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695B1 -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695B1
KR101086695B1 KR20110066001A KR20110066001A KR101086695B1 KR 101086695 B1 KR101086695 B1 KR 101086695B1 KR 20110066001 A KR20110066001 A KR 20110066001A KR 20110066001 A KR20110066001 A KR 20110066001A KR 101086695 B1 KR101086695 B1 KR 101086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hing
dismantling
regenerated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66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진
Original Assignee
임성진
신해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진, 신해산업 (주) filed Critical 임성진
Priority to KR20110066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6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27Vibratory or shak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68Separation of metals
    • B29B2017/0272Magnetic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86Cleaning means used for separation
    • B29B2017/0289Washing the materials in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란판이나 식품포장재 등 버려지는 포장재를 수거하여 재생처리한 후 재생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축 수거된 재생원료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압출된 재생원료를 해체하는 제1해체부와, 상기 제1해체부에서 해체된 재생원료를 공급받아 완전히 해체하는 제2해체부와, 상기 제2해체부로부터 공급된 재생원료를 물질 및 색상별로 선별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재생원료를 분쇄하여 재생칩을 생산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에서 생산된 재생칩을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재생칩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재생칩을 배출하는 배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A regenerative device of remaking materials}
본 발명은 재생원료의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란판이나 식품포장재 등 버려지는 포장재를 수거하여 재생처리한 후 재생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재생원료의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회용품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많은 양의 폐기물들이 배출되고 있으며, 그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석유화학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폐플라스틱, 폐비닐류, 폐셀롤로오스 등과 같은 유해산업 폐기물이 급증하면서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재생원료, 즉 폐플라스틱, 폐비닐류, 식품포장재 등 기타 포장재의 재활용은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한편 천연자원의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에 따라 사용 후 폐플라스틱, 폐비닐류, 식품포장재 및 기타 포장재 등을 수거하여 선별, 분쇄, 세척, 건조 등의 재활용 과정을 거쳐 칩 형상으로 가공하여 플라스틱 제품 등 각종 재활용품을 만드는데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음료용기와 같이 단일 재질로 이루어진 음료 용기 등은 선별 및 재생 공정이 간단하게 이루어졌으나, 음료 용기를 제외한 모든 폐플라스틱류, 즉 폐플라스틱, 폐비닐, 식품포장재 등 기타 포장재는 용기의 특성상 PET, PVC, PS 등 다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이를 성분별로 분리작업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재질로 이루어진 폐플라스틱류 등을 재활용하여 재활용품 등을 생산하게 되면 불량이 발생하는 등 재활용품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재활용 용도에 맞는 분리선별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자원재활용에 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되었으며, 이를 선별하기 위한 인력의 투입으로 과다한 인건비로 인해 재활용에 따른 채산성이 맞지 않은 실정으로, 현재는 여러 종류의 재질로 이루어진 폐플라스틱류 등은 국내에서 재생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전량 수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재생원료, 즉 폐플라스틱류, 계란판, 식품포장재 및 기타 포장재 등을 각각의 재질별로 선별 가공하여 재활용품을 생산하는 재생 칩을 생산함으로써, 재생원료, 각종 포장재 재생의 부가가치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재생원료인 폐플라스틱, 계란판, 식품포장재 및 기타 포장재 등을 각각의 재질별로 선별 가공하여 재생 칩을 생산하고, 이 칩을 이용하여 재질에 맞는 재활용품 등을 생산함으로써, 불량 재활용품이 생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축 수거된 재생원료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압출된 재생원료를 해체하는 제1해체부와, 상기 제1해체부에서 해체된 재생원료를 공급받아 완전히 해체하는 제2해체부와, 상기 제2해체부로부터 공급된 재생원료를 물질 및 색상별로 선별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재생원료를 분쇄하여 재생칩을 생산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에서 생산된 재생칩을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재생칩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재생칩을 배출하는 배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투입부는 상부로 재생원료가 투입되는 투입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투입부재의 내측에 일측부가 위치되어 재생원료를 제1해체부로 공급하는 제1컨베이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해체부는 재생원료가 투입되는 호퍼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통체와, 상기 통체의 내측에 다수개의 해체날개가 설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통체의 하부에는 제2해체부로 1차 해체된 재생원료를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해체부는 선별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진동테이블이 구비되고, 상기 진동테이블의 하단부에 일측부가 위치된 제3컨베이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선별부는 제2해체부의 제3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자동선별기와, 상기 제3컨베이어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4컨베이어와, 상기 제2,3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컨베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4컨베이어의 상부에는 자력선별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쇄부는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되, 일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되, 분쇄날이 구비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구동시키는 