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389B1 -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공기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공기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389B1
KR101087389B1 KR1020110016684A KR20110016684A KR101087389B1 KR 101087389 B1 KR101087389 B1 KR 101087389B1 KR 1020110016684 A KR1020110016684 A KR 1020110016684A KR 20110016684 A KR20110016684 A KR 20110016684A KR 101087389 B1 KR101087389 B1 KR 101087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ehumidifier
dehumidifying
temperature
warm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환
김익수
Original Assignee
신슈 다이가쿠
주식회사 톱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슈 다이가쿠, 주식회사 톱텍 filed Critical 신슈 다이가쿠
Priority to PCT/KR2011/00306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07787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3/00Complete machines for producing artificial threa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3/00Complete machines for producing artificial threads
    • D01D13/02Elements of machines in combinat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전계방사장치의 환경 습도 및 환경 온도 중 적어도 한 쪽을 장시간에 걸쳐서 적절히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나노 섬유를 방사하는 전계방사장치(20)와, 환경 조정된 공기를 전계방사장치(20)에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70)와, 전계방사장치(20)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성분(이하, VOC라고 한다.)을 연소하여 제거하는 VOC 처리장치(60)를 구비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1)로서, 공기공급장치(70)는, VOC 처리장치(60)로 VOC를 연소했을 때에 생기는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에 의해 건조시킨 제습제에 의해 제습된 제습 공기를 생성하는 제습 장치를 가진다.

Description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공기공급장치{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nano-fiber And an air supply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공기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계 방사 과정에 있어서의 방사 조건(예를 들면, 방사 구역내에 있어서의 부유물의 유무, 노즐 블록과 컬렉터와의 간격, 컬렉터의 구조 등.)을 조정함으로써 균일한 물성을 가지는 나노 섬유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나노섬유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허공개 2008-274522호 공보 이하, "특허 문헌 1" 이라 함.).
도 7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나노섬유 제조방법에 이용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9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중, 부호 910은 노즐 블록을 나타내고, 부호 912는 노즐을 나타내며, 부호 920은 송풍 장치를 나타내고, 부호 922는 풍향 조정판을 나타내며, 부호 924는 가장자리 부재를 나타내고, 부호 926은 흡입 장치를 나타내며, 부호 928은 팬을 나타내고, 부호 950은 컬렉터를 나타낸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나노섬유 제조방법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풍 장치(920), 2개의 가장자리 부재(924) 및 흡입 장치(926)로 구성되는 방사 구역에 공기흐름을 형성시켜 휘발된 용매나 부유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 등에 의해, 전계 방사 과정에 있어서의 방사 조건을 조정하고, 그것에 따라, 균일한 물성을 가지는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균일한 물성을 가지는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방사 조건으로서, 상기한 방사 구역(이하에서는, 전계방사장치라고 한다.)에 있어서의 부유물의 유무, 노즐 블록과 컬렉터와의 간격, 컬렉터의 구조 등 뿐만 아니라, 전계방사장치에 있어서의 환경 습도 및 환경 온도도 중요한 방사 조건이다. 즉, 균일한 물성을 가지는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 환경 습도 및 환경 온도를 적절한 습도 및 온도로 유지한 상태(일정습도 및 일정온도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나노섬유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전계방사장치에 있어서의 환경 습도 및 환경 온도를 어떻게 조정할까에 있어서는 특히 언급 하고 있지는 않다. 이 때문에, 전계방사장치의 환경 습도 및 환경 온도의 변화가 큰 경우 등에 있어서는, 균일한 물성을 가지는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히, 나노섬유 부직포를 연속적으로 대량생산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전계방사장치에 있어서의 환경 습도 및 환경 온도를 장시간에 걸쳐서 적절한 상태 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전계방사장치의 환경 습도 및 환경 온도를 장시간에 걸쳐서 적절한 상태 로 유지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계방사장치에 있어서의 환경 습도 및 환경 온도 중 적어도 환경 습도를 장시간에 걸쳐서 적절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공기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는, 환경 조정된 공기를 상기 전계방사장치에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전계방사장치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성분(이하, VOC라고 한다.)을 연소하여 제거하는 VOC 처리장치를 구비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로서,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VOC 처리장치로 상기 VOC를 연소했을 때에 생기는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에 의해 건조시킨 제습제를 이용하여 제습 공기를 생성하는 제습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습 장치는, 상기 제습제를 수납하는 제습제수납부와, 상기 제습 공기로 하기 위한 공기를 취입하는 공기 취입부와, 상기 제습 공기를 송출하는 제습 공기 송출부와, 상기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을 취입하는 온풍 취입부와, 온풍 취입부로부터 취입한 상기 온풍을 외부에 배출하는 온풍 배출부를 갖고, 상기 취입한 공기를 제습할 때에 이용한 제습제를, 상기 온풍 취입부로부터 취입한 온풍에 의해 건조시켜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제습 공기로 하기 위한 공기가 유통하는 공기 유통로와, 상기 제습 공기 송출부로부터 송출되는 제습 공기가 유통하는 환경 조정 공기 유통로와, 상기 환경 조정 공기 유통로와는 이간해서 설치되고, 상기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을 상기 온풍 취입부로 이끄는 온풍 유통로와, 상기 제습 장치를 구동시키는 제습 장치 구동부를 갖고, 상기 제습 장치 구동부는, 상기 제습 장치의 상기 공기 취입부가, 상기 공기 유통로를 유통해 오는 공기의 취입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온풍 취입부가, 상기 온풍 유통로를 유통해 오는 온풍의 취입이 가능해지도록 상기 제습 장치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습 장치는, 한 쪽의 단면 및 해당 한 쪽의 단면에 마주하는 다른 쪽의 단면을 가지는 케이스를 이루고, 해당 케이스의 상기 한 쪽의 단면 및 다른 쪽의 단면을 관통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기 취입부 및 상기 제습 공기 송출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한 쪽의 단면 및 다른 쪽의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각각이 마주하여 존재하고, 상기 온풍 취입부 및 상기 온풍 배출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한 쪽의 단면 및 다른 쪽의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또한, 상기 공기 취입부 및 상기 제습 공기 송출부와는 다른 위치에 각각이 대향하여 존재하고, 상기 제습 장치 구동부는, 상기 제습 장치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습 장치는, 해당 제습 장치의 내부 전체가 1개의 제습제수납부로서 구성되고, 상기 제습제수납부에 상기 제습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습 장치는, 상기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해당 제습 장치의 내부를 n분할(n은 2이상의 자연수)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된 n개의 제습제수납부를 갖고, 상기 n개의 제습제수납부 각각에 상기 제습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환경 조정 공기 유통로에는, 상기 제습 공기의 습도가 상기 전계방사장치의 환경 습도로서 적절한 습도가 되도록, 상기 제습 공기의 습도 조정을 실시하는 습도 