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793B1 -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793B1
KR101664793B1 KR1020160043947A KR20160043947A KR101664793B1 KR 101664793 B1 KR101664793 B1 KR 101664793B1 KR 1020160043947 A KR1020160043947 A KR 1020160043947A KR 20160043947 A KR20160043947 A KR 20160043947A KR 101664793 B1 KR101664793 B1 KR 101664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oupled
substrate
longitudinal direction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흠
Original Assignee
박인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흠 filed Critical 박인흠
Priority to KR1020160043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29C2043/3405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using carry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는 기재 예열장치와, 원단 예열장치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비 투자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공장부지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원단 및 기재 특성에 맞추어 예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가열히터의 보수 유지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TERIOR TRIM OF VEHICLE}
본 발명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다양한 종류의 내장재가 설치된다. 예를 들어 실내측 루프 패널 내측에 장착되는 헤드라이너가 있다. 상기 헤드라이너는 차량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고, 방음 및 방청 기능을 한다. 상기 헤드라이너는 골격이 되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표면에 결합되는 표피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헤드라이너를 제조하는 제조장치는 기재 이송 장치, 기재 예열 장치, 표피재 예열 장치, 기재 성형장치, 표피재 성형장치 등을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기재와 표피재의 성형장치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기재 성형장치에서 기재를 성형하고, 성형된 기재에 표피재를 추가 성형하였다. 이러한 공정은 작업공정의 증가를 수반한다. 또한 표피재의 추가 성형시에는 기재의 예열이 다시 요구되는 바, 기재의 예열, 및 재예열에 따른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작업공정의 증가는 제품의 단가 상승의 큰 요인으로 작용하여, 제조업체에는 경제적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최근 제품 단가를 낮추기 위한 공정 개선 내지 제조장치 개선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0362005호에서는 열가소성 기재의 투입장치와, 정렬장치, 기재 예열장치 및 PVC폼과 같은 표피재를 예열하는 표피재 예열장치와, 기재 예열장치와 표피재 예열장치로 예열된 기재와 표피재를 동시에 압축 성형하는 성형장치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기재와 표피재를 예열하기 위한 예열장치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는 바, 설비 투자비가 증가되고, 공장부지의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0362005호 (2001.02.05 공개)
본 발명은 헤드라이너의 골격이 되는 기재와, 기재의 표면에 결합되는 원단을 동시에 공급하여 예열한 후 압축 성형하여 자동차 내장재를 제조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재 예열장치와, 원단 예열장치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비 투자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공장부지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양한 원단 및 기재 특성에 맞추어 예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가열히터의 보수 유지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측면 소정 위치에 폭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몸체부; 상기 가이드레일 각각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상기 몸체부의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이동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나란하게 위치되고, 하부 소정 위치가 상기 한 쌍의 이동체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 상기 수평프레임부 각각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원단이송부; 상기 수평프레임부 각각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는 기재이송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가열로 및 제2 가열로와,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가열로와 제2 가열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가열히터 - 상기 상부 가열히터는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복수의 가열히터유닛이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됨 - 와,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가열로와 제2 가열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가열히터 - 상기 하부 가열히터는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복수의 가열히터유닛이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됨 - 와, 상기 하부 가열히터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제1 이동대차와, 상기 복수의 가열히터유닛을 개별적으로 조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원단 또는 기재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복수의 가열히터유닛 중 일부만 구동되어 상기 원단 또는 