제2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뚜껑은 본체에 힌지 고정되고, 이 뚜껑을 개폐시키는 실린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본체에서 분쇄되어 생산된 재생칩을 세척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이송부는 본체에 내측과 연통되게 이송관이 구비되고, 본체에 고정된 이송관의 타측부에는 케이스가 구비되며, 이 케이스에는 세척부로 재생칩을 이송시키는 이송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단은 재생칩을 냉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냉수세척부와, 상기 냉수세척부에서 냉수세척된 재생칩을 온수세척하는 온수세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냉수세척부 및 온수세척부는 각각 한 쌍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냉수세척부는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제1세척통과, 상기 제1세척통의 내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다수개의 교반날개가 형성된 제1교반샤프트와, 상기 제1세척통의 상부 외측에는 제1교반샤프트를 동작시키는 제3모터와, 상기 제1세척통의 배출구와 연통되게 설치된 제1스크루컨베이어와, 상기 제1세척통으로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온수세척부는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제2세척통과, 상기 제2세척통의 내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다수개의 교반날개가 형성된 제2교반샤프트와, 상기 제2세척통의 상부 외측에는 제2교반샤프트를 동작시키는 제4모터와, 상기 제2세척통의 배출구와 연통되게 설치된 제2스크루컨베이어와, 상기 제2세척통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부는 세척수단의 온수세척부에 구비된 스크루컨베이어로부터 재생칩을 공급받는 공급부재와, 상기 공급부재로 공급된 재생칩을 공급받아 재생칩을 건조시키는 드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부에 공급호퍼가 구비된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공급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되,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선별통과, 상기 선별통의 하부에 설치되는 선별부재와, 상기 선별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선별된 재생칩을 이송시키는 제1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이송컨베이어를 통과한 재생칩을 이송시키는 제2이송컨베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수거된 압축 재생원료를 투입하는 투입단계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압축 재생원료를 해체하는 제1해체단계와, 상기 제1해체 단계에서 1차 해체된 압축 재생원료를 2차 해체하는 제2차해체단계와, 상기 제2해체단계에서 해체된 재생원료로부터 물질 및 색상별로 선벌하는 선별단계와, 상기 선별단계에서 선별된 재생원료를 분쇄하는 분쇄단계와, 상기 분쇄단계에서 생산된 재생칩을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상기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재생칩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재생칩을 선별하여 배출하는 배출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분쇄단계에서 분쇄부로 공급되는 재료 및 색상에 따라 건식 또는 습식분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세척단계는 냉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냉수세척단계와, 상기 냉수세척단계에서 세척된 재생칩을 공급받아 온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온수세척단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재생원료, 즉 폐플라스틱류, 계란판, 식품포장재 및 기타 포장재 등을 각각의 재질별로 선별 가공하여 재활용품을 생산하는 재생 칩을 생산함으로써, 재생원료, 각종 포장재 재생의 부가가치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재생원료인 폐플라스틱, 계란판, 식품포장재 및 기타 포장재 등을 각각의 재질별로 선별 가공하여 재생 칩을 생산하고, 이 칩을 이용하여 재질에 맞는 재활용품 등을 생산함으로써, 불량 재활용품이 생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의 재생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의 재생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해체부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해체부를 보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선별부를 보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분쇄부를 보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세척부와 건조부를 보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배출부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의 재생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의 재생방법을 보인 블럭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의 재생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의 재생장치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의 재생장치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해체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해체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선별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분쇄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세척부와 건조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배출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의 재생장치(100)는 업소나 일반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플라스틱류 및 계란판, 식품포장재 등 기타 포장재를 수거하여 압축된 재생원료가 투입되는 투입부(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투입부(11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의 투입부재(112)가 구비되고, 이 투입부재(112)에 일측부가 위치되어 투입부재(112)로 투입된 재생원료를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11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투입부재(112)로 압축된 재생원료가 투입되기 전에 1차로 크레인 등으로 여러 등분한 덩어리 형상의 재생원료를 투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부(110)로 투입된 압축 재생원료를 공급받아 1차로 압출된 재생원료를 해체하는 제1해체부(2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해체부(210)는 제1컨베이어(114)에 의해 이동되는 재생원료가 공급되는 호퍼(212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구(212b)가 형성된 통체(2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통체(212)의 내측에는 폭 방향으로 샤프트(214)가 구비되고, 이 샤프트(214)에는 다수개의 해체날개(214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통체(212)의 외측부 소정 위치에는 샤프트(214)와 벨트(미도시) 등에 의해 연결되어 샤프트(214)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216)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통체(212)의 하부에는 통체(212)에 구비된 해체날개(214a)에 의해 압축 상태에서 