation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Mol . Cells ., 23(3), pp.398-404, 2007
[문헌 5] Nishida, T. et al., Geranylgeranylacetone induces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 cultured rat gastric epithelial cells through NF-kappaB, Dig . Dis . Sci ., 52(8), pp.1890-1896, 2007
[문헌 6] Lee, Y. S.,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30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2002
[문헌 7] Winter. et al., Carrageenin-induced edema in hind paw of the rat as an assay for antiinflammatory drugs, 1962
[문헌 8] Hansen et al., Re-examinat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a precise and rapid dye method for measuring cell growth/cell kill, 1989
[문헌 9] Ahn et al.,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 Ⅱ by platycodon grandiflorum saponins via suppression of nuclear factor-kappaB activation in RAW 264.7 cells, 2005
염증은 어떤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으로, 조직 변질, 순환장애, 삼출, 조직 증식 등을 병발하는 복잡한 병변이다. 또한 염증은 선천성 면역의 일부이며 다른 동물에서처럼 인간의 선천성 면역은 병원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세포 표면의 패턴을 인식한다. 식세포는 그런 표면을 가진 세포를 비자기로 인식하고 병원체 표면에 달라붙는다. 만일 병원균이 신체의 물리적 장벽을 깨고 들어온다면 염증반응이 일어난다.
염증반응은 상처부위에 침입한 미생물들에 대한 적대 환경을 만드는 비특이적인 방어 작용으로 국소 혈관 또는 체액 내에 존재하는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의 활성화, 염증매개물질 분비, 체액 침윤, 면역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의 생리적 반응과 홍반, 부종, 발열, 통증 등의 외적 증상을 나타낸다.
염증반응 초기단계에 나타나는 주된 세포는 호중구로서, 염증이 있고 감염된 조직 내로 많은 수가 모인다. 대식세포처럼 호중구도 공통 박테리아 성분 및 보체에 대한 표면 수용체가 있으며 이들이 침투한 미생물을 포식하고 파괴하는 주된 세포이다. 호중구의 유입 이후 단구들이 대식세포로 빠르게 분화하며 이들은 보체, 인터루킨-1β(interleukin-1β; IL-1β), IL-6, 종양 괴사 인자-α(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단핵구 화학주성 단백질-1(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등의 염증유발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감염후기의 염증반응에는 림프구가 관여하는데, 이는 그동안 감염부위로부터 유입된 림프관을 통하여 끌 어들인 항원들에 의하여 활성화된 것이다.
이러한 염증반응의 원인은 대단히 다양하며 세포 손상을 일으키는 모든 인자는 염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염증 반응의 주요 원인으로는 미생물 감염, 과민반응, 물리적 요인, 화학적 요인 및 조직의 괴사 등이 있다. 특히 L-아르기닌(L-arginine)으로부터 산화질소(nitric oxide; NO)를 유발시키는 산화질소합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 NOS) 및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에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으로 생합성하는데 관여하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는 염증 반응을 매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화질소합성효소는 체내에 항상 일정수준으로 발현되고 있으며, 이의 종류로는 뇌형(brain NOS; bNOS), 신경형(neuronal NOS; nNOS), 혈관형(endothelial NOS; eNOS), 유도형(inducible NOS; iNOS)등이 있다. 그 중에서 특히 iNOS가 염증반응에 관여한다. nNOS와 eNOS는 항상 발현되어있으며, iNOS의 경우 인터페론-γ(Interferon-γ), 지질다당체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 그리고 여러 가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자극이 있을 때 발현된다. 보통 eNOS는 강력한 혈관확장제로서 혈관의 항상성(vascular homeostasis)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산화질소합성효소에 의해 생산되는 산화질소는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가지고 있는 분자로 정상상태에서는 내피세포나 대식세포에서 생산되며 혈류를 정상화하고 혈액순환을 조절하며, 뇌세포들 간에 연락을 조율하고 있어서 인간의 집 중력, 기억력, 정보저장능력을 도와 줄 뿐만 아니라 위산의 운동을 조절하여 소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LPS, 염증유발인자 및 방사선 조사 등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iNOS는 칼슘 비의존성 경로를 통하여 다량의 산화질소를 생성하며, 이는 세포에 대한 독성으로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거나 각종 염증 산물들의 생성을 유도하여 염증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iller, M. J. et al., Nitric oxide as a mediator of inflammation?-You had better believe it, Mediators . Inflamm ., 4, pp.387-396, 1995; Appleton, I. et al., Induction of cyclo-oxygenase and nitric oxide synthase in inflammation, Adv . Pharmacol., 35, pp.27-78, 1996).
