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739B1 -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739B1
KR101085739B1 KR1020090040388A KR20090040388A KR101085739B1 KR 101085739 B1 KR101085739 B1 KR 101085739B1 KR 1020090040388 A KR1020090040388 A KR 1020090040388A KR 20090040388 A KR20090040388 A KR 20090040388A KR 101085739 B1 KR101085739 B1 KR 101085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guide
clamp
roller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300A (ko
Inventor
이형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지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지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지정밀
Priority to KR1020090040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73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1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26Clamps, constituted by articulated chain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283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in combination with conv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하고자 하는 건조물을 클램핑하여 건조실로 공급하고 건조완료된 상태에서 배출하는 동작을 순환하면서 건조실의 상,하측에 구비되는 히터의 열원을 저항이나 방해 없이 고르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면서 건조과정에서 건조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에 입구와 출구를 가지고 구비되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의 상,하측에 구비되어 원적외선을 방사 하면서 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가열하고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수단과; 상기 건조수단이 건조물과 최적의 거리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승강기와; 건조에 사용된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통상적인 배기수단을 구비되는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에 적용되어 건조물을 건조실로 공급 배출하는 순환동작을 수행하는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체인기어와 체인기어 사이를 연결한 체인에 고정되어 건조실을 순환하면서 건조물을 클램핑 언클램핑하는 클램프와; 상기 건조실의 입구와 출구에 설치되어 클램프가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는 클램프가이드로 구성한다.
Figure R1020090040388
원적외선, 히터, 건조, 이송장치

Description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TRANSFER DEVICE FOR DRYING SYSTEM}
본 발명은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적외선 열풍가열 건조시스템에 적용하여 건조하고자 하는 건조물을 건조시스템으로 공급하고 배출하는 동작을 지속적으로 순환하도록 한 개선된 이송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적외선 건조기를 사용하는 분야는 공업제품의 도장건조, 도자기 성형품 건조, 전자부품의 건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에너지가 대폭 절감되며, 건조시간이 단축되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 경제적인 건조기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건조물의 건조를 위한 통상적인 건조시스템을 도 1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100)은, 저면에 바퀴(101)를 가지는 프레임(102)에 입구(103)와 출구(104)를 가지는 건조실(105)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실(105)에는 구동수단(106)에 의하여 회전하는 이송장치(110)가 순환하도록 설치한 다.
상기 건조실(105)을 순환하는 이송장치(110)의 상,하측에 구비되어 원적외선을 방사 하면서 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가열하고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수단(107)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수단(107)이 건조물과 최적의 거리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승강기(108)와, 건조에 사용된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통상적인 배기수단(109)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건조시스템에 적용되는 종래 기술의 이송장치(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건조시스템의 건조실을 경유하면서 순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데, 도 9의 (A)와 같이 체인기어(2)와 체인기어(3)를 연결하는 체인(4) 위에 건조물(5)을 안치하여 이송하는 타입과, 도 9의 (B)와 같이 가이드로울러(6)와 가이드로울러(7) 사이에 메쉬타입의 밸트(8)를 연결하는 타입으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이송장치 중 체인타입의 경우에는 히터의 열원을 상,하측에서 고르게 전달받을 수 있으나 건조물을 잡아주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건조물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건조물이 정상루트를 벗어나 분실될 우려가 높아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밸트타입의 이송장치는 건조물을 안정된 상태로 건조실로 공급하고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건조물의 상측은 히터의 열원을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건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나 밸트에 안착되어 있는 건조물의 저면은 하측에 구비되는 히터로부터 열원을 용이하게 전달받지 못하므로 건조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물론, 밸트가 메쉬타입일 경우에는 하측에 구비되는 히터로부터 열원을 전닫받는 것은 가능하나 상측과는 상당한 편차를 가지게 되고, 특히 메쉬가 건조물의 하방을 가리는 형태가 되므로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에 의하여 건조물의 표면에 밸트 자국이 남아 제품이 불량처리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프레임에 입구와 출구를 가지고 구비되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의 상,하측에 구비되어 원적외선을 방사 하면서 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가열하고 열풍을 공 급하는 건조수단과; 상기 건조수단이 건조물과 최적의 거리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승강기와; 건조에 사용된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통상적인 배기수단을 구비되는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에 적용되어 건조물을 건조실로 공급 배출하는 순환동작을 수행하는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구동수단에 의하여 체인기어와 체인기어 사이를 연결한 체인에 고정되어 건조실을 순환하면서 건조물을 클램핑 언클램핑하는 클램프와; 상기 건조실의 입구와 출구에 설치되어 클램프가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는 클램프가이드로 구성하여, 건조하고자 하는 건조물을 클램핑하여 건조실로 공급하고 건조완료된 상태에서 배출하는 동작을 순환하면서 건조실의 상,하측에 구비되는 히터의 열원을 저항이나 방해 없이 고르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면서 건조과정에서 건조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건조하고자 하는 건조물을 클램핑하여 건조실로 공급하고 건조완료된 상태에서 배출하는 동작을 순환하면서 건조실의 상,하측에 구비되는 히터의 열원을 저항이나 방해 없이 고르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면서 건조과정에서 건조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송장치를 제공하여 건조물의 건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을 도시한 간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의 클램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의 클램프가이드를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의 해제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에 의한 건조물의 긴장유지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100)은, 저면에 바퀴(101)를 가지는 프레임(102)에 입구(103)와 출구(104)를 가지는 건조실(105)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실(105)에는 구동수단(106)에 의하여 순환하는 이송장치(110)가 설치된다.
