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096B1 - 가공목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공목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096B1
KR101088096B1 KR1020090004481A KR20090004481A KR101088096B1 KR 101088096 B1 KR101088096 B1 KR 101088096B1 KR 1020090004481 A KR1020090004481 A KR 1020090004481A KR 20090004481 A KR20090004481 A KR 20090004481A KR 101088096 B1 KR101088096 B1 KR 101088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wood
starch
mixture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5291A (ko
Inventor
장재옥
Original Assignee
장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옥 filed Critical 장재옥
Priority to KR1020090004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09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5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27N1/02Mixing the material with binding agent
    • B27N1/029Feeding; Proportioning; Con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27N1/02Mixing the material with binding agent
    • B27N1/0209Methods, e.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07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and at least partly composed of recyc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폐목재를 분쇄하여 톱밥형태의 분쇄물을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분쇄물에 접착제를 혼합하는 단계와; 접착제와 분쇄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가압 및 건조시켜 플레이트형의 판재로 가공하는 단계; 플레이트형으로 가공된 가공판재를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및 절단된 가공판재의 외표면을 종이 또는 시트지를 이용하여 래핑가공하여 가공목재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접착제는, 밀가루, 셀락, 황토, 알파전분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에 토르말린 분말,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 규산화나트륨, 제올라이트, 어성초추출액,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팔각향 추출물 및 구연산을 혼합하여 형성된 전분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목재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폐가구, 폐목재, 재생, 접착제, 분쇄, 가공목재

Description

가공목재 및 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ocessing lumber whichrecycling waste the furniture}
본 발명은 폐 가구 등과 같이 폐기되는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가공목재(합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공목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목재로는 엠디에프(MDF : Medium Density Fiberboard), 에이치디에프(HDF : High Density Fiberboard), 로우디에프(LDF : Low Density Fiberboard) 등이 주종을 이룬다.
종래 가공목재의 제조방법의 일예를 보면, 폐기되는 목재를 수거한 다음, 건조하고 분쇄하여 톱밥을 만든다. 톱밥인 분쇄물을 얻어서 분쇄물에 접착제를 투입혼합하여 혼합물을 얻고, 상기 혼합물을 압축기의 성형틀에 넣고, 가압 및 가열하여 압축목 즉, 가공목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때 접착제에 색소 등을 넣어서 다양한 색상을 갖는 가공목재를 제조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톱밥으로 분쇄되어 얻은 분쇄물을 압착 접합시키기 위한 접착제로는 접착력과 빠른 결합력 등을 고려하여 인체에 유해하다고 알려진 포름알데이드, 다이옥신 등이 다량 함유된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 시멘트가 혼합된 접착제, 수지바인더가 함유된 접착제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어서, 최근에 친환경적인 가구 및 주거환경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에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재생목재보다는 천연목재 등을 주로 사용하여 제작된 가구 등을 선호하고 있으나, 이러한 천연목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가구 등은 그 가격이 재생목재에 비하여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공목재의 수요가 줄어들면서 폐가구의 재활용처를 찾지 못하여 그냥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폐가구를 재활용하는 동시에 유해한 성분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으로 제조된 가공목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공목재 제조방법은, 폐목재를 분쇄하여 톱밥형태의 분쇄물을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분쇄물에 접착제를 혼합하는 단계와; 접착제와 분쇄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가압 및 건조시켜 플레이트형의 판재로 가공하는 단계; 플레이트형으로 가공된 가공판재를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및 절단된 가공판재의 외표면을 종이 또는 시트지를 이용하여 래핑가공하여 가공목재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는, 밀가루, 셀락, 황토, 알파전분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에 토르말린 분말,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 규산화나트륨, 제올라이트, 어성초추출액,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팔각향 추출물 및 구연산을 혼합하여 형성된 전분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분 접착제는, 밀가루 400g에 셀락 200ml, 황토 130g, 알파전분 50g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교반시키면서 서서히 열을 주면서 100℃가 되게 하여 9분 내지 11분 끓이면서, 여기에 상기 밀가루 400g 대비하여 토르말린 분말 50g,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 20g, 규산화나트륨 20ml, 제올라이트 30g, 어성초추출액 50ml,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10ml, 팔각향 추출물 20ml, 구연산 20ml의 비율로 첨가하여 