1차 해체되어 배출구(212b)를 통하여 배출되는 재생원료를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218)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컨베이어(114)에 의해 이송되는 폐플라스틱류 등 재생원료가 통체(212)의 내측으로 호퍼(212a)를 통하여 공급되고, 통체(212)의 내측으로 공급된 압축 상태의 재생원료는 샤프트(214)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해체날개(214a)에 의해 압축된 재생원료가 1차로 해체작업이 이루어지고, 1차 해체작업이 이루어진 재생원료는 배출구(212b)를 통하여 배출되어 제2컨베이어(218)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해체부(210)에서 1차로 해체되어 제2컨베이어(218)에 의해 이송되는 재생원료를 공급받아 2차로 진동을 발생시켜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해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2해체부(3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컨베이어(218)에 의해 이송되는 재생원료는 제2해체부(310)로 직접 공급할 수도 있고, 별도의 공급컨베이어(220)를 설치하여 제2해체부(31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해체부(310)는 제1해체부(210)가 설치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되, 일측부가 공급컨베이어(220)의 하부에 위치되어 공급컨베이어(220)에 의해 이송되는 재생원료가 안착되고, 안착된 재생원료를 이동시키며 해체작업이 이루어지는 진동테이블(312)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진동테이블(312)의 하단부에 일측부가 위치되어 진동테이블(312)에서 공급되는 재생원료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제3컨베이어가(314)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진동테이블(312)이 진동하는 상태에서 공급컨베이어(220)에 의해 이송된 재생원료가 진동테이블(312)의 상부로 떨어지게 되면 이 재생원료는 진동테이블(312)의 진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해체부(210)에서 해체되지 않은 재생원료의 덩어리가 완전하게 해체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해체부(310)에서 완전히 재생원료가 해체되어 공급되는 재생원료로부터 물질 및 색상별로 선별하는 선별부(4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선별부(410)는 제3컨베이어(314)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3컨베이어(314)를 통하여 이동하는 재생원료를 물질 및 색상별로 선별하는 자동선별기(4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3컨베이어(314)의 진행 방향에는 자동선별기(412)에서 선별된 재생원료를 다음 과정으로 이송시키는 제4컨베이어(414)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3컨베이어(314) 및 제4컨베이어(414)의 사이 하단부에는 자동선별기(412)에서 선별된 재생원료를 이송시키는 배출컨베이어(41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4컨베이어(414)의 일측부, 즉 재생원료가 이송되는 진행 방향의 끝단 상부에는 자력선별기(418)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선별기(412)에서 선별작업이 이루어진 상태로 이송되는 재생원료에 포함되어 있는 철 종류는 자력선별기(418)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자력선별기(418)에 의해 선별되게 되게 된다.
또한, 상기 선별부(410)에서 선별되어 이송되는 재생원료를 공급받아 재생칩으로 분쇄하는 분쇄부(5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분쇄부(510)는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512)가 구비되고, 이 본체(512)의 상부가 커버되도록 구비되되, 일측부가 본체(512)에 힌지(524) 고정되고, 힌지(524) 고정된 타측부에는 제4컨베이어(414)에 의해 이송되는 재생원료가 투입되는 투입구(522)가 형성된 뚜껑(5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뚜껑(520)을 본체(512)에 고정시키는 힌지(524)에는 뚜껑(520)을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526)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본체(512)의 내측에 폭 방향으로 샤프트(530)가 구비되고, 이 샤프트(530)에는 다수개의 분쇄날(53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본체(512)의 외측부에는 본체(512)의 내측에 설치된 샤프트(530)를 구동시키는 제2모터(534)가 구비되되, 이 샤프트(530)와 제2모터(534)는 벨트(미도시) 등에 의해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512)의 내측에 구비된 분쇄날(532)에 의해 분쇄되어 생산된 재생칩을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54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540)는 본체(512)의 내측과 연결되는 이송관(542)이 구비되고, 본체(512)의 외측부에 구비되되, 이송관(542)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케이스(544)가 구비되며, 이 케이스(544)에는 다음 공정으로 재생칩을 이송시키는 이송구(54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540)에 의해 분쇄된 재생칩이 공급되고, 공급된 재생칩을 세척하는 세척수단(6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세척수단(610)은 냉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냉수세척부(620)와, 온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온수세척부(6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냉수세척부(620)는 상부에 분쇄부(510)로부터 이송된 재생칩이 투입되는 투입구(622a)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배출구(622b)가 형성된 제1세척통(62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세척통(622)의 외측부에는 제1세척통(622)의 내측으로 배관을 통하여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부재(624)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1세척통(622)의 내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교반샤프트(626)가 구비되고, 제1교반샤프트(626)에는 다수개의 교반날개(626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세척통(622)의 상단부에는 제1교반샤프트(626)를 동작시키는 제3모터(627)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세척통(622)의 하부, 즉 배출구(622b)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제1스크루컨베이어(628)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냉수세척부(620)의 제1세척통(622)은 재생칩의 진행 방향으로 제1세척통(622)과 동일한 구성으로 한 쌍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1세척통(622) 중 일측에 설치된 제1세척통(622)으로 분쇄부(510)에서 분쇄된 재생칩을 공급받는 제1세척통(622)에서 1차 세척이 이루어지고, 1차 세척이 이루어진 재생칩은 제1스크루컨베이어(628)에 의해 이웃하는 또 다른 제1세척통(622)으로 공급하여 2차 냉수에 의해 2차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고, 2차 세척이 이루어진 후에는 제1스크루컨베이어(628)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재생칩을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온수세척부(630)는 상부에 냉수세척부(620)에서 냉수 세척된 재생칩이 제1스크루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공급되는 투입구(632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구(632b)가 