또한 사이클로옥시게나제(COX)는 COX-1과 COX-2 두 가지로 나뉘는데, COX-1은 세포내에 항상 존재하며, 혈액흐름 조절 및 세포보호 작용 등 생리적인 기능에 필요한 프로스타글란딘(PGE2)을 합성하는 반면에, COX-2는 염증 반응 시 세포에서 PGE2 합성을 급격히 증가시킨다. 과량 생성된 PGE2는 염증부위의 부종, 발적, 통증, 발열 등의 증상을 유도하고 염증 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eisz, A. et al., Regulation of the mouse inducible-type nitric oxide synthase gene promoter by interferon-gamma, bacterial lipopolysaccharide and NG-monomethyl-L-arginine, Biochem. J., 316, pp.209-215, 1996; Lee, T.H. et al., Methanol extracts of Stewartia koreana inhibit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gene expression by blocking NF-kappaB transactivation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Mol . Cells., 23(3), pp.398-404, 2007; Nishida, T. et al., Geranylgeranylacetone induces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 cultured rat gastric epithelial cells through NF-kappaB, Dig . Dis. Sci ., 52(8), pp.1890-1896, 2007).
현재 사용되는 염증성 질환 치료 약물들은 증상완화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에, 보다 근본적인 치료 약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현재 NF-κB의 제어를 통하여 iNOS 및 COX-2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염증성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천연자원은 여러 치료제의 선도 물질로서 개발되어 제약 산업에 소중한 자원으로서 이용되어 왔다. 그러므로 천연자원에서 항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 물질을 개발하여 인공적인 화학물질보다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 면에서도 경쟁력이 있다.
금은화(Lonocerae Flos)는 대한약전 수재 생약으로서 인동과(Caprifo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인 인동(Lonicera japonica THUNB.) 또는 그 변종의 꽃봉오리이며, 줄기와 가지는 인동등(Lonicerae Folium)이라 하며 한방에서는 청열해독의 약성으로 항균, 항바이러스, 항내독소, 소염, 해열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Lee, Y. S.,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30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2002). 금은화의 성분으로는 클로로제닌산(chlorogenic acid), 이소클로로제닌산(isochlorogenic acid)이 있으며, 그 외에 루테올린(luteolin), 루테올린-7-글리코사이드(luteoiln-7-glycosides), 로니세 린(lonicer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와 사포닌(sapo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염 활성이 탁월한 금은화 추출 정제물을 탐색한 결과, 본 발명의 금은화 추출 정제물이 흰쥐에서 카라기닌(carrageenin)으로 유발한 족부종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또한, in vitro 실험을 통하여 금은화 추출 정제물이 염증매개 인자인 iNOS의 발현과 IL-1β의 활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염증 활성이 증진된 금은화 추출 정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금은화를 그 중량의 10 내지 20배(v/w)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를 가하여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3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열수추출, 냉침추출, 환류냉각추출 또는 초음파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추출방법을 사용하여 1회 내지 5회 반복 추출하는 제 1단계; 상기 추출물을 일정량의 정제수로 용해시키고 동량의 노르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노르말 부탄올 등의 유기용매를 순차적으로 극성을 올려 1회 내지 5회 분획한 후, 유기용매 가용부를 제거하는 제 2단계; 제거 후 남은 수가용성 분획을 일정량의 정제수에 용 해시켜, 그 중량의 10 내지 15배(w/w)의 HP-20, SP-850 수지 컬럼 등과 같은 미세다공 비이온 흡착제 수지 또는 C-18, C-8 컬럼 등과 같은 역상 칼럼에 사용되는 수지에 흡착시켜 용출하는 제 3단계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공정으로 항염증 활성이 증진된 금은화 추출 정제물(A)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공정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공정의 제 2단계 또는 제 3단계 공정은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금은화를 그 중량의 10 내지 20배(v/w)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를 가하여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3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열수추출, 냉침추출, 환류냉각추출 또는 초음파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추출방법을 사용하여 1회 내지 5회 반복 추출하는 제 1단계; 상기 추출물을 일정량의 정제수로 용해시켜, 그 중량의 10 내지 15배(w/w)의 HP-20, SP-850 수지 컬럼 등과 같은 미세다공 비이온 흡착제 수지 또는 C-18, C-8 컬럼 등과 같은 역상 칼럼에 사용되는 수지에 흡착시켜 용출하는 제 2단계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공정으로 항염증 활성이 증진된 금은화 추출 정제물(B)을 제조하는 제조방법(2)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은화를 그 중량의 10 내지 20배(v/w)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를 가하여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3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열수추출, 냉침추출, 환류냉각추출 또는 