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119A - 강도 및 방염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도 및 방염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119A
KR20190061119A KR1020170159137A KR20170159137A KR20190061119A KR 20190061119 A KR20190061119 A KR 20190061119A KR 1020170159137 A KR1020170159137 A KR 1020170159137A KR 20170159137 A KR20170159137 A KR 20170159137A KR 20190061119 A KR20190061119 A KR 20190061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ood
wood
agricultural
weigh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운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심텍21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심텍21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심텍21
Priority to KR1020170159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1119A/ko
Publication of KR20190061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04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to produce plywood or articles made therefrom; Plywoo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52Impregnating agent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4Combined bleaching or impregnating and drying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27N1/02Mixing the material with binding agent
    • B27N1/029Feeding; Proportioning; Con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 B27K2240/15Decontamination of previously treated woo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려진 폐목재나 농업부산물을 재활용하여 건축자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목재나 농업부산물을 서로 다른 크기로 파쇄하고 이를 접착제와 함께 혼합하여 판재로 성형한 후 방염액에 침지시켜 강도 와 방염성을 향상시킨 건축자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도 및 방염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은, 대나무, 라왕, 미송을 포함한 폐목재를 분쇄하는 단계와, 팽연왕겨, 톱밥, 볏집을 포함한 농업부산물를 폐목재 분쇄물 보다 작은 입도로 분쇄하는 단계와, 폐목재 분쇄물과 농업부산물 분쇄물을 1: 0.5~0.8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접착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폐목재 분쇄물, 농업부산물 분쇄물, 접착재의 혼합물을 가압 압축하여 소정 두께의 판재로 형성하는 단계와, 판재를 마이크로 웨이브로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판재를 방염액에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도 및 방염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construction materials with excellent strength and fire prevention}
본 발명은 버려진 폐목재나 농업부산물을 재활용하여 건축자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폐목재나 농업부산물을 서로 다른 크기로 파쇄하고 이를 접착제와 함께 혼합하여 판재로 성형한 후 방염액에 침지시켜 강도 와 방염성을 향상시킨 건축자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의 생산활동 등 산업활동 과정이나 산을 깎아 건물을 짓는 등의 과정을 통해서 다양한 폐목재가 발생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임지(林地)에서는 벌목이나 산림관리 작업 후에 가지나 뿌리 등의 잔재물이 많이 발생하고, 목재가공에서 수피, 톱밥 등의 각종 제재부산물, 가구나 악기 제조 부산물, 나무판제품 가공과정에서 나오는 목재분진 등이 발생하며, 물류 유통과정에서도 파레트, 목재포장박스 등에서 폐목재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다양하게 배출되는 폐목재의 재자원화는 재생가능자원인 목재자원을 효율적으로 순환이용하면서 온실가스의 장기적 흡수저장기능을 확보하는 자원정책 및 환경정책적 차원에서 중요한 문제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목재소비량의 약 40% 정도에 달하는 폐목재가 배출되고 있는 것에 반하여, 폐목재의 재활용률이 아직 매우 낮은 편이다.
