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041B1 - 고속 업/다운 디버터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고속 업/다운 디버터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041B1
KR101088041B1 KR1020090096278A KR20090096278A KR101088041B1 KR 101088041 B1 KR101088041 B1 KR 101088041B1 KR 1020090096278 A KR1020090096278 A KR 1020090096278A KR 20090096278 A KR20090096278 A KR 20090096278A KR 101088041 B1 KR101088041 B1 KR 101088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cam
lower frame
roll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9022A (ko
Inventor
정효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기연
Priority to KR1020090096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0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9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7Sheet handling, means, e.g. manipulators, devices for turning or tilting sheet g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5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onveying path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유리기판 제조공정 컨베이어라인의 방향전환장치로서 중량이 큰 대형 규격 판유리의 이송방향을 전환시 보다 안정되게 전환하기 위하여 배출롤러가 배열설치된 상부프레임을 업/다운작용하는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기계적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상부프레임에 균일하게 동일한 동력을 전달하여 전체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여 부분적인 처짐현상이 없도록 함으로써 대형 판유리의 방향전환시 판유리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가공제품 품질의 향상 효과가 있는 고속 업/다운 디버터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 디버터, 캠,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기어드모터, 베벨기어

Description

고속 업/다운 디버터 컨베이어{High speed Up/Down Diverter Conveyor}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유리기판 제조공정 컨베이어라인의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중량이 큰 대형 규격 판유리의 이송방향을 전환시 보다 신속하고 안정되게 판유리를 방향 전환하여 이송시켜주도록 하는 고속 업/다운 디버터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유리 방향전환장치로는, 작업대 상으로 이송되어 온 판유리를 진행방향으로 진행시키거나 또는 직각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이송되도록 하는 디버터 방식과, 작업대 상으로 이송된 판유리를 진행방향으로 진행시키거나 또는 제자리 회전시킨 후 원하는 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는 턴 방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방향전환장치 중 턴 방식 판유리 방향전환장치에 대해 살펴보면, 일정간격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회전축 상에 다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롤러가 축착되어 있는 롤러이송기와, 상기 롤러이송기의 저면에 설치되어 롤 러이송기 전체를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터닝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판유리가 롤러이송기 상면으로 이송되어 오면 터닝기가 롤러이송기 전체를 제자리 회전시켜 판유리가 같이 회전되도록 한 후 롤러이송기를 작동시켜 판유리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한편, 디버터 방식의 판유리 방향전환장치는 작업대 위로 이송되어 온 판유리를 회전시키지 않고 진행방향만 직각으로 전환시켜 이송하도록 하는 것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디버터는 판유리의 진입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배열된 다수의 진입롤러와 진입된 판유리를 이어 받아 90도 방향전환하여 배출하도록 배출방향으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배열된 다수의 배출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진입롤러와 배출롤러는 서로 다른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에 각각 배열 설치된 것으로 방향전환을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배출롤러가 배열된 상부프레임이 상승하면서 판유리를 지지하여 이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부프레임은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승강작용을 하여야만 판유리에 무리를 주지않고 원활하게 방향전환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중앙부에는 승강작용을 하는 업/다운실린더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프레임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운동을 하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파워베이스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배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파워베이스는 상호 동일하게 연동되도록 래크기어와 피니언기어에 의해 동시에 동일하게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디버터는 상부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된 업/다운실린더에 의해 상부프레임이 승강작용을 하는 것으로 소형규격일 경우에는 문제점이 없으나, 대형규격일 경우에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즉, 평면디스플레이장치의 규격이 대형화되면서 대형의 판유리를 안정적으로 이송하면서 가공하기 위해서는 대형 규격의 판유리에 적합하도록 디버터의 규격도 대형화되어야 하며, 디버터의 규격이 대형화되면서 상부프레임의 업/다운시 상부프레임의 휨발생으로 이송되는 판유리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중앙부에 설치된 업/다운실린더에 의해 상부프레임이 상승될 때 중앙부에 집중적으로 압력이 작용하면서 주변의 처짐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대형 규격의 판유리를 이송 할 경우 상부프레임 상에 배열된 배출롤러가 모두 동일한 높이로 평탄한 평면을 이루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중앙부가 높고, 주변이 약간 처져 낮은 상태가 되어 불균형을 이루게 되므로 판유리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104297호(명칭:에어젝 스크류 디버터 컨베이어)를 제안하였다.
도 9는 종래의 에어젝 스크로 방식 디버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작동부의 구성 사시도이며, 도 11은 종래의 에어젝 스크류의 내부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로서, a)는 평단면도이고, b)는 정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평면도이다.