초음파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추출방법 을 사용하여 1회 내지 5회 반복 추출하는 제 1단계; 상기 추출물을 일정량의 정제수로 용해시키고 노르말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노르말부탄올 등의 동량의 유기용매를 순차적으로 극성을 올려 1회 내지 5회 분획한 후, 유기용매 가용부를 제거하는 제 2단계의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공정으로 항염증 활성이 증진된 금은화 추출 정제물(C)을 제조하는 제조방법(3)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으로 수득되는 금은화 추출 정제물은 물 추출물에 존재하는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분들이 제거된 상태로 제조됨으로써 독성이 적고 효과가 선택적이며 항염증 활성이 탁월하게 증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금은화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염증성 질환은 척추염, 요도염, 방광염, 신염, 신우신염, 혈관염, 비염, 인후염, 편도염, 급성통증 또는 염증성 장질환 등이며, 바람직하게는 요도염, 방광염, 신염, 신우신염, 비염, 인후염, 편도염 또는 염증성 장질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후염, 편도염 또는 염증성 장질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 정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 정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 정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 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 정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 정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 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 정제물은 1일 0.01 g/kg 내지 5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3 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금은화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 정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 정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 정제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 정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 정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 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금은화 추출 정제물은 카라기닌(carrageenin)으로 유도한 부종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NO, TNF-α 및 IL-1β 생성을 저해하는 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금은화 물 추출 정제물의 제조
1-1. 금은화 물 추출 정제물(HI-37)의 제조
동의한방에서 구입한 금은화 1.8kg를 정제수 18L로 3 내지 5시간 동안 3회 환류 추출하여 물 추출엑스 511g(수율: 28.3%)을 얻었으며, 이 물 추출엑스 511g을 3L의 정제수로 용해시킨 후, 동량의 유기 용매인 노르말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노르말부탄올으로 순차적으로 극성을 올려 각각 3회 분획하여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물질을 제거하였다. 남은 수가용성 분획 415g을 정제수 9L로 용해시킨 후, 미세다공 비이온 흡착제 수지(HP-20 resin) 4.0kg을 넣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흡착시켰으며, 흡착물을 감압여과하여 최종 377g의 추출 정제물(수율: 20.9%)을 수득하였고(이하,‘HI-37’라 명명함),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1-2. 금은화 물 추출 정제물(‘I-1-2’)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물 추출엑스 511g을 정제수 9L로 용해시킨 후, 미세다공 비이온 흡착제 수지(HP-20 resin) 5.0kg을 넣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흡착시켰으며, 흡착물을 감압여과 하여 최종 320g(수율: 17.7%)의 추출 정제물(‘I-1-2’)을 수득하였다.
1-3. 금은화 물 추출 정제물(‘I-1-3’)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물 추출엑스 511g을 정제수 3L로 용해시킨 후, 동량의 유기용매인 노르말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노르말부탄올으로 순차적으로 극성을 올려 각각 3회 분획하고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물질을 제거하여 남은 추출 정제물(‘I-1-3’) 310g(수율: 17.2%)을 수득하였다.
1-4. 금은화 물 추출 정제물(‘I-1-4’)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물 추출엑스 511g을 정제수 3L로 용해시킨 후, 동량의 유기 용매인 노르말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노르말부탄올으로 순차적으로 극성을 올려 각각 3회 분획하고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물질을 제거하여 남은 수가용성 분획 340g을 비극성물질로 충진한 칼럼(C-18 resin 3.4 kg)에 물을 이동상으로 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법을 진행하여 270g(수율: 15.0%)의 추출 정제물(‘I-1-4’)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금은화 30% 에탄올 추출 정제물의 제조
2-1. 금은화 30% 에탄올 추출 정제물(‘I-2-1’)의 제조
동의한방에서 구입한 금은화 1.8 kg를 30% 에탄올 18L로 3 내지 5시간 동안 3회 환류 추출하여 30% 에탄올 추출엑스 414g(수율: 23.0%)을 수득하였고, 30% 에탄올 추출엑스를 3L의 정제수로 용해시킨 후, 동량의 유기용매인 노르말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노르말부탄올으로 순차적으로 극성을 올려 각각 3회 분획하여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물질을 제거하였다. 남은 수가용성 분획 277g을 정제수 7L로 용해시킨 후, 미세다공 비이온 흡착제 수지(HP-20 resin) 3.0kg을 넣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흡착시켰으며, 흡착물을 감압여과하여 최종 198g(수율: 11.0%)의 추출 정제물(‘I-2-1’)을 수득하였다.