이에 따라 폐목재의 보다 부가가치 있는 활용을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파티클 보드(PB)나 중밀도 섬유판(MDF)과 같은 건축자재를 제조하는 기술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1-0016150호(건축폐기물 및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인조목재 및 그 제조방법)에는 폐목재를 이용한 인조목재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으나 폐목재 이외에 폐콘크리트와 폐타이어를 함께 이용하고 있어 환경에 유해한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6-0108872호(폐지폐 및 폐목재칩을 이용한 파티클보드의 제조방법)에는 폐콘크리트와 폐타이어를 사용하지 않고 폐지폐와 폐목재칩을 이용한 파티클보드의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파티클보드는 파쇄된 원료 접착시 인체에 유해한 포름알데이드, 다이옥신 등을 함유하는 접착제의 유해성으로 인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085291호(가공목재 및 그 제조방법)에는 폐목재 자원을 활용하여 합판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폐목재의 접착제로 전분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건축자재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개시된 폐목재를 이용한 건축자재는 친환경 문제에만 국한하여, 내장자재로 사용시의 필요한 방염기능이나 건축자재의 기본성능인 강도 향상의 문제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
1. (선행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1-0016150호(발명의 명칭: 건축폐기물 및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인조목재 및 그 제조방법. 2011.02.17) 2. (선행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6-0108872호(폐지폐 및 폐목재칩을 이용한 파티클보드의 제조방법. 2006.10.18) 3. (선행특허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085291호(발명의 명칭: 가공목재 및 그 제조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폐목재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강도와 방염성이 우수한 건축자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도 및 방염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은, 대나무, 라왕, 미송을 포함한 폐목재를 분쇄하는 단계와, 팽연왕겨, 톱밥, 볏집을 포함한 농업부산물를 폐목재 분쇄물 보다 작은 입도로 분쇄하는 단계와, 폐목재 분쇄물과 농업부산물 분쇄물을 1: 0.5~0.8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접착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폐목재 분쇄물, 농업부산물 분쇄물, 접착재의 혼합물을 가압 압축하여 소정 두께의 판재로 형성하는 단계와, 판재를 마이크로 웨이브로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판재를 방염액에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염액은 방염액 총 중량 대비 제1인산소다 3~7중량%, 제2인산암모늄 15~25중량%, 붕사 2~5중량%, 붕산 3~6중량%, 폴리옥시알킬레이티드 알킬 인산 에스터 2~5중량%, 물 60~7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 웨이브를 3㎾~6㎾의 저출력으로 판재에 조사하여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 웨이브로 건조된 판재의 함수율은 3~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도가 우수한 대나무를 포함한 폐목재와 농업부산물을 서로 다른 크기로 파쇄하여 압착함으로써 공극률을 최소화하여 강도를 향상하고,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판재 내부로 방염액을 효과적으로 침투시켜 방염성이 우수하여 외장재는 물론 내장재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도 및 방염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목재 분쇄물과 농업부산물 분쇄물의 혼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건축자재 사진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도 및 방염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자재 제조방법은 폐목재를 분쇄하는 단계(S110), 농업부산물을 분쇄하는 단계(S120), 폐목재 분쇄물, 농업부산물 분쇄물, 접착제를 혼합하는 단계(S130), 혼합물을 가압 압축하여 소정 두께의 판재로 형성하는 단계(S140), 판재를 마이크로 웨이브로 건조하는 단계(S150), 및 건조된 판재를 방염액에 침지하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폐목재를 분쇄하는 단계(S110)는 전기식 또는 기계식의 목재 분쇄기를 이용하여 폐목재를 분쇄하는데, 평균 입도가 2~5mm의 크기로 분쇄되는데 후술하는 농업부산물보다 큰 입자로 파쇄된다. 폐목재로는 대나무, 라왕, 미송 등이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강도가 높은 대나무를 분쇄하여 첨가함으로써 판재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농업부산물을 분쇄하는 단계(S120)는 농업부산물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는데, 상술한 폐목재 분쇄물보다 작게 평균 입도가 0.3~0.7mm의 미세한 분말로 분쇄된다. 도 2는 폐목재 분쇄물과 농업부산물 분쇄물의 혼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미세한 분말로 분쇄된 농업부산물(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착제에 의해 폐목재 분쇄물(10) 사이 공간에 충전됨에 따라 제조된 판재의 공극률이 저감되어 강도가 향상된다. 농업부산물로는 팽연왕겨, 톱밥, 볏집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팽연왕겨는 왕겨를 고온고압으로 가공하여 부드럽게 만든 것으로 보수력 및 통기력이 탁월하고, 규산질 성분이 많은 장점이 있다.
