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280B1 - 삼분할 동력분배형 레벨러 - Google Patents

삼분할 동력분배형 레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280B1
KR101084280B1 KR1020090042577A KR20090042577A KR101084280B1 KR 101084280 B1 KR101084280 B1 KR 101084280B1 KR 1020090042577 A KR1020090042577 A KR 1020090042577A KR 20090042577 A KR20090042577 A KR 20090042577A KR 101084280 B1 KR101084280 B1 KR 101084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enter
speed
current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3373A (ko
Inventor
김태은
유문철
Original Assignee
태창기계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창기계공업(주) filed Critical 태창기계공업(주)
Priority to KR1020090042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28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1Control or correction devices in association with moving strip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교정롤(10)을 회전 구동하여 금속판재(12)를 평탄화시키는 레벨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금속판재(12)가 인입되는 입구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입구측 교정롤(10a)을 회전시키는 엔트리모터(32); 상기 금속판재(12)가 지나가는 중앙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중앙측 교정롤(10b)을 회전시키는 센터모터(34); 상기 금속판재(12)가 인출되는 출구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출구측 교정롤(10c)을 회전시키는 딜리버리모터(36); 엔트리모터 속도제어부(42)와 엔트리모터 전류제어부(44)로 구성된 엔트리모터 제어계(40); 센터모터 속도제어부(52)와 센터모터 전류제어부(54)로 구성된 센터모터 제어계(50); 및 딜리버리모터 속도제어부(62)와 딜리버리모터 전류제어부(64)로 구성된 딜리버리모터 제어계(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모터의 역할에 따라 속도 제어 및 토크 제어를 구분하여 실시함으로써, 레벨러에 적합한 삼분할 모터구동이 가능하며, 어느 한 모터에 과부하가 작용할 경우 순간적인 부하토크가 걸리는 것을 억제하는 동시에 토크부담을 다른 모터측에 분배함으로써, 과부하에 의해 유니버셜 조인트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하고 교정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레벨러, 삼분할, 동력분배, 교정롤, 금속판재, 속도 제어, 토크 제어

Description

삼분할 동력분배형 레벨러{Leveller of three distribution motor powers}
본 발명은 교정롤을 삼분할하여 구동 제어하는 삼분할 동력분배형 레벨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할된 각 모터의 속도 및 토크를 적절하게 제어하며, 어느 한 모터에서 과부하가 작용할 경우 주변의 모터를 이용하여 토크부담을 분배할 수 있도록 된 삼분할 동력분배형 레벨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형태의 금속판재를 가공하기 전 공정에서, 또한, 금속판재를 재생하는 공정 등에서 금속판재를 평탄화시키는 작업이 요구되며, 이때 사용되는 장비가 레벨러(Leveller)이다. 레벨러는 도 1에 개념적으로 묘사한 것과 같이 복수의 교정롤(10)을 이용하여 금속판재(12)를 평탄화시키는 장치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교정롤(10)은 유니버셜 조인트 등의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하여 구동모터에 연결된다.
통상 레벨러는 소재가 두껍고 내력이 높을수록 교정롤(10)에서 높은 롤축 토크가 요구되어진다. 롤축 토크용량은 유니버셜 스핀들의 토크 전달용량에 의해 제한되며, 유니버셜 스핀들의 사이즈는 교정롤(10)의 사이즈에 의해 제한된다. 그런데, 종래 레벨러는 입구측 유니버셜 스핀들에서 입구측 고부하 토크와 출구측의 순환토크가 더해져 동력의 이상 집중현상이 발생되고, 유니버셜 스핀들의 토크 전달용량을 높게 설계함에도 불구하고 유니버셜 스핀들에 전달되는 토크가 전부 교정토크로 쓰이지 못하는 등 강압하 교정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교정롤(10)을 복수개씩 그룹화하여 구동계를 분할하고, 각 구동계를 독립의 모터로 구동하는 동력분할형 레벨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동력분할형 레벨러에서 각 모터의 속도 및 토크 제어는 매우 중요하며, 대개 독립된 각각의 모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룹(droop) 컨트롤에 의해 구동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레벨러의 드룹 컨트롤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교정롤(10)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14)는 모터 제어계에 의해 제어된다. 