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환경 조정 공기 유통로에는, 상기 제습 공기의 온도가 상기 전계방사장치의 환경 온도로서 적절한 온도가 되도록, 상기 제습 공기의 온도 조정을 실시하는 온도 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온풍 유통로에는, 상기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의 온도가 상기 제습제를 건조시켜 재생하기 위해서 적합한 온도가 되도록, 상기 온풍의 온도 조정을 실시하는 온풍 온도 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공기 유통로에는, 상기 제습 공기로 하기 위한 공기의 온도가, 소정 범위의 온도가 되도록 온도 조정을 실시하는 온도 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장척시트를 소정의 이송 속도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전계방사장치로서, 상기 장척시트가 이송되어 가는 이송 방향을 따라서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전계방사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전계방사장치는, 상기 장척시트에 있어서의 소정의 영역 전체에 걸쳐서 폴리머 용액을 토출 가능하게 하도록 복수의 노즐이 설치되어 있는 노즐 블록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공기공급장치는, 나노 섬유를 방사 하는 전계방사장치와, 상기 전계방사장치에서 발생하는 VOC를 연소하여 제거하는 VOC 처리장치를 구비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의 상기 전계방사장치에 환경 조정된 공기를 공급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공기공급장치로서, 상기 VOC 처리장치로 상기 VOC를 연소했을 때에 생기는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에 의해 건조시킨 제습제를 이용하여 제습 공기를 생성하는 제습 장치를 갖고, 상기 제습 장치는, 상기 제습제를 수납하는 제습제수납부와, 상기 제습 공기로 하기 위한 공기를 취입하는 공기취입부와, 상기 제습 공기를 송출하는 제습 공기 송출부와, 상기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을 취입하는 온풍 취입부와, 온풍 취입부로부터 취입해서 상기 온풍을 외부에 배출하는 온풍 배출부를 갖고, 상기 취입한 공기를 제습할 때에 이용한 제습제를, 상기 온풍 취입부로부터 취입한 온풍에 의해 건조시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의하면, 전계방사장치에 있어서의 환경 습도 및 환경 온도 중 적어도 환경 습도를 장시간에 걸쳐서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VOC를 연소했을 때에 생기는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에 의해 건조시킨 제습제에 의해 제습 공기를 생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제습제를 장시간에 걸쳐서 사용할 수 있고, 그것에 따라서, 전계방사장치의 환경 습도를 장시간에 걸쳐서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제습 공기」란, 습도가 모두 제거된 공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제습제에 의해 소정의 습도로까지 제습된 공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제습 공기를 생성하여 송출할 수 있는 동시에, 제습 공기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서 흡습한 제습제(이하, 흡습 제습제라고 한다.)를, VOC 처리를 실시할 때에 발생하는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에 의해서 건조시켜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제습 공기를 생성하는 동작과, 흡습 제습제를 건조시켜 재생하는 동작을 반복해 실시할 수 있고, 제습제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취입한 공기로부터 제습 공기를 생성하는 동작과, 흡습 제습제를 건조시켜 재생하는 동작을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습 장치를 회전시킬 때는, 제습 장치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해도 좋고, 소정 각도 마다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해도 좋다. 
제습 장치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제습 공기의 생성에 필요한 시간과 흡습 제습제의 재생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해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습 장치가 회전해 가는 사이에, 공기 취입부로부터 취입한 공기를 소정 습도로까지 제습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온풍에 의해서 흡습 제습제를 충분히 건조 가능하게 하는 속도로 회전시킨다. 
또한, 제습 장치를 소정 각도 마다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제습 공기의 생성에 필요한 시간과 흡습 제습제의 재생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간헐적인 회전에 있어서의 회전의 정지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기 취입부로부터 취입한 공기를 소정 습도에까지 제습하는데 필요한 시간 및 흡습 제습제를 충분히 건조시키는데 필요한 시간만 회전을 정지시킨 후, 회전을 재개해 소정 각도만 회전시킨다는 동작을 반복한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제습 장치의 내부 전체가 1개의 제습제수납부로서 구성되고, 해당 제습제수납부에 제습제가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제습 장치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취입한 공기를 제습 공기로서 송출할 수 있는 동시에, 흡습 제습제를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에 의해서 건조시켜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흡습 제습제의 영역과, 온풍에 의해서 건조된 제습제의 영역을 명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제습 공기의 습도를 전계방사장치의 환경 습도로서 적절한 습도로 할 수 있다. 이것은, 제습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제습 공기의 습도는, 반드시, 전계방사장치의 환경 습도로서 적절하다라고는 한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전계방사장치에 대해 적절한 습도가 30%이며, 제습 공기의 습도가 20%였을 경우에는, 제습 공기의 습도를 높이고, 30%로 한다는 습도 조정을 실시한다. 이것에 의해, 제습 공기의 습도를 전계방사장치의 환경 습도로서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제습 공기의 온도를 전계방사장치의 환경 온도로서 적절한 온도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계방사장치에 공급하는 공기를 습도뿐만 아니라, 온도도 조정할 수 있고, 전계방사장치의 환경 습도 및 환경 온도의 양쪽을 장시간에 걸쳐서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온풍의 온도를, 상기 제습제를 건조시킬 때에 있어서 적절한 온도로 할 수 있다. 이것은, 연소열에 의해 생성되는 온풍의 온도는, 반드시, 흡습 제습제를 재생하기에 적절한 온도라고는 제한하지 않고, 흡습 제습제를 제습제로서 재생 가능하게 하는 온도에 이르지 않은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온풍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서, 흡습 제습제를 재생 가능하게 하는 온도로 한다. 이것에 의해, 흡습 제습제를 충분히 건조시켜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제습 공기로 하기 위한 공기(공기 취입부가 취입해야 할 공기)의 온도를 공기 취입부가 취입하기 전의 단계에서 소정의 온도로 해둘 수 있다. 이것은, 제습 공기로 하기 위한 공기의 온도는, 계절 등 여러 가지의 상황에 따라 변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며, 해당 공기의 온도를 온도 조정부에 의해서 미리 소정 범위의 온도가 되도록 해 두는 것에 의해서, 제습 장치에 의해 생성된 제습 공기의 온도 조정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습 장치에 보내야 할 공기의 온도를 이와 같이 조정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제습 공기로 하기 위한 공기의 온도가, 전계방사장치에 있어서 적절하게 되는 환경 온도로 할 수 있을 만큼 가까운 온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이송 방향을 따라서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전계방사장치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나노섬유 부직포를 연속적으로 대량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환경 습도나 환경 온도 등을 적절히 조정한 공기(이하, 환경 조정 공기라고 한다.)