상기 선출원 발명은 하부프레임(100)과 상기 하부프레임(100)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승강작용을 하는 상부프레임(200)과 상기 상부프레임(200)을 균일하게 균형을 맞추어 승강 작용을 하도록 하는 다수의 에어젝 스크류(300)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00)는 인접하는 이송롤러컨베이어에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며, 상부에 진입방향으로 진입롤러(110)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다수개 배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00)는 상기 하부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일정구간 상승/하강 작동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00)에 설치된 진입롤러(110)의 방향과 90도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배출롤러(210)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설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00)의 진입롤러(110)와 상부프레임(200)의 배출롤러(210)은 상호간에 간섭하지 않으면서 균일하게 배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젝 스크류(300)는 상기 하부프레임(100)과 상부프레임(200)의 사이에 다수개(통상 4개)설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200)을 동일한 높이가 유지되도록 인접하는 것끼리 상호 연동하면서 상승/하강작용을 하도록 한다.
상기 에어젝 스크류(3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몸체(310)와 상기 실린더(310)내에서 작동되는 피스톤(320)과 상기 피스톤(320)과 일체로 작동되며, 이중으로 랙기어(331)가 형성된 랙기어몸체(330)와 상기 랙기어(331)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피니언기어(340) 및 플랜지(360)으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몸체(310)는 하부프레임(100)에 고정설치되며, 별도의 공압장치로 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각각 공급/배출하는 한 쌍의 공압관(390)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320)은 상기 실린더몸체(3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한다.
상기 랙기어몸체(330)는 상기 피스톤(320)과 일체로 결합되어 일정구간 직선운동을 하는 것으로서 이중으로 랙기어(331)가 형성된 것으로 일측면과 수직한 면에 각각 랙기어(331)가 형성되어 동시에 2개의 피니언기어와 동일한 운동으로 연동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피니언기어(340)는 상기 실린더몸체(310)의 내부에 서로 직각방향으로 한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각각의 랙기어(331)에 결합되어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서로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피니언기어(340)는 인접하는 다른 에어젝스크류(300)의 피니언기어(340)와 상호 연동샤프트(380)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 연동되도록 한다.
상기 플랜지(360)는 상기 랙기어몸체(3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프레임(200)과 결합하여 승강동력을 전달하도록 하여 각 에어젝스크류(300)가 동일하게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동일한 운동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에어젝 스크류(300)는 하부프레임(100)의 4개 지점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몸체(330)의 내부에 설치된 피니언기어(340)들은 모두 동일하게 연동되도록 인접하는 것끼리 서로 연동샤프트(380)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에어젝 스크류(300)는 각각 압축공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일정구간 직선운동을 하면서 상호 연동샤프트(380)에 의해 동일한 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동일한 상태의 운동(승강 하강작용)을 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에어젝 스크류방식은 속도조절의 제한이 있으며, 다수의 부품이 수반되어 있어 관리를 위한 다수의 관리포인트에 따른 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부품스의 증가에 따른 제작원가의 상승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로서 업/다운 시간을 최대한 단축하기 위하여 구동방식을 에어실린더가 아닌 위치결정이 용이한 고가의 서보모터를 사용할 경우 또한 원가상승의 주 원인이 되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업/다운작용을 매우 신속하게 하도록 하면서도 속도의 조절이 매우 용이하며, 기계 부품을 단순한 캠의 구조로 단순화하여 부품을 간략화함으로서 원가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동력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처짐현상이 없도록 하여 대형 판유리의 방향전환시 판유리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함으로써 판유리 가공제품의 품질을 향상하도록 하는 고속 업/다운 디버터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송롤러컨베이어에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며, 상부에 진입방향으로 진입롤러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다수개 배열 설치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을 기준으로 일정구간 상승/하강작동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 설치된 진입롤러의 방향과 90도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배출롤러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설치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을 