모터 제어계는 모터(14)에 인가되는 기준속도(S*)와 모터(14)측으로부터 피드백되는 피드백속도(S)를 비교하고 속도편차가 발생하면 편차분에 대응하여 모터(14)의 입력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출력하는 속도제어부(16, Auto Speed Regulator)와, 속도제어부(16)의 출력값이 설정치를 과도하게 초과하는 경우 속도제어부(16)의 출력을 드룹 컨트롤(droop control)하여 모터의 토크 상승을 억제하는 드룹제어부(18)와, 속도제어부(16)에서 출력되는 모터 입력전류(T*)와 모터(14)측으로부터 피드백되는 피드백전류(T)를 비교하고 전류편차가 발생하면 편차분에 대응하여 모터(14)의 구동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전류제어부(20, Auto Current Regulator)로 구성된 다. 미설명 부호 22는 모터(14)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피드백하기 위한 엔코더(22)이다. 이러한 드룹 컨트롤 방식은 부하 토크가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속도제어부(16)에 의해 모터의 일정한 속도를 보장하며, 기준 이상의 부하토크가 걸리는 경우 모터(14)의 속도를 떨어뜨려 높은 토크의 발생을 억제하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드룹 컨트롤 방식은 부하토크가 균등한 설비에서는 효과적이라 할 수 있으나, 모터(14)별로 부하토크가 균일하지 않은 레벨러에서는 몇가지 문제점을 나타낸다. 예컨대, 어느 한 모터(14)에서 과부하가 작용하는 경우, 드룹 컨트롤에서는 해당 모터에서만 속도를 떨어뜨려 설비를 보호하는데, 이러한 제어방식은 반응속도가 느려 순간적으로 높은 토크가 유발되고 유니버셜 조인트 등의 구성품에 무리를 주며, 그 영향이 이웃하는 모터(14)의 구동계에 파급되어 교정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교정롤을 세 개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각 그룹의 교정롤을 독립된 세 개의 모터로 회전구동하며, 다른 교정롤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하변동은 작지만 가장 큰 부하가 작용하는 센터모터는 통상적인 속도 컨트롤을 실시하고, 입출구측 엔트리모터와 딜리버리모터는 토크 컨트롤을 실시하여 입출구측에서는 부하의 증가에 따라 모터에 가해지는 토크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중앙측 교정롤에 가해지는 부하토크를 입출구측 교정롤에서 분담하도록 하여 과부하 작용시 순간적으로 높은 토크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니버셜 조인트 등의 구성품을 보호하며 교정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삼분할 동력분배형 레벨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터모터 제어계와 다른 모터들의 제어계 사이에 토크밸런스 제어부를 부가하여, 센터모터측에 가해지는 토크부담을 다른 모터들로 분배하고 과부하에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의 고장을 방지하고 교정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복수의 교정롤(10)을 회전 구동하여 금속판재(12)를 평탄화시키는 레벨러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재(12)가 인입되는 입구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입구측 교정롤(10a)을 회전시키는 엔트리모터(32); 상기 금속판재(12)가 지나가는 중앙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중앙측 교정롤(10b)을 회전시키는 센터모터(34); 상기 금속판재(12)가 인출되는 출구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출구측 교정롤(10c)을 회전시키는 딜리버리모터(36); 상기 엔트리모터(32)의 기준속도와 피드백속도를 비교하고 속도편차가 미리 정해진 윈도우범위를 벗어나면 엔트리모터(32)의 입력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출력하는 엔트리모터 속도제어부(42)와, 엔트리모터(32)의 입력전류와 피드백전류를 비교하고 전류편차가 발생하면 엔트리모터(32)의 구동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엔트리모터 전류제어부(44)로 구성된 엔트리모터 제어계(40); 상기 센터모터(34)의 기준속도와 피드백속도를 비교하고 속도편차가 발생하면 센터모터(34)의 입력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출력하는 센터모터 속도제어부(52)와, 센터모터(34)의 입력전류와 피드백전류를 비교하고 전류편차가 발생하면 센터모터(34)의 구동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센터모터 전류제어부(54)로 구성된 센터모터 제어계(50); 및 상기 딜리버리모터(36)의 기준속도와 피드백속도를 비교하고 속도편차가 미리 정해진 윈도우범위를 벗어나면 딜리버리모터(36)의 입력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출력하는 딜리버리모터 속도제어부(62)와, 딜리버리모터(36)의 입력전류와 피드백전류를 비교하고 전류편차가 발생하면 딜리버리모터(36)의 구동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딜리버리모터 전류제어부(64)로 구성된 딜리버리모터 제어계(60);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모터 제어계(50)와 엔트리모터 제어계(40)의 사이 및 상기 센터모터 제어계(50)와 딜리버리모터 제어계(60)의 사이에는 각각 센터모터 속도제어부(52)의 출력 증감에 따라 엔트리모터(32)와 딜리버리모터(36)의 입력전류를 증감시켜 센터모터(34)에 가해지는 토크부담을 분배하는 토크밸런스 제어부(70)가 더 설치된다.