2-2. 금은화 30% 에탄올 추출 정제물(‘I-2-2’)의 제조
상기 실시예 2-1에서 수득한 30% 에탄올 추출엑스 414g을 정제수 9L로 용해시킨 후, 미세다공 비이온 흡착제 수지(HP-20 resin) 4.0kg을 넣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흡착시켰으며, 흡착물을 감압여과하여 최종 280g(수율: 15.5%)의 추출 정제물(‘I-2-2’)을 수득하였다.
2-3. 금은화 30% 에탄올 추출 정제물(‘I-2-3’)의 제조
상기 실시예 2-1에서 수득한 30% 에탄올 추출엑스 414g을 정제수 3L로 용해시킨 후, 동량의 유기 용매인 노르말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노르말부탄올으로 순차적으로 극성을 올려 각각 3회 분획하고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물질을 제거하여 남은 추출 정제물(‘I-2-3’) 220g(수율: 12.2%)을 수득하였다.
2-4. 금은화 30% 에탄올 추출 정제물(‘I-2-4’)의 제조
상기 실시예 2-1에서 수득한 30% 에탄올 추출엑스 414g을 정제수 3L로 용해시킨 후, 동량의 유기 용매인 노르말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노르말부탄올으로 순차적으로 극성을 올려 각각 3회 분획하고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물질을 제거하여 남은 수가용성 분획 220g을 비극성물질로 충진한 칼럼(C-18 resin 2.2 kg)에 물을 이동상으로 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법을 진행하여 170g(수율: 9.4%)의 추출 정제물(‘I-2-4’)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금은화 70% 에탄올 추출 정제물의 제조
3-1. 금은화 70% 에탄올 추출 정제물(‘I-3-1’)의 제조
동의한방에서 구입한 금은화 1.8 kg를 70% 에탄올 18L로 3 내지 5시간 동안 3회 환류 추출하여 70% 에탄올 추출엑스 395g(수율: 21.9%)을 수득하였고, 70% 에탄올 추출엑스를 3L의 정제수로 용해시킨 후, 동량의 유기용매인 노르말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노르말부탄올으로 순차적으로 극성을 올려 각각 3회 분획하여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물질을 제거하였다. 남은 수가용성 분획 255g을 정제수 7L로 용해시킨 후, 미세다공 비이온 흡착제 수지(HP-20 resin) 3.0kg을 넣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흡착시켰으며, 흡착물을 감압여과하여 최종 163g(수율: 9.0%)의 추출 정제물(‘I-3-1’)을 수득하였다.
3-2. 금은화 70% 에탄올 추출 정제물(‘I-3-2’)의 제조
상기 실시예 3-1에서 수득한 70% 에탄올 추출엑스 395g을 정제수 9L로 용해시킨 후, 미세다공 비이온 흡착제 수지(HP-20 resin) 4.0kg을 넣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여 흡착시켰으며, 흡착물을 감압여과하여 최종 210g(수율: 11.6%)의 추출 정제물(‘I-3-2’)을 수득하였다.
3-3. 금은화 70% 에탄올 추출 정제물(‘I-3-3’)의 제조
상기 실시예 3-1에서 수득한 70% 에탄올 추출엑스 395g을 정제수 3L로 용해시킨 후, 동량의 유기 용매인 노르말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노르말부 탄올으로 순차적으로 극성을 올려 각각 3회 분획하고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물질을 제거하여 남은 추출 정제물(‘I-3-3’) 195g(수율: 10.8%)을 수득하였다.