혼합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쇄물에 포함된 불순물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분순물 제거단계에서는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상기 분쇄물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분리하여 내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공목재는, 폐목재를 분쇄하여 톱밥형태의 분쇄물을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분쇄물에 접착제를 혼합하는 단계와; 접착제와 분쇄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가압 및 건조시켜 플레이트형의 판재로 가공하는 단계; 플레이트형으로 가공된 가공판재를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및 절단된 가공판재의 외표면을 종이 또는 시트지를 이용하여 래핑가공하여 가공목재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는, 밀가루, 셀락, 황토, 알파전분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에 토르말린 분말,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 규산화나트륨, 제올라이트, 어성초추출액,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팔각향 추출물 및 구연산 중에서 적어도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형성된 전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공목재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폐가구 등의 폐목재를 톱밥형태로 분쇄한 분쇄물에 친환경적인 성분들을 혼합하여 형성한 전분 접착제를 혼합한 뒤 가압(압착) 및 건조시켜 판형의 가공목재를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산된 가공목재는 친환경적인 성분들을 다량 함유한 전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인체에 유해한 성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충분한 접착력과 강도를 가짐으로써 폐자재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가공목재를 대량 생산 및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폐목재의 재활용을 통하여 환경문제를 해결함은 물론, 저렴한 가격으로 친환경적인 가공목재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폐 가구 등의 폐목재를 완전히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소각 등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폐목재를 재활용함으로써 목재의 수입량이 많은 국내의 경우 수입대체 효과에 따른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공목재의 경우에는 또다시 분쇄하여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목제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씽크, 가구 등과 같은 폐목재를 수거하여 목재 분쇄기를 이용하여 톱밥형태로 분쇄한 분쇄물(10)을 획득한다. 여기서 상기 목재 분쇄기는 엔진식, 전기식 등이 있으며, 이미 산업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목재 분쇄기(파쇄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쇄하여 얻은 분쇄물(10)에 접착제(20)를 혼합하여 혼합물(30)을 얻는다. 여기서 상기 접착제(20)는 밀가루, 셀락, 황토, 알파전분 및 물을 혼합 한 혼합물에 토르말린 분말,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 규산화나트륨, 제올라이트, 어성초추출액,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팔각향 추출물 및 구연산을 혼합하여 형성된 전분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분 접착제는 다음과 같은 비율 및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분 접착제는, 밀가루 400g 기준으로 셀락 200ml, 황토 130g, 알파전분 50g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교반시키면서 서서히 열을 주면서 100℃가 되게 하여 9분 내지 11분 끓이면서, 여기에 상기 밀가루 400g 대비하여 토르말린 분말 50g,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 20g, 규산화나트륨 20ml, 제올라이트 30g, 어성초추출액 50ml,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10ml, 팔각향 추출물 20ml, 구연산 20ml의 비율로 첨가하여 혼합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물의 혼합비율은 계절이나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서 다를 수 있으며, 전분 접착제의 점도를 확인하면서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가지는 전분 접착제(20)는 친환경적인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또한 인체에 유익한 성분 예를 들어, 음이온 방출, 항균효과 및 소취력의 이점이 있으면서도, 셀락과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 등은 전분의 접착력을 조절및 강화시킴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도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혼합물(30)을 얻은 다음에는 도 2와 같이 혼합물(30)을 소정의 틀(41)에 넣고, 가압유닛(43)을 이용하여 소정 압력 및 시간 동안 가압하면서 건조시킨다. 건조를 위해서는 상기 틀(41) 또는 가압유닛(43)에 별도의 가열부를 마련하여 가압되고 있는 상태의 혼합물(30)을 가열하여 보다 빨리 건조될 수 있 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열온도는 20 내지 50℃ 정도가 적당하며, 가압온도 및 가압압력은 혼합물의 양과 얻고자 하는 가공목재의 두께 및 사용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적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수치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가압유닛(43)을 이용하여 틀(41)에서 가압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플레이트형의 판재(50)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상기 판재(50)를 원하는 크기로 절단한 뒤, 절단된 면을 포함하여 외측면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에 걸쳐서 도 4와 같이 종이 또는 시트지(51)를 이용하여 래핑 가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공목재(60)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즉, 판재(50)를 규격대로 절단한 뒤, 래핑기계를 이용하여 판재(50)의 측면과 전후면에 시트지(51)를 180 내지 360도 말아서 감싸도록 래핑처리함으로써 소비자가 후 가공할 필요가 없는 규격화된 가공목재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생략하였으나, 도 1과 같이 폐목재를 분쇄하여 얻은 분쇄물(10)에 대형 마그네트를 접근시키거나, 또는 마그네트로 이루어진 덕트 내부로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분쇄물(10)이 천천히 통과하도록 하면서 분쇄물(10)에 포함한 금속물질이 마그네트에 의해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친환경적인 분쇄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인조목제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전분접착제의 제조과정 및 그 제조된 전분 접착제의 작용효과를 실험예와 비교예를 비교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전분 접착제 제조