기재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상이한 예열 정도를 제공하는 예열부; 상기 예열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예열부에서 예열된 원단과 기재를 압축 성형하는 압축성형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된 메인프레임의 높이방향 소정 위치에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으로 양단이 연장되게 형성된 보조프레임의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원단이송부에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된 메인프레임의 높이방향 소정 위치에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으로 양단이 연장되게 형성된 보조프레임의 타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기재이송부에 기재를 공급하는 기재공급부;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의 상부 공간에 놓여지며 하부에는 상기 상부 가열히터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몸체에 상기 지지대의 반대 방향으로 결합되는 컨트롤 박스와, 상기 몸체 및 컨트롤 박스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부로 이루어지는 제2 이동대차; 상기 압축성형부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압축성형부를 거쳐 성형된 차량용 내장재의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부착시키는 EVA 부착장치; 및 상기 EVA 부착장치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EVA 부착장치를 거친 차량용 내장재의 기 설정된 부위에 대해 패드접착제를 도포하는 패드접착제 도포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원단이송부는,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 각각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회전축에 구비된 한 쌍의 스프로킷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체인벨트와,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상부면에 위치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체인벨트 각각의 소정 위치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한 쌍의 걸림구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결합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개의 클램프와,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 내부 소정 위치에 마련된 원단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이송부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 각각의 일측 소정 위치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서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 소정위치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한 쌍의 제1 스프로킷과,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 각각의 타측 소정위치에 결합된 한 쌍의 제2 스프로킷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체인벨트와, 상기 한 쌍의 체인벨트 각각의 일측면에 상기 한 쌍의 체인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된 지지브라켓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는, 첫째 기재와 원단을 동시에 공급하여 예열한 후 압축 성형하여 차량용 내장재(예컨대 헤드라이너)를 제조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기재 예열장치와 원단 예열장치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비 투자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공장부지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다양한 원단 및 기재 특성에 맞추어 예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제조장치에서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할 수 있다. 넷째, 예열장치의 가열히터의 보수유지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의 원단공급부 및 기재공급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의 원단이송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원단이송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의 기재이송부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의 이동부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의 가열히터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의 제2 이동대차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상기 용어들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의 평면도, 도 2는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의 원단공급부 및 기재공급부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의 원단이송부의 정면도, 도 5는 상기 원단이송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의 기재이송부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의 이동부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의 가열히터의 개념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의 제2 이동대차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100)는 몸체부(110), 한 쌍의 이동부(120),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 원단이송부(140), 기재이송부(160), 예열부(170), 압축성형부(180), 원단공급부(190), 기재공급부(200)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10)는 복수개의 프레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 소정 위치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112)이 구비된다.