3-4. 금은화 70% 에탄올 추출 정제물(‘I-3-4’)의 제조
상기 실시예 3-1에서 수득한 70% 에탄올 추출엑스 395g을 정제수 3L로 용해시킨 후, 동량의 유기 용매인 노르말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노르말부탄올으로 순차적으로 극성을 올려 각각 3회 분획하고 유기용매에 용해되는 물질을 제거하여 남은 수가용성 분획 195g을 비극성물질로 충진한 칼럼(C-18 resin 2.0 kg)에 물을 이동상으로 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법을 진행하여 140g(수율: 7.7%)의 추출 정제물(‘I-3-4’)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카라기난 -유도 족부종 ( Carrageenan - induced hind paw edema ) 억제 실험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추출 정제물(HI-37)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카라기난-유도 족부종(Carrageenan-induced hind paw edema) 억제 실험을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실험 시작 전 16시간을 절식 시킨 180 내지 200g의 SD계 웅성 흰쥐((주)대한바이오링크)를 사용하여 시험물질인 HI-37을 다양한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양성대조약물로는 디클로페낙(diclofenac, Sigma, D6899) 25mg/kg을 사용하였다. 시험물질 투여 30분 후, 기염제인 1% type Ⅳ lambda carrageenan(Sigma, C3889)-saline 용액 0.1 ml를 흰쥐의 오른쪽 뒷발의 족저 중심부 피하에 주사하여 부종을 유발하였다(Winter. et al., Carrageenin-induced edema in hind paw of the rat as an assay for antiinflammatory drugs, 1962).
기염제 투여 후 0.5, 1, 2, 4 및 6시간에 용적측정기(plethysmometer: Ugo Basile, Italy)로 발의 용적을 측정하여, 기염제 투여 전의 발의 용적과 비교하여 부종 증가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대조군의 부종 증가율과 시험물질 투여군의 부종 증가율을 비교하여 부종 억제율을 산출하였다.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부종 증가율과 부종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Figure 112009042430185-pat00001
Figure 112009042430185-pat00002
실험결과, 하기 도 1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HI-37의 투여용량별 부종억제율의 결과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제 용매인 saline만을 투여한 대조군의 경우, 0.5시간에서 22.1 ± 2.4%의 부종 증가율을 나타내었고, 1시간에서는 그보다 약간 증가한 27.5 ± 3.1%를 나타 내었다. 이후 2시간에는 그보다 다소 증가한 40.6 ± 3.5%이었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4시간에서는 62.5 ± 3.5%, 6시간 후에는 55.2 ± 4.9%의 부종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HI-37의 30 mg/kg 용량 투여군은 carrageenan 투여 후 0.5시간, 1시간 및 2시간에서 각각 17.8 ± 1.0, 23.8 ± 2.9 및 33.2 ± 2.9%으로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4시간 및 6시간에서는 43.2 ± 3.2 및 41.7 ± 3.7%으로 현저한 부종 억제를 나타내었다.
HI-37의 100 mg/kg 용량 투여군은 carrageenan 투여 후 0.5시간, 1시간 및 2시간에서 각각 18.1 ± 1.9, 21.6 ± 2.0 및 33.4 ± 1.7%으로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4시간에는 41.8 ± 1.4%으로 현저한 부종억제를 나타내었다. 6시간에는 43.8 ± 1.6%으로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HI-37의 300 mg/kg 용량 투여군의 경우, 0.5시간, 1시간 및 2시간에서 각각 19.2 ± 1.2, 23.4 ± 1.7 및 35.9 ± 2.7%으로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4시간에는 50.0 ± 3.3%으로 현저한 부종억제를 나타내었다. 6시간에는 50.1 ± 2.9%으로 대조군에 비해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HI-37의 600 mg/kg 용량 투여군은 0.5시간, 1시간, 2시간, 4시간 및 6시간에 각각 11.9 ± 1.4, 16.6 ± 1.6, 25.4 ± 2.1, 36.2 ± 2.5 및 36.7 ± 1.8%의 부종 증가율을 나타내어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부종억제를 나타내었다.
