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565A -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 - Google Patents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565A
KR20100135565A KR1020090054023A KR20090054023A KR20100135565A KR 20100135565 A KR20100135565 A KR 20100135565A KR 1020090054023 A KR1020090054023 A KR 1020090054023A KR 20090054023 A KR20090054023 A KR 20090054023A KR 20100135565 A KR20100135565 A KR 20100135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products
plate
fiber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동
Original Assignee
박정동
주식회사 알래스카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동, 주식회사 알래스카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박정동
Priority to KR1020090054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5565A/ko
Publication of KR20100135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07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and at least partly composed of recyc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10Moulding of mats
    • B27N3/12Moulding of mats from fib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은 초본류의 줄기 및 잎을 포함하는 농업부산물을 직경 0.2~1.5cm의 크기로 파쇄하는 단계; 그라인더에 의해 기계적 방식으로 상기 파쇄된 농업부산물로부터 섬유질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섬유질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섬유질 20~80중량부에 수지접착제 3~15중량부와, 첨가제 5~1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수지접착제 및 첨가제가 혼합된 섬유질을 150~230℃의 온도에서 10~50kgf/cm2의 압력으로 5~10분간 단층 또는 3층의 판재로 성형 및 압축하는 단계; 상기 성형 및 압축된 판재를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판재를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된 판재를 샌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자원의 절약 및 재활용이 가능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밀도의 제품군을 생산할 수 있고, 유해물질의 방사를 방지하고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방사가 가능하며, 파티클 보드와 파이버 보드의 단점을 모두 보완할 수 있다.
농업부산물, 판재, 합판

Description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 { BOARD MANUFACTURING METHOD USING AGRICULTURAL SCRAPS AND BOARD THEREOF }
본 발명은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쇄한 농업부산물에서 기계적 방식으로 섬유질을 추출하여 판재를 제조하는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원목의 수입이 감소하는 등의 이유로 목재 자원이 부족해짐에 따라 목재의 박편을 잘게 부수어서 수지접착제를 첨가한 후 압착한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 삭편판)와, 각종 식물섬유를 주원료로 하여 접착한 파이버 보드(Fiber Board, 섬유판) 등이 목재를 대체하여 건축재와 가구재 등으로 널리 사용된다.
이들은 가공성과 흡음력, 보온력 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파이버 보드 중 중밀도를 가지는 MDF(Medium Density Fiberboard)는 위에서 설명한 장점과 함께 재질이 균일하고 표면이 평활하여 합판재나 목재의 대체재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파티클 보드나, 파이버 보드는 섬유질을 추출하는 해섬과정에서 건조 및 전력에 필요한 비용이 높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섬유질 추출시 중량비 50%의 섬유질만이 추출되므로 효율적이지 못하다.
또한 파티클 보드나 파이버 보드는 목재나 합판에 비해 섬유질의 탄성이 떨어져 인장력이나 못박음성과 같은 지지력 및 박리강도 등이 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원의 절약 및 재활용이 가능한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양한 밀도의 제품군을 생산할 수 있는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해물질의 방사를 방지하고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방사가 가능한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파티클 보드와 파이버 보드의 단점을 모두 보완할 수 있는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초본류의 줄기 및 잎을 포함하는 농업부산물을 직경 0.2~1.5cm의 크기로 파쇄하는 단계; 그라인더에 의해 기계적 방식으로 상기 파쇄된 농업부산물로부터 섬유질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섬유질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섬유질 20~80중량부에 수지접착제 3~15중량부와, 첨가제 5~1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수지접착제 및 첨가제가 혼합된 섬유질을 150~230℃의 온도에서 10~50kgf/cm2의 압력으로 5~10분간 단층 또는 3층의 판재로 성형 및 압축하는 단계; 상기 성형 및 압축된 판재를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판재를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된 판재를 샌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수지접착제로부터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를 억제하기 위한 경화제와, 내수제와, 포름알데히드중화제와, 내연성 및 내화성 강화제와, 음이온 방사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업부산물의 분말과, 강피류와, 목본섬유 및 목분과, 펄프부산물 및 제지부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20~80중량부를 상기 판재의 양면에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업부산물을 파쇄하는 단계는, 상기 파쇄된 농업부산물을 고온 및 고압 증기로 팽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섬유질과, 상기 접착제와, 상기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파쇄된 농업부산물의 입자 50~70%와, 상기 추출된 섬유질 30~50%과, 상기 접착제와, 상기 첨가제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섬유질에 상기 접착제 및 상기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는, 강피류와, 과피류와, 옥수수대공과, 목본섬유 및 목분과, 종이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펄프 슬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혼합할 수 있다.