삭제
본 발명의 삼분할 동력분배형 레벨러에 따르면, 모터를 삼분할 구동하고 가장 큰 부하가 작용하는 센터모터는 일반적인 속도 제어를 실시하고 엔트리모터와 딜리버리모터는 토크 컨트롤을 실시하여, 센터모터측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부하토크는 엔트리모터와 딜리버리모터측에서 분담하도록 함으로써, 과부하 발생시 순간적으로 높은 토크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니버셜 조인트 등의 구성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교정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센터모터 제어계와 다른 모터들의 제어계 사이에 토크밸런스 제어부를 부가하여, 센터모터측에 가해지는 토크부담을 강제로 다른 모터들에 분배함으로써, 센터모터측에 가해지는 과중한 부하부담을 줄이고 과부하에 의한 기계고장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삼분할 동력분배형 레벨러를 개념적으로 묘사한 구성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분할 동력분배형 레벨러의 제어계통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삼분할 동력분배형 레벨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재(12)의 진행방향을 따라 복수의 교정롤(10)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교정롤(10)은 3개의 그룹으로 분할된다. 레벨링 진행방향을 따라 입구측 교정롤(10a), 중앙측 교정롤(10b), 출구측 교정롤(10c)이 배치된다. 각각의 교정롤(10)들은 독립된 세 개의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세 개의 모터는 입구측 교정롤(10a)을 회전시키는 엔트리모터(32)와, 중앙측 교정롤(10b)을 회전시키는 센터모터(34)와, 출구측 교정롤(10c)을 회전시키는 딜리버리모터(36)이다. 각 모터의 회전축에는 감속기(26)가 연결되며, 감속기(26)에는 복수의 기어군(28)을 매개로 교정롤(10)이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레벨러 제어계통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엔트리모터(32), 센터모터(34), 딜리버리모터(36)는 각각 엔트리모터 제어계(40), 센터모터 제어계(50), 딜리버리모터 제어계(60)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각 제어계는 기본적으로 속도제어부(Auto Speed Regulator)와 전류제어부(Auto Current Regulator)를 포함하며, 부하변동은 작지만 가장 큰 부하가 걸리는 센터모터(34)를 제어하는 센터모터 제어계(50)는 속도 제어를 실시하고, 엔트리모터 제어계(40)와 딜리버리모터 제어계(60)는 토크 제어를 실시한다.
우선, 센터모터 제어계(50)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4에서 중앙부에 도시된 센터모터 제어계(50)는 센터모터 속도제어부(52)와 센터모터 전류제어부(54)로 구성된다. 센터모터 속도제어부(52)는 센터모터(34)에 인가되는 기준속도(S*)와 센터 모터(34)측으로부터 피드백되는 피드백속도(S)를 비교한다. 이때 피드백속도의 검출을 위해 센터모터(34)에는 엔코더(38)가 연결된다. 센서모터 속도제어부(52)는 기준속도(S*)와 피드백속도를 비교하고 속도편차에 따라 센터모터(34)의 입력전류(T*)를 증감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피드백속도가 기준속도보다 떨어지면, 입력전류(T*)를 증가하여 출력한다. 센터모터 전류제어부(54)는 입력전류(T*)와 센터모터(34)의 피드백전류(T)를 비교한다. 만약 입력전류(T*)와 피드백전류(T)간 전류편차가 발생되면, 그에 대응하여 센터모터(34)의 구동전류를 증감하여 센터모터(34)가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센터모터 제어계(50)는 중앙측 교정롤(10b)에 가해지는 부하가 늘어날 경우, 센터모터(34)의 피드백속도가 떨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센터모터 속도제어부(52)에서 전류를 높여 센터모터(34)의 속도를 상승시키며, 중앙측 교정롤(10b)에 가해지는 부하가 줄어드는 경우, 센터모터(34)의 피드백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감지하여 센터모터 속도제어부(52)에서 전류를 낮춰 센터모터(34)의 속도를 떨어뜨리도록 제어한다.