양성대조약물인 디클로페낙(diclofenac) 투여군은 carrageenan으로 유도된 부종 전 시간대에 걸쳐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부종 억제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HI-37의 경우, 30, 100, 300 및 600 mg/kg의 투여 용량에서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부종 억제효과를 보였으나, 특히 600 mg/kg의 투여 용량에서는 0.5, 1, 2, 4 및 6시간 전시간대에 걸쳐 현저한 부종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I-37은 부종 억제율이 600 mg/kg에서 더욱 두드러져 부종 초기인 0.5 및 1시간에서는 양성대조약물인 디클로페낙(diclofenac)과 유사한 부종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실험군 용량
(mg/kg)
부종 증가율(%)
0.5 1 2 4 6(h)
대조군 0 22.1±2.4 27.5±3.1 40.6±3.5 62.5±3.5 55.2±4.9
HI-37 30 17.8±1.0
(19.7)
23.8±2.9
(13.4)
33.2±2.9
(18.4)
43.2±3.2**
(31.0)
41.7±3.7*
(24.4)
100 18.1±1.9
(18.1)
21.6±2.0
(21.6)
33.4±1.7
(17.9)
41.8±1.4**
(33.1)
43.8±1.6
(20.5)
300 19.2±1.2
(13.2)
23.4±1.7
(14.8)
35.9±2.7
(11.8)
50.0±3.3*
(20.0)
50.1±2.9
(9.2)
600 11.9±1.4**
(46.3)
16.6±1.6**
(39.7)
25.4±2.1**
(37.5)
36.2±2.5**
(42.0)
36.7±1.8**
(33.5)
디클로페낙 25 14.5±2.6* 17.7±1.6* 21.4±2.6** 30.0±1.5** 31.2±2.5**
부종 증가율은 각 군당 8-10 마리 흰쥐의 평균± 표준오차 값으로 나타내었고, 유의성 평가는 대조군에 대한 각 실험군을 two-way anova를 시행하여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는 경우 Dunnett's t-test로 실험군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P<0.05 및 **P<0.01로 표시하였다.
실험예 2. 금은화 추출 정제물(HI-37)에 대한 in vitro 기전 연구
상기 실시예 1-1의 금은화 추출 정제물(HI-37)의 세포독성시험(MTT assay), NO 저해 활성 시험, TNF-α 저해 활성 및 IL-1β 저해 활성을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2-1. 세포독성시험(MTT assay)
HI-37의 세포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MTT assay(Hansen et al., Re-examinat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a precise and rapid dye method for measuring cell growth/cell kill, 1989)를 수행하였다.
24-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5 × 105 cells/well의 RAW264.7 세포(KTCC, Seoul national university)를 분주하고 HI-37을 농도별 (0.1, 1, 10, 100, 1000 및 10000 ㎍/mL)로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rtazolium bromide)가 0.25 mg/mL농도로 함유된 배양액으로 교환하여 4시간 동안 처리 후 생성된 포르마잔 크리스탈(formazan crystal)을 디메칠설포옥사이드 (300 ml/well)에 녹여 54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HI-37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대조군(도 2의 ‘Control’)과 세포독성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HI-37의 1000 ㎍/mL 농도까지 RAW264.7 세포주에 대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2-2. NO 저해 활성 실험
NO 저해 활성 실험은 LPS로 유발되는 활성 산소 중 하나이며, 염증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NO 생성에 대한 HI-37의 저해 활성을 Griess 방법(Ahn et al.,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 Ⅱ by platycodon grandiflorum saponins via suppression of nuclear factor-kappaB activation in RAW 264.7 cells, 2005)에 따라 하기와 같이 시행하였다.
24-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5 × 105 cells/well의 RAW264.7 세포를 분주하고 HI-37을 농도별 (0.1, 1, 10, 100 및 1000 ㎍/mL)로 처리하여 2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LPS 1 ㎍/mL 을 처리하여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100 ㎕의 세포배양액과 100 ㎕ Griess 반응액(1% sulfanilamide(Sigma, S9251) in 5% phosphoric acid(Fluka, 79606), 0.1% naphthylethylene dihydrochloride(Sigma, 222488) in D.W)을 넣고 multiplate reader(Hitachi, 747 automatic analyz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질산염(Nitrite) 표준시약으로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생성된 NO를 측정하여 HI-37 및 LPS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대조군(도 3의 ‘Control’) 및 LPS(1 ㎍/mL) 처리 음성대조군(도 3의 ‘LPS’)과 NO 저해 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는 낮은 양의 NO가 생성되었으나 LPS 처치 후 약 9.3배로 NO 생성이 증가하였다. HI-37의 0.1 및 10 ㎍/mL의 농도에서는 LPS 처리로 증가된 NO 량에 별다른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100 ㎍/mL의 농도 이상에서는 양성대조약물인 인도메타신(50 μM, indomethacin, Sigma, I7378)보다도 LPS에 의한 NO의 생성 증가를 현저히 억제하였다.