한 쌍의 이동부(120)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12) 각각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몸체부(110)의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한 쌍의 이동부(120)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12) 각각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몸체부(110)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이동구(122)와, 한 쌍의 이동구(122)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된 작동축(124)과, 몸체부(110)의 외부 소정 위치에 마련되어 작동축(124)을 회전시키는 모터(M)로 이루어진다. 이때, 작동축(124) 상에는 오른나사산과 왼나사산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작동축(124)의 회전방향에 따라 한 쌍의 이동구(122)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즉, 한 쌍의 이동구(122)가 작동축(124)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이동구(122)의 상부면 결합되는 후술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이 몸체부(110)의 폭 방향으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에 설치된 원단이송부(140)과 기재이송부(160)의 폭을 이송하고자 하는 원단과 기재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는 몸체부(1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나란하게 위치되고, 하부 소정 위치가 한 쌍의 이동부(120) 즉, 한 쌍의 이동구(122)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원단이송부(140)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 각각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한 쌍의 레일(132)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원단이송부(140)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 각각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어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서 설치된 구동모터(M)와 벨트(B)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회전축(142)에 구비된 한 쌍의 스프로킷(142a)에 연결되어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체인벨트(144)와, 한 쌍의 레일(132)의 상부면에 위치되고, 양단이 한 쌍의 체인벨트(144) 각각의 소정 위치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한 쌍의 걸림구(146)에 걸림결합되어 한 쌍의 레일(13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148)와,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148)의 상부면에 결합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50)와,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5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개의 클램프(152)와,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 사이에 위치되도록 몸체부(110)의 일측 내부 소정 위치에 마련된 원단받침대(154)로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클램프(152)는 후술하는 원단공급부(190)에 의해 이송되어 원단받침대(154)의 상부면에 위치되는 원단의 양측면을 파지하여 원단의 중심이 지면을 향해 처지지 않도록 한다. 이동플레이트(148)의 양단부 소정 위치에는 수직부(147a)와 수평부(147b)로 이루어진 지지부(147)가 형성되는데, 수직부(147a)에는 레일(132)의 상부면에 맞닿는 상부롤러(147c)가 설치되고, 수평부(147b)에는 레일(132)의 양측면 맞닿는 사이드롤러(147d)가 설치된다. 또한, 지지부(147)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이동플레이트(148)의 양측 하부면 소정 위치에는 한 쌍의 브라켓(149)이 설치되는데, 이 한 쌍의 브라켓(149)에는 레일(132)의 하부면에 맞닿는 하부롤러(149a)가 설치된다. 즉, 이동플레이트(148)가 전술한 상부롤러(147c), 사이드롤러(147d), 하부롤러(149a)에 의해 레일(13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동플레이트(148)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 각각의 일측면 소정 위치에 마련된 리미트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이동거리가 정해지는데, 이때 리미트스위치의 설치 간격은 이송하고자 하는 원단의 길이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 각각의 양측 단부 중 어느 한 곳의 단부에는 한 쌍의 스프로킷(142a)에 연결되어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순환되게 설치된 한 쌍의 체인벨트(144)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구(15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장력조절구(156)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기재이송부(160)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 각각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마주보게 설치된다. 기재이송부(160)는 일단과 타단이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 각각의 일측 소정 위치에 관통결합되어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서 설치된 구동모터(M)와 벨트(B)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축(162)과, 회전축(162)의 길이방향 소정위치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한 쌍의 제1 스프로킷(164)과,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 각각의 타측 소정위치에 결합된 한 쌍의 제2 스프로킷(166)에 각각 연결되어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체인벨트(168)와, 한 쌍의 체인벨트(168) 각각의 일측면에 한 쌍의 체인벨트(168)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된 지지브라켓(168a)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핀(168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축(162)은 전술한 한 쌍의 이동부(120)에 의해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이 몸체부(110)의 폭 방향으로 이동될 때 연동하여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한 쌍의 제2 스프로킷(166)이 설치된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의 소정 위치에는 제1 스프로킷(164)과 제2 스프로킷(166)에 각각 연결되어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체인벨트(168)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구(169)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열부(170)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원단이송부(140)와 기재이송부(160)에 의해 이송된 원단과 기재를 예열한다. 