한편, 직경 0.2~1.5cm의 크기로 그라인더에 의해 기계적 방식으로 파쇄된 초본류의 줄기 및 잎을 포함하는 농업부산물로부터 추출되어 건조된 섬유질 20~80 중 량부로 구성된 섬유질층과; 수지접착제 3~15중량부와; 첨가제 5~1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접착제 및 첨가제가 혼합된 섬유질을 150~230℃의 온도에서 10~50kgf/cm2의 압력으로 5~10분간 단층 또는 3층으로 성형 및 압축하여 냉각하고, 절단한 후 샌딩처리가 수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수지접착제로부터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를 억제하기 위한 경화제와, 내수제와, 포름알데히드중화제와, 내연성 및 내화성 강화제와, 음이온 방사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업부산물의 분말과, 강피류와, 목본섬유 및 목분과, 펄프부산물 및 제지부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20~80중량부를 상기 판재의 양면에 도포할 수 있다.
상기 파쇄된 농업부산물은 고온 및 고압 증기로 팽연화되며, 상기 파쇄된 농업부산물의 입자 50~70%와, 상기 추출된 섬유질 30~50%과, 상기 접착제와, 상기 첨가제가 혼합되어 성형 및 압축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섬유질에는 강피류와, 과피류와, 옥수수대공과, 목본섬유 및 목분과, 종이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펄프 슬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에 의하면 자원의 절약 및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에 의하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에 의하면 다양한 밀도의 제품군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에 의하면 유해물질의 방사를 방지하고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방사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에 의하면 파티클 보드와 파이버 보드의 단점을 모두 보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는 그라인더에 의해 기계적 방식으로 파쇄된 농업부산물로부터 추출되어 건조된 섬유질 20~80중량부와, 수지접착제 3~15중량부와, 첨가제 5~10중량부를 포함한 섬유질층(10)을 가진다.
여기서, 농업부산물은 볏짚과, 밀짚과, 면화와, 아마와, 두류와, 옥수수대 와, 갈대와, 면화 등의 초본 줄기와 잎을 이용하며, 쌀겨, 보릿겨, 왕겨, 밀겨, 면실피 등과 같은 강피류도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옥수수대공과 그 분말 및 땅콩피와, 두피 등의 과피류도 이용될 수 있으며, 목본섬유와, 목분과, 목편 및 죽섬유와, 사탕수수섬유와, 사탕무우섬유 등도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는 초본 줄기와 잎을 이용하기 때문에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초본 줄기와 잎은 매년 재생산되므로 원료의 조달이 용이하고, 목재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산림자원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원료들이 더 포함됨으로써, 판재의 표면 균질도와, 가공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판재는 농업부산물에 펄프 슬러지가 더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펄프 슬러지는 종이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이며 종이는 나무를 주성분으로 하며 종이의 제조과정에서 세척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위생상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써, 펄프 슬러지의 폐기에 필요한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친환경적인 판재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판재는 농업부산물 입자의 비중이 낮고 판재의 강도를 좌우하는 접착제의 접촉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동일한 밀도의 파티클 보드에 비해 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농업부산물을 치퍼(Chipper)에 의해 직경 0.2~1.5cm로 크기로 파쇄한다. 여기서 직경 0.2~1.5cm는 파이버 보드의 입자보다는 크고 파티클 보드의 입자보다는 작은 크기 를 의미한다. 