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306B1 - 위치세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 Google Patents
위치세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5306B1 KR101745306B1 KR1020160005888A KR20160005888A KR101745306B1 KR 101745306 B1 KR101745306 B1 KR 101745306B1 KR 1020160005888 A KR1020160005888 A KR 1020160005888A KR 20160005888 A KR20160005888 A KR 20160005888A KR 101745306 B1 KR101745306 B1 KR 1017453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articulator
- model
- position setting
- sett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1—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 A61C11/084—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for 3D adjustment, e.g. Ball-and-socke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03—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height adjustmen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1—Making teeth by casting or mould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G09F23/06—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combined with articles for restaurants, shops or offices
- G09F23/08—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combined with articles for restaurants, shops or offices with tableware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어진 개인에 따라 맞춤 제작된 상악 모형과 하악 모형을 맞추어보는 교합기에 장착되며, 상, 하악 모형의 장착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게 한 위치세팅유닛과 관련되며, 실시예로, 치과기공용 교합기에 장착되어 있으며, 환자의 구강 구조를 재현한 상악 모형 또는 하악 모형과 연결되며, 상하로 구비되는 모형의 상호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위치세팅유닛에 있어서, 상기 모형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평면에 대한 기울기 각도가 조절 가능하면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제1 조정부와, 상기 교합기와 상기 제1 조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교합기에 대하여 상기 제1 조정부를 수평면 상에서 이동과 수직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파지하는 제2 조정부를 포함하는 제2 조정부를 포함하는 위치세팅유닛과 이를 사용한 치과기공용 교합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어진 개인에 따라 맞춤 제작된 상악 모형과 하악 모형을 맞추어보는 교합기에 장착되며, 상, 하악 모형의 장착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게 한 위치세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기공용 교합기와 관련된다.
치과기공물은 금니, 도재 치아 등 원래의 치아를 대체하여 이식되는 치과 보철물을 말하는 데, 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6080호는 환자의 구강과 동일한 음형의 인상체를 획득하는 단계로부터 석고를 이용하여 양형의 치아모형을 제작하는 단계, 치아모형의 베이스석고부를 형성하는 단계, 치과기공물의 제작이 필요한 부분치아모형을 분리하는 소잉단계 등을 나열하고 있다.
치과기공물을 제작하는 과정 중에 부분치아모형 또는 치아모형의 교합상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교합상태의 점검은 왁싱 단계, 메탈코핑 단계 등 거의 모든 기공 과정에서 수차례에 걸쳐 이루어진다.
교합 상태의 점검은 별도로 제작된 상악 모형과 하악 모형을 실제 악관절의 작동을 고려하여 움직이도록 제작된 교합기에 부착하고, 하악 모형에 대한 상악 모형의 움직임을 구현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교합기에 상악 모형과 하악 모형이 부착되는 위치가 중요하며, 술자에 따라 교합기에 대한 부착 위치의 오류가 있을 때에는 실제와 달라지기 때문에 위치를 바로 잡아 재부착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시간 손실이 막대하며, 석고 작업을 다시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상당하다.
본 발명은 교합기에 결합되는 치아 모형의 위치를 정밀하게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형 부착의 오류에 따른 세팅 위치의 수정이 용이하게 한 위치세팅유닛을 제공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치과기공용 교합기에 장착되어 있으며, 환자의 구강 구조를 재현한 상악 모형 또는 하악 모형과 연결되며, 상하로 구비되는 모형의 상호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위치세팅유닛에 있어서, 상기 모형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평면에 대한 기울기 각도가 조절 가능하면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제1 조정부와, 상기 교합기와 상기 제1 조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교합기에 대하여 상기 제1 조정부를 수평면 상에서 이동과 수직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파지하는 제2 조정부를 포함하는 제2 조정부를 포함하는 위치세팅유닛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조정부는 상기 모형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일면에 복수가 배치되어 있으며, 기계적 작동에 의해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변경됨으로써 상기 제2 조정부에 대한 제1 조정부의 각도 조절을 구현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구체적인 예시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제2 조정부에 고정되는 거치블록, 상기 거치블록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각 회전축이 서로 다른 위치인 제1 링크 및 제2 링크,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를 평행하게 하며,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각 타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간연결구, 상기 제1 링크의 타단부와 기어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링크와 대향적으로 회전되며, 끝단부에는 볼이 구비된 제3 링크, 상기 제1 링크의 중간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링크, 상기 제4 링크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조정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가 미끄럼 이동하도록 구속하는 안내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조정부는 상기 교합기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평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개방홀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개방홀을 통해 상기 수평한 공간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개방홀을 