예열부(170)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된 제1 가열로(172) 및 제2 가열로(174)와,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를 사이에 두고 제1 가열로(172)와 제2 가열로(174)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 상부 가열히터(175)와,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를 사이에 두고 제1 가열로(172)와 제2 가열로(174)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하부 가열히터(176)로 이루어진다. 이때,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를 사이에 두고 제1 가열로(172)와 제2 가열로(174)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가열히터(176)는 제1 이동대차(178)의 상부면에 마련된다. 하부 가열히터(176)의 교체 및 보수유지가 필요할 때에 하부 가열히터(176)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1 이동대차(178)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를 사이에 두고 제1 가열로(172) 및 제2 가열로(174)의 하부에 마련되며, 하부 가열히터(176)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플레이트(미표기)와, 상기 플레이트의 이동을 위한 바퀴부(미표기)로 이루어진다. 한편,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를 사이에 두고 제1 가열로(172)와 제2 가열로(174)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가열히터(175)는 제2 이동대차(179)에 결합된다. 상부 가열히터(175)의 교체 및 보수유지가 필요할 때에 상부 가열히터(175)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하부 가열히터(176)의 경우 제1 이동대차(178)를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 사이에 배치하고 그 상부에 하부 가열히터(176)를 마련함으로써 이동이 용이하지만, 이 경우 상부 가열히터(175)의 보수유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이 없으므로 제2 이동대차(179)가 요구된다. 제2 이동대차(179)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의 일측에 배치되는 몸체(179b)와, 몸체(179b)에 결합되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의 상부 공간에 놓여지는 지지대(179a)와, 몸체(179b)에 지지대(179a)의 반대 방향으로 결합되는 컨트롤 박스(179c)와, 몸체(179b) 및 컨트롤 박스(179c)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부(179d)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지지대(179a)의 하부에는 상부 가열히터(175)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컨트롤 박스(179c)는 몸체(179b)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 및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각종 기기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측면에는 타 이동수단에 의해 몸체(179b)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1 이상의 걸이부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부 가열히터(175) 및 하부 가열히터(176)는 몸체부(110)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복수의 가열히터유닛(175a, 176a)이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원단 또는 기재는 예열부(170)에서 예열되어 연질화 되는데, 원단 또는 기재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예열시간, 예열온도, 대기시간 등이 상이하다. 따라서 상부 가열히터(175) 및 하부 가열히터(176)를 복수의 가열히터유닛(175a,176a)을 배치하여 구성하는 경우, 원단 또는 기재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복수의 가열히터유닛(175a,176a) 중 일부만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원단 또는 기재의 크기 및 종류에 따른 예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단 또는 기재의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복수의 가열히터유닛(175a,176a) 중 상기 원단 또는 기재에 상응하는 가열히터유닛(175a,176a)만을 구동시킬 수 있고, 예열된 원단 또는 기재가 일정 대기시간을 가져야 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가열히터유닛(175a,176a) 중 일부는 구동시키고 다른 일부는 구동시키지 않음으로써 원단 또는 기재가 구동되는 가열히터유닛(175a,176a)에 위치할 때에는 예열시키고, 구동되지 않은 가열히터유닛(175a,176a)에 위치할 때에는 대기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듯 상부 가열히터(175) 및 하부 가열히터(176)를 복수의 가열히터유닛(175a,175b)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원단 또는 기재에 맞추어 예열 정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이 되는 바, 제품 단가를 낮추는데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복수의 가열히터유닛(175a,176a)의 구동은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예를 들어 각 가열히터유닛을 개별적으로 조정하는 컨트롤러를 설치하는 방식)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압축성형부(180)는 상부금형(182)과 하부금형(184)으로 구성되고, 예열부(17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어 예열부(170)에서 예열된 원단과 기재를 압축 성형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생략한다.