를 각 전계방사장치에 공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환경 조정 공기를 효율적으로 대량으로 생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공급장치를 가지는 것에 의해, 환경 조정 공기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환경 조정 공기를 각 전계방사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계방사장치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복수의 전계방사장치에서는 대량의 VOC가 발생하기 때문에, 대량으로 발생한 VOC를 처리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VOC 처리한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에 의해 흡습 제습제를 건조시켜 재생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VOC 처리에 의해서 얻어지는 에너지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나노섬유 부직포를 연속적으로 대량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나노섬유 부직포를 연속적으로 대량생산하기 위해서는, 환경 조정 공기를 각 전계방사장치에 공급할 필요가 있고, 환경 조정 공기를 효율적으로 대량으로 생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공급장치를 가짐으로써, 환경 조정 공기를 효율적으로 생성하여, 생성된 환경 조정 공기를 각 전계방사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노즐 블록 가지는 것에 의해서, 대량의 VOC가 발생하기 때문에, 대량으로 발생한 VOC를 처리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VOC 처리한 연소열에 의해 생성된 온풍에 의해 흡습 제습제를 건조시켜 재생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VOC 처리에 의해서 얻어지는 에너지를 유효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공기공급장치는, 전계방사장치에 있어서의 환경 습도 및 환경 온도 중 적어도 환경 습도를 장시간에 걸쳐서 적절한 상태 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는, VOC를 연소했을 때에 생기는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에 의해 건조시킨 제습제에 의해 제습 공기를 생성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제습제를 장시간에 걸쳐서 사용할 수 있고, 그것에 따라서, 전계방사장치의 환경 습도를 장시간에 걸쳐서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도, 청구항 제2항 내지 제19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가 가지는 각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의하면, 고기능.고감성 텍스타일 등의 의료(衣料)품, 헬스케어, 스킨케어 등 미용관련용품, 와이핑 클로스, 필터 등 산업재료, 이차전지의 세퍼레이터, 콘덴서의 세퍼레이터, 각종 촉매의 담체(擔體), 각종 센서재료 등의 전자.기계재료, 재생의료재료, 바이오 메디칼 재료, 의료용 MEMS재료, 바이오센서 재료 등의 의료재료, 그 밖의 폭넓은 용도로 사용가능한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공기공급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의 제습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전계방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나노섬유 제조방법에 이용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공기공급장치에 대해서,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1)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및 도 2에 있어서는, 폴리머 용액 공급부 및 폴리머 용액 회수부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실시예 1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시트(W)를 소정의 이송 속도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10)와, 이송 장치(10)에 의해 이송되어 가는 장척시트(W)에 나노 섬유를 퇴적시키는 전계방사장치(20)와, 나노 섬유를 퇴적시킨 장척시트(W)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30)와, 전계방사장치(20)에 의해 나노 섬유를 퇴적시킨 장척시트(W)의 통기도를 계측하는 통기도 계측 장치(40)와, 장척시트(W)에 나노 섬유를 퇴적시킬 때에 발생하는 휘발성 성분(이하, VOC라고 한다.)을 연소하여 제거하는 VOC 처리장치(60)와, 전계방사장치(20)에 환경 조정된 환경 조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70)와, 이송 장치(10), 전계방사장치(20), 가열 장치(30), 통기도 계측 장치(40), VOC 처리장치(60), 공기공급장치(70), 도시하지 않은 폴리머 공급 장치 및 폴리머 회수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장치(80)를 구비한다. 
실시예 1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1)에 있어서는, 전계방사장치로서 장척시트(W)가 이송되어 가는 소정의 이송 방향(a)을 따라서 직렬로 배치된 2대의 전계방사장치(20)를 구비한다. 
이송 장치(10)는, 장척시트(W)를 투입하는 투입 롤러(11) 및 장척시트(W)를 권취하는 권취 롤러(12) 및 투입 롤러(11)와 권취 롤러(12)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 롤러(13, 18) 및 구동 롤러(14, 15, 16, 17)를 구비한다. 투입 롤러(11), 권취 롤러(12) 및 구동 롤러(14, 15, 16, 17)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전계방사장치(20)는, 케이스(100)에 절연부재(152)를 통하여 취부되고, 장척시트(W)에 있어서의 한 쪽의 면측에 위치하는 컬렉터(150)와, 장척시트(W)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면측에서, 또한, 컬렉터(150)에 마주하도록 위치하고, 도시하지 않는 폴리머 용액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폴리머 용액을 장척시트(W)를 향해서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을 가지는 노즐 블록(110)과, 컬렉터(150)와 노즐 블록(110)과의 사이에 고전압(예를 들면 10kV~80kV으로 설정할 수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50kV 부근이 바람직하다.)을 인가하는 전원 장치(160)와, 장척시트(W)가 이송되는 것을 보조하는 보조 벨트 장치(170)와, 장척시트(W)에 나노섬유를 퇴적시킬 때에 발생하는 휘발성 성분을 배출시키는 휘발성 성분 배출구(180)와, 공기공급장치(70)에 의해서 환경 조정된 공기(환경 조정 공기라고 한다.)를 취입하는 환경 조정 공기 취입구(190)를 구비한다. 
전원 장치(160)의 정극은, 컬렉터(150)에 접속되고, 전원 장치(160)의 부극은, 케이스(100)를 통하여 노즐 블록(11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계방사장치(20)측에 있어서의 휘발성 성분 배출구(180)의 말단은, 휘발성 성분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있으면 좋고,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계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전계방사장치(20)의 노즐블록(110) 부근에 있어도 좋으며, 전계방사장치(20)의 직상(直上)에 있어도 좋고, 전계방사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방의 천정에 있어도 좋다.
노즐 블록(110)은, 복수의 노즐로서, 폴리머 용액을 토출구로부터 상향으로 토출하는 복수의 상향 노즐을 가진다. 그리고, 나노섬유 제조장치(1)는, 복수의 상향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폴리머 용액을 오버플로우시키면서 복수의 상향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폴리머 용액을 토출하여 나노 섬유를 전계 방사 하는 동시에, 복수의 상향 노즐의 토출구로부터 오버플로우한 폴리머 용액을 회수하여 나노 섬유의 원료로서 재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는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상을 갖는 노즐블록을 이용할 수 있지만, 노즐블록(110)은, 예를 들면 상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일변이 0.5m~3m의 장방형(정방형을 포함한다.)으로 보이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노즐 블록(110)은, 장척시트(W)에 있어서의 소정의 영역 전체에 걸쳐서 폴리머 용액을 토출 가능하게 하도록, 다수의 노즐을 갖고, 해당 다수의 노즐이 예를 들면 매트릭스상에 배열되어 있다. 노즐은 예를 들면 1.5cm~6.0cm의 피치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노즐의 수는, 예를 들면, 36개(가로세로 같은 수로 배열한 경우 6개*6개)~21904개(가로세로로 같은 수로 배열한 경우, 148개*148개)이다.
보조 벨트 장치(170)는, 장척시트(W)의 이송 속도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보조 벨트(172)와, 보조 벨트(172)의 회전을 돕는 5개의 보조 벨트용 롤러(174)를 가진다. 5개의 보조 벨트용 롤러(174)중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보조 벨트용 롤러(174)가 구동 롤러이며, 나머지 보조 벨트용 롤러가 종동롤러이다. 컬렉터(150)와 장척시트(W)와의 사이에 보조 벨트(172)가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장척시트(W)는, 정의 고전압의 인가되고 있는 컬렉터(150)에 끌어 당겨지는 일 없이 부드럽게 이송되게 된다. 
가열 장치(30)는, 전계방사장치(20)와 통기도 계측 장치(40)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나노 섬유를 퇴적시킨 장척시트(W)를 가열한다. 가열 장치(30)는, 장척시트(W)나 나노 섬유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예를 들면, 장척시트(W)를 50℃~300℃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장척시트(W)로서는, 각종 재료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직물, 편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장척시트(W)의 두께는, 예를 들면 5μm~500μm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장척시트(W)의 길이는, 예를 들면 10m~10km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통기도 계측 장치(40)는, 전계방사장치에 의해 나노 섬유를 퇴적시킨 장척시트(W)의 통기도를 계측하는 것이다. 계측된 통기도는, 단위면적 당의 나노 섬유의 퇴적량(두께)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통기도를 기초로 하여, 장척시트(W)에 퇴적된 나노 섬유가 균일의 두께가 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통기도의 측정 방법 등은 본 발명의 요지는 아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 한다. 