폐목재 분쇄물, 농업부산물 분쇄물, 접착제를 혼합하는 단계(S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쇄된 폐목재 분쇄물과 농업부산물 분쇄물을 1: 0.5~0.8 중량 비율로 혼합한다. 첨가되는 농업부산물 분쇄물이 폐목재 분쇄물 중량대비 0.5에 미치지 못하면 폐목재 분쇄물 사이의 공극이 증대되어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0.8을 초과하면 접착제의 사용이 과도하여 환경에 유해한 문제가 있다. 접착제는 멜라민수지, 페놀수지,우레탄수지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수지 중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 첨가량은 경제성을 고려해 폐목재 분쇄물과 농업부산물 분쇄물의 전체중량 대비 10~20%를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혼합물을 가압 압축하여 소정 두께의 판재로 형성하는 단계(S140)는, 폐목재 분쇄물, 농업부산물 분쇄물, 접착제의 혼합물을 소정의 틀에 넣고, 가압유닛을 이용하여 소정 압력 및 시간 동안 가압하면서 압축시킨다. 가압압력은 혼합물의 양과 얻고자 하는 판재의 두께 및 사용처 등에 따라 조정되며, 본 단계를 통해 소정두께의 판재가 성형된다.
판재를 마이크로 웨이브로 건조하는 단계(S150)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3㎾~6㎾의 저출력으로 판재에 조사하여 건조한다. 목재 내부를 건조하기 위해 고온 열풍을 흘려보내는 열풍건조에 비하여 마이크로 웨이브는 수분을 함유한 목재 내부의 물 분자에 흡수되어 열로 변하므로 내부에서부터 물 분자의 확산, 전도, 기화가 이루어져 외부보다 내부의 함수율이 낮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방염액이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다. 목재 종류에 따른 함수율의 차이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의 출력은 조정이 가능하나, 일반적으로는 전술한 저출력 범위 내에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낮은 출력으로 일정시간 이상 마이크로웨이브를 가열하였을 경우 목재에 더해지는 응력 및 변색에 의한 부담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이크로 웨이브로 건조된 판재의 함수율은 3~5%인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된 판재를 방염액에 침지하는 단계(S160)는 건조된 판재를 방염액에 완전 침지하는데, 방염액은 방염액 총 중량 대비 제1인산소다 3~7중량%, 제2인산암모늄 15~25중량%, 붕사 2~5중량%, 붕산 3~6중량%, 폴리옥시알킬레이티드 알킬 인산 에스터 2~5중량%, 물 60~70중량%으로 이루어진다. 판재의 침지시간은 30~45분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웨이브로 단시간에 목재를 가열시켜 목재 내부의 함수량을 저하시킨 후, 목재를 방염액에 침지하면 목재 내의 빈 공극으로 방염액의 침투가 수월하게 이루어져 침지시간의 단축과 방염성능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판재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판재(100)는 강도가 우수한 대나무를 포함한 폐목재와 농업부산물을 서로 다른 크기로 파쇄하여 압착함으로써 공극률을 최소화하여 강도를 향상하고,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하여 판재 내부로 방염액을 효과적으로 침투시켜 방염성이 우수하다.