형성된 제2세척통(63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세척통(632)의 외측부에는 제2세척통(632)의 내측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부재(63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세척통(632)의 내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교반샤프트(636)가 구비되고, 제2교반샤프트(636)에는 다수개의 교반날개(636a)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세척통(632)의 상단부에는 제2교반샤프트(636)를 동작시키는 제4모터(637)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2세척통(632)의 하단부, 즉 제2세척통(632)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632b)와 연통되어 온수에 의해 세척된 재생칩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제2스크루컨베이어(638)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온수세척부(630)의 제2세척통(632)은 재생칩의 진행 방향으로 제2세척통(632)과 동일한 구성으로 한 쌍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2세척통(632) 중 일측에 위치한 제2세척통(632)으로 제1스크루컨베이어(628)으로부터 이송된 재생칩을 공급받는 제2세척통(632)에서 온수을 이용하여 1차 세척이 이루어지고, 1차 세척이 이루어진 재생칩은 제2스크루컨베이어(638)에 의해 이웃하는 또 다른 제2세척통(632)으로 공급하여 2차 온수에 의해 2차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며, 2차 세척이 이루어진 후에는 제2스크루컨베이어(638)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재생칩을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단(610)의 냉수세척부(620) 및 온수세척부(630)를 순차적으로 거쳐 세척이 이루어진 재생칩을 건조시키는 건조부(7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부(710)는 세척수단(610)의 온수세척부(630)에 구비된 제2스크루컨베이어(638)로 온수 세척된 재생칩이 투입되고 투입된 재생칩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공급부재(7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공급부재(712)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공급부재(712)로부터 이송되는 재생칩을 공급받아 건조시키는 드럼(71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드럼(714)은 동력전달수단(미도시)에 의해 드럼(714)이 회전하면서 드럼(714)의 내측으로 온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여 수분을 함유한 재생칩을 건조시키는 구성으로, 이는 통상적인 구성으로 이에 대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건조부(710)에서 건조되어 이송되는 재생칩을 공급받아 재생칩을 선별하여 배출시키는 배출부(8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810)는 상부에 건조부(710)의 드럼(714)으로부터 배출되는 재생칩이 투입되는 공급호퍼(812a)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는 배출구(812b)가 형성된 공급컨베이어(8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공급컨베이어(812)는 내측에 스크루축이 구비되고, 일측부에는 스크루축을 동작시키는 모터가 구비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공급컨베이어(812)의 배출구(812b)로 배출되는 재생칩이 수용되는 선별통(814)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선별통(814)의 하부에는 내측에 투입되어 배출되는 재생칩을 선별하는 선별부재(81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부재(816)의 하부에는 선별부재(816)에서 선별되어 하부로 배출되는 재생칩을 공급받아 설정 규격보다 큰 재생칩을 선별하여 일방향으로 이송 및 배출시키는 제1이송컨베이어(81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818)는 원통 형상의 몸체(818a)가 구비되고, 이 몸체(818a)의 상부에는 투입구(818b)가 형성되며, 투입구(818b)의 타측부 하단에는 배출구(818c)가 형성되며, 몸체(818a)의 내측에는 동력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면서 재생칩을 배출구(818c)로 이송시키는 스크루축(818d)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818)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이송컨베이어(818)를 통과한 규격 입자의 재생칩을 공급받아 일방향으로 이송 및 배출시키는 제2이송컨베이어(8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820)는 원통 형상의 몸체(820a)가 구비되고, 이 몸체(820a)의 상부에는 투입구(820b)가 형성되며, 투입구(818b)의 타측부 하단에는 배출구(818c)가 형성되되, 제2이송컨베이어(820)에 형성된 배출구(820c)는 제1이송컨베이어(818)에 형성된 배출구(818c)가 형성된 반대 방향에 위치되게 형성되며, 몸체(818a)의 내측에는 동력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면서 재생칩을 배출구(820c)로 이송시키는 스크루축(820d)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의 재생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의 재생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의 재생장치(100)는 먼저, 업소나 일반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플라스틱류 및 계란판, 식품포장재나 기타 포장재 등 압축된 재생원료가 크레인에 의해 투입부(110)로 투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투입부(110)로 압축된 재생원료를 투입할 때 크레인에 의해 압축된 재생원료를 분해하여 작은 덩어리 형상의 재생원료가 투입부재(112)로 투입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투입부재(112)로 재생원료가 투입되게 되면 제1컨베이어(114)에 의해 다음 고정인 제1해체부(210)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투입부(110)로부터 이동되는 재생원료는 호퍼(212a)를 통하여 통체(212)의 내측으로 공급되고, 통체(212)의 내측으로 공급된 재생원료는 통체(212)의 내측에 구비된 해체날개(214a)에 의해 덩어리 형상의 재생원료가 1차로 해체작업이 이루어지고, 1차 해체작업 후에는 통체(212)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212b)를 통하여 배출되어 제2컨베이어(218)의 상부로 공급되고, 제2컨베이어(218)로 공급된 재생원료는 제2해체부(310)로 이송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2컨베이어(218)에 의해 1차 해체된 재생원료는 제2해체부(310)의 진동테이블(312) 상부로 공급되고, 진동테이블(312) 상부로 공급된 재생원료는 진동테이블(312)의 진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재생원료가 2차 해체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해체부(310)로 이송되는 재생원료는 제1,2해체부(210)(310)에서 해체작업시 발생하는 작은 입자를 제거함으로써, 다음 단계인 선별부(410)로 이송되어 자동선별기(412)에서 선별시 선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테이블(312)의 진동에 의해 재생원료가 2차 해체됨과 동시에 이동하면서 제3컨베이어(314)로 공급되고, 제3컨베이어(314)로 공급된 재생원료는 다음 공정으로 제3컨베이어(314)에 의해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3컨베이어(314)에 의해 재생원료가 이동할 때 완전히 해체되지 않은 재생원료는 수작업에 의해 분리하여 제1해체부(210)의 통체(212)로 재투입하여 해체작업을 거쳐 다시 이송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컨베이어(314)에 의해 이동하는 재생원료는 선별부(410)의 자동선별기(41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물질 및 색상별로 자동선별된다.