이로써, 강도와 못박음성 및 박리강도 등에서 파티클 보드와 파이버 보드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치퍼에 의해 파쇄된 입자는 선별작업을 거친 다음 그라인더(Grinder)에 의해 기계적 방식으로 섬유질이 추출되는 해섬(Pulping) 과정과, 팽윤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파쇄과정에 의해 파쇄된 농업부산물의 직경은 섬유판인 파이버 보드의 입자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지만, 파티클 보드보다는 조직이 치밀하여 절단시에 단면이 깨끗하고 표면의 테이핑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는 이렇게 열화학적 처리방식에 의하지 않고 기계적 처리방식에 의하며, 목재 파이버 보드(Fiber Board)와 같이 섬유질 추출에 많은 비용과 설비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추출된 섬유질은 건조된 후, 접착제가 혼합되는 과정을 거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접착제는 우레아 포름알데히드 (Urea Formaldehyde)와,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Melamin Formaldehyde)와, 우레아 혼합 포름알데히드 (Urea & Mixed Formaldehyde)와, 페놀 우레아 혼합 포름알데히드 (Phenol & Urea & Mixed Formaldehyde), 우레아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Urea Melamin Formaldehyde)와, 폴리라우릴아크릴레이트 (Poly-laurylacrylate)와, 폴리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Poly-2-ethylhexylacrylate)와, 아세트산 비닐수지 (Polyvinyl Acetate)와, 아크릴비닐 접착제 (Acrylicvinyl Glue) 등의 수지접착제가 사용되며, 3~15중량부가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는 수지접착제와 함께 경화제와, 내수재와, 포름알데히드 중화제 등의 첨가제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에 사용되는 첨가제는 내연성과, 내화성과, 음이온방사 등의 기능성을 증대하기 위한 다양한 원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재에 사용되는 경화제로는 염화암모늄과, 염화마그네슘과, 염화알루미늄과, 수산화암모늄과, 인산암모늄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내수제로는 파라핀 왁스 에멀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포름알데히드 중화제도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접착제로서 사용되는 수지접착제로부터 방사되는 포름알데히드를 억제하는 한편, 원적외선 방사와 음이온 방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렇게 수지접착제 및 첨가제가 혼합된 섬유질은 150~230℃의 온도에서 10~50kgf/cm2의 압력으로 5~10분간 단층 또는 3층의 판재로 성형 및 압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는 농업부산물의 직경과, 판재의 성형 및 압축시의 온도/압력의 크기에 따라 저밀도 판재와, 중밀도 판재와, 고밀도 판재의 성형이 가능하다.
먼저, 흡음 보온재와 같은 저밀도 판재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농업부산물을 직경 0.2~1.5cm의 크기로 분쇄하여 수지접착제와 첨가제를 혼합한 후 150~200℃의 온도에서 10~50kgf/cm2의 압력으로 5~10분간 성형한다. 이로써, 밀도 0.3~0.5g/cm3의 판재가 제조될 수 있다. 제조된 판재는 단층 또는 3층판 모두가 가능하다.
그리고 가구재와, 건축재를 제조하기 위한 중밀도 판재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농업부산물을 직경 0.2~0.5cm로 분쇄하여 수지접착제와 첨가제를 혼합한 후 150~230℃의 온도에서 10~50kgf/cm2의 압력으로 5~10분간 성형한다. 이로써, 밀도 0.5~0.7g/cm3의 판재가 제조될 수 있다. 저밀도 판재와 마찬가지로 제조된 판재는 단층 또는 3층판 모두가 가능하다.
또한, 동일한 조건 하에서 밀도 0.7~0.9g/cm3의 고밀도 판재도 성형할 수 있다. 고밀도 판재는 악기재와, 바닥재와, 팔레트재와, 몰딩재와, 선박재와, 차량재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위의 실시예는 밀도를 기준으로 하여 분류한 실시예이며, 섬유질과, 수지접착제와, 첨가제의 혼합비율을 다양하게 변화시킴과 동시에 판재 성형시의 온도 및 압력 역시 다양하게 변화시켜 여러 가지 물리적 특성을 가지는 판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판재는 또다른 실시예로서 농업부산물을 직경 0.2~0.5cm로 분쇄한 후, 분쇄된 입자를 고온 및 고압증기로 팽연화시키고,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기계적 방식에 의해 30~50% 정도의 해섬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미세하게 팽연된 입자와 부분적으로 해섬된 섬유질에 수지접착제와, 첨가제를 사용하여 150~230℃의 온도에서 30~50kgf/cm2의 압력으로 5~10분간 성형하면 파티클 보드와 파이버 보드의 중간물성의 판재를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는 양측 표면에 농업부산물의 분말과, 강피류와, 목본섬유 및 목분과, 펄프부산물 및 제지부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20~80중량부가 도포된 도포층(20)을 가진다.
