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996B1 - 바이스 구조 - Google Patents

바이스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996B1
KR101081996B1 KR1020110032703A KR20110032703A KR101081996B1 KR 101081996 B1 KR101081996 B1 KR 101081996B1 KR 1020110032703 A KR1020110032703 A KR 1020110032703A KR 20110032703 A KR20110032703 A KR 20110032703A KR 101081996 B1 KR101081996 B1 KR 101081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oving
vise
fixing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 치기공용 서베이어에서 치아 모델을 고정시키는 바이스를 특정 구조로 형성하여 치아 모델의 형태 및 크기 등에 따라 이동부재를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전.후 이동시키면서 치아 모델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바이스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 구조는, 가공수단과 바이스 및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치기공용 서베이어에서 소정 치아 모델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행하는 바이스의 구조에 있어서, 직사각형 형상의 이동홀을 갖는 직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전단부 측 상면에는 상기 치아 모델의 전면이 맞닿는 한 쌍의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이동홀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이동축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이동홀 내에서 이동축을 따라 선택적으로 전.후 이동 및 고정되면서 상기 치아 모델의 후면이 맞닿아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면에 결합되어 바이스가 상기 트레이 상측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바이스 구조{STRUCTURE OF VISE}
본 발명은 바이스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베이어에서 치아 모델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행하는 바이스를 치아 모델의 형태 및 크기 등에 따라 간편하게 조작하면서 치아 모델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바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기공(Dental Technician)은 치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전문의료분야로서, 치아 및 그 주변조직과 악안면(顎顔面) 등 구강(口腔)과 관련된 신체부위로부터 결손된 조직의 기능회복 및 잘못된 악골(顎骨) 관계의 개선, 치아의 보정 등을 위한 각종 치과용 장치물의 제조 및 수리를 담당하는 산업분야를 일컫는다.
상기 치과용 장치물은 사용자의 구강구조 등에 따른 개인별 특성이 강하게 반영되므로, 기계에 의한 대량생산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여 해당 분야의 전문인력인 치기공사의 수작업에 의해 제조되게 된다.
한편, 상기 치과용 장치물의 제작 시에는 치아모형의 평형관계, 치아 조작, 풍융부위의 측정, 주조 보철물의 절삭 등을 수행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치기공용 서베이어를 사용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치기공용 서베이어는, 교합기가 구비된 치아 모델을 고정시키는 바이스(100)와; 상기 바이스가 고정되며, 상기 치아모델에 대하여 가공도구를 장착하여 가공 작업을 행하기 위한 가공수단(200) 및, 그 상측에 상기 바이스 및 가공수단이 탑재되며, 상기 바이스 및 가공수단 전체의 각도 및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트레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이스는 그 상부에 고정되는 교합기를 포함하는 치아 모델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작업자가 조절나사를 회전 조작시킴에 의해 이동부재가 선택적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치아 모델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치기공용 서베이어에 구비되는 바이스에 있어서는, 상기 바이스 일측에 구비된 조절나사를 회전시킴에 따라 이동부재가 전.후로 이동되면서 치아 모델의 교합기 후단에 이동부재가 밀착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이동부재의 전.후진 거리에 비례하여 조절나사의 회전 조작을 반복적으로 행하여야만 함에 따라, 그 조작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한 손으로 조절나사를 조작할 시에는 다른 손으로 바이스가 유동되지 않게 견고하게 파지하여야만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서베이어에서 치아 모델을 고정시키는 바이스를 특정 구조로 형성하여 치아 모델의 형태 및 크기 등에 따라 이동부재를 간편하게 원터치 방식으로 매우 신속하게 전.후 이동시키면서 치아 모델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바이스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 구조는, 직사각형 형상의 이동홀을 갖는 직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전단부 측 상면에는 치아 모델의 전면이 맞닿는 한 쌍의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이동홀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이동축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이동홀 내에서 이동축을 따라 선택적으로 전.후 이동 및 고정되면서 상기 치아 모델의 후면이 맞닿아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면에 결합되어 바이스가 트레이 상측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길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갖으며 하측부분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고정부재설치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설치홀과 연통되도록 몸체 내부의 상측으로는 연장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연장홀의 일측에는 가압부재설치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설치홀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중앙을 전.