VOC 처리장치(60)는, 장척시트(W)에 나노 섬유를 퇴적시킬 때에 발생하는 휘발성 성분(VOC)을 연소하여 제거하는 것으로서, VOC를 연소할 때에 생기는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을 공기공급장치(70)에 송출하기 위한 온풍 배출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온풍 배출부에 의해서 배출되는 온풍은, 공기공급장치(70)에 공급된다. 그리고, VOC 처리장치(60)로부터 배출되는 온풍의 온도는, 40℃~140℃이다. 
공기공급장치(70)는, 실리카 겔 등의 제습제를 이용하여 공기를 제습해 제습 공기를 생성하는 기능 및 제습하는 것에 의해서 흡습한 제습제(흡습 제습제라고 한다.)를 건조시켜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는 제습 장치(710)를 가지고 있다. 
도 3은, 공기공급장치(70)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공기공급장치(7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습 장치(710)와, 제습 장치(710)에 보내야 할 공기(제습 공기로 하기 위한 공기)가 유통하는 공기 유통로(720)와, 습도 및 온도 등이 적절히 조정된 환경 조정 공기가 유통하는 환경 조정 공기 유통로(730)와, VOC 처리장치(60)로 VOC를 연소했을 때에 생기는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이 유통하는 온풍 유통로(740)와, 제습 장치(710)를 통과한 온풍을 배출시키기 위한 온풍 배출로(750)와, 제습 장치(710)를 구동하기 위한 제습 장치 구동부(76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습 장치(710)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공기 유통로(720)는 제습 공기로 하기 위한 공기를 제습 장치(710)에 보내기 위한 것이며, 해당 공기 유통로(720)에는, 공기 취입구로서의 제진기(721)와, 제습 장치(710)에 공기를 유입시키기 전의 단계에서 해당 공기가 소정 범위의 온도가 되도록 온도 조정을 실시하는 온도 조정부(722)와, 온도 조정한 공기를 제습 장치(710)에 보내는 송풍기(723)가 설치되어 있다. 
온도 조정부(722)는, 냉각부(722C)와 히터(722H)를 가지고 있고, 이들 냉각부(722C)와 히터(722H)를 적절히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습 장치(710)에 보내야 할 공기가 적절한 온도가 되도록 온도 조정할 수 있다. 이것은, 공기 유통로(720)를 유통하는 공기는 이른바 바깥 공기이기 때문에, 계절 등 여러 가지의 상황에 따라 온도가 변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제습 장치(710)에 보내야 할 공기의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냉각부(722C)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습 장치(710)에 보내야 할 공기의 온도가 적절온도가 되도록 하고, 반대로, 제습 장치(710)에 보내야 할 공기의 온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히터(722H)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습 장치(710)에 보내야 할 공기의 온도가 적절온도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습 장치(710)에 보내야 할 공기의 온도를 이와 같이 조정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제습 장치(710)에 보내야 할 공기의 온도가, 전계방사장치(20)에 있어서 적절하게 되는 환경 온도로 할 수 있을 만큼 가까운 온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계방사장치(20)에 있어서 적절하게 되는 환경 온도가 25℃라고 하면, 제습 장치(710)에 보내야 할 공기의 온도가 25℃에 가까운 온도가 되도록 온도 조정한다. 
이와 같이, 제습 장치(710)에 보내야 할 공기의 온도를 미리 적절한 온도로 해두는 것에 의해서, 제습 장치(710)에 의해서 생성된 제습 공기의 온도를, 환경 조정 공기 유통로(730)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 조정부(731)(후술한다.)에서 조정할 때에, 대폭적인 온도 조정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제습 공기의 습도를 같은 환경 조정 공기 유통로(730)에 설치되어 있는 습도 조정부(732)(후술한다.)에서 조정할 때에, 습도를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환경 조정 공기 유통로(730)는, 환경 조정 공기를 각 전계방사장치(20)에 보내기 위한 것이며, 해당 환경 조정 공기 유통로(730)에는, 제습 장치(710)에 의해서 생성된 제습 공기의 온도가 전계방사장치(20)에 있어서 적절한 온도가 되도록 온도 조정을 실시하는 온도 조정부(731)와, 해당 제습 공기의 습도가 전계방사장치(20)에 있어서 적절한 습도가 되도록 습도 조정을 실시하는 습도 조정부(732)와, 환경 조정 공기를 전계방사장치(20)에 송출하기 위한 송풍기(733)가 설치되고 있다. 
온도 조정부(731)는, 냉각부(731C)와 히터(731H)를 가지고 있고, 냉각부(731C) 및 히터(731H)를 적절히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서, 각 전계방사장치(20)에 송출하는 공기가 적절한 온도가 되도록 온도 조정할 수 있다. 
온풍 유통로(740)는, VOC 처리장치(60)로부터 배출되는 온풍을 제습 장치(710)에 보내기 위한 것이며, 해당 온풍 유통로(740)에는, 온풍의 온도 조정을 행하기 위한 온풍 온도 조정의 히터(741)가 설치되어 있다. 히터(741)는, VOC 처리장치(60)로부터 보내져 오는 온풍의 온도가 제습제를 재생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온도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 온풍을 적절한 온도로까지 상승시키기 위한 히터이다. 그리고, 온풍 유통로(740)에는, VOC 처리장치(60)로부터 보내져 오는 온풍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742)를 필요에 따라서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온풍 배출로(750)는, 제습 장치(710)를 통과한 온풍을 배출하기 위한의 것이고, 해당 온풍 배출로(750)에는, 제습 장치(710)를 통과한 온풍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기(751)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공기공급장치(70)에 있어서는, 공기 유통로(720), 환경 조정 공기 유통로(730), 온풍 유통로(740) 및 온풍 배출로(750)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 보이고 있지만, 실제로는, 각각에 공기 유통용 덕트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덕트내를 공기가 유통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제습 장치(710)는, 제습제를 수납하는 제습제수납부(711)와, 공기 취입부(712)와, 제습 공기를 송출하는 제습 공기 송출부(713)와, VOC 처리장치(60)로부터 배출되는 온풍을 취입하는 온풍 취입부(714)와, 온풍을 외부로 배출하는 온풍 배출부(715)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 1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1)에 있어서는, 제습제수납부(711) 전체가 1개의 공간부로 이루어져 있고, 해당 공간부에 제습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습 장치(710)는, 제습제를 이용하여 제습 공기를 생성하는 동시에 제습 공기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서 흡습한 흡습 제습제를, 온풍 취입부(714)로부터 취입한 온풍에 의해 건조시켜 재생하고, 재생한 제습제를 이용하여 제습 공기를 생성하는 동작을 반복해 실시한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공기공급장치(70)에 있어서의 제습 장치(710)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및 도 4에 의해 제습 장치(71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습 장치(710)의 외관 형상은, 양단이 원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원통형의 케이스를 이루고, 한 쪽의 단면(710L)(도 3에 있어서는 좌측의 단면) 및 다른 쪽의 단면(710R)(도 3에 있어서는 우측의 단면)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제습 장치(710)는, 제습 장치 구동부(모터라고 한다.)(760)에 동력 전달 벨트(761)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제습 장치 구동부(760)에 의해서 예를 들면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한다.