이로써, 표면 균질도가 높아지며, 가공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가 3층판으로 성형되는 경우 중앙 판재에 두류와, 면화줄기 또는 목섬유 입자가 첨가함으로써 표면 균질도를 높이고,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농업부산물을 직경 0.2~1.5cm의 크기로 파쇄한다(S310). 그리고, 단계 S310에서 파쇄된 농업부산물로부터 그라인더에 의해 기계적 방식으로 섬유질을 추출한다(S320).
다음으로, 단계 S320에서 추출된 섬유질을 건조하고(S330), 단계 S330에서 건조된 섬유질 20~80중량부에 수지접착제 3~15중량부와, 첨가제 5~10중량부를 혼합한다(S340).
여기서 단계 S310은 파쇄된 농업부산물을 고온 및 고압 증기로 팽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단계 S340은 단계 S310에서 파쇄된 농업부산물의 입자 50~70%와, 단계 S320에서 추출된 섬유질 30~50%과, 접착제와, 첨가제를 혼합할 수 있다. 이로써, 파티클 보드와 파이버 보드의 중간적인 특성을 통해 양자의 장점을 모두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40은 쌀겨, 보릿겨, 왕겨, 밀겨, 면실피 등과 같은 강피류와, 옥수수대공과 그 분말 및 땅콩피와, 두피 등의 과피류도 혼합할 수 있으며, 목본섬유와, 목분과, 목편 및 죽섬유와, 사탕수수섬유와, 사탕무우섬유 등도 더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종이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펄프 슬러지도 더 혼합할 수 있다. 이로써, 판재의 표면 균질도와, 가공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으며 친환경적인 판재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단계 S340에서 접착제와, 첨가제가 혼합된 섬유질을 150~230℃의 온도에서 10~50kgf/cm2의 압력으로 5~10분간 단층 또는 3층의 판재로 성형 및 압축한다(S350).
다음으로 단계 S350에서 성형 및 압축된 판재를 냉각하고(S360), 단계 S360에서 냉각된 판재를 절단하며(S370), 단계 S370에서 절단된 판재를 샌딩(Sanding)함으로써(S380), 본 발명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는 완성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섬유질층 20 : 도포층
100, 200 : 판재

Claims (10)

  1. 초본류의 줄기 및 잎을 포함하는 농업부산물을 직경 0.2~1.5cm의 크기로 파쇄하는 단계;
    그라인더에 의해 기계적 방식으로 상기 파쇄된 농업부산물로부터 섬유질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섬유질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섬유질 20~80중량부에 수지접착제 3~15중량부와, 첨가제 5~1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수지접착제 및 첨가제가 혼합된 섬유질을 150~230℃의 온도에서 10~50kgf/cm2의 압력으로 5~10분간 단층 또는 3층의 판재로 성형 및 압축하는 단계;
    상기 성형 및 압축된 판재를 냉각하는 단계;
    상기 냉각된 판재를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된 판재를 샌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수지접착제로부터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를 억제하기 위 한 경화제와, 내수제와, 포름알데히드중화제와, 내연성 및 내화성 강화제와, 음이온 방사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부산물의 분말과, 강피류와, 목본섬유 및 목분과, 펄프부산물 및 제지부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20~80중량부를 상기 판재의 양면에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부산물을 파쇄하는 단계는,
    상기 파쇄된 농업부산물을 고온 및 고압 증기로 팽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섬유질과, 상기 접착제와, 상기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파쇄된 농업부산물의 입자 50~70%와, 상기 추출된 섬유질 30~50%과, 상기 접착제와, 상기 첨가제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섬유질에 상기 접착제 및 상기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는,
    강피류와, 과피류와, 옥수수대공과, 목본섬유 및 목분과, 종이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펄프 슬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6. 직경 0.2~1.5cm의 크기로 그라인더에 의해 기계적 방식으로 파쇄된 초본류의 줄기 및 잎을 포함하는 농업부산물로부터 추출되어 건조된 섬유질 20~80중량부로 구성된 섬유질층과;
    수지접착제 3~15중량부와;
    첨가제 5~1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접착제 및 첨가제가 혼합된 섬유질을 150~230℃의 온도에서 10~50kgf/cm2의 압력으로 5~10분간 단층 또는 3층으로 성형 및 압축하여 냉각하고, 절단한 후 샌딩처리가 수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수지접착제로부터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를 억제하기 위한 경화제와, 내수제와, 포름알데히드중화제와, 내연성 및 내화성 강화제와, 음이온 방사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부산물의 분말과, 강피류와, 목본섬유 및 목분과, 펄프부산물 및 제지부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20~80중량부를 상기 판재의 양면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된 농업부산물은 고온 및 고압 증기로 팽연화되며,