엔트리모터 제어계(4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4에서 상부에 도시된 엔트리모터 제어계(40)는 엔트리모터 속도제어부(42)와, 엔트리모터 전류제어부(44)로 구성된다. 엔트리모터 속도제어부(42)는 엔트리모터(32)에 인가되는 기준속도(S*)와 엔트리모터(32)의 피드백속도를 비교하고, 속도편차가 미리 정해진 윈도우범위를 벗어나면 엔트리모터(32)의 입력전류(T*)를 증감하여 출력한다. 엔트리모터(32)의 피드백속도를 검출하기 위하여 엔코더(38)가 이용된다. 그리고, 엔트리모 터 속도제어부(42)는 속도편차를 윈도우 비교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비교기(46)를 구비할 수 있다. 윈도우비교기(46)는 기준속도(S*)와 피드백속도(S)의 편차를 보상한다. 예컨대, 속도편차가 ±5 RPM의 윈도우범위 내에 있다면, 엔트리모터 속도제어부(42)는 엔트리모터(32)의 입력전류(T*)를 유지한다. 만약, 기준속도(S*)와 피드백속도(S)의 편차가 ±5 RPM을 벗어난다면, 그에 대응하여 엔트리모터(32)의 입력전류를 증감시킨다. 엔트리모터 전류제어부(54)는 입력전류(T*)와 엔트리모터(32)의 피드백전류(T)를 비교하고 전류편차가 발생하면 그에 대응하여 엔트리모터(32)의 구동전류를 증감시킨다.
한편, 딜리버리모터 제어계(60) 역시 엔트리모터 제어계(40)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딜리버리모터 제어계(60)는 딜리버리모터 속도제어부(62)와 딜리버리모터 전류제어부(64)로 구성되며, 딜리버리모터 속도제어부(62)는 마찬가지로 윈도우비교기(66)를 포함한다. 딜리버리모터 속도제어부(62)가 기준속도(S*)와 피드백속도(S)를 비교하여 윈도우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입력전류(T*)를 증감시키는 구성 및 딜리버리모터 전류제어부(64)가 입력전류(T*)와 피드백전류(T)를 비교하여 전류편차에 따라 딜리버리모터(36)의 구동전류를 증감시키는 구성 역시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엔트리모터 제어계(40)와 딜리버리모터 제어계(60)는 각각 입구측 교정롤(10a) 및 출구측 교정롤(10c)에 가해지는 부하가 변동될 경우, 엔트리모터(32) 및 딜리버리모터(36)의 피드백속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감지하여 입력전류를 조절하되, 윈도우비교기(46)의 허용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만 입력전류를 증감시킨다. 즉, 부하변동이 적은 경우-기준속도(S*)와 피드백속도(S)의 속도편차 가 적은 경우-에는 속도 제어를 실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제어방식은 모터에 입력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어방식으로서, 윈도우비교기(46)의 허용범위 내의 부하변동에 대하여는 센터모터(34)측에 가해지는 부하부담을 분담하고, 과도한 부하변동에 대하여는 토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제어방식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모터 제어계(50)와 엔트리모터 제어계(40) 및 센터모터 제어계(50)와 딜리버리모터 제어계(60) 사이에 토크밸런스 제어부(70)가 설치된다. 토크밸런스 제어부(70)는 센터모터(34)의 입력전류를 1 미만의 소정 배율로 배율하는 배율기(72)와, 배율된 전류값을 스위칭하여 엔트리모터 제어계(40) 또는 딜리버리모터 제어계(60)로 전달하는 스위칭수단(74)으로 구성된다.
토크밸런스 제어부(70)는 센터모터 속도제어부(52)의 출력 증감에 따라 엔트리모터(32)와 딜리버리모터(36)의 입력전류를 증감시켜 센터모터(34)에 가해지는 토크부담을 분배한다. 예컨대, 센터모터(34)측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하는 경우, 센터모터 제어계(50)는 속도 제어를 실시하여 센터모터(34)의 입력전류를 증가시킨다. 이때 센터모터 제어계(50)는 다른 모터 제어계에 전류지령치를 전달하고, 토크밸런스 제어부(70)에 의해 엔트리모터 제어계(40) 및 딜리버리모터 제어계(60)에서 모터에 입력되는 전류가 증가된다. 즉, 중앙측 교정롤(10b)에 과중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 엔트리모터(32)와 딜리버리모터(36)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센터모터(34)에 부가되는 토크부담을 분배한다.