원단공급부(190)와 기재공급부(200)는 몸체부(110)의 일측에 설치된 메인프레임(114)의 높이방향 소정 위치에 몸체부(110)의 폭방향으로 양단이 연장되게 형성된 보조프레임(114a)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술한 원단이송부(140)와 기재이송부(160)에 원단과 기재를 각각 공급한다. 원단공급부(190)는 보조프레임(114a)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프레임(192)과, 이동프레임(192)의 상부에 마련된 실린더(192a)에 구비된 실린더로드(192b)의 단부에 결합된 연결프레임(194)과, 연결프레임(194)의 하부에 결합된 지지프레임(196)과, 지지프레임(196)의 하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흡착구(198)로 이루어진다. 기재공급부(200)는 보조프레임(114a)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프레임(202)과, 이동프레임(202)의 상부에 마련된 실린더(202a)에 구비된 실린더로드(202b)의 단부에 결합된 연결프레임(204)과, 연결프레임(204)의 하부에 결합된 지지프레임(206)과, 지지프레임(206)의 하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구(210)로 이루어진다. 또한, 원단공급부(190)와 기재공급부(200)의 연결프레임(194, 204)의 양측 가장자리 상부면 소정 위치에는 이동프레임(192, 202)의 양측 가장자리 소정 위치에 관통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바(197, 207)가 결합되는데, 이는 연결프레임(194, 204)이 실린더(192a, 202a)의 작동에 의해 상하이동되는 것을 안내한다. 복수개의 고정구(210)는 지지프레임(206)의 하부면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설치된 연결구(212)와, 연결구(212)에 일단이 결합된 한 쌍의 지지봉(214)과, 한 쌍의 지지봉(214)의 타단에 결합된 지지브라켓(216)과, 한 쌍의 지지봉(214)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일단이 연결구(212)의 하부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지지브라켓(216)의 상부면 지지되어 지지브라켓(216)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코일스프링(218)과, 지지브라켓(216)의 양단부에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고 단부에 압입핀(220a)이 구비된 실린더(2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압입핀(220a)은 지지브라켓(216)의 하부면에 설치된 안내구(219)에 형성된 안내홀(219a)에 삽입되는데, 이는 압입핀(220a)이 실린더(200)의 작동에 의해 전진하여 기재의 표면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게 안내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내장제 제조장치는 압축성형부(180)의 후방에 EVA 부착장치, 패드접착제 도포장치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압축성형부(180)를 거친 차량용 내장재의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가 부착되는데, EVA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이를 자동화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EVA가 부착된 차량용 내장재에는 기 설정된 부위에 대해 패드접착제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패드접착제 도포장치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EVA 부착장치 및 패드접착제 도포장치의 추가 마련을 위해서 몸체부(110), 원단이송부(140)의 레일(132) 및 체인벨트(144), 기재이송부(160)의 체인벨트(168)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파렛트(미도시)에 적재된 기재와 원단을 각각 기재공급부(200)와 원단공급부(190)를 통해 파지한 후 기재이송부(160)과 원단이송부(140)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기재공급부(200)에 파지되어 이송된 기재는 기재이송부(160)의 한 쌍의 체인벨트(168)의 각각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브라켓(168a)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핀(168b)에 고정된다. 계속해서, 복수개의 고정핀(168b)에 기재가 고정되게 한 후, 한 쌍의 체인벨트(168)를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순환시켜 제1 가열로(172)에 위치된 후, 1차 예열된 후 제2 가열로(174)로 이동하여 예열되고, 이때, 제1 가열로(172)에는 또 다른 기재가 위치된다.
원단공급부(190)를 통해 파렛트(미도시)에 적재된 원단을 파지 한 후 원단이송부(140)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원단공급부(190)에 파지되어 이송된 원단은 원단이송부(140)의 원단받침대(154)의 상부면에 위치되고, 원단받침대(154)의 상부면에 위치된 원단은 원단이송부(140)의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5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개의 클램프(152)에 의해 클램핑된 후,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130)의 상부면에 마련된 한 쌍의 레일(13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제2 가열로(174)에 위치된다. 여기서, 예열부(170)에 공급되는 기재는 제1 가열로(172)와 제2 가열로(17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2회에 걸쳐 예열된 후 압축성형부(180)로 공급되고, 원단은 제2 가열로(174)에서 한 번만 예열된 후 압축성형부(180)로 공급된다. 