10: 폐목재 분쇄물 20: 농업부산물 분쇄물
100: 판재

Claims (4)

  1. 대나무, 라왕, 미송을 포함한 폐목재를 분쇄하는 단계;
    팽연왕겨, 톱밥, 볏집을 포함한 농업부산물을 상기 폐목재 분쇄물 보다 작은 입도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폐목재 분쇄물과 농업부산물 분쇄물을 1: 0.5~0.8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접착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폐목재 분쇄물, 농업부산물 분쇄물, 접착재의 혼합물을 가압 압축하여 소정 두께의 판재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판재를 마이크로 웨이브로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판재를 방염액에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및 방염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염액은 방염액 총 중량 대비 제1인산소다 3~7중량%, 제2인산암모늄 15~25중량%, 붕사 2~5중량%, 붕산 3~6중량%, 폴리옥시알킬레이티드 알킬 인산 에스터 2~5중량%, 물 60~7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및 방염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를 3㎾~6㎾의 저출력으로 판재에 조사하여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및 방염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로 건조된 판재의 함수율은 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 및 방염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KR1020170159137A 2017-11-27 2017-11-27 강도 및 방염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KR20190061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137A KR20190061119A (ko) 2017-11-27 2017-11-27 강도 및 방염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137A KR20190061119A (ko) 2017-11-27 2017-11-27 강도 및 방염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119A true KR20190061119A (ko) 2019-06-05

Family

ID=66844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137A KR20190061119A (ko) 2017-11-27 2017-11-27 강도 및 방염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11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394B1 (ko) * 2020-04-17 2021-02-17 (주)정우하우징 폐건축자재와 살균,정화 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재생 건축자재 및 그 제조방법
CN115091565A (zh) * 2022-07-15 2022-09-23 浙江农林大学 一种利用霉变废弃原竹制备大片刨花板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872A (ko) 2005-04-14 2006-10-18 그린월드산업 주식회사 폐지폐 및 폐목재칩을 이용한 파티클보드의 제조방법
KR20100085291A (ko) 2009-01-20 2010-07-29 장재옥 가공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6150A (ko) 2009-08-11 2011-02-17 박현옥 건축폐기물및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인조목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872A (ko) 2005-04-14 2006-10-18 그린월드산업 주식회사 폐지폐 및 폐목재칩을 이용한 파티클보드의 제조방법
KR20100085291A (ko) 2009-01-20 2010-07-29 장재옥 가공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6150A (ko) 2009-08-11 2011-02-17 박현옥 건축폐기물및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인조목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394B1 (ko) * 2020-04-17 2021-02-17 (주)정우하우징 폐건축자재와 살균,정화 식물을 이용한 친환경 재생 건축자재 및 그 제조방법
CN115091565A (zh) * 2022-07-15 2022-09-23 浙江农林大学 一种利用霉变废弃原竹制备大片刨花板的方法
CN115091565B (zh) * 2022-07-15 2023-09-01 浙江农林大学 一种利用霉变废弃原竹制备大片刨花板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4707C2 (ru) Плита, синтезированная из порошка из негодных печатных плат,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EP2153957B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compression-molded articles of vegetable material
KR100779632B1 (ko) 옥수숫대를 이용한 기능성 판재 및 그 제조방법
JP6266045B2 (ja) ポリ乳酸と木繊維を用いた環境にやさしいボードの製造方法
JP6407630B2 (ja) 不燃性積層ボードの製造方法
EP2722142A1 (en) Circuit-board powder made eco-friendly panel free from aldehyde and carbon emission and production method
KR20190061119A (ko) 강도 및 방염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EA021142B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древесных волокон из древесно-волокнистых и/или древесно-стружечных плит для повтор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6663750B2 (ja) パーティクルボード
CN102304280B (zh) 利用电路板粉合成的无醛零碳环保板材及其制造工艺
KR20120125439A (ko)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
KR101787575B1 (ko) 가구용 패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가구
CN210791343U (zh) 双层木皮高强度人造板
JP3919639B2 (ja) 準不燃木質ボードとその製造方法
Iwakiri et al. Production of structural particleboard of Mimosa scabrella benth with lignin phenol-formaldehyde resin
KR100434576B1 (ko) 문화재 수장고용 항균불투습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35565A (ko)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
KR20160128492A (ko) 귤박-톱밥을 이용한 난연 흡음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039008B1 (ko) 목재의 파쇄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목모의 제조방법
KR101420651B1 (ko) 천연 섬유판의 제조 방법
KR100341631B1 (ko) 문화재 수장고용 불투습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471717B1 (ko) 문화재 수장고용 항균불투습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492068B1 (ko) 폐목재를 이용한 불연성 파티클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517591B1 (ko) 옥수숫대 합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78583B1 (ko) 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하는 고강도 판넬용 펠렛 및 이를 포함하는 고강도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