기본적으로 토크밸런스 제어부(70)는 후단의 교정롤(10)에 금속판재가 진입 한 경우에 작동을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위칭수단(74)은 후단의 모터가 무부하상태인 경우, 즉, 후단에 설치된 모터의 실제 토크가 무부하 토크보다 작은 경우에는 토크밸런스 제어부(70)의 연결을 차단한다. 만약, 금속판재(12)가 중앙측 교정롤(10b)에 진입을 개시하면, 엔트리모터 제어계(40)와 센터모터 제어계(50) 사이에 설치된 토크밸런스 제어부(70)가 작동을 개시하며, 금속판재(12)가 출구측 교정롤(10c)에 완전히 진입되면 모든 토크밸런스 제어부(70)가 작동된다.
모든 토크밸런스 제어부(70)가 작동을 개시한 후, 만약 입구측 교정롤(10a)에 부하가 증가하면, 엔트리모터(32)의 속도가 떨어지며, 금속판재(12)가 모든 교정롤(10)에 진입된 상태이므로 다른 모터들의 속도 역시 떨어진다. 이때, 센터모터(34)는 센터모터 제어계(50)에 의해 속도 제어가 실시되고 있으므로, 센터모터(34)의 입력전류를 높여 속도를 보상해준다. 엔트리모터(32)와 딜리버리모터(36)는 토크 제어에 의해 부하변동이 적은 경우에는 속도 보상 없이 입력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만약, 통상 그러하듯이 중앙측 교정롤(10b)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면, 센터모터 제어계(50)는 전류 지령치를 더욱 높여 속도를 보상하게 되며, 이때 토크밸런스 제어부(70)가 작동하여 엔트리모터 제어계(40) 및 딜리버리모터 제어계(60)에 입력전류를 증가시킬 것을 명령한다. 따라서, 과부하 발생시 센터모터(34)측에 과도한 토크부담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금속판재(12)의 교정작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레벨러를 개념적으로 묘사한 구성도
도 2는 종래 레벨러의 드룹 컨트롤을 예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삼분할 동력분배형 레벨러를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삼분할 동력분배형 레벨러의 제어계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교정롤 10a : 입구측 교정롤
10b : 중앙측 교정롤 10c : 출구측 교정롤
12 : 금속판재 26 : 감속기
28 : 기어군 32 : 엔트리모터
34 : 센터모터 36 : 딜리버리모터
38 : 엔코더 40 : 엔트리모터 제어계
42 : 엔트리모터 속도제어부 44 : 엔트리모터 전류제어부
46 : 윈도우비교기 50 : 센터모터 제어계
52 : 센터모터 속도제어부 54 : 센터모터 전류제어부
60 : 딜리버리모터 제어계 62 : 딜리버리모터 속도제어부
64 : 딜리버리모터 전류제어부 66 : 윈도우비교기
70 : 토크밸런스 제어부 72 : 배율기
74 : 스위칭수단

Claims (2)

  1. 복수의 교정롤(10)을 회전 구동하여 금속판재(12)를 평탄화시키는 레벨러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재(12)가 인입되는 입구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입구측 교정롤(10a)을 회전시키는 엔트리모터(32);
    상기 금속판재(12)가 지나가는 중앙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중앙측 교정롤(10b)을 회전시키는 센터모터(34);
    상기 금속판재(12)가 인출되는 출구측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출구측 교정롤(10c)을 회전시키는 딜리버리모터(36);
    상기 엔트리모터(32)의 기준속도와 피드백속도를 비교하고 속도편차가 미리 정해진 윈도우범위를 벗어나면 엔트리모터(32)의 입력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출력하는 엔트리모터 속도제어부(42)와, 엔트리모터(32)의 입력전류와 피드백전류를 비교하고 전류편차가 발생하면 엔트리모터(32)의 구동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엔트리모터 전류제어부(44)로 구성된 엔트리모터 제어계(40);
    상기 센터모터(34)의 기준속도와 피드백속도를 비교하고 속도편차가 발생하면 센터모터(34)의 입력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출력하는 센터모터 속도제어부(52)와, 센터모터(34)의 입력전류와 피드백전류를 비교하고 전류편차가 발생하면 센터모터(34)의 구동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센터모터 전류제어부(54)로 구성된 센터모터 제어계(50); 및
    상기 딜리버리모터(36)의 기준속도와 피드백속도를 비교하고 속도편차가 미리 정해진 윈도우범위를 벗어나면 딜리버리모터(36)의 입력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출력하는 딜리버리모터 속도제어부(62)와, 딜리버리모터(36)의 입력전류와 피드백전류를 비교하고 전류편차가 발생하면 딜리버리모터(36)의 구동전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딜리버리모터 전류제어부(64)로 구성된 딜리버리모터 제어계(60);를 포함하고, 상기 센터모터 제어계(50)와 엔트리모터 제어계(40)의 사이 및 상기 센터모터 제어계(50)와 딜리버리모터 제어계(60)의 사이에는 각각 센터모터 속도제어부(52)의 출력 증감에 따라 엔트리모터(32)와 딜리버리모터(36)의 입력전류를 증감시켜 센터모터(34)에 가해지는 토크부담을 분배하는 토크밸런스 제어부(7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분할 동력분배형 레벨러.