여기서, 예열부(170)에 공급되는 기재가 제1 가열로(172)와 제2 가열로(174)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2회에 걸쳐 예열됨으로써 기재의 가열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기재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제1 가열로(172) 및 제2 가열로(174)에 배치되는 상부 가열히터(175) 및 하부 가열히터(176)의 복수 가열히터유닛(175a, 176a) 중 일부만 구동됨으로써 공정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재이송부(160)와 원단이송부(140)에 의해 예열부(170)로 공급되어 예열된 기재와 원단은 압축성형부(180)로 공급되어 압착 성형됨으로써 차량용 내장재(일예로 헤드라이너)의 성형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는, 첫째 기재와 원단을 동시에 공급하여 예열한 후 압축 성형하여 차량용 내장재(예컨대 헤드라이너)를 제조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기재 예열장치와 원단 예열장치를 각각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비 투자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공장부지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다양한 원단 및 기재 특성에 맞추어 예열 정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제조장치에서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내장재를 제조할 수 있다. 넷째, 예열장치의 가열히터의 보수유지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품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0: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110: 몸체부
120: 이동부
130: 수평프레임부
140: 원단이송부
160: 기재이송부
170: 예열부
180: 압축성형부
190: 원단공급부
200: 기재공급부

Claims (4)

  1. 양측면 소정 위치에 폭 방향으로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몸체부;
    상기 가이드레일 각각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상기 몸체부의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이동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양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나란하게 위치되고, 하부 소정 위치가 상기 한 쌍의 이동체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
    상기 수평프레임부 각각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원단이송부;
    상기 수평프레임부 각각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는 기재이송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가열로 및 제2 가열로와,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가열로와 제2 가열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가열히터 - 상기 상부 가열히터는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복수의 가열히터유닛이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됨 - 와,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가열로와 제2 가열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가열히터 - 상기 하부 가열히터는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복수의 가열히터유닛이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됨 - 와, 상기 하부 가열히터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제1 이동대차와, 상기 복수의 가열히터유닛을 개별적으로 조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원단 또는 기재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복수의 가열히터유닛 중 일부만 구동되어 상기 원단 또는 기재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상이한 예열 정도를 제공하는 예열부;
    상기 예열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예열부에서 예열된 원단과 기재를 압축 성형하는 압축성형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된 메인프레임의 높이방향 소정 위치에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으로 양단이 연장되게 형성된 보조프레임의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원단이송부에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공급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된 메인프레임의 높이방향 소정 위치에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으로 양단이 연장되게 형성된 보조프레임의 타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기재이송부에 기재를 공급하는 기재공급부;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의 상부 공간에 놓여지며 하부에는 상기 상부 가열히터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몸체에 상기 지지대의 반대 방향으로 결합되는 컨트롤 박스와, 상기 몸체 및 컨트롤 박스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부로 이루어지는 제2 이동대차;
    상기 압축성형부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압축성형부를 거쳐 성형된 차량용 내장재의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부착시키는 EVA 부착장치; 및
    상기 EVA 부착장치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EVA 부착장치를 거친 차량용 내장재의 기 설정된 부위에 대해 패드접착제를 도포하는 패드접착제 도포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단이송부는,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 각각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회전축에 구비된 한 쌍의 스프로킷에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체인벨트와, 상기 한 쌍의 레일의 상부면에 위치되고,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체인벨트 각각의 소정 위치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한 쌍의 걸림구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이동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결합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개의 클램프와,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 내부 소정 위치에 마련된 