제습 장치(710)의 내부에는 제습제수납부(711)가 존재하고, 해당 제습제수납부(711)에는 제습제(도시하지 않음.)가 충전되어 있다. 또한, 제습 장치(710)의 한 쪽의 단면(710L) 및 다른 쪽의 단면(710R)은,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고, 또한, 충전되어 있는 제습제가 외부에 유출하는 것이 없도록 하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습 장치(710)의 한 쪽의 단면(710L)에는, 공기를 보내기 위한 공기 취입부(712)와, 제습 장치(710)를 통과한 온풍을 배출시키는 온풍 배출부(715)가 중심축(x)을 사이에 두고 존재하고, 제습 장치(710)의 다른 쪽의 단면(710R)에는, 제습 공기를 송출하는 제습 공기 송출부(713)와, 온풍을 받아들이기 위한 온풍 수용부(714)가 존재한다. 
공기 취입부(712)는, 공기 유통로(720)를 유통하는 공기의 취입이 가능한 위치에 존재하고, 온풍 배출부(715)는, 제습제를 통과한 온풍을 온풍 배출로(750)에 배출 가능한 위치에 존재하고 있다. 또한, 제습 공기 송출부(713)는, 제습 공기를 환경 조정 공기 유통로(730)에 송출 가능한 위치에 존재하고, 온풍 수용부(714)는, 온풍 유통로(740)를 유통해 오는 온풍의 수용이 가능한 위치에 존재한다. 
그리고, 공기 취입부(712) 및 제습 공기 송출부(713)는, 한 쪽의 단면(710L) 및 다른 쪽의 단면(710R)에 있어서의 중심축(x)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각각이 마주하여 존재하고 있다. 또한, 온풍 취입부(714) 및 온풍 배출부(715)는, 한 쪽의 단면(710L) 및 다른 쪽의 단면(710R)에 있어서의 중심축(x)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또한, 공기 취입부(712) 및 제습 공기 송출부(713)와는 다른 위치에 각각이 마주하여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제습 장치(710)는, 중심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기 취입부(712), 온풍 배출부(715), 제습 공기 송출부(713) 및 온풍 수용부(714)는 제습 장치(710)에 있어서 고정적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닌, 제습 장치(710)의 회전에 수반하여 변화한다. 
즉, 도 3에 있어서는, 현시점에 있어서, 공기 유통로(720)를 유통하는 공기의 취입이 가능한 위치에 존재하고 있는 부분을 제습 장치(710)의 공기 취입부(712)로 하고, 제습 공기를 환경 조정 공기 유통로(730)에 송출 가능한 위치에 존재하고 있는 부분을 제습 장치(710)의 제습 공기 송출부(713)로 하며, 온풍 유통로(740)를 유통해 오는 온풍의 수용이 가능한 위치에 존재하고 있는 부분을 제습 장치(710)의 온풍 수용부(714)로 하고, 제습제를 통과한 온풍을 온풍 배출로(750)에 배출 가능한 위치에 존재하고 있는 부분을 제습 장치(710)의 온풍 배출부(715)로서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제습 장치(710)를 회전시킬 때는, 제습 장치(710)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해도 좋고, 소정의 회전각도 마다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해도 좋다. 제습 장치(710)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제습 공기의 생성에 필요한 시간과 흡습 제습제의 재생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습 장치(710)가 회전해 가는 사이에, 공기 취입부로부터 취입한 공기를 소정 습도로까지 제습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온풍에 의해서 흡습 제습제를 충분히 건조 가능하게 하는 속도로 회전시킨다. 
또한, 제습 장치(710)를 소정 각도 마다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제습 공기의 생성에 필요한 시간과 흡습 제습제의 재생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간헐적인 회전에 있어서의 회전의 정지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기 취입부로부터 취입한 공기를 소정 습도로까지 제습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 및 흡습 제습제를 충분히 건조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만 회전을 정지시킨 후, 회전을 재개하여 소정 각도만 회전시킨다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예 1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1)에 있어서의 전계 방사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장척시트(W)를 이송 장치(10)에 세트하고, 그 후, 장척시트(W)를 투입 롤러(11)로부터 권취 롤러(12)를 향해서 소정의 이송 속도로 이송시키면서, 각 전계방사장치(20)에 대해 장척시트(W)에 나노 섬유를 차례차례 퇴적시킨다. 
그 후, 가열 장치(30)에 의해, 나노 섬유를 퇴적시킨 장척시트(W)를 가열한다. 이것에 의해, 나노 섬유가 퇴적한 장척시트로 이루어지는 나노섬유 부직포가 제조된다. 그리고, 「나노섬유 부직포」란, 나노 섬유를 퇴적시킨 장척시트를 말한다. 나노섬유 부직포는, 이것을 그대로 제품으로 해도 좋고, 나노섬유 부직포로부터 장척시트를 제거하여 「나노 섬유층 만으로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제조하여, 이것을 제품이라고 해도 좋다. 또한, 「나노 섬유」란, 폴리머로 이루어지고, 평균 직경이 수nm~수천nm의 섬유를 말한다. 또한, 「폴리머 용액」이란, 폴리머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말한다. 
나노 섬유의 원료가 되는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 유산(PLA), 폴리프로필렌(PP), 폴리 초산비닐(PVA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나프타 레이트(PEN), 폴리아미드(PA), 폴리우레탄(PUR), 폴리비닐 알코올(PVA), 폴리 아크릴로니트릴(PAN), 포리에이테르이미드(PEI),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 유산 글리콜산(PLGA), 실크, 셀룰로오스, 키토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머 용액에 이용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디클로로 메탄, 디메틸 폼 아미드, 디메틸 설폭시드, 메틸 에틸 케톤, 클로로포름, 아세톤, 물, 포름산, 초산, 시클로 헥산, THF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복수 종류의 용매를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폴리머 용액에는, 도전성 향상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나노섬유 부직포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 균일한 물성을 가지는 나노섬유 부직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방사 조건을 장시간에 걸쳐서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방사 조건으로서, 각 전계방사장치(20)에 있어서의 환경 습도 및 환경 온도를 적절한 습도 및 온도를 장시간에 걸쳐서 유지하는 것 중요하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전계방사장치(20)에 있어서의 환경 습도 및 환경 온도를 단순히 습도 및 온도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실시예 1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1)에 있어서는, 공기공급장치(70)에 의해서, 환경 조정된 공기를 각 전계방사장치(20)에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공기공급장치(70)는, 도 3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습 장치(710)의 공기 취입부(712)로부터 취입한 공기를 제습제에 의해 제습 공기로 한 후, 해당 제습 공기를 제습 공기 송출부(713)로부터 송출한다. 제습 공기 송출부(713)로부터 송출된 제습 공기는, 냉각부(731C), 습도 조정부(732) 및 히터(731H)를 통과함으로써, 각 전계방사장치(20)에 있어서 최적의 습도 및 온도가 되도록 습도 조정 및 온도 조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해당 습도 조정 및 온도 조정이 이루어진 환경 조정 공기가 각 전계방사장치(20)에 공급된다. 