동일한 높이가 유지되도록 인접하는 것끼리 상호 연동하여 상승/하강작용을 하도록 중앙의 베벨기어박스와 연동샤프트에 의해 상호 동력이 동일하게 연동하는 다수의 캠부재와; 상기 다수의 캠부재중 어느 하나에 직접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드모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하부프레임에 고정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측부에 설치된 볼부쉬와; 상기 볼부쉬에 의해 설치되어 상하 작동되며, 하단부에 롤러가 구비된 업/다운 샤프트와; 상기 업/다운 샤프트의 하단부 롤러와 접촉하여 상기 업/다운 샤프트가 상/하 직선운동을 하도록 하는 캠과; 상기 캠이 고정되어 회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에 베어링에 의해 결합된 연동샤프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는 하부프레임의 4개 지점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4개의 캠부재의 연동샤프트의 끝단에는 상호 동일한 운동을 하도록 중앙부에 베벨기어박스에 설치되어 상호 연동되는 동일한 규격의 베벨기어에 각각 연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의 케이스 하단에는 캠의 동작시 마찰을 줄이도록하는 윤활유공급부가 구비되며, 상기 업/다운 샤프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다수의 주름에 의해 신축성을 갖는 업/다운 실리콘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유리기판 제조공정 컨베이어라인에서 중량이 큰 대형 규격 판유리의 이송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배출롤러가 배열설치된 상부프레임의 업/다운작용을 함에 있어 간단한 기계적 부품으로 이루어져 고속으로 업/다운 운동을 하며, 동력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수평을 유지 하도록 하여 부분적인 처짐현상이 없도록 하여 대형 판유리의 방향전환시 판유리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여 가공제품의 품질을 향상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인 캠부재의 구성을 보인 절개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의 내부 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인 베벨기어박스의 내부구성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하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10)에 대하여 일정 높이로 승강작용을 하는 상부프레임(20)과 상기 상부프레임(20)을 균일하게 균형을 맞추어 승강 작용을 하도록 하는 다수의 캠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0)는 인접하는 이송롤러컨베이어에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며, 상부에 진입방향으로 진입롤러(11)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다수개 배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0)은 상기 하부프레임(10)을 기준으로 일정구간 상승/하강 작동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0)에 설치된 진입롤러(11)의 방향과 90도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배출롤러(21)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진입롤러(11)와 상부프레임(20)의 배출롤러(21)는 상 호간에 간섭하지 않으면서 균일하게 배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20)의 사이에는 상기 상부프레임(20)을 동일한 높이가 유지되도록 인접하는 것끼리 상호 연동하여 상승/하강작용을 하도록 중앙의 베벨기어박스(40)와 연동샤프트(36)에 의해 상호 동력이 동일하게 연동하는 다수의 캠부재(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캠부재(30)중 어느 하나에는 기어드모터(50)가 연동샤프트(36)의 일단부에 직접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캠부재(30)는 하부프레임(10)에 고정설치된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상측부에 설치된 볼부쉬(32)와; 상기 볼부쉬(32)에 의해 설치되어 상하 작동되며, 하단부에 롤러(33)가 구비된 업/다운 샤프트(34)와; 상기 업/다운 샤프트(34)의 하단부 롤러(33)와 접촉하여 상기 업/다운 샤프트(34)가 상/하 직선운동을 하도록 하는 캠(37)과; 상기 캠(37)이 고정되어 회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31)와의 사이에 베어링(35)에 의해 결합된 연동샤프트(36)로 구성된다.
상기 캠부재(30)는 하부프레임(10)의 4개 지점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4개의 캠부재(30)의 연동샤프트(36)의 끝단에는 동일한 규격의 베벨기어(41)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베벨기어(41)들은 상호 동일한 운동을 하도록 중앙부에 베벨기어박스(40)에 설치되어 상호 연동되어 동일한 속도로 회동한다.
상기 캠부재(30)의 케이스(31) 하단에는 캠(37)의 동작시 마찰을 줄이도록하는 윤활유공급부(38)이 구비되며, 상기 업/다운 샤프트(34)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다수의 주름에 의해 신축성을 갖는 업/다운 실리콘커버(39)가 구비되어 있 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캠부재(30)와 기어드모터(50)를 이용하여 위치결정 및 업/다운시 가속도운동을 통하여 판유리(60)에 주는 데미지를 최소화하면서 매우 원활하게 방향전환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캠부재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캠부재의 운동변화 그래프이다.
도 6a)는 업/다운 샤프트(34)가 최하단에 머문 상태이며, 도 6b)는 도 6a)로 부터 0.25초의 시간동안 캠(37)이 약 45도 회전하여 업/다운 샤프트(34)를 8mm 상승시킨 순간을 도시한 것으로 이때의 상승속도는 0.06m/s이다.
도 6c)는 도 6b)로 부터 0.25초의 시간동안 캠(37)이 약 45도 회전하여 업/다운 샤프트(34)를 4mm 상승시킨 순간을 도시한 것으로 이때의 상승속도는 0.03m/s이다.