원단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이송부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 각각의 일측 소정 위치에 관통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서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 소정위치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비된 한 쌍의 제1 스프로킷과,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 각각의 타측 소정위치에 결합된 한 쌍의 제2 스프로킷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체인벨트와, 상기 한 쌍의 체인벨트 각각의 일측면에 상기 한 쌍의 체인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된 지지브라켓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KR1020160043947A 2016-04-11 2016-04-11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KR101664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947A KR101664793B1 (ko) 2016-04-11 2016-04-11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947A KR101664793B1 (ko) 2016-04-11 2016-04-11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793B1 true KR101664793B1 (ko) 2016-10-11

Family

ID=57161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947A KR101664793B1 (ko) 2016-04-11 2016-04-11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79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564B1 (ko) * 2018-09-29 2020-03-25 주식회사 청하 시트 성형 장치
KR102288133B1 (ko) * 2020-12-03 2021-08-11 최영호 차량 내부 천정재 제조시간 절감형의 차량 내부 천정재 제조장치
KR102288132B1 (ko) * 2020-12-03 2021-08-11 최영호 차량 내부 천정재 제조시간 저감형의 차량 내부 천정재 제조장치
KR102300281B1 (ko) * 2020-12-03 2021-09-08 비케이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의 스킨 진공 성형 장치
KR102326950B1 (ko) * 2020-12-03 2021-11-17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 내부 천정재 제조시간 단축형의 차량 내부 천정재 제조장치
KR102385361B1 (ko) * 2020-12-03 2022-05-23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 내부 천정재 제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328A (ko) 2000-11-23 2001-02-05 김택현 자동차용 열가소성 내장재의 성형장치
KR200299852Y1 (ko) * 2002-07-15 2003-01-06 김종무 자동차 도어트림용 내장재 접합장치
KR20030025010A (ko) * 2001-09-19 2003-03-28 김종무 건축용 패널 성형장치
KR101005073B1 (ko) * 2010-09-29 2010-12-30 진테크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KR101408098B1 (ko) * 2014-03-19 2014-06-17 (주)지더블유산업 헤드라이너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328A (ko) 2000-11-23 2001-02-05 김택현 자동차용 열가소성 내장재의 성형장치
KR20030025010A (ko) * 2001-09-19 2003-03-28 김종무 건축용 패널 성형장치
KR200299852Y1 (ko) * 2002-07-15 2003-01-06 김종무 자동차 도어트림용 내장재 접합장치
KR101005073B1 (ko) * 2010-09-29 2010-12-30 진테크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KR101408098B1 (ko) * 2014-03-19 2014-06-17 (주)지더블유산업 헤드라이너 성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564B1 (ko) * 2018-09-29 2020-03-25 주식회사 청하 시트 성형 장치
KR102288133B1 (ko) * 2020-12-03 2021-08-11 최영호 차량 내부 천정재 제조시간 절감형의 차량 내부 천정재 제조장치
KR102288132B1 (ko) * 2020-12-03 2021-08-11 최영호 차량 내부 천정재 제조시간 저감형의 차량 내부 천정재 제조장치
KR102300281B1 (ko) * 2020-12-03 2021-09-08 비케이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재의 스킨 진공 성형 장치
KR102326950B1 (ko) * 2020-12-03 2021-11-17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 내부 천정재 제조시간 단축형의 차량 내부 천정재 제조장치
KR102385361B1 (ko) * 2020-12-03 2022-05-23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 내부 천정재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793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KR101408098B1 (ko) 헤드라이너 성형장치
JP2009101564A (ja) 材料クランプ方法および該方法に用いられる材料クランプ装置
KR101190787B1 (ko) 타이어 마운터
CN211727881U (zh) 一种汽车零部件自动焊接搬运装置
KR101109058B1 (ko) 전기 매트 제조장치
KR100465741B1 (ko) 자동 진공성형 시스템의 시트 이송장치
CN105034353A (zh) 一种汽车门把手端盖螺母热熔专机
CN113085147B (zh) 拉伸及弯折机构、树脂成型装置、拉伸及弯折方法以及树脂成型方法
CN204955410U (zh) 一种汽车门把手端盖螺母热熔专机
KR100362005B1 (ko) 자동차용 열가소성 내장재의 성형장치
CN103358644B (zh) 一种地毯自动成型设备
CN217995936U (zh) 一种料架夹持运输工装
CN105480774A (zh) 多层铺布机及其自动送布装置
CN217196880U (zh) 一种汽车内饰件生产线
CN102587044B (zh) 缝纫机的刺绣绷子更换装置
JP4831504B2 (ja) 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成形設備
KR100853399B1 (ko) 오일 필터 제조 장치 및 오일 필터 제조 방법
KR101864264B1 (ko) 샌드위치 판넬 제조 장치
CN207697254U (zh) 一种烫印模压机
US4556783A (en) Heat welding apparatus
CN208101082U (zh) 一种超声热铆一体机
KR101900288B1 (ko) 샌드위치 판넬 제조 장치
CN108327164B (zh) 汽车安全带扣扣片加热装置
JPH1177817A (ja) 樹脂シート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