그리고, 각 전계방사장치(20)에 있어서 최적의 습도 및 온도라고 하는 것은, 어떠한 나노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가에 따라서 다르지만, 습도에 대해서는 20%~60%의 범위가 되도록 습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온도에 대해서는 20℃~40℃의 범위가 되도록 온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범위 중 어떠한 습도 및 온도에 조정되었을 경우, 해당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한 상태(일정습도 및 일정온도 상태)로 전계 방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각 전계방사장치(20)에 있어서 최적의 습도 및 온도가, 습도에 대해서는 30%, 온도에 대해서는 25℃이라고 했을 경우, 각 전계방사장치(20)에 송출해야 할 공기를 해당 습도(30%)와 해당 온도(25℃)로 설정하고, 또한, 해당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전계 방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전계방사장치(20)에 있어서는, 전계 방사를 실시할 때, 휘발성 성분이 고농도로 발생한다. 이 휘발성 성분은, VOC 처리장치(60)에 송출되고, VOC 처리장치(60)에 의해서 VOC를 연소시켜 제거하는 처리를 한다. 그리고, VOC를 연소시켜 제거할 때의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은, 공기공급장치(70)에 송출된다. 
VOC 처리장치(60)로부터 송출되어 오는 온풍은, 공기공급장치(70)에 있어서의 온풍 유통로(740)를 통하여 필터(742)를 통해 히터(741)에 보내진다. 히터(741)는, 온풍의 온도가 제습제를 재생시키는데 필요한 온도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 해당 온풍을 적절한 온도에까지 상승시키는 것이고, 온풍의 온도가 제습제를 재생시키기에 적절한 온도이면, 특별히 동작하지 않고 온풍을 통과시킨다. 히터(741)를 통과한 온풍은, 제습 장치(710)의 온풍 취입부(714)에 공급되고, 제습 장치(710)에 수납되어 있는 흡습 제습제를 건조시켜 흡습전의 제습제로 재생할 수 있다. 
그런데, 제습 장치(710)는, 제습 장치 구동부(760)에 의해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제습 공기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서 흡습한 상태의 흡습 제습제는, 제습 장치(710)이 회전해 가는 것에 의해서, 온풍 취입부(714)로부터의 온풍에 쏘이는 위치가 된다. 또한, 온풍 취입부(714)로부터의 온풍에 의해서, 이미 재생된 상태의 제습제는, 제습 장치(710)가 회전해 감으로써, 공기 취입부(712)로부터 취입한 공기에 노출되는 위치가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기 때문에, 제습 공기의 생성과 흡습 제습제의 재생이 반복하여 행해지게 된다.
또한, 제습 공기는, 환경 조정 공기 유통로(730)를 유통하는 과정에서, 습도 및 온도가 소정 습도 및 소정 온도가 되도록 습도 조정 및 온도 조정된다. 그리고, 습도 조정 및 온도 조정된 습도 및 온도에는, 다소의 오차도 허용된다. 예를 들면, 습도를 30%로 해야 할 경우에 있어서는, 30%±5%정도가 허용범위이며, 온도를 25℃로 해야 할 경우에 있어서는, 25℃±1.0℃ 정도가 허용범위이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1)에 의하면, 각 전계방사장치(20)에 있어서 최적의 습도 및 온도로 조정된 공기(환경 조정 공기)를 각 전계방사장치(20)에 공급할 수 있다. 그것에 따라서, 각 전계방사장치(20)에 있어서는, 균일한 물성을 가지는 나노섬유 부직포를 연속적으로 대량생산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1)에 의하면, 제습 공기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서 흡습한 흡습 제습제는, VOC를 연소할 때의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을 이용하여 재생되기 때문에, 동일한 제습제를 반복하여 사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 1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1)에 있어서는, 본래는 폐기되어 버리는 에너지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1)에 의하면, 전계방사장치로서, 장척시트(W)가 이송되어 가는 소정의 이송 방향(a)을 따라서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전계방사장치(20)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전계방사장치(20)의 각각에 있어서 장척시트(W)상에 나노 섬유를 차례차례로 퇴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균일한 물성을 가지는 나노섬유 부직포를 보다 한층 높은 생산성으로 대량생산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상기한 실시예 1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1)에 있어서는, 제습 장치(710)는, 해당 제습 장치(710)의 내부 전체가 하나의 제습제수납부로서 구성되고, 해당 하나의 제습제수납부에 제습제를 충전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중심축(x)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제습 장치(710)의 내부를 n분할(n은 2이상의 자연수)하는 것에 의해서 n개의 제습제수납실을 형성하도록 하고, n개의 제습제수납실 각각에 상기 제습제가 충전되어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5는, 실시예 2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제습 장치(710)를 중심축을 따른 방향(도 3 및 도 4에 있어서의 한 쪽의 단면(710L)측)에서 보았을 경우의 내부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2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2)가 실시예 1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1)와 다른 것은, 제습 장치(710)이다. 따라서, 도 5에 있어서는, 실시예 2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2)에 이용되는 제습 장치(710)만이 나타나 있다. 
실시예 2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2)에 이용되는 제습 장치(71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축(x)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제습 장치(710)의 내부를 n분할(n=6으로 한다.) 하는 것에 의해서 6개의 제습제수납부(712a~712f)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습제수납부(712a~712f)에는, 각각 제습제(도시하지 않음.)가 충전되어 있다. 
실시예 2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2)에 있어서도, 제습 장치(710)를 회전시킬 때는, 제습 장치(710)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해도 좋고, 소정 각도 마다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제습 장치(710)를 소정 각도 마다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1회의 회전 각도를 60°로 설정하고, 60°의 회전각도 마다 간헐적인 회전을 실시하도록 한다. 
즉, 현시점에 있어서, 제습제수납부(712a)에 의해서 제습 공기의 생성이 실시되고 있고, 동시에 제습제수납부(712d)에 의해서 흡습 제습제의 재생을 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이 때, 제습제수납부(712b, 712c)에 수납되어 있는 제습제는 이미 흡습 제습제가 되고 있고, 제습제수납부(712e, 712f)에 수납되어 있는 제습제는 이미 재생된 제습제가 되고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제습제수납부(712a)에 의한 제습 공기의 생성이 종료하고, 동시에 제습제수납부(712d)에 의한 흡습 제습제의 재생이 종료하면, 제습 장치(710)가 화살표 c방향으로 60°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이번에는, 제습제수납부(712f)에 의해서 제습 공기의 생성이 실시되고, 동시에 제습제수납부(712c)에 의해서 흡습 제습제의 재생이 실시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제습 공기의 생성과 흡습 제습제의 재생을 차례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습 장치(710)를 소정 각도(이 경우, 60°) 마다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제습 공기의 생성과 흡습 제습제의 재생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은, 회전을 정지시킨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회전의 정지시간은, 제습 공기의 생성에 필요한 시간과 흡습 제습제의 재생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습 장치(710)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제습 장치(710)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제습 공기의 생성과 흡습 제습제의 재생을 실시하게 되므로, 제습 공기의 생성에 필요한 시간과 흡습 제습제의 재생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회전 속도를 설정한다. 