이때, 상기 재3컨베이어(314)를 통하여 이동하는 재생원료를 자동선별기에 구비된 근적외선 스케너(미도시)를 이용하여 반사되는 빛의 양에 따라 물질여부를 확인하여 필요물질이나 불필요물질을 에어 슈팅(미도시)으로 선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선별기(412)에서 물질 및 색상별로 선별될 때 선별률은 약 98%-99% 정도이고 이물질은 1%-2% 정도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부(410)에서 선별된 재생원료는 분쇄부(510)의 본체(512) 내측으로 뚜껑(520)에 형성된 투입구(522)를 통하여 공급되어 본체(512)의 내측에 설치된 분쇄날(532)에 의해 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분쇄부(510)에서 재생원료를 분쇄하여 재생칩을 생산할 때 통체(512)의 내측으로 선별부(410)에서 선별된 물질 및 색상별로 투입하여 분쇄작업을 수행하되, 물질 및 색상에 따라 건식 분쇄 및 습식 분쇄 중 선택하여 분쇄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통체(512)의 상부를 커버하고 있는 뚜껑(520)은 실런더(526)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분쇄부(510)의 본체(512) 내측에 투입된 재생원료는 분쇄날(532)에 의해 분쇄되어 재생칩이 생성되게 되고, 이 재생칩은 이동수단에 의해 냉수세척부(620)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재생칩은 냉수공급부재(624)로부터 제1세척통(622)의 내측으로 냉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제1세척통(622)의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622a)를 통하여 내측으로 투입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세척통(622)의 내측으로 재생칩이 투입되게 되면 제1세척통(622)의 내측에 구비된 제1교반샤프트(626)가 회전하면서 교반날개(626a)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세척통(622)에서 재생칩이 냉객수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질 때 재생칩의 비중에 의해 재생칩과 이물질이 분리되게 된다.
즉, 상기 제1세척통(622)에서 냉수를 이용하여 재생원료의 세척시 비중분리 방식에 의해 하부에는 재생원료가 위치되고, 상부에는 이물질이 위치된 상태에서 배출시킴으로써, 이물질은 스크린(미도시)을 통해 이물질과 물을 분리하여 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하여 물은 회수되어 재사용하게 되고, 이물질은 배출수단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세척통(622)에서 1차 세척이 이루어지고, 세척완료 후에는 제1세척통(622)의 하부 배출구(622b)에 연통되게 설치된 제1스크루컨베이어(628)를 통하여 이웃하는 또 다른 제1세척통(622)으로 재생칩이 공급되어 2차 냉수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냉수세척부(620)에서 재생칩이 2차에 걸쳐 냉수 세척이 이루어져 재생칩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은 비중의 차이에 의해 분리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재생칩은 제1스크루컨베이어(628)에 의해 온수세척부(630)로 이동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온수세척부(630)로 이동된 재생칩은 냉수세척부(620)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온수세척이 2회에 걸쳐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온수세척부(630)로 이동하는 재생칩은 온수가 충진된 제2세척통(632)으로 공급되고, 제2세척통(632)으로 공급된 재생칩은 제2온수통(632)에 구비된 제2교반샤프트(636)가 회전하면서 교반날개(636a)에 의해 교반이 이루어지면서 세척이 된다.
이때, 상기 제2세척통(632)에 공급된 온수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질 때 재생칩에 잔류하는 이물질이 분리되어 제거됨과 동시에 재생칩의 순도를 높여주게 된다.
또한, 상기 온수세척부(630)에서 재생칩의 세척은 냉수세척부(620)와 동일하게 2차에 걸쳐 온수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고, 온수세척이 완료되면 재생칩은 건조부(710)로 공급된다.