통과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의 천장 및 바닥과 접하는 미끄럼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기둥의 단면적은 상기 개방홀의 단면적보다 작고, 상기 미끄럼블록의 단면적은 상기 공간의 수평 단면적보다 보다 작아서,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수평면 상에서의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장착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소모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소모플레이트에는 상기 모형의 기틀을 끼움 방식으로 파지하는 파지구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파지구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면에 세워지며 하악 모형이 거치되는 하부구조체, 상기 하부구조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악 모형이 거치되는 상부구조체 및 상기 하부구조체 또는 상기 상부구조체에 결합되며, 전술한 위치세팅유닛을 포함하는 치과기공용 교합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합기에 안착한 상악 모형 또는 하악 모형의 위치를 미세 조정함으로써 치과기공물 제작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완성된 치과기공물의 상태 점검이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보형물 제작의 소요 시간과 비용을 저감시키고, 보형물 제작의 정밀도 향상으로 정확한 치과 보철물을 제공함으로써 시술받는 환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기공용 교합기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위치세팅유닛의 사시도와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위치세팅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위치세팅유닛의 주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요부와 관련되며, (a)는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작동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승강유닛과 관련되며, (a)는 사시도이고, (b)는 작동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위치세팅유닛의 또 다른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1 작동부와 관련되며, (a)는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사용된 피스톤부재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소모플레이트의 사용 상태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위치세팅유닛의 사시도와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위치세팅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위치세팅유닛의 주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주요부와 관련되며, (a)는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b)는 작동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승강유닛과 관련되며, (a)는 사시도이고, (b)는 작동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위치세팅유닛의 또 다른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1 작동부와 관련되며, (a)는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b)는 사용된 피스톤부재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소모플레이트의 사용 상태를 간략히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세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기공용 교합기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기술적 의미가 동일성 범위에 있는 구성요소를 편의상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어떠한 하나의 구성은 임의적으로 '제1구성' 또는 '제2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치아 모형', '모형'은, 환자의 구강 구조를 재현한 상악 모형 또는 하악 모형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세팅유닛이 장착된 교합기와 관련된다.
교합기(200)는 지면에 세워지는 하부구조체(210), 하부구조체(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구조체(220)를 포함한다. 하부구조체(210)와 상부구조체(220)는 힌지(230)로 연결되며, 힌지(230) 축은 실제 악관절을 표현하기 위해 회전축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하부구조체(210)에는 하악 모형(T)이 거치되고, 상부구조체에는 상악 모형(T)이 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 하악 모형(T)은 각 위치세팅유닛(100)을 통해 상, 하부구조체에 연결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 하악 모형 둘 다 위치세팅유닛(100)을 통해 교합기에 거치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상하의 두 위치세팅유닛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구조체와 상부구조체의 형상과, 이들을 연결하는 힌지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세팅유닛과 관련된다.
도 2는 상악 모형 거치에 사용된 위치세팅유닛(100)과 관련되며, (a)는 조립된 상태의 위치세팅유닛(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b)는 유닛세팅유닛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하악 모형의 거치에 사용되는 위치세팅유닛은, 도 2에 도시된 위치세팅유닛을 상하로 뒤집은 것이며, 구조는 동일하다.
위치세팅유닛(100)은 제1 조정부(10)와 제2 조정부(20)를 포함한다.
제1 조정부(10)는 모형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평면에 대한 모형의 기울기 각도와 모형의 높낮이(z축 길이)를 조절하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기울기 각도는 수평면에 대하여 모형의 전후 기울기 각도(y축이 회전축)와 좌우 기울기 각도(y축이 회전축)를 포함한다.
한편 제2 조정부(20)는 교합기와 제1 조정부(10)를 연결하면서, 교합기에 대하여 제1 조정부(10)가 수평면 상에서 평면 이동(xy 평면상 이동)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수평면과 수직한 축(z축)을 기준으로 제1 조정부(10)의 회전각을 조절한다. 따라서 이러한 제2 조정부(20)와 제1 조정부(10)에 의하여 모형은 3차원적 위치 이동(x축, y축 또는 z축에 대한 길이 이동, x축, y축 또는 z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조정부(10)와 제2 조정부(20)의 작동에 따른 모형의 위치 변경을 통해 교합기에 결합된 상황에서 모형의 위치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모형을 제공한 환자의 상악 모형과 하악 모형의 정밀한 재현이 가능하다.
특히 위치세팅유닛(100)에 모형이 부착된 위치가 실제와 다소 다르더라도 교합기의 사용자가 상, 하악 모형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3 및 도 6 내지 도 7은 제1 조정부와 관련된다.
제1 조정부(10)는 장착플레이트(1)와 복수의 승강유닛(2)을 포함한다.
모형은 장착플레이트(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모형은 석고 작업을 통해 소모플레이트(3)에 고정되며, 소모플레이트(3)가 장착플레이트(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모형이 장착플레이트(1)에 결합된다.