상기 건조실(105)을 순환하는 이송장치(110)의 상,하측에 구비되어 원적외선을 방사 하면서 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가열하고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수단(107)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수단(107)이 건조물과 최적의 거리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승강기(108)와, 건조에 사용된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통상적인 배기수단(109)을 구비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이송장치(110)는 구동수단(106)에 의하여 체인기 어(111)와 체인기어(112) 사이를 연결한 체인(113)에 고정되어 건조실(105)을 순환하면서 건조물을 클램핑 언클램핑하는 클램프(115)와 상기 건조실(105)의 입구와 출구에 설치되어 클램프(115)가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는 클램프가이드(116)로 구성한다.
상기 클램프(115)는 체인(113)에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117)과 볼트, 리벳 등과 같은 통상적인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단면이 개략 ∪형상의 베이스(118)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118)의 외측(도 2에서 보았을 때 건조물이 클램핑 되는 반대방향) 단부에는 하향 절곡시켜 일체로 형성되는 로어브라켓(119)을 구비하고 상기 로어브라켓(119)에는 로울러(또는 베어링; 120)를 장착하여 클램프(115)가 건조실(105)로 출입할 때 클램프가이드(116)에 의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118)에는 내측(도 2에서 보았을 때 건조물이 클램핑 되는 방향)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자유로운 슬라이더(121)를 안착시키고, 상기 슬라이더(121)는 유지핀(122)을 이용하여 베이스(118)와 연결하여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유지핀(122)이 결합 되는 베이스(118)의 핀공(123)은 장공 형태로 형성하여 슬라이더(121)의 움직임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더(121)의 외측(건조물이 클램핑되는 반대 방향) 단부에는 상향 되게 일체로 형성되는 어퍼브라켓(124)에 푸싱로울러(125)를 장착하여 클램프가이드(116)에 의하여 슬라이더(121)를 내측 방향(건조물이 클램핑되는 방향)으로 밀어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118)와 슬라이더(121)을 연결하는 유지핀(122) 사이에는 인장스프링(126)을 연결하여 내측으로 이동한 슬라이더(121)가 클램프가이드(116)을 벗어 나면서 외측 방향으로 복귀시켜 클램핑 한 건조물을 긴장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더(121)의 전방에는 건조물을 잡고 건조실(105)로 공급하기 위한 집게(127)를 구비하고, 상기 집게(127)는 슬라이더(121)의 내측 단부에 고정되는 패드타입의 하부집게(128)와 상기 하부집게(128)의 상측에서 가압 및 해제를 통하여 건조물의 잡고 놓는 동작을 수행하는 상부집게(129)로 구성한다.
상기 상부집게(129)는 슬라이더(121)와 힌지핀(130)으로 고정되어 움직임이 자유롭게 집게바디(131)를 구비하고, 상기 집게바디(131)의 내측(건조물이 클램핑되는 방향)에는 하부집게(128)와 연접하면서 건조물을 잡을 수 있도록 하향 돌출되는 형태의 가압돌기(132)를 형성한다.
상기 집게바디(131)의 중앙부에는 슬로트(133)를 형성하여 외측부(134, 건조물이 클램핑되는 반대방향)가 슬라이더(121)와 핀으로 연결된 집게레버(135)의 중간부(136)와 핀으로 연결하고, 상기 외측부(134)와 중간부(136) 사이에는 집게레버(135)의 절도있는 작동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압축스프링(137)을 개재한다.