이렇게, 상기 건조부(710)로 이동된 재생칩은 공급부재(712)로 투입되고, 공급부재(712)로 투입된 재생칩은 다시 드럼(714)으로 공급되며, 드럼(714)으로 공급된 재생칩은 온풍에 의해 건조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세척부(630)에서 온수를 이용하여 세척이 이루어진 재생칩은 이 상태로 재생원료의 재생공정을 끝낼 수도 있다.
즉, 상기 분쇄부(510)에서 분쇄된 재생칩이 약 500PPM 미만의 재생칩으로 재생공정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상기 건조부(710)에서 건조된 재생칩을 배출부(810)로 이동시켜 2차 선별을 통하여 200PPM 미만의 재생칩을 생산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건조부(710)에서 건조된 재생칩은 배출부(810)의 공급컨베이어(812)로 공급되고, 공급컨베이어(812)로 공급된 재생칩은 선별통(814)으로 투입되며, 선별통(814)으로 투입된 재생칩은 선별부재(816)를 거쳐 하부로 배출되어 200PPM 이상의 재생칩은 제1이송컨베이어(818)를 통하여 일측으로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되고, 200PPM 미만의 재생칩은 제2이송컨베이어(818)를 통과하여 제1이송컨베이어(820)의 타측부로 이송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즉, 상기 선별부재(816)에서 선별 에어슈팅(미도시)에 의해 약30㎜ 미만의 작은 입자를 선별하는 방식으로 선별하여 선별된 입자별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재생원료는 이러한 작업 공정을 거쳐 재생원료가 분쇄되어 재생칩이 생산되고, 이 재생칩은 세척 및 건조와 분리작업을 통하여 재생칩이 생산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의 재생방법을 보인 블럭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의 재생방법은 압축 수거된 재생원료를 작은 덩어리로 파쇄하여 투입부(110)로 투입하게 된다.(S110)
그리고, 상기 투입부(110)로 투입된 재생원료를 공급받아 1차 덩어리 형상의 재생원료를 제1해체부(210)에서 해체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S120)
이때, 상기 제1해체부(210)로 공급된 재생원료는 통체(212)의 내측에 설치된 해체날개(214a)의 회전력에 의해 재생원료의 덩어리가 해체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해체부(210)에서 1차 해체 작업이 이루어진 후 제1해체부(212)에서 해체되지 않은 재생원료의 덩어리는 제2해체부(310)에서 2차 해체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S130)
이때, 상기 제2해체부(310)는 진동테이블(312)의 진동에 의해 이동되면서 재생원료의 해체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해체부(310)에서 2차 해체 작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3컨베이어(314)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되고, 이때 제3컨베이어(314)의 상부에 설치된 선별부(410)에서 물질 및 색상별로 재생원료가 선별 분리되게 된다(S140)
이때, 상기 선별부(410)에서 선별작업에 의해 약98%-99%의 선별이 이루어지고 약1%-2%의 이물질이 잔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별부(410)에서 선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재생원료는 분쇄부(510)로 공급되어 분쇄가 이루어져 재생칩이 생산되게 된다.(S150)
이때, 상기 분쇄부(510)에서 재생원료를 분쇄할 때 재생원료의 물질 및 색상별로 분쇄하되, 분쇄방식을 재생원료에 따라 습식분쇄와 건식분쇄로 분리하여 분쇄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쇄부(510)에서 분쇄되어 생산된 재생칩은 세척단계로 이동되어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S160)
이때, 상기 세척단계에서 냉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냉수세척 및 온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온수세척부(630)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수세척부(620)는 2차에 걸쳐 냉수에 의해 세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냉수세척시 비중차이에 의해 재생칩에 포함된 이물질이 분리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온수세척부(630)는 냉수세척부(620)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재생칩의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온수세척부(630)는 2차에 걸쳐서 온수를 이용하여 세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온수를 이용하여 재생칩의 세척시 재생칩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함과 동시에 재생칩의 순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세척단계에서 세척이 이루어지고, 세척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재생칩은 건조부(710)의 드럼(714)으로 투입되어 열풍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S170)
따라서, 상기 드럼(714)에서 재생칩의 건조가 완료되게 되면 이 상태로 재생원료의 재생과정을 완료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작업 과정을 거쳐 500PPM 미만의 재생칩이 생산되어 원료의 재생작업을 완료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건조부(710)에서 건조가 이루어진 재생칩은 배출부(810)로 공급되고, 이 배출부(810)의 선별부재(816)에서 200PPM 미만의 재생칩을 선별하게 된다.(S180)
따라서, 상기 선별부재(816)에서 200PPM 미만의 재생칩과 200PPM 이상의 재생칩을 선별 분리 배출시켜 용기(포대) 등에 투입하여 포장하여 재생원료의 재생 공정이 완료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의 재생방법에 의해 재생칩이 생산됨으로써, 환경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부가가치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및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110 : 투입부
112 : 투입부재
114, 218, 314, 414 : 제1,2,3,4컨베이어
210, 310 : 제1,2해체부 212 : 통체
212a : 호퍼 212b : 배출구
214, 530 : 샤프트 216, 534, 627, 637 : 제1,2,3,4모터
220 : 공급컨베이어 312 : 진동테이블
410 : 선별부 412 : 자동선별기
416 : 배출컨베이어 418 : 자력선별기
510 : 분쇄부 512 : 본체
520 : 뚜껑 522 : 투입구
524 : 힌지 526 : 실린더
532 : 분쇄날 540 : 이송부
542 : 이송관 544 : 케이스
546 : 이송구 610 : 세척수단
620 : 냉수세척부 622, 632 : 제1,2세척통
622a, 632a : 투입구 622b, 632b : 배출구
624 : 냉수공급부재 626, 636 : 제1,2교반샤프트
626a, 636a : 교반날개 628, 638 : 제1,2스크루컨베이어