2-3. TNF-α 저해 활성 실험
TNF-α 저해 활성 실험은 LPS로 유발된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 TNF-α에 대한 HI-37의 저해 활성을 ELISA kit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24-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5 × 105 cells/well의 RAW264.7 세포를 분주하고 HI-37을 농도별 (0.1, 1, 10, 100 및 1000 ㎍/mL)로 처리하여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LPS 1 ㎍/mL을 처리하여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으며, 이후, mouse TNF-α ELISA kit(BD Bioscience, 2673KI)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HI-37 및 LPS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대조군(도 4의 ‘Control’) 및 LPS(1 ㎍/mL)처리 음성대조군(도 4의 ‘LPS’)과 TNF-α 저해 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 TNF-α는 정량할 수 없을 정도의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LPS 처치 후 약 380배로 TNF-α 생성량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HI-37은 LPS로 유도된 TNF-α의 생성에 별다른 영향을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양성대조약물인 인도메타신(50 μM, indomethacin)은 TNF-α의 생성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2-4. IL-1β 저해 활성 실험
IL-1β 저해 활성 실험은 LPS로 유발되어 생성된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 IL-1β에 대한 HI-37의 저해 활성을 ELISA kit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24-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5 × 105 cells/well의 RAW264.7 세포를 배양하고 HI-37을 농도별 (0.1, 1, 10, 100 및 1000 ㎍/mL)로 처리하여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LPS 1 ㎍/mL을 처리하여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mouse IL-1β ELISA kit(BD Bioscience, 2666KI)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HI-37 및 LPS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대조군(도 5의 ‘Control’) 및 LPS(1 ㎍/mL)처리 음성대조군(도 5의 ‘LPS’)과 IL-1β 저해 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는 3.8 mM의 IL-1β가 생성되었으나 LPS 처치 후 약 2.2배로 IL-1β생성이 증가하였다. HI-37의 0.1 및 10 ㎍/mL의 농도에서는 LPS 처리로 증가된 IL-1β 량에 별다른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100 ㎍/mL의 농도 이상에서는 용량 의존적으로 LPS에 의한 IL-1β의 생성 증가를 현저히 억제하였다. 양성대조약물인 인도메타신(50 μM, indomethacin)도 LPS로 유도된 IL-1β를 현저히 억제하였다.
결론적으로, 염증반응은 생체나 조직에 물리적, 화학적 물질 및 세균감염과 같은 기질적 변화를 초래하는 자극이 가해질 때 그 손상부위를 수복 재생하려는 기전이다. 일단 자극이 가해지면 국소적으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 하이드록시 에이코사테르라에노산(hydroxy eicosatetraenoic acid(HETE)) 및 류코트리엔(leukotriene)과 같은 혈관 활성 물질이 유리되어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키며 염증반응을 유발한다. 그러나 지속적인 염증반응은 점막손상을 촉진하고, 그 결과, 일부에서는 암 발생까지도 유발하게 된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LPS는 그람-음성균의 세포외막 성분으로, 대식세포(macrophage) 및 단핵세포(monocyte)에서 TNF-α, IL-6 및 IL-1β와 같은 염증매개 사이토카인(cytokine)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NF-α 및 IL-1β와 같은 사이토카인은 정상조직에서 발현될 뿐 아니라 병변과정에서 그 발현 정도가 현저히 증가되므로 피부염증,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여러 염증 질환과 매우 관련이 깊다.
염증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NO는 LPS, TNF-α, IL-1β 또는 IFN-γ(interferon-γ)에 의해 자극 받은 대식세포, 간세포, 신장세포에서 발현이 증가되는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에 의해 생성된다. iNOS에 의해 생성된 NO는 생체 내에서 혈관 투과성,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COX))도 활성화하여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과 같은 염증매개인자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염증을 더욱 증폭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RAW264.7 세포주는 염증반응과 관련된 대표적인 대식세포의 일종으로, 이를 LPS로 자극시켜 금은화 추출 정제물을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최고농도 1000 ㎍/mL)에서 처리하여 NO, TNF-α 및 IL-1β 생성을 관찰한 결과, 금은화 추출 정제물은 TNF-α 생성에는 별다른 영향을 나타내지 못하였으나, NO와 IL-1β 생성을 용량 의존적으로 현저히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HI-37은 염증매개 인자인 NO와 IL-1β를 억제함으로서 항염증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하기에 본 발명의 금은화 추출 정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HI-37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HI-37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HI-37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HI-37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HI-37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HI-37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HI-37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금은화 추출 정제물(HI-37)의 족부종 활성 결과(*P<0.05, **P<0.01)를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금은화 추출 정제물(HI-37)의 세포독성시험(MTT assay) 결과도이고,
도 3은 금은화 추출 정제물(HI-37)의 NO 저해 활성 시험 결과도(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P<0.01) from controls; Significantly different(++ P<0.01) from LPS control)이며,
도 4는 금은화 추출 정제물(HI-37)의 TNF-α 저해 활성 시험 결과도(Significantly different(** P<0.01) from controls; Significantly different(++ P<0.01) from LPS control)이고,