밀가루 400g, 셀락 200ml, 황토 130g, 알파전분 50g을 혼합한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교반시키면서 서서히 열을 주면서 100℃가 되게 하여 10분 끓였다. 여기에 토르말린 분말 50g,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 20g 규산화나트륨 20ml, 제올라이트 30g, 어성초추출액 50ml,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10ml, 팔각향 추출물 20ml, 구연산 20ml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전분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셀락을 첨가하지 않은 전분 접착제 제조
밀가루 600g, 황토 130g, 알파전분 50g을 혼합한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교반시키면서 서서히 열을 주면서 100℃가 되게 하여 10분 끓였다. 여기에 토르말린 분말 50g,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 20g, 규산화나트륨 20ml, 제올라이트 30g, 어성초추출액 50ml,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10ml, 팔각향 추출물 20ml, 구연산 20ml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셀락을 첨가하지 않은 전분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알파전분을 첨가하지 않은 전분 접착제 제조
밀가루 400g, 셀락 200ml, 황토 130g을 혼합한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교반시키면서 서서히 열을 주면서 100℃가 되게 하여 10분 끓였다. 여기에 토르말린 분말 50g,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 20g, 규산화나트륨 20ml, 제올라이트 30g, 어성초추출액 50ml,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10ml, 팔각향 추출물 20ml, 구연산 20ml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알파전분을 첨가하지 않은 전분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토르말린을 첨가하지 않은 전분 접착제 제조
밀가루 400g, 셀락 200ml, 황토 130g, 알파전분 50g을 혼합한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교반시키면서 서서히 열을 주면서 100℃가 되게 하여 10분 끓였다. 여기에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 20g, 규산화나트륨 20ml, 제올라이트 30g, 어성초추출액 50ml,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10ml, 팔각향 추출물 20ml, 구연산 20ml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토르말린을 첨가하지 않은 전분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어성초 추출액을 첨가하지 않은 전분 접착제 제조
밀가루 400g, 셀락 200ml, 황토 130g, 알파전분 50g을 혼합한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교반시키면서 서서히 열을 주면서 100℃가 되게 하여 10분 끓였다. 여기에 토르말린 분말 50g,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 20g, 규산화나트륨 20ml, 제올라이트 30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10ml, 팔각향 추출물 20ml, 구연산 20ml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어성초 추출액을 첨가하지 않은 전분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팔각향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전분 접착제 제조
밀가루 400g, 셀락 200ml, 황토 130g, 알파전분 50g을 혼합한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교반시키면서 서서히 열을 주면서 100℃가 되게 하여 10분 끓였다. 여기에 토르말린 분말 50g,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 20g, 규산화나트륨 20ml, 제올라 이트 30g, 어성초추출액 50ml,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10ml, 구연산 20ml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팔각향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전분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를 첨가하지 않은 전분 접착제 제조
밀가루 400g, 셀락 200ml, 황토 130g, 알파전분 50g을 혼합한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교반시키면서 서서히 열을 주면서 100℃가 되게 하여 10분 끓였다. 여기에 토르말린 분말 50g, 규산화나트륨 20ml, 제올라이트 30g, 어성초추출액 50ml,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10ml, 팔각향 추출물 20ml, 구연산 20ml를 첨가한 후, 혼합하여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를 첨가하지 않은 전분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전분 접착제의 접착강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전분 접착제를 평량 220 g/m2의 라이너지의 가로 8mm × 세로 100mm 시편 1개당 0.03 g/cm2이 되도록 도포하고 150 ℃로 유지된 중량 1,140 g의 다리미를 사용하여 약 7초간 가열 접착한 다음 30 ℃ 물에서 12시간 방치시킨 후, 인장강도기(STROGRAPH M-50, Toyo Seiki, Japan)를 사용하여 접착력을 검사하였다.
단위: N/cm2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접착력 65 35 40 63 66 64 49
전분 접착제의 접착강도를 측정한 결과(표 1), 실시예 1과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5는 접착강도가 크게 차이나지 않았으나, 비교예 1과 비교예 6은 실시예 1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함유되는 셀락과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 및 알파번분이 접착제의 접착력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그로부터 본 발명의 우수한 접착력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전분 접착제의 음이온 방출양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서 제조된 전분 접착제들의 음이온 방출양을 측정하기 위해 일본 Com System사의 접촉식 음이온 테스트기인 COM-3010 PRO를 사용하였다. 상기 측정테스트는 온도 21℃, 습도 50%, 대기 중 음이온 입자수 62/cc 조건하에서 수행하였다.