후로 관통하는 관통홀의 상측부분을 통해 상기 이동축이 관통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의 하측부분에는 상기 이동축에 맞물려 고정되도록 나사산이 대응되게 형성된 한 쌍의 맞물림부재가 구비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하면에 맞닿은 상태로 상기 설치홀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 측에 상측을 향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몸체의 전.후면에 각각 고정되는 사각판 형태의 커버부재 및; 상기 몸체의 가압부재설치홈에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에 가압부재 몸체의 하측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어, 그 상측부분의 가압 시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상기 가압부재 몸체의 일측에서 연통홀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가압돌기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을 가압하여 하강시키도록 이루어진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재의 이동홀 양측 내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부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재와 대응되는 이동부재의 양측면에는 각각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는 상호 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 가이드부재 설치홀은 그 단면이 타원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 설치홀의 양단부 측에 해당되는 베이스부재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 설치홀과 직각으로 연통되는 간격조절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간격조절홀의 내측지점에는 밀착스프링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간격조절홀의 외측지점에는 간격조절나사가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 상호 대응되게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간격조절나사를 통해 밀착스프링을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치아 모델에 포함된 교합기 후단이 맞닿아 고정되는 교합기 고정부재가 결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트레이 상부에 결합되는 제 1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상면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구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된 구체 결합부재와; 상기 구체 결합부재의 공간부 내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구체 및; 상기 구체의 연결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 하면에 결합되는 제 2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교합기가 포함된 치아 모델을 고정시켜 소정 작업을 행하도록 이루어진 서베이어의 바이스를 특정 구조로 형성하므로서, 치아 모델의 형태 및 크기 등에 따라 이동부재를 대략 3초 정도로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전.후 이동시키면서 치아 모델을 바이스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보다 조작이 용이하면서도 치아 모델의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바이스를 구비한 고품질의 서베이어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되며, 또한 한 손만으로도 간편하게 바이스의 이동부재를 조작하면서 치기공의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치기공용 서베이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기공용 서베이어의 바이스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기공용 서베이어의 바이스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기공용 서베이어의 바이스 구조가 적용된 바이스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기공용 서베이어의 바이스 구조에 적용되는 이동부재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기공용 서베이어의 바이스 구조에 적용되는 이동부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기공용 서베이어의 바이스 구조에 적용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의 간격 조절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기공용 서베이어의 바이스 구조가 적용된 바이스에 치아 모델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기공용 서베이어의 바이스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기공용 서베이어의 바이스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기공용 서베이어의 바이스 구조가 적용된 바이스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기공용 서베이어의 바이스 구조에 적용되는 이동부재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기공용 서베이어의 바이스 구조에 적용되는 이동부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기공용 서베이어의 바이스 구조에 적용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의 간격 조절상태를 나타내는 일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기공용 서베이어의 바이스 구조가 적용된 바이스에 치아 모델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 구조는, 치기공용 서베이어에 구비되는 바이스(100)를 특정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치기공을 위한 치아 모델(70)의 크기 및 형태 등에 대응하여 바이스(100)의 이동부재(30)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 구조는, 교합기(70a)가 구비된 치아 모델(70)을 고정시키는 바이스(100)와, 상기 바이스가 고정되며 상기 치아 모델에 대하여 가공도구를 장착하여 가공 작업을 행하기 위한 소정 가공수단(도시안됨) 및, 그 상측에 상기 바이스 및 가공수단이 탑재되며 상기 바이스 및 가공수단 전체의 각도 및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트레이(도시안됨)를 포함하여 구성된 치기공용 서베이어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치기공용 