  2. 삭제
KR1020090042577A 2009-05-15 2009-05-15 삼분할 동력분배형 레벨러 KR101084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577A KR101084280B1 (ko) 2009-05-15 2009-05-15 삼분할 동력분배형 레벨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577A KR101084280B1 (ko) 2009-05-15 2009-05-15 삼분할 동력분배형 레벨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373A KR20100123373A (ko) 2010-11-24
KR101084280B1 true KR101084280B1 (ko) 2011-11-17

Family

ID=4340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577A KR101084280B1 (ko) 2009-05-15 2009-05-15 삼분할 동력분배형 레벨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2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469A (ko) 2017-09-05 2019-03-13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지 지역 배수로용 토사 및 유송잡물 거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9222A (ja) 1986-02-27 1987-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ロ−ラレベラのトルク循環低減方法
KR100765105B1 (ko) 2006-12-21 2007-10-08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교정용 이경 롤 배치체
JP2008006491A (ja) 2006-06-30 2008-01-17 Jfe Steel Kk レベリングロールのスリップ疵防止方法およびレベラ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9222A (ja) 1986-02-27 1987-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ロ−ラレベラのトルク循環低減方法
JP2008006491A (ja) 2006-06-30 2008-01-17 Jfe Steel Kk レベリングロールのスリップ疵防止方法およびレベラー
KR100765105B1 (ko) 2006-12-21 2007-10-08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교정용 이경 롤 배치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469A (ko) 2017-09-05 2019-03-13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지 지역 배수로용 토사 및 유송잡물 거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373A (ko) 201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2558B2 (en) Driving apparatus of electric motor for reduction roll
US20100193616A1 (en) Roll mill
US5495735A (en) System for controlling strip thickness in rolling mills
AU2015257657B2 (en) Roller mil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oller mill
EP0404540B1 (en) A system for controlling a pump apparatus
RU2344891C1 (ru) Способ и прокатный стан для улучшения выпуска катаной металлической полосы, конец которой выходит со скоростью прокатки
KR101084280B1 (ko) 삼분할 동력분배형 레벨러
AU737102B2 (en) Method to eliminate the play between chocks and relative support blocks in four-high rolling stands and relative device
US20110098842A1 (en) Continuous rolling train with integration and/or removal of roll stands during ongoing operation
US10500621B2 (en) Method for processing material to be rolled on a rolling line, and rolling line
JPS58110110A (ja) 圧延機駆動制御装置
JP6965904B2 (ja) 調質圧延方法及び調質圧延機
JP2000343117A (ja) コイラ駆動系の制御方法及び装置
KR100943386B1 (ko) 압연 롤용 전동기의 구동 장치
JPS5855111A (ja) 多段クラスタ圧延機の板形状制御装置
US20110155342A1 (en) Strand guiding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equipment
JPH10249421A (ja) 圧延機の制御装置
JP3167067B2 (ja) 調質圧延における伸率制御方法
RU236264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моментов на рабочих валках прокатной клети с индивидуальным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м
JPH01249208A (ja) 圧延ロールの駆動制御方法
JP5206127B2 (ja) プロセスライン駆動モータの非常停止方法および装置
JPH01133607A (ja) 圧延機制御方法
JP2022047983A (ja) 界磁制御装置
KR101356052B1 (ko) 컴팩트 머신의 플로팅 롤 간격의 균형 유지 장치 및 그 방법
JPH09285808A (ja) タンデム圧延機の速度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