634 : 온수공급부재 710 : 건조부
712 : 공급부재 714 : 드럼
810 : 배출부 812 : 공급컨베이어
812a : 공급호퍼 812b : 배출구
814 : 선별통 816 : 선별부재
818, 820 : 제1,2이송컨베이어

Claims (19)

  1. 압축 수거된 재생원료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압출된 재생원료를 해체하는 제1해체부와,
    상기 제1해체부에서 해체된 재생원료를 공급받아 완전히 해체하는 제2해체부와,
    상기 제2해체부로부터 공급받아 재생원료를 물질 및 색상별로 선별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재생원료를 분쇄하여 재생칩을 생산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에서 생산된 재생칩을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재생칩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재생칩을 배출하는 배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해체부는 재생원료가 투입되는 호퍼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통체와,
    상기 통체의 내측에 다수개의 해체날개가 설치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통체의 하부에는 제2해체부로 1차 해체된 재생원료를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상부로 재생원료가 투입되는 투입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투입부재의 내측에 일측부가 위치되어 재생원료를 제1해체부로 공급하는 제1컨베이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해체부는 선별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진동테이블이 구비되고,
    상기 진동테이블의 하단부에 일측부가 위치된 제3컨베이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5. 압축 수거된 재생원료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압출된 재생원료를 해체하는 제1해체부와,
    상기 제1해체부에서 해체된 재생원료를 공급받아 완전히 해체하는 제2해체부와,
    상기 제2해체부로부터 공급받아 재생원료를 물질 및 색상별로 선별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재생원료를 분쇄하여 재생칩을 생산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에서 생산된 재생칩을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재생칩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재생칩을 배출하는 배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선별부는 제2해체부의 제3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자동선별기와,
    상기 제3컨베이어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4컨베이어와,
    상기 제2,3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컨베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컨베이어의 상부에는 자력선별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7. 압축 수거된 재생원료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압출된 재생원료를 해체하는 제1해체부와,
    상기 제1해체부에서 해체된 재생원료를 공급받아 완전히 해체하는 제2해체부와,
    상기 제2해체부로부터 공급받아 재생원료를 물질 및 색상별로 선별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재생원료를 분쇄하여 재생칩을 생산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에서 생산된 재생칩을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재생칩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재생칩을 배출하는 배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쇄부는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되, 일측에 투입구가 형성된 뚜껑과,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되, 분쇄날이 구비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를 구동시키는 제2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본체에 힌지 고정되고, 이 뚜껑을 개폐시키는 실린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서 분쇄되어 생산된 재생칩을 세척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본체에 내측과 연통되게 이송관이 구비되고, 본체에 고정된 이송관의 타측부에는 케이스가 구비되며, 이 케이스에는 세척부로 재생칩을 이송시키는 이송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은 재생칩을 냉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냉수세척부와,
    상기 냉수세척부에서 냉수세척된 재생칩을 온수세척하는 온수세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세척부 및 온수세척부는 각각 한 쌍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세척부는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제1세척통과,
    상기 제1세척통의 내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다수개의 교반날개가 형성된 제1교반샤프트와,
    상기 제1세척통의 상부 외측에는 제1교반샤프트를 동작시키는 제3모터와,
    상기 제1세척통의 배출구와 연통되게 설치된 제1스크루컨베이어와,
    상기 제1세척통으로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공급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세척부는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제2세척통과,
    상기 제2세척통의 내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다수개의 교반날개가 형성된 제2교반샤프트와,
    상기 제2세척통의 상부 외측에는 제2교반샤프트를 동작시키는 제4모터와,
    상기 제2세척통의 배출구와 연통되게 설치된 제2스크루컨베이어와,
    상기 제2세척통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15. 압축 수거된 재생원료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압출된 재생원료를 해체하는 제1해체부와,
    상기 제1해체부에서 해체된 재생원료를 공급받아 완전히 해체하는 제2해체부와,
    상기 제2해체부로부터 공급받아 재생원료를 물질 및 색상별로 선별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재생원료를 분쇄하여 재생칩을 생산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에서 생산된 재생칩을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재생칩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재생칩을 배출하는 배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건조부는 세척수단의 온수세척부에 구비된 스크루컨베이어로부터 재생칩을 공급받는 공급부재와,