상기 집게레버(135)의 상부(138)는 슬라이더(121)의 중간부와 힌지핀(138)으로 연결되어 슬라이더(121)의 상측에 위치하는 힌지레버(140)의 내측부와 연결하고, 상기 힌지레버(140)의 외측부에는 로울러(141)를 장착하여 클램프가이드(116)에 의하여 상향 또는 하향 되면서 집게레버(135)를 통하여 상부집게(129)를 눌러서 개방하고 당겨서 오므리도록 구성한다.
상기 클램프가이드(116)는 건조실(105)의 입구(103) 양측 프레임(102)에 설 치되어 클램프(115)를 클램핑시켜 건조물을 잡도록 하는 입구가이드(150)와 출구(104) 양측 프레임(102)에 설치되어 건조되어 배출되는 건조물을 이탈시킬 수 있도록 건조물을 언클램핑시키는 출구가이드(151)로 구성한다.
상기 입구가이드(150)는 프레임(102)에 고정되는 입구브라켓(152)의 후방(건조물이 진입하는 입구방향)에 클램프(115)의 베이스(118) 외측에 구비되는 로울러(120)가 활주하면서 클램프(115)가 유동하는 등의 현상 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지가이드(153)를 고정한다.
상기 유지가이드(153)는 로울러(120)가 활주할 수 있는 로울러홈(154)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로울러홈(154)의 입구에는 로울러(120)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상,하측으로 벌어진 형태의 진입가이드(155)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입구브라켓(152)의 상면에 고정되는 보조플레이트(156)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푸싱플레이트(157)를 고정하여 클램프(115)의 슬라이더(121)에 구비되는 푸싱로울러(125)를 내측 방향으로 밀어 건조물을 이완된 상태에서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푸싱플레이트(157)의 상측에는 입구브라켓(152)에 세워지는 수직브라켓(158)의 내측면(건조물이 클램핑되는 방향)에 힌지레버(140)의 내측 부위를 상승시켜 집게(127)로 하여금 건조물을 클램핑하도록 하는 클램핑가이드(160)를 고정한다.
상기 클램핑가이드(160)의 저면에는 힌지레버(140)의 외측에 구비되는 로울러(141)를 하향시킬 수 있도록 하향경사면(161)을 형성하고, 상기 하향경사면(161)의 하측에는 클램핑가이드(161)와 일체로 로울로(141)의 하측 부위를 안정된 상태 로 받쳐주어 충격을 예방할 수 있도록 보조가이드(162)를 형성한다.
상기 출구가이드(151)는 프레임(102)에 고정되는 출구브라켓(170)의 전방(건조물이 배출되는 방향)에 베이스(118)에 구비되는 로울러(120)가 활주하면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활주홈(171)을 가지는 유지가이드(172)를 고정한다.
상기 출구브라켓(170)에 세워지는 수직브라켓(173)의 내측면(건조물이 클램핑되는 방향)에 힌지레버(140)의 내측 부위를 하강시켜 집게(127)로 하여금 건조물을 언클램핑하도록 하는 언클램핑가이드(175)를 고정하고, 상기 언클램핑가이드(175)의 상면에는 힌지레버(140)의 외측에 구비되는 로울러(141)를 상향시킬 수 있도록 상향경사면(176)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110)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체인(113)에 의하여 순환하는 클램프(115)는 건조실(105)의 입구(103)에서는 집게(127)가 개방된 상태로 진입하게 되고, 입구(103) 양측에 설치된 클램프가이드(116) 중 입구가이드(150)에 의하여 건조시스템(100)의 전방에서 도시하지 않은 공급기에 의하여 공급되어 집게(127)를 구성하는 하부집게(128)에 안치된 건조물을 상부집게(129)가 눌러서 잡고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여 건조실(105)로 공급된다.
상기 건조실(105)에서 건조수단(10)에 의하여 건조시킨 후 출구(104) 양측에 설치되는 출구가이드(151)에 의하여 상부집게(129)가 개방됨으로서 건조물은 도시하지 않은 배출기에 의하여 배출되고 클램프(115)는 상기 동작을 반복할 수 있도록 순환하게 된다.