서베이어에 구비되는 바이스(100)는 대략 직사각틀 형상을 갖는 베이스부재(10) 및 상기 베이스부재(10)에 설치된 이동축(20)을 매개로 이동부재(30)가 원활하게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대략 길쭉한 직사각형 형상의 이동홀(12)을 갖는 직사각틀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그 전단부 측의 상면에는 상기 치아 모델(70)의 전단부 측이 맞닿아 고정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고정돌기(14)가 돌출 형성된 상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재(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갖는 대략 사다리꼴 형태의 사각틀 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10)가 대략 직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형성되는 이동홀(12) 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축(20)이 설치되어 구성되되, 상기 이동축(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이동부재(30)를 전.후 이동시키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동축(20)의 일단부 측에 해당되는 베이스부재(10) 후면에는 이동축(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나사(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30)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이동홀(12) 내에서 상기 이동축(20)을 따라 선택적으로 전.후 이동 및 고정되면서 치아 모델(70)의 후면을 밀착하여 상기 베이스부재(10)에 구비된 한 쌍의 고정돌기(14)와 함께 해당 치아 모델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부재(30)는 대략 길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갖으며 하측부분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고정부재설치홀(34)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설치홀(34)과 연통되도록 몸체 내부의 상측으로는 연장홀(36)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연장홀(36)의 일측에는 가압부재설치홈(38)이 형성된 몸체(32)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32)의 고정부재설치홀(34) 내에는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부재(40)가 설치되되, 상기 고정부재(40)는 관통홀(42)을 매개로 상기 이동축(20)이 관통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42)의 하측부분에는 상기 이동축(20)에 맞물려 고정되도록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나사산이 대응되게 형성된 한 쌍의 맞물림부재(43)가 나사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고정부재(40)의 하측에는 그 하면과 맞닿은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설치홀(34) 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50)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40) 측으로 상측을 향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상기 탄성부재(50)는 한 쌍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40) 하측에는 탄성부재(50)가 끼워지는 한 쌍의 돌기(44a)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그와 대응되는 상기 몸체(32)에는 상기 돌기(44a)가 가이드되도록 한 쌍의 돌기 가이드홀(39)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한편, 상기 고정부재(40)의 상면 중앙부분에도 상측을 향해 돌기(44b)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장홀(36) 내에 위치된 상태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32)의 전.후면에는 각각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진 한 쌍의 커버부재(52)가 결합되며, 상기 몸체(32)의 가압부재설치홈(38)에는 가압부재 몸체(54) 및 그 일측에 연장 형성된 가압돌기(56)로 이루어진 가압부재(58)가 설치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가압부재(58)는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52)에 가압부재 몸체(54)의 하측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 몸체(54)의 상측부분 가압 시에는 그 몸체가 일정 각도만큼 하측을 향해 회전되면서 상기 연장홀(36) 측으로 연장 형성된 가압돌기(56)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40)의 상면을 가압하여 하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또, 상기 이동부재(30)의 전면에 설치된 상기 커버부재(52) 전면에는 그 단면의 일측이 톱니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교합기 고정부재(59)가 고정 설치되어, 상기 치아 모델(70)에 포함된 교합기(70a) 후단이 맞닿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이동홀(12) 양측 내벽을 따라서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봉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부재(16)가 일측 외주면이 내벽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16)와 대응되도록 상기 이동부재(30)의 몸체(32) 양측면 하단부 측에는 각각 가이드홈(33)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30)의 전.