단위: 이온수/cc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음이온
방출량
250 247 80 252 254 246 245
전분 접착제의 음이온 방출양을 측정한 결과(표 2), 실시예 1과 비교예 1,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6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비교예 2는 현저히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토르말린이 음이온을 방출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로부터 본 발명의 음이온방출 효과를 추론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전분 접착제의 항균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의 항균효과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표준 균주로서 Bacillus sp. CK-1을 사용하였다. 영양 육즙배지(Difco)에 접족하여 37℃, 150rpm에서 18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여 필요에 따라 희석에 의해 균수를 조절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각 전분접착제의 항균력을 평가하기 위해 정제수로 10배, 50배, 100배(v/v)로 희석하여 다음과 같이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즉, 준비된 육즙 영양 고체배지에 Bacillus sp. CK-1 균 배양액을 50㎕를 고르게 도말하고, 여기에 각각 희석된 전분 접착제를 20㎕씩 정량 채취하여 Bacillus sp. CK-1 균이 도말된 육즙 영양 고체배지에 일정 간격으로 점적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시켜 형성되는 균 성장 저지환의 크기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 90% 이상 사멸하는 경우, △: 50% 이상 사멸하는 경우, × : 50% 이하 사멸이나 항균 효과 없는 경우).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항균력 ×
전분 접착제의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표 3),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 비교예 5와 비교예 6은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으나, 비교예 4는 현저히 낮은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함유된 어성초 추출물이 항균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로부터 본 발명의 우수한 항균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전분 접착제의 소취력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서 제조된 각각의 전분접착제의 소취력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예에서는 악취원으로 암모니아(암모니아 검지관 사용, 0.03 % 수용액 0.5 mL 사용), 아민(아민류 검지관 사용, 0.3 % 수용액 0.5 mL 사용), 머캅탄(머캅탄류 검지관 사용, 0.1 % 벤젠용액, 0.1 mL 사용)을 사용하였다.
밀폐된 용기에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서 제조한 전분 접착제를 넣고 동량의 악취원을 각각 넣은 후, 일정시간 뒤 소취되지 않은 악취의 잔류량을 검지관(Gastec Detector)에 흡입시켜 잔류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하기의 평가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80 ppm 이상 소취력 없음, △; 50 ~ 80 ppm 미미한 소취력, ○; 20 ~ 50 ppm 소취력 있음, ◎; 20 ppm 이하 우수한 소취력).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소취력 암모니아
아민
머캅탄 ×
전분 접착제의 소취력을 측정한 결과(표 4),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및 비교예 6은 우수한 소취력을 나타냈지만 비교예 5는 그 효과가 미미하였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함유된 팔각향 추출물이 우수한 소취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로부터 본 발명의 우수한 소취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전분 접착제의 점도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서 제조된 전분 접착제의 점도를 'Spindle'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60rpm).
단위: cps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점도 90 150 140 91 92 90 190
전분 접착제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표 5), 실시예 1 및 비교예 3 및 비교예 5는 점도가 조절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6은 점도가 높아 다루는 것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함유된 셀락, 알파전분,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가 접착제의 점도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공목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와 같이 압착되어 가공된 합판을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공목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공목재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분쇄물 20..접착제
30..혼합물 50..플레이트형 판재
51..시트지 60..가공목재

Claims (5)

  1. 폐목재를 분쇄하여 톱밥형태의 분쇄물을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분쇄물에 접착제를 혼합하는 단계와;
    접착제와 분쇄물이 혼합된 혼합물을 가압 및 건조시켜 플레이트형의 판재로 가공하는 단계;
    플레이트형으로 가공된 가공판재를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및
    절단된 가공판재의 외표면을 종이 또는 시트지를 이용하여 래핑가공하여 가공목재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는, 밀가루, 셀락, 황토, 알파전분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에 토르말린 분말,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 규산화나트륨, 제올라이트, 어성초추출액,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팔각향 추출물 및 구연산을 혼합하여 형성된 전분 접착제이며,
    상기 전분 접착제는,
    밀가루 400g에 셀락 200ml, 황토 130g, 알파전분 50g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에 물을 첨가한 후, 교반시키면서 서서히 열을 주면서 100℃가 되게 하여 9분 내지 11분 끓이면서, 여기에 상기 밀가루 400g 대비하여 토르말린 분말 50g, 카르복실메틸셀룰라이즈 20g, 규산화나트륨 20ml, 제올라이트 30g, 어성초추출액 50ml,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10ml, 팔각향 추출물 20ml, 구연산 20ml의 비율로 첨가하여 혼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목재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물에 포함된 불순물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목재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순물 제거단계에서는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상기 분쇄물에 포함된 금속물질을 분리하여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목재 제조방법.