제습 장치(710)를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시예 1에 관한 나노섬유 제조장치(1)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습 장치(710)를 도 5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흡습 제습제의 영역과, 온풍에 의해서 건조된 제습제의 영역을 명확하게 분리할 수 있고, 제습 공기의 생성과 흡습 제습제의 재생을 보다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있어서는, 제습 장치(710)의 내부를 6분할했을 경우를 예시했지만, 6분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n분할」의 「n」을 2이상의 임의에 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의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1)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계방사장치로서 2대의 전계방사장치를 구비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를 예로써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1대 또는 3대 이상의 전계방사장치를 구비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2)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공기공급장치(70)에서 생성된 환경 조정 공기는, 개개의 전계방사장치(20)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복수의 전계방사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시설내에 환경 조정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고, 시설내 전체를 환경 조정 공기로 채우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전계방사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시설내 전체를 환경 조정 공기로 채우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각 전계방사장치에 환경 조정 공기가 공급되게 된다. 
(3)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향 노즐을 가지는 상향식 전계방사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하향 노즐을 가지는 하향식 전계방사장치나 측면 노즐을 가지는 측면식 전계방사장치를 구비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4)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원 장치(160)의 정극이 컬렉터(150)에 접속되고, 전원 장치(160)의 부극이 노즐 블록(110)에 접속된 전계방사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원 장치의 정극이 노즐에 접속되고, 전원 장치의 부극이 컬렉터에 접속된 전계방사장치를 구비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5) 상기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습 장치(710)의 온풍 배출부(715)로부터 배출한 온풍의 처리에 있어서는 특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해당 온풍에 포함되는 불순물 등을 제거하도록 하면, 난방용이라고 해도 이용할 수 있다.
(6)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냉각부(731C)과 히터(731H)를 갖는 온도조정부(731)를 이용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나노섬유 제조장치를 설치하는 장소의 온도에 맞추어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각부(731C)를 갖지 않는 온도조정부(731)로 해도 좋고, 히터(731H)를 갖지 않는 온도조정부(731)로 해도 좋다.
(7)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전계방사장치에 하나의 노즐블록이 배설된 나노섬유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전계방사장치(20a)의 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전계방사장치(20a)에 2개의 노즐블록(110a1, 110a2)이 배설된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노즐블록이 배설된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든 노즐블록으로 노즐 배열피치를 동일하게 할 수 있고, 각 노즐블록으로 노즐 배열피치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모든 노즐블록으로 노즐블록의 높이위치를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각 노즐블록으로 노즐블록의 높이위치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8)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장척시트의 폭방향을 따라서 노즐블록을 소정의 왕복운동주기로 왕복운동시키는 기구를 구비해도 좋다. 해당 기구를 이용하여 노즐블록을 소정의 왕복운동주기로 왕복운동시키면서 전계방사를 실시함으로써, 장척시트의 폭방향을 따른 폴리머 섬유의 퇴적량을 균일화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블록의 왕복운동주기나 왕복거리를, 전계방사장치마다 또는 노즐블록마다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모든 노즐블록을 같은 주기로 왕복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각 노즐블록을 다른 주기로 왕복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모든 노즐블록으로 왕복운동의 왕복거리를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각 노즐블록으로 왕복운동의 왕복거리를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1···나노섬유 제조장치, 10···이송 장치, 11···투입 롤러,
12···권취 롤러, 13, 18···보조 롤러,
14, 15, 16, 17···구동 롤러, 20, 20a···전계방사장치,
30···가열 장치, 32···히터, 40···통기도 계측 장치,
41, 41 a···통기도 계측부, 42···본체부, 43···구동부,
43a···지지부, 44···제어부, 60···VOC 처리장치,
70···공기공급장치, 80···주제어장치, 100···케이스,
110, 110a1, 110a2···노즐 블록, 150···컬렉터,
152···절연부재, 160···전원 장치, 170···보조 벨트 장치,
172···보조 벨트, 174···보조 벨트용 롤러, 710···제습 장치,
710L···한 쪽의 단면, 710R··다른 쪽의 단면,
711, 711a~711f···제습제수납부, 712···공기 취입부,
713···제습 공기 송출부, 714···온풍 취입부,
715···온풍 배출부, 720···공기 유통로, 722, 731···온도 조정부,
730···환경 조정 공기 유통로, 732···습도 조정부,
740···온풍 유통로, 750···온풍 배출부, 760···제습 장치 구동부,
761··동력 전달 벨트, a···이송 방향, b···장척시트의 폭방향,
c···제습 장치(710)의 회전 방향, W···장척시트, x···중심축

Claims (13)

  1. 나노 섬유를 방사 하는 전계방사장치와,
    환경 조정된 공기를 상기 전계방사장치에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전계방사장치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성분(이하, VOC라고 한다.)을 연소하여 제거하는 VOC 처리장치를 구비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로서,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VOC 처리장치에서 상기 VOC를 연소했을 때에 생기는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에 의해 건조시킨 제습제를 이용하여 제습 공기를 생성하는 제습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장치는,
    상기 제습제를 수납하는 제습제수납부와, 상기 제습 공기로 하기 위한 공기를 취입하는 공기 취입부와, 상기 제습 공기를 송출하는 제습 공기 송출부와, 상기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을 취입하는 온풍 취입부와 온풍 취입부로부터 취입한 상기 온풍을 외부로 배출하는 온풍 배출부를 갖고,
    상기 취입한 공기를 제습할 때에 이용한 제습제를, 상기 온풍 취입부로부터 취입한 온풍에 의해 건조시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장치는,
    상기 제습 공기로 하기 위한 공기가 유통하는 공기 유통로와,
    상기 제습 공기 송출부로부터 송출되는 제습 공기가 유통하는 환경 조정 공기 유통로와,
    상기 환경 조정 공기 유통로와는 이간하여 설치되고, 상기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을 상기 온풍 취입부로 이끄는 온풍 유통로와,
    상기 제습 장치를 구동시키는 제습 장치 구동부를 갖고,
    상기 제습 장치 구동부는,
    상기 제습 장치의 상기 공기 취입부가, 상기 공기 유통로를 유통해 오는 공기의 취입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온풍 취입부가, 상기 온풍 유통로를 유통해 오는 온풍의 취입이 가능해지도록 상기 제습 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장치는,
    한 쪽의 단면 및 해당 한 쪽의 단면에 마주하는 다른 쪽의 단면을 가지는 케이스를 이루고, 해당 케이스의 상기 한 쪽의 단면 및 다른 쪽의 단면을 관통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기 취입부 및 상기 제습 공기 송출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한 쪽의 단면 및 다른 쪽의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각각이 마주하여 존재하고, 상기 온풍 취입부 및 상기 온풍 배출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한 쪽의 단면 및 다른 쪽의 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또한, 상기 공기 취입부 및 상기 제습 공기 송출부와는 다른 위치에 각각이 마주하여 존재하고,