도 6d)는 도 6c)로 부터 0.25초의 시간동안 캠(37)이 약 45도 회전하여 업/다운 샤프트(34)를 5mm 상승시킨 순간을 도시한 것으로 이때의 상승속도는 0.0375m/s이다.
도 6e는 도 6d)로 부터 0.25초의 시간동안 캠(37)이 약 45도 회전하여 업/다운 샤프트(34)를 3mm 상승시킨 순간을 도시한 것으로 이때의 상승속도는 0.0225m/s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1초라는 매우 짧은 시간에 판유리(60)를 최소의 데미지를 주면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7의 그래프와 같이 1차구간은 최초 8mm구간 을 어떠한 저항도 없는 구간이므로 최고의 속도(상승속도: 0.06m/s)로 빠르게 상승시키며, 2차와 3차구간은 롤러가 판유리(60)에 마찰되는 구간으로 속도를 낮추어 판유리의 데미지를 최소화한 후 등 가속운동을 통하여 속도가 증가하도록 하였으며, 4차구간은 정지구간으로 관성을 최소화하여 정지시 판유리(60)에 줄 수 있는 데미지를 줄이기 위하여 최저의 속도록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속도의 변화는 캠(37)의 형상을 변화시켜 각지점마다 기울기의 차이를 갖도록 설계함으로써 이룰 수 있으며, 캠이 동일 각도만큼 회전하여도 각각 다른 상승속도를 이루도록 한 것이다.
도 8은 도 1의 정면 작동상태도로서, a)는 상부프레임이 하강한 상태로서 판유리 진입단계이고, b)는 상부프레임이 상승한 상태로서 판유리 배출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20)이 하강한 상태에서는 하부프레임(10) 상에 배열된 진입롤러(11)의 높이가 상부프레임(20) 상에 배열된 배출롤러(21)의 높이보다 높으므로 이송되는 판유리(60)가 상기 진입롤러(11)에 의해 디버터 내로 진입하게 되며, 진입이 완료되면, 상기 캠부재(30)가 작동하여 상부프레임(20)을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입롤러(11)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된 배출롤러(21)는 상기 상부프레임(20)과 함께 상승하여 판유리(60)의 하단면을 지지하게 되면서 90도 방향을 바꾸어 준 상태로 배출단계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캠부재(30)는 상부프레임(20)의 하부 4곳에 설치되어 동일한 속도로 균형을 이루면서 운동을 하게 되므로 4개의 캠부재(30)가 상부프레임(20)을 동시에 동일한 높이로 승강작용력을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프레임(20)은 기울어짐이 없이 균일하게 동일한 운동을 하게 되므로 전체면이 변형되지 않고 평평한 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이에 배열된 배출롤러(21)는 전체적으로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의해 이송되는 판유리의 이송조건이 매우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한 부품으로 구성되면서도 액정표시장치 유리기판 제조공정 컨베이어라인에서 중량이 큰 대형 규격 판유리의 이송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배출롤러가 배열설치된 상부프레임의 업/다운작용시 매우 빠른 속도로 가동하며,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여 부분적인 처짐현상이 없도록 하여 대형 판유리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여 가공제품의 품질을 향상하도록 하는 것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큰 기술이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인 캠부재의 구성을 보인 절개 사시도.
도 4은 도 3의 내부 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인 베벨기어박스의 내부구성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캠부재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것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캠부재의 운동변화 그래프.
도 8은 도 1의 정면 작동상태도로서,
a)는 상부프레임이 하강한 상태로서 판유리 진입단계이고,
b)는 상부프레임이 상승한 상태로서 판유리 배출단계임.
도 9는 종래의 에어젝 스크로 방식 디버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작동부의 구성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에어젝 스크류의 내부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로서,
a)는 평단면도이고, b)는 정단면도임.