이를 살펴보면, 건조실(105)의 입구(103)로 클램프(115)가 개방된 상태로 순환되면 건조물이 공급되어 하부집게(128) 위에 안치되고 클램프(115)의 계속된 순환으로 클램프가이드(116)를 구성하는 입구가이드(150)에 의하여 상부집게(129)가 하부집게(128)와 연접되면서 건조물을 클램핑하고, 건조물을 클램핑할 때에는 집게(127)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한 후 클램핑 완료된 후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건조물을 긴장된 상태로 유지하여 건조실(105)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115)가 클램프가이드(116)에 의하여 건조물을 클램핑하는 것을 살펴보면, 체인(113)에 고정된 베이스(118)의 외측 방향에 구비되는 로어브라켓(119)에 장착된 로울러(120)는 입구가이드(150)를 구성하는 입구브라켓(152)의 내측면에 장착된 유지가이드(153)에 형성되는 로울러홈(154)으로 진입하여 클램프(115) 전체가 유동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유지가이드(153)의 상측에 구비되는 푸싱플레이트(157)를 따라 베이스(118)의 상면에 결합되는 슬라이더(121)의 외측에 구비되는 푸싱로울러(125)가 연접되면서 슬라이더(121)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가 된다.
이는 푸싱플레이트(157)가 푸싱로울러(125)의 외측면보다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고, 슬라이더(121)는 베이스(118)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유지핀(122)을 결합하는 핀공(123)이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능하게 된다.
동시에 슬라이더(121)의 상측에 구비되는 힌지레버(140)의 외측에 구비되는 로울러(141)는 푸싱플레이트(157)의 상측에 구비되는 클램핑가이드(160)에 의하여 로울러(141)를 하향시키고, 힌지레버(140)는 슬라이더(121)와 연결된 힌지핀(138) 을 중심으로 외측은 하향 내측은 상향 되는 형태가 된다.
상기 힌지레버(140)의 내측 부위가 상향 됨으로서 힌지레버(140)와 슬라이더(121) 및 집게(127)와 연결된 집게레버(135)가 당겨지게 되고, 상기 집게레버(135)와 후미가 연결되고 중간부위가 슬라이더(121)와 힌지핀(130) 결합 된 상부집게(129)의 집게바디(131)는 선측에 형성되는 가압돌기(132)가 하부집게(128) 방향으로 하향 됨으로서 건조물을 클램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힌지레버(140)의 내측 부위가 상향 된 상태에서는 집게레버(135)에 개재된 압축스프링(137)이 집게레버(135)가 상향 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밀어주게 된다.
상기 힌지레버(140)의 외측에 구비되는 로울러(141)가 클램핑가이드(160)에 의하여 하향될 수 있는 것은, 클램핑가이드(160)의 입구에 로울러(141)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향경사면(161)을 형성하고 있고, 하향 되는 과정에서 로울러(141)가 충격받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보조가이드(162)를 더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건조물을 클램핑할 상태에서 클램프(115)가 입구가이드(150)을 벗어날즈음에는 최종적으로 슬라이더(121)의 외측에 장착된 푸싱로울러(125)가 푸싱플레이트(157)를 벗어나게 되면, 슬라이더(121)와 베이스(118)를 연결하는 유지핀(122) 사이에 연결된 인장스프링(126)이 인장 되었던 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면서 슬라이더(121)를 본래의 위치로 당겨주게 되므로 내측으로 향하여 건조물을 이완된 상태로 잡고 있던 클램프(115)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건조물을 긴장된 상 태로 잡고 있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클램프(115)에 클램핑된 상태에서 건조실(105)을 경유하면서 건조물을 건조되고 출구(104)에 구비되는 클램프가이드(116)의 출구가이드(151)에 의하여 언클램핑 상태로 전환되어 건조된 건조물을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건조완료된 건조물을 이탈시키기 위한 클램프(115)의 언클램핑 과정을 살펴보면,
클램프(115)의 베이스(118) 외측에 구비되는 로울러(120)는 출구가이드(151)의 출구브라켓(170)에 고정되는 유지가이드(172)의 활주홈(171)을 따라 활주하면서 유동등의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121)의 상부에 구비되는 힌지레버(140)에 구비되는 로울러(141)는 출구가이드(151)의 수직브라켓(173)에 고정되는 언클램핑가이드(175) 위를 활주함으로서 힌지레버(140)의 외측 부위가 상향 된 상태가 되고, 힌지레버(140)의 내측은 하향 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힌지레버(140)의 내측 부위가 집게레버(135)를 누르고 상기 집게레버(135)는 상부집게(129)의 집게바디(131)의 후미를 눌러 집게바디(131)의 선측에 위치한 가압돌기(132)가 상향 되도록 함으로서 클램핑하고 있던 건조물을 언클램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체인에 의하여 건조실을 순환하는 클램프를 건조실의 입구와 출구에 설치되는 클램프가이드에 의하여 건조물을 클램핑하고 언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건조물의 가장자리를 클램핑하여 건조실의 상,하측에서 발생 하는 건조열기을 건조물이 고르게 전달받아 건조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건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을 도시한 간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의 클램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의 클램프가이드를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의 해제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에 의한 건조물의 긴장유지상태도.