  5. 삭제
KR1020090004481A 2009-01-20 2009-01-20 가공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088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481A KR101088096B1 (ko) 2009-01-20 2009-01-20 가공목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481A KR101088096B1 (ko) 2009-01-20 2009-01-20 가공목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291A KR20100085291A (ko) 2010-07-29
KR101088096B1 true KR101088096B1 (ko) 2011-11-29

Family

ID=42644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481A KR101088096B1 (ko) 2009-01-20 2009-01-20 가공목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0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9550A (zh) * 2014-04-18 2014-07-09 德华兔宝宝装饰新材股份有限公司 一种负离子功能保健型板材及其制造方法
CN105401483A (zh) * 2015-11-12 2016-03-16 何志明 一种高耐磨性纸板及其生产工艺
KR101932001B1 (ko) * 2017-06-30 2018-12-24 주식회사 승화가구 친환경 가구용 판넬 및 친환경 가구의 제조방법
KR102109459B1 (ko) 2019-11-08 2020-05-12 이은철 휨이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가공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휨이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가공목재
KR102122810B1 (ko) 2019-11-08 2020-06-15 이은철 친환경 가공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친환경 가공목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119A (ko) 2017-11-27 2019-06-05 주식회사 심텍21 강도 및 방염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CN108568885A (zh) * 2018-05-14 2018-09-25 湖南工业大学 一种低密度椰壳纤维缓冲包装材料及其制备方法及胶黏剂
CN112847689A (zh) * 2021-01-06 2021-05-28 广东中晨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高端垫板及其制备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9550A (zh) * 2014-04-18 2014-07-09 德华兔宝宝装饰新材股份有限公司 一种负离子功能保健型板材及其制造方法
CN105401483A (zh) * 2015-11-12 2016-03-16 何志明 一种高耐磨性纸板及其生产工艺
KR101932001B1 (ko) * 2017-06-30 2018-12-24 주식회사 승화가구 친환경 가구용 판넬 및 친환경 가구의 제조방법
KR102109459B1 (ko) 2019-11-08 2020-05-12 이은철 휨이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가공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휨이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가공목재
KR102122810B1 (ko) 2019-11-08 2020-06-15 이은철 친환경 가공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친환경 가공목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291A (ko)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096B1 (ko) 가공목재 및 그 제조방법
CN104608228B (zh) 一种抗菌防霉芳香型定向刨花板及其制备工艺
CN101200624A (zh) 木材胶粘剂用添加剂及其配制工艺
CN105368071A (zh) 生物质树脂及其纤维定向刨花复合板的制备方法
CN101269513A (zh) 多功能环保型人造板及其制备方法
CN102179857A (zh) 一种高强度纤维板及其制造方法
CN102179856A (zh) 一种高强度刨花板及其制造方法
CN102994003B (zh) 脲醛树脂添加剂及其应用
CN103737695B (zh) 一种木纤维先进复合材制造方法
CN202962586U (zh) 用于制造氨基模塑料的粉碎装置
KR20220046871A (ko) 가공목재의 제조방법
CN105082299A (zh) 一种生态纤维板制备方法
KR102109459B1 (ko) 휨이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가공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휨이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가공목재
CN101591522A (zh) 改性玉米蛋白胶粘剂及环境友好型刨花板的制备方法
CN106696047A (zh) 一种环保型高密度木竹纤维板材制作方法
CN101337370B (zh) 一种高密度荻草纤维板的制备方法
RU2493001C1 (ru) Пресс-масс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древесно-стружечных плит
KR20180019383A (ko) 칩보드 제조방법
CN102268847A (zh) 无醛植物纤维包装材料的制造方法
KR102122810B1 (ko) 친환경 가공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친환경 가공목재
CN108058248B (zh) 超微活化桉树皮生产人造板用生物质填料的方法
CN101646536A (zh) 木质板的制造方法
GB2579182A (en) Binder materials
CN101293373A (zh) 真空氨法降解纤维板游离甲醛的方法
KR20170049807A (ko) 가구용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