후 이동 시 상기 가이드부재(16)를 매개로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베이스부재(10)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16)는 상호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30)가 이동홀(12) 내에서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부재(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 설치홀(80) 중 일측 가이드부재 설치홀(80)은 그 단면이 대략 타원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 설치홀(80)의 양단부 측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면(10)에는 상기 가이드부재 설치홀(80)과 대략 직각으로 연통되도록 간격조절홀(82)이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간격조절홀(82)의 내측지점에는 밀착스프링(84)이 설치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재(16)가 가이드부재 설치홀(80)에 설치되어 밀착스프링(84)이 그 외주면에 결합된 나사머리가 상기 가이드부재(16)의 외주면 일정 지점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한편, 상기 간격조절홀(82)의 외측지점에는 육각볼트 형태로 이루어진 간격조절나사(86)가 설치되어 상기 간격조절나사(86)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16)의 외주면 일정 지점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간격조절나사(86)를 육각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풀거나 조임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16)가 대략 타원형상의 단면을 갖는 가이드부재 설치홀(80) 내에서 상기 밀착스프링(80)에 밀착된 상태로 유동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16) 상호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바이스(100)는 상기 베이스부재(10)의 하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60)를 매개로 트레이(도시안됨)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서베이어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결합부재(60)는 구체(66)를 포함하는 소정 구조를 통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부재(60)는 상기 트레이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1고정판(62)과, 상기 제 1고정판(62) 상면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구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된 구체 결합부재(64)와, 상기 구체 결합부재(64) 내부의 공간부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구체(66) 및, 상기 구체(66) 상측부분의 연결부(67)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 하면에 결합되는 제 2고정판(68)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 구조가 적용된 서베이어를 통해 치기공 작업을 행하는데 있어서는, 먼저 소정 작업을 행하기 위한 치아 모델(70)을 상기 바이스(100)의 베이스부재(10) 상면 일측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치아 모델(70)은 그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이동홀(12)상에 위치함과 아울러 그 전단부 측은 상기 베이스부재(10)에 전단에 돌출된 한 쌍의 고정돌기(14)에 맞닿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 후, 작업자는 상기 이동부재(30)를 조작하여 상기 이동부재(30) 전면의 교합기 고정부재(59)가 상기 치아 모델(70)의 후단부 측에 위치한 교합기(70a)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부재(30)가 일정 거리만큼 전.후 이동되는데 있어서는 작업자가 상기 이동부재(30)의 가압부재 몸체(54) 상측부분을 가압함에 따라, 그 하측부분이 힌지 역할을 하도록 한 쌍의 커버부재(52)에 결합된 구조를 갖는 가압부재 몸체(54)가 일정 각도만큼 하측을 향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그 일측의 가압돌기(56)가 상기 이동부재(30)의 고정부재(40) 상면을 가압하므로서 상기 고정부재(40)가 탄성부재(50)를 가압하면서 하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에, 상기 고정부재(40)의 관통홀(42) 상측부분이 이동축(20)과 대응되는 지점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상기 관통홀(42)의 내벽은 상기 이동축(20)과 이격된 상태이므로, 상기 이동부재(40)가 간섭됨이 없이 이동축(20)을 따라 용이하게 전.후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작업자가 상기 이동부재(30)를 상기 치아 모델(70) 후단부 측에 밀착되도록 이동시킨 후에는 상기 가압부재(58)의 가압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40)가 탄성부재(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며, 이에 나사산이 형성된 한 쌍의 맞물림부재(43)가 상기 이동축(20)의 나사산에 맞물리면서 이동부재(30)를 일정 지점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해당 치아 모델(70)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돌기(14) 및 이동부재(30)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30)를 이동시킨 후, 상기 이동축(20)에 연결된 조절나사(22)를 회전시켜 보다 미세하게 이동부재(30)를 추가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한 손으로 가볍게 상기 이동부재(30)에 구비된 가압부재(58)를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상기 이동부재(30)를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치아 모델(70)을 바이스(1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에는 상기 결합부재(60)에 포함된 구체(66)를 매개로 바이스(100)의 각도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소정 작업을 행할 수가 있는 것이며, 소정 작업의 완료 후에는 다시 상기 이동부재(30)의 가압부재(58)를 가압하여 이동부재(30)를 선택적으로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작업이 완료된 해당 치아 모델(7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바이스 구조는 치기공용 서베이어에서 뿐만 아니라, 소정 공작물을 고정시키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범용으로 적용되어 사용될 수가 있는 것이다.
10: 베이스부재, 12: 이동홀,
14: 고정돌기, 16: 가이드부재,
20: 이동축, 22: 조절나사,
30: 이동부재, 32: 몸체,
33: 가이드홈, 34: 고정부재설치홀,
36: 연장홀, 38: 가압부재설치홈,
39: 돌기가이드홀, 40: 고정부재,
42: 관통홀, 43: 맞물림부재,
44a: 돌기, 44b: 돌기,
50: 탄성부재, 52: 커버부재,
54: 가압부재 몸체, 56: 가압돌기,
58: 가압부재, 59: 교합기 고정부재,
60: 결합부재, 62: 제 1고정판,
64: 구체 결합부재, 66: 구체,
67: 연결부, 68: 제 2고정판,
70: 치아 모델, 70a: 교합기,
80: 가이드부재 설치홀, 82: 간격조절홀,
84: 밀착스프링, 86: 간격조절나사,
100: 바이스.