도 9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건조시스템
110; 이송장치
115; 클램프
116; 클램프가이드

Claims (4)

  1. 프레임(102)에 입구(103)와 출구(104)를 가지고 구비되는 건조실(105)과;
    상기 건조실(105)의 상,하측에 구비되어 원적외선을 방사 하면서 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도록 가열하고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수단(107)과;
    상기 건조수단(107)이 건조물과 최적의 거리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승강기(108)와;
    건조에 사용된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통상적인 배기수단(109)을 구비되는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100)에 적용되어 건조물을 건조실로 공급 배출하는 순환동작을 수행하는 이송장치(110)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110)는 구동수단(106)에 의하여 체인기어(111)와 체인기어(112) 사이를 연결한 체인(113)에 고정되어 건조실(105)을 순환하면서 건조물을 클램핑 언클램핑하는 클램프(115)와;
    상기 건조실(105)의 입구와 출구에 설치되어 클램프(115)가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할 수 있도록 하는 클램프가이드(116)로 구성하고;
    상기 클램프(115)는 체인(113)에 형성되는 브라켓(117)에 고정되고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시 클램프가이드(116)에 의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외측에 로울러(120)를 장착하여 구비되는 베이스(118)와;
    상기 베이스(118)의 상면에는 내,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핀(122)으로 연결하는 슬라이더(121)와;
    상기 슬라이더(121)의 외측에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을 위하여 푸싱로울러(125)를 장착하고, 복귀를 위하여 유지핀(122)에 장착하는 인장스프링(126)과;
    상기 슬라이더(121)의 상측 중앙에 힌지 결합되어 외측에 장착되는 로울러(141)에 의하여 내,외측이 승,하강하는 힌지레버(140)와;
    상기 슬라이더(121)와 힌지레버(140)의 내측에 구비되어 건조물을 클램핑 언클램핑하는 집게(127)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가이드(116)는 건조실(105)의 입구(103) 양측 프레임(102)에 설치되어 클램프(115)를 클램핑하는 입구가이드(150)와;
    상기 건조실(105)의 출구(104) 양측 프레임(102)에 설치되어 건조되어 배출되는 건조물을 언클램핑하는 출구가이드(151)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127)는 슬라이더(121)의 내측 단부에 고정되는 하부집게(128)와;
    상기 하부집게(128)의 상측에서 가압 및 해제를 통하여 건조물을 잡고 놓는 상부집게(129)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집게(129)는 슬라이더(121)와 힌지핀(130)으로 고정되는 집게바디(131)와;
    상기 집게바디(131)의 내측에 하부집게(128)와 협조하여 건조물을 잡도록 형성하는 가압돌기(132)와;
    상기 집게바디(131)의 중앙부에 형성하는 슬로트(133)와 슬라이더(121) 및 힌지레버(140)를 연결하여 힌지레버(140)의 당기고 누름에 의하여 상부집게(129)를 클램핑 언클램핑시키는 집게레버(135)와;
    상기 슬라이더(121)와 집게레버(135) 사이에 개재하여 집게레버(135)가 절도있게 작동하도록 하는 압축스프링(1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가이드(150)는 프레임(102)에 고정되는 입구브라켓(152)의 후방에 베이스(118)의 로울러(120)가 유동없이 활주하도록 로울러홈(154)을 형성하여 고정되는 유지가이드(153)와;
    상기 입구브라켓(152)의 상면에 고정되는 보조플레이트(156)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하여 슬라이더(121)의 푸싱로울러(125)가 연접되어 슬라이더(121)를 내측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하는 푸싱플레이트(157)와;
    상기 입구브라켓(152)에 세워지는 수직브라켓(158)의 내측면에 힌지레버(140)의 내측 부위를 상승시켜 집게(127)로 하여금 건조물을 클램핑하도록 고정하는 클램핑가이드(160)로 구성하고;
    상기 로울러홈(154)의 입구에 로울러(120)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상,하측으로 벌어지게 형성하는 진입가이드(155)와;
    상기 클램핑가이드(160)의 저면에는 힌지레버(140)의 외측에 구비되는 로울러(141)를 하향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하향경사면(161)과;