도 5는 금은화 추출 정제물(HI-37)의 IL-β 저해 활성 시험 결과도(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P<0.01) from control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P<0.01) from LPS control)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금은화를 그 중량의 10 내지 20배(v/w)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를 가하여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냉각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2회 내지 5회 반복 추출하는 제 1단계; 상기 추출물을 정제수로 용해시키고 동량의 노르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노르말 부탄올을 이용하여 2회 내지 5회 분획한 후, 유기용매 가용부를 제거하는 제 2단계; 제거 후 남은 수 가용성 분획을 정제수에 용해시켜, 그 중량의 10 내지 15배(w/w)의 미세다공 비이온 흡착제 수지 또는 역상 칼럼에 사용되는 수지에 흡착시켜 용출하는 제 3단계의 공정으로 제조된 금은화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후염, 편도염, 급성통증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5. 삭제
  6. 금은화를 그 중량의 10 내지 20배(v/w)의 정제수를 포함한 물 또는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를 가하여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냉각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2회 내지 5회 반복 추출하는 제 1단계; 상기 추출물을 정제수로 용해시키고 동량의 노르말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노르말 부탄올을 이용하여 2회 내지 5회 분획한 후, 유기용매 가용부를 제거하는 제 2단계; 제거 후 남은 수 가용성 분획을 정제수에 용해시켜, 그 중량의 10 내지 15배(w/w)의 미세다공 비이온 흡착제 수지 또는 역상 칼럼에 사용되는 수지에 흡착시켜 용출하는 제 3단계의 공정으로 제조된 금은화 추출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후염, 편도염, 급성통증 또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090063514A 2009-07-13 2009-07-13 항염 활성이 탁월한 금은화 추출 정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90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514A KR101090672B1 (ko) 2009-07-13 2009-07-13 항염 활성이 탁월한 금은화 추출 정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514A KR101090672B1 (ko) 2009-07-13 2009-07-13 항염 활성이 탁월한 금은화 추출 정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060A KR20110006060A (ko) 2011-01-20
KR101090672B1 true KR101090672B1 (ko) 2011-12-12

Family

ID=43612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514A KR101090672B1 (ko) 2009-07-13 2009-07-13 항염 활성이 탁월한 금은화 추출 정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6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582B1 (ko) * 2012-04-27 2012-09-18 주식회사 휴온스 활성성분이 증대된 금은화 정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N102697956A (zh) * 2012-05-09 2012-10-03 徐东波 一种治疗脉管炎的中药
KR101543775B1 (ko) 2013-09-24 2015-08-11 주식회사 에이치앤케이바이오사이언스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5148090A (zh) * 2015-10-16 2015-12-16 张永波 一种咽喉、肺部疾病护理用中药制剂
KR102364977B1 (ko) * 2018-11-14 2022-02-1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증진을 위한 금은화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060A (ko)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ranshahy et al. A review of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Portulaca oleracea L
KR101115500B1 (ko) 강활 및 방풍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80819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101090672B1 (ko) 항염 활성이 탁월한 금은화 추출 정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567235B1 (ko)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Zhang et al. Updates and advances on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Taraxacum mongolicum Hand.-Mazz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s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WO2016117705A1 (ja) 肝細胞増殖因子産出誘導剤
KR101534142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대사성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Zhang et al. A review of the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quality control of the ethnic medicinal plant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in China
KR101151567B1 (ko)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16837B1 (ko)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230010167A (ko) 한약재 발효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407188B1 (ko) 발효 또는 비발효된 혼합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대사성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89910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당뇨성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16193B1 (ko) 13종의 한약재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0547554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해동피, 갈화, 옻나무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101739425B1 (ko)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585779B1 (ko) 울금 및 홍화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및 항염증 조성물
KR101373173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506493B1 (ko) 민물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부종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8561B1 (ko) 퇴행성 뇌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계지, 지모 및 양강의 생약 혼합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0905387B1 (ko) 항염증 및 면역조절 활성을 가지는 매자나무 유래 용매 추출물의 조성물
KR101072288B1 (ko) 순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4―메톡시인돌―3―아세토니트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