    상기 파쇄된 농업부산물의 입자 50~70%와, 상기 추출된 섬유질 30~50%과, 상기 접착제와, 상기 첨가제가 혼합되어 성형 및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섬유질에는 강피류와, 과피류와, 옥수수대공과, 목본섬유 및 목분과, 종이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펄프 슬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
KR1020090054023A 2009-06-17 2009-06-17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 KR20100135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023A KR20100135565A (ko) 2009-06-17 2009-06-17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023A KR20100135565A (ko) 2009-06-17 2009-06-17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516A Division KR20120125439A (ko) 2012-09-28 2012-09-28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565A true KR20100135565A (ko) 2010-12-27

Family

ID=43509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023A KR20100135565A (ko) 2009-06-17 2009-06-17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55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323A (ko) * 2017-12-22 2019-07-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323A (ko) * 2017-12-22 2019-07-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식 폐 중밀도섬유판을 재활용하여 중밀도섬유판(mdf) 제조공정 라인에 직접 투입하여 중밀도섬유판(mdf)을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5942B1 (en) Arundo donax composite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RU2544707C2 (ru) Плита, синтезированная из порошка из негодных печатных плат,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03311717A (ja) 木質繊維板
CN101148056A (zh) 无甲醛复合秸秆板生产工艺方法和用途
CN102259368A (zh) 一种全生物质增强纤维板
JP2013508497A (ja) 葦複合材、複合材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建築材
KR101430802B1 (ko) 폴리락트산과 목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보드 및 그 제조 방법
Zeleniuc et al. Influence of adhesive type and content on the properties of particleboard made from sunflower husks
JP6663750B2 (ja) パーティクルボード
EP3135811B1 (en) Production method of pulp derived from biomass for producing composite boards
KR20120125439A (ko)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
JP6723054B2 (ja) 木質繊維及び木質繊維板の製造方法
Baharuddin et al. Development and performance of particleboard from various types of organic waste and adhesives: A review
KR20100135565A (ko)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판재의 제조방법 및 그 판재
KR20190061119A (ko) 강도 및 방염성이 우수한 친환경 건축자재 제조방법
KR20180019383A (ko) 칩보드 제조방법
JP2013159095A (ja) パーティクルボード
Lim et al. Development of particleboard from green coconut waste
JPWO2003103912A1 (ja) 木質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木質成形体
JP2002187114A (ja) 月桃含有古紙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5934908B2 (ja) パーティクルボードの製造方法
JPH0780809A (ja) バガス基材耐水性ボードおよびその製造法
JP2023084179A (ja) 木質ボード
Tesha et al. Properties of rice husk particle boards bonded by a blend of tannin-cnsl resin
WO2023095463A1 (ja) 繊維ボー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829

Effective date: 2013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