    상기 하향경사면(161)의 하측에 형성하여 로울로(141)의 하측 부위를 안정된 상태로 받쳐주는 보조가이드(1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가이드(151)는 프레임(102)에 고정되는 출구브라켓(170)의 전방에 베이스(118)에 구비되는 로울러(120)가 활주하도록 활주홈(171)을 가지고 고정되는 유지가이드(172)와;
    상기 출구브라켓(170)에 세워지는 수직브라켓(173)의 내측면에 힌지레버(140)의 내측 부위를 하강시켜 집게(127)로 하여금 건조물을 언클램핑하도록 고정하는 언클램핑가이드(175)와;
    상기 언클램핑가이드(175)의 상면에는 힌지레버(140)의 외측에 구비되는 로울러(141)를 상향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상향경사면(17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
KR1020090040388A 2009-05-08 2009-05-08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 KR101085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388A KR101085739B1 (ko) 2009-05-08 2009-05-08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388A KR101085739B1 (ko) 2009-05-08 2009-05-08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300A KR20100121300A (ko) 2010-11-17
KR101085739B1 true KR101085739B1 (ko) 2011-11-21

Family

ID=4340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388A KR101085739B1 (ko) 2009-05-08 2009-05-08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6649A (zh) * 2015-03-23 2015-06-10 山东理工大学 翻转落料红外玉米穗干燥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666B1 (ko) * 2020-06-17 2020-11-18 김기중 유도가열방식을 이용한 분체도장 건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5937A (ja) 1999-08-19 2000-03-28 Furness:Kk 乾燥機の搬送用爪
JP2005343586A (ja) 2004-05-31 2005-12-15 Sony Corp プリント配線板等の薬液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5937A (ja) 1999-08-19 2000-03-28 Furness:Kk 乾燥機の搬送用爪
JP2005343586A (ja) 2004-05-31 2005-12-15 Sony Corp プリント配線板等の薬液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6649A (zh) * 2015-03-23 2015-06-10 山东理工大学 翻转落料红外玉米穗干燥机
CN104686649B (zh) * 2015-03-23 2017-08-25 山东理工大学 翻转落料红外玉米穗干燥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300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5137B2 (ja) 横型ホットプレス
CZ370297A3 (cs) Způsob a zařízení k vytvrzování skleněných tabulí
KR101085739B1 (ko) 원적외선 열풍순환 건조시스템용 이송장치
KR101664793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KR102297154B1 (ko) 배관 클램프 자동 열간 성형장치
KR101554484B1 (ko) 곡면부를 갖는 글라스 성형기의 금형 이송장치
KR102158462B1 (ko) 스크린 인쇄기용 건조시스템
KR20230085537A (ko) 자동차 브레이크패드용 백플레이트 열풍 세척장치
GB2345528A (en) Annealing furnace and method of use
US9651303B2 (en) Curing oven for printed substratees
KR101042938B1 (ko) 써마가드 코팅용 근적외선 건조기
KR101974788B1 (ko) 번인 테스트 장치
ITUD20070200A1 (it) Apparecchiatura per l'essiccazione di elementi a piastra per l'elettronica ed assimilabili e relativo procedimento
KR100772765B1 (ko) 날염 직물지의 자동화 건조장치
JP6608855B2 (ja) 被処理板材の多段搬送方法及び多段搬送装置
CN215572026U (zh) 一种烘烤设备
TWM526829U (zh) 鞋面吸塑成型機的加熱裝置
KR101179024B1 (ko) 건조기 가열장치의 적외선 조사량 자동 조정장치
CN209061519U (zh) 一种五金产品上漆烘干装置
KR200292667Y1 (ko) 내화성 패널 가공 장치
CN209910295U (zh) 一种涤纶纱线的烘干设备
CN216620583U (zh) 一种薄页纸生产用高效干燥设备
CN217094174U (zh) 点胶刻印一体机
KR20150046843A (ko) 곡면부를 갖는 글라스 성형기의 예열장치
CN214842372U (zh) 一种布料传送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