도 12는 도 9의 평면도.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부프레임 11: 진입롤러
20: 상부프레임 21: 배출롤러
30: 캠부재 31: 케이스
32: 볼부쉬 33: 업/다운롤러
34: 업/다운샤프트 35: 베어링
36: 연동샤프트 37: 캠
38: 윤활유공급부 39: 업/다운 실리콘커버
40: 베벨기어박스 41: 베벨기어
50: 기어드모터 60: 판유리

Claims (4)

  1. 이송롤러컨베이어에 연속하여 연결되도록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며, 상부에 진입방향으로 진입롤러(10)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다수개 배열 설치된 하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10)을 기준으로 일정구간 상승/하강작동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0)에 설치된 진입롤러(11)의 방향과 90도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배출롤러(21)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설치된 상부프레임(20)과;
    상기 하부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20)을 동일한 높이가 유지되도록 인접하는 것끼리 상호 연동하여 상승/하강작용을 하도록 중앙의 베벨기어박스(40)와 연동샤프트(36)에 의해 상호 동력이 동일하게 연동하는 다수의 캠부재(30)와;
    상기 다수의 캠부재(30)중 어느 하나에 직접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드모터(50)로 구성되는 고속 업/다운 디버커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30)는
    하부프레임(10)에 고정설치되고, 하단에 윤활유공급부(38)가 구비되어 있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상측부에 설치된 볼부쉬(32)와;
    상기 볼부쉬(32)에 의해 설치되어 상하 작동되며, 하단부에 롤러(33)가 구비되고, 외측의 돌출된 부분에 다수의 주름에 의해 신축성을 갖는 업/다운 실리콘커버(39)가 구비되어 있는 업/다운 샤프트(34)와;
    상기 업/다운 샤프트(34)의 하단부 롤러(33)와 접촉하여 상기 업/다운 샤프트(34)가 상/하 직선운동 하도록 하되, 상기 케이스(31)의 윤활유공급부(38)에 마찰되어 마찰력이 줄어드는 캠(37)과;
    상기 캠(37)이 고정되어 회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31)와의 사이에 베어링(35)에 의해 결합된 연동샤프트(3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업/다운 디버터 컨베이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30)는
    하부프레임(10)의 4개 지점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4개의 캠부재(30)의 연동샤프트(36)의 끝단에는 상호 동일한 운동을 하도록 중앙부에 베벨기어박스(40)에 설치되어 상호 연동되는 동일한 규격의 베벨기어(41)에 각각 연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 업/다운 디버터 컨베이어.
  4. 삭제
KR1020090096278A 2009-10-09 2009-10-09 고속 업/다운 디버터 컨베이어 KR101088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278A KR101088041B1 (ko) 2009-10-09 2009-10-09 고속 업/다운 디버터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278A KR101088041B1 (ko) 2009-10-09 2009-10-09 고속 업/다운 디버터 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022A KR20110039022A (ko) 2011-04-15
KR101088041B1 true KR101088041B1 (ko) 2011-11-30

Family

ID=44045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278A KR101088041B1 (ko) 2009-10-09 2009-10-09 고속 업/다운 디버터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0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419A (ko) 2020-12-11 2022-06-20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연결링을 이용한 휠 구동 방식의 디버터
KR20230089888A (ko)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6378A (ja) 2002-06-24 2004-01-29 Kyowa Seisakusho:Kk 移載装置及び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6378A (ja) 2002-06-24 2004-01-29 Kyowa Seisakusho:Kk 移載装置及び昇降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419A (ko) 2020-12-11 2022-06-20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연결링을 이용한 휠 구동 방식의 디버터
KR20230089888A (ko)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왕복이동이 승강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를 갖는 디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022A (ko)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829B1 (ko) 극청정실에서 충격 민감성 패널을 이송 및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61175B1 (ko) 박판 형상 재료 반송용 롤러 유닛과 박판 형상 재료 반송장치
CN104891091B (zh) 一种传送装置
JP2011225376A (ja) マルチゲートコンベヤー
KR20090011381A (ko) 기판이송장치
JP5247606B2 (ja) 移載装置
KR20080070498A (ko) 가공 테이블
KR100788876B1 (ko) 판유리 방향전환장치
KR101088041B1 (ko) 고속 업/다운 디버터 컨베이어
KR20090006984A (ko) 이중 롤러를 이용한 디버터 컨베이어
CN207030426U (zh) 玻璃气浮对边输送装置
WO2019042109A1 (zh) 一种送纸装置
KR101187679B1 (ko) 판유리 이송장치
CN102219117B (zh) 玻璃基板传送装置
CN101339316A (zh) 基板输送装置
KR101067708B1 (ko) 에어젝 스크류 디버터 컨베이어
CN107336983A (zh) 具有横移机构的板材生产线
CN209582915U (zh) 具有横移机构的板材生产线
CN110733872A (zh) 一种带靠齐机构的板材转向输送系统
KR101427596B1 (ko) 기판이송장치
KR101057791B1 (ko) 4방향 물류 리프터
CN205023381U (zh) 一种电子管座的输送定位装置
KR101448474B1 (ko) 이송 경로 전환 장치
CN210824424U (zh) 一种玻璃生产线上的取片装置
TW202041449A (zh) 高效率物料傳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