Claims (6)

  1. 직사각형 형상의 이동홀을 갖는 직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전단부 측 상면에는 치아 모델의 전면이 맞닿는 한 쌍의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이동홀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이동축과; 상기 베이스부재의 이동홀 내에서 이동축을 따라 선택적으로 전.후 이동 및 고정되면서 상기 치아 모델의 후면이 맞닿아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하면에 결합되어 바이스가 트레이 상측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이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길쭉한 직육면체 형상을 갖으며 하측부분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고정부재설치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설치홀과 연통되도록 몸체 내부의 상측으로는 연장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연장홀의 일측에는 가압부재설치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설치홀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중앙을 전.후로 관통하는 관통홀의 상측부분을 통해 상기 이동축이 관통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관통홀의 하측부분에는 상기 이동축에 맞물려 고정되도록 나사산이 대응되게 형성된 한 쌍의 맞물림부재가 구비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하면에 맞닿은 상태로 상기 설치홀 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 측에 상측을 향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몸체의 전.후면에 각각 고정되는 사각판 형태의 커버부재 및;
    상기 몸체의 가압부재설치홈에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에 가압부재 몸체의 하측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어, 그 상측부분의 가압 시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면서 상기 가압부재 몸체의 일측에서 연통홀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가압돌기가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을 가압하여 하강시키도록 이루어진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스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이동홀 양측 내벽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부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와 대응되는 이동부재의 양측면에는 각각 가이드홈이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스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는 상호 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 가이드부재 설치홀은 그 단면이 타원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 설치홀의 양단부 측에 해당되는 베이스부재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 설치홀과 직각으로 연통되는 간격조절홀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간격조절홀의 내측지점에는 밀착스프링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간격조절홀의 외측지점에는 간격조절나사가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 상호 대응되게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간격조절나사를 통해 밀착스프링을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스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전면에는 상기 치아 모델에 포함된 교합기 후단이 맞닿아 고정되는 교합기 고정부재가 결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스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트레이 상부에 결합되는 제 1고정판과;
    상기 고정판 상면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구형태의 공간부가 형성된 구체 결합부재와;
    상기 구체 결합부재의 공간부 내에 유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구체 및;
    상기 구체의 연결부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 하면에 결합되는 제 2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스 구조.
KR1020110032703A 2011-01-04 2011-04-08 바이스 구조 KR101081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565 2011-01-04
KR20110000565 2011-0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1996B1 true KR101081996B1 (ko) 2011-11-09

Family

ID=45397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703A KR101081996B1 (ko) 2011-01-04 2011-04-08 바이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9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799B1 (ko) * 2016-02-18 2017-01-25 주식회사 코바텍 모바일용 카메라 모듈의 품질 불량 유무 검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648Y1 (ko) * 2003-04-29 2003-07-22 김영수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648Y1 (ko) * 2003-04-29 2003-07-22 김영수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799B1 (ko) * 2016-02-18 2017-01-25 주식회사 코바텍 모바일용 카메라 모듈의 품질 불량 유무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605B1 (ko) 치과용 교합기
JP6322698B2 (ja) 人工歯
CN1923464A (zh) 棘齿钳
JP7100384B2 (ja) ラチェットレンチのトグル部材構造
JP2012510377A (ja) クランプシステム
KR101081996B1 (ko) 바이스 구조
MX2013008029A (es) Abrazadera de palanca articulada.
KR101926041B1 (ko) 치과 기공용 교합기
US20120164595A1 (en) Articulator
KR101180623B1 (ko) 석고 치아모형 그립퍼를 갖는 교합기
JP2015530219A5 (ko)
KR101609286B1 (ko) 발치용 포셉
KR10138772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용 수동 드라이버
US7686278B2 (en) Tooth mold retaining frame
JP2004025332A (ja) 工作機械におけるワークの位置決め装置
US7413426B2 (en) Denture flask compress tool and process
KR20170040414A (ko) 교합기
JPWO2020065847A1 (ja) 咬合器
KR200320648Y1 (ko)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KR101518736B1 (ko) 치아교합기
CN209808590U (zh) 一种牙齿咬合架
CN207448388U (zh) 一种建筑板材取钉装置
KR20140091369A (ko) 정밀한 교합조정 테스트가 가능한 교합기
JPH11221236A (ja) 咬合器
JP6427810B2 (ja) 歯科補綴物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