    상기 공급부재로 공급된 재생칩을 공급받아 재생칩을 건조시키는 드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16. 압축 수거된 재생원료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로 투입된 압출된 재생원료를 해체하는 제1해체부와,
    상기 제1해체부에서 해체된 재생원료를 공급받아 완전히 해체하는 제2해체부와,
    상기 제2해체부로부터 공급받아 재생원료를 물질 및 색상별로 선별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재생원료를 분쇄하여 재생칩을 생산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에서 생산된 재생칩을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재생칩을 건조시키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재생칩을 배출하는 배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부는 상부에 공급호퍼가 구비된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공급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되,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선별통과,
    상기 선별통의 하부에 설치되는 선별부재와,
    상기 선별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선별된 재생칩을 이송시키는 제1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이송컨베이어를 통과한 재생칩을 이송시키는 제2이송컨베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20110066001A 2011-07-04 2011-07-04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KR101086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6001A KR101086695B1 (ko) 2011-07-04 2011-07-04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6001A KR101086695B1 (ko) 2011-07-04 2011-07-04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695B1 true KR101086695B1 (ko) 2011-11-24

Family

ID=4539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66001A KR101086695B1 (ko) 2011-07-04 2011-07-04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6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258B1 (ko) 2012-02-14 2012-12-06 임성진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KR101436136B1 (ko) * 2012-08-22 2014-09-04 신해산업 (주) 압축물 해체장치
KR101865528B1 (ko) * 2018-01-22 2018-06-07 임동옥 폐양식 플라스틱기자재의 재활용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제조방법
KR102483757B1 (ko) * 2021-08-04 2023-01-03 (주)에코플러스이앤씨 단일 프로세스로 진행되는 재생 페트 원료화 방법
KR20230112763A (ko) * 2022-01-20 2023-07-28 주식회사 엔제이산업 폐pet필름 분류 및 재생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588B1 (ko) 2006-05-30 2007-03-20 (주)썬프라자 폐비닐 재생장치
KR100895529B1 (ko) * 2008-08-08 2009-04-30 박용익 페트병 재생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588B1 (ko) 2006-05-30 2007-03-20 (주)썬프라자 폐비닐 재생장치
KR100895529B1 (ko) * 2008-08-08 2009-04-30 박용익 페트병 재생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258B1 (ko) 2012-02-14 2012-12-06 임성진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KR101436136B1 (ko) * 2012-08-22 2014-09-04 신해산업 (주) 압축물 해체장치
KR101865528B1 (ko) * 2018-01-22 2018-06-07 임동옥 폐양식 플라스틱기자재의 재활용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플라스틱 원료 제조방법
KR102483757B1 (ko) * 2021-08-04 2023-01-03 (주)에코플러스이앤씨 단일 프로세스로 진행되는 재생 페트 원료화 방법
KR20230112763A (ko) * 2022-01-20 2023-07-28 주식회사 엔제이산업 폐pet필름 분류 및 재생장치
KR102592137B1 (ko) * 2022-01-20 2023-10-27 주식회사 엔제이산업 폐pet필름 분류 및 재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695B1 (ko)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JP5058203B2 (ja) 農業用プラスチック製品の分別再生プラント
US201402996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Fiber and Plastics in Municipal Solid Waste
KR102182215B1 (ko) 파쇄된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CN106564137B (zh) 一种塑料材质分选装置
KR20100122399A (ko) 건식 폐유리 분리 스크린 장치
JP3676187B2 (ja) ペットボトル再生処理方法およびペットボトル再生処理設備
KR101660799B1 (ko) 페트병 재활용을 위한 페트병 분쇄물 분리처리장치
JP2005111736A (ja) プラスチック廃棄物の分別洗浄装置
CN211191388U (zh) 一种医疗玻璃全自动破碎系统
KR100729956B1 (ko) 음식쓰레기 일괄 처리장치
KR100553024B1 (ko) 폐토사를 이용한 잔골재 제조장치
KR100722569B1 (ko)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JP2001026016A (ja) ペットボトルのリサイクル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209258B1 (ko) 재생원료의 재생장치
CN208146369U (zh) 双轴生物质分离机
KR100533616B1 (ko) 골재 선별 세척장치
KR102160806B1 (ko)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JP5127761B2 (ja) 廃棄物処理設備
KR100904303B1 (ko)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CN210116080U (zh) 一种废旧塑料回收处理流水线
CN210850946U (zh) 片状类环保再生聚乙烯塑料杂质去除系统
KR101266766B1 (ko) 송편 반죽기
JP2001286856A (ja) 生ゴミ選別方法及びその選別装置
KR101814348B1 (ko) 재생용 합성수지 스크랩 건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