    상기 제습 장치 구동부는, 상기 제습 장치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장치는, 해당 제습 장치의 내부 전체가 하나의 제습제수납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습제수납부에 상기 제습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 장치는, 상기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해당 제습 장치의 내부를 n분할(n은 2이상의 자연수)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된 n개의 제습제수납부를 갖고, 상기 n개의 제습제수납부 각각에 상기 제습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정 공기 유통로에는, 상기 제습 공기의 습도가 상기 전계방사장치의 환경 습도로서 적절한 습도가 되도록, 상기 제습 공기의 습도 조정을 실시하는 습도 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8.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조정 공기 유통로에는, 상기 제습 공기의 온도가 상기 전계방사장치의 환경 온도로서 적절한 온도가 되도록, 상기 제습 공기의 온도 조정을 실시하는 온도 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9.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 유통로에는, 상기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의 온도가 상기 제습제를 건조시켜 재생하기 위해서 적합한 온도가 되도록, 상기 온풍의 온도 조정을 실시하는 온풍 온도 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10.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통로에는, 상기 제습 공기로 하기 위한 공기의 온도가 되도록, 온도 조정을 실시하는 온도 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척시트를 소정의 이송 속도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를 추가로 갖고,
    상기 전계방사장치는 상기 장척시트의 이송 방향을 따라서 직렬로 복수개가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방사장치는, 상기 장척시트에 있어서의 소정의 영역 전체에 걸쳐서 폴리머 용액을 토출 가능하게 하도록 복수의 노즐이 설치되어 있는 노즐 블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
  13. 나노 섬유를 방사하는 전계방사장치와, 상기 전계방사장치에서 발생하는 VOC를 연소하여 제거하는 VOC 처리장치를 구비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의 상기 전계방사장치에 환경 조정된 공기를 공급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공기공급장치로서,
    상기 VOC 처리장치로 상기 VOC를 연소했을 때에 생기는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에 의해 건조시킨 제습제를 이용하여 제습 공기를 생성하는 제습 장치를 갖고,
    상기 제습 장치는, 상기 제습제를 수납하는 제습제수납부와, 상기 제습 공기로 하기 위한 공기를 취입하는 공기 취입부와, 상기 제습 공기를 송출하는 제습 공기 송출부와, 상기 연소열에 의해서 생성된 온풍을 취입하는 온풍 취입부와, 온풍 취입부로부터 취입한 상기 온풍을 외부에 배출하는 온풍 배출부를 갖고, 상기 취입한 공기를 제습할 때에 이용한 제습제를, 상기 온풍 취입부로부터 취입한 온풍에 의해 건조시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공기공급장치.


KR1020110016684A 2010-12-06 2011-02-24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공기공급장치 KR101087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3062 WO2012077871A1 (ko) 2010-12-06 2011-04-27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공기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72077A JP5715396B2 (ja) 2010-12-06 2010-12-06 ナノ繊維製造装置及びナノ繊維製造装置における空気供給装置
JPJP-P-2010-272077 2010-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7389B1 true KR101087389B1 (ko) 2011-11-25

Family

ID=4539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684A KR101087389B1 (ko) 2010-12-06 2011-02-24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공기공급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15396B2 (ko)
KR (1) KR101087389B1 (ko)
WO (1) WO201207787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573B1 (ko) * 2013-04-17 2014-04-08 (주)에프티이앤이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장치
WO2014137097A1 (ko) * 2013-03-08 2014-09-12 (주)에프티이앤이 전기방사장치
KR101457022B1 (ko) * 2013-04-23 2014-10-31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양산형 전기방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9244A1 (en) * 2017-01-06 2018-07-12 Sabic Global Technolgies B.V. Apparatus for continuous needleless electrospinning a nanoscale or submicron scale polymer fiber web onto a substrate
JP6672198B2 (ja) * 2017-02-23 2020-03-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ナノファイバ製造方法及び装置
CN112760823A (zh) * 2020-12-29 2021-05-07 重庆中纳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纤维静电纺丝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946B1 (ko) 2002-08-16 2004-12-03 (주)삼신크리에이션 나노섬유 제조를 위한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위한방사노즐팩
JP2005194675A (ja) 2004-01-09 2005-07-21 Japan Vilene Co Ltd 繊維集合体の製造方法
KR100996252B1 (ko) 2008-01-11 2010-11-23 (주)에프티이앤이 균일성을 가진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1073A (ko) * 2005-01-25 2005-04-01 정도성 회전형 핀 다발 방사체를 구비한 정전방사 장치
JP4759358B2 (ja) * 2005-09-28 2011-08-31 帝人株式会社 静電紡糸法により作製された繊維集合体の嵩密度制御方法
WO2008136581A1 (en) * 2007-05-07 2008-11-13 Finetex Technology Global Limited Method for producing nano-fiber with uniform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946B1 (ko) 2002-08-16 2004-12-03 (주)삼신크리에이션 나노섬유 제조를 위한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위한방사노즐팩
JP2005194675A (ja) 2004-01-09 2005-07-21 Japan Vilene Co Ltd 繊維集合体の製造方法
KR100996252B1 (ko) 2008-01-11 2010-11-23 (주)에프티이앤이 균일성을 가진 나노 섬유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37097A1 (ko) * 2013-03-08 2014-09-12 (주)에프티이앤이 전기방사장치
KR101382573B1 (ko) * 2013-04-17 2014-04-08 (주)에프티이앤이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장치
KR101457022B1 (ko) * 2013-04-23 2014-10-31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양산형 전기방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15396B2 (ja) 2015-05-07
JP2012122153A (ja) 2012-06-28
WO2012077871A1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389B1 (ko)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나노섬유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공기공급장치
KR101040063B1 (ko) 나노섬유 제조장치
KR101061081B1 (ko) 섬유 집합체의 제조 방법 및 섬유 집합체의 제조 장치
KR101154211B1 (ko) 전계 방사 장치 및 나노 섬유 제조 장치
KR101162045B1 (ko) 전계 방사 장치 및 나노 섬유 제조 장치
KR101478184B1 (ko) 전기방사 노즐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방사 시스템
KR101870156B1 (ko) 드럼타입 나노파이버 대량생산 용융전기방사장치 및 무용매 용융전기방사방법
KR20110074085A (ko) 고온 전기방사장치
KR101196786B1 (ko) 회전형 노즐을 이용한 나노섬유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5318527B2 (ja) 不織布の製造装置
JP2020045591A (ja) 電界紡糸装置及びナノファイバ集積体の製造方法
KR101721989B1 (ko) 온도조절 장치가 구비된 마스크팩 제조장치
JP5715395B2 (ja) ナノ繊維製造装置
KR101040052B1 (ko) 전계방사장치 및 나노섬유제조장치
CN106217515B (zh) 一种纳米光催化剂人造板处理机
KR101154213B1 (ko)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
KR101087387B1 (ko) 나노섬유 제조장치
KR101052124B1 (ko) 나노섬유 제조장치 및 나노섬유 제조방법
WO2016171330A1 (ko)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마스크팩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3328697B (zh) 场发射装置及纳米纤维制造装置
JP2012046854A (ja) 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ナノファイバ製造方法
KR101466290B1 (ko) 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다중폴리머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장치
KR101635053B1 (ko) 나노섬유 웹 제조용 전기방사장치
KR101635055B1 (ko) 나노섬유 웹 제조용 전기방사장치
KR20160126630A (ko) 온도조절 장치가 구비된 전기방사장치를 이용한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