도 3에서 장착플레이트(1)의 하면에는 복수의 함몰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소모플레이트(3)의 상면에는 함몰홈(11)에 대응하는 끼움돌기(31)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장착플레이트(1) 내부에는 영구자석이 내장되어 있고, 소모플레이트(3)의 내부에는 자력에 끌리는 철판 등이 구비된다.
이로써 함몰홈(11)과 끼움돌기(31)의 결합에 의해 소모플레이트(3)가 장착플레이트(1)에 올바른 위치로 결합되고, 자력에 의해 장착플레이트(1)와 소모플레이트(3)의 결합이 유지된다.
소모플레이트(3)와 장착플레이트(1)의 분리 가능한 결합은, 함몰홈(11)과 끼움돌기(31) 및 자석과 철판 등의 조합 외에 공지된 다른 분리 가능한 결합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모플레이트와 장착플레이트의 장착 위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서로 대응하는 다양한 구조적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소모플레이트와 장착플레이트의 결합을 유지시키기 위한 볼트 체결, 클램프 체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승강유닛(2)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부재로, 제2 조정부(20)(구체적으로는 이동플레이트(6))와 장착플레이트(1)를 연결한다.
승강유닛(2)은 장착플레이트의 평면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가 배치되어 있는데,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4개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승강유닛의 수는 3 이상의 복수가 될 수 있다.
승강유닛(2)은 기계적 작동에 의해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변경된다. 복수의 승강유닛(2)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함으로써 요구되는 장착플레이트(1)의 위치(기울기 및 높이)에 따라 적절히 신장하거나 신축하게 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된 승강유닛과 관련된다. 도 7에 도시한 승강유닛은 이해를 돕도록, 도 2에 도시한 승강유닛을 상하 뒤집어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승강유닛(2)은 거치블록(21), 제1 링크(22), 제2 링크(23), 중간연결구(24), 제3 링크(25), 제4 링크(26), 슬라이더(27) 및 안내레일부(28)를 포함한다.
거치블록(21)은 제2 조정부(20)(구체적으로 이동플레이트(6))에 고정되며, 거치블록(21)에는 제1 링크(22)와 제2 링크(2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제1 링크(22)의 길이와 제2 링크(23)의 길이는 동일하며, 거치블록(21)에 힌지 결합되는 제1 링크(22)와 제2 링크(23)의 회전축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중간연결구(24)는, 일단부가 거치블록(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링크(22)와 제2 링크(23)의 각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재이다. 이때 중간연결구(24)에 제1 링크(22)와 제2 링크(23)의 타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위치는 거치블록(21)에 제1 링크(22)와 제2 링크(23)의 서로 다른 힌지 결합 위치에 대응함으로써, 제1 링크(22)와 제2 링크(23)는 평행하게 놓인다. 제1 링크(22) 또는 제2 링크(23)가 회전하면 기구적으로 제2 링크(23) 또는 제1 링크(22)가 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제3 링크(25)는, 일단부가 중간연결구(24)에 힌지 결합되면서, 제1 링크(22)의 타단부와 기어(G)로 물림 결합 되어 제1 링크(22)와는 대향적으로 회전한다. 제3 링크(25)의 끝단부에는 볼(251)이 구비되며, 이 볼(251)은 장착플레이트(1)의 일면에 형성된 구형 끼움홈(12)에 결합되어 볼조인트를 구성한다.
제1 링크(22)의 타단부와 제3 링크(25)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호 물림되는 기어(G)는, 제1 링크(22)와 제3 링크(25)의 가동 각도 범위 내에서 치형을 형성하고, 가동 범위 외에는 치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기어(G)는 물림성을 개선하기 위해 헬리컬 기어를 사용할 수 있다.
제4 링크(26)는 제1 링크(22)의 중간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는 슬라이더(2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안내레일부(28)는 제2 조정부(20)(구체적으로 이동플레이트(6))에 결합되어 있으며, 슬라이더(27)가 미끄럼 이동하도록 구속한다. 실시예에서 안내레일부(28)는 수평한 봉 부재이고, 슬라이더(27)는 봉 부재의 둘레를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제시되어 있다.
도 6의 (b)에서 제3 링크(25)의 타단부에 구비된 볼이 하강하면, 제3 링크(2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제1 링크(22)와 제2 링크(23)는 제3 링크(25)에 대향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링크(22)와 제2 링크(23)는 여전히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승강유닛(2)의 링크 결합 관계를 유지시킨다. 또한 제4 링크(26)와 연결된 슬라이더(27)는 도면의 왼쪽으로 안내레일부(28)를 따라 수평하게 이동하게 된다.
장착플레이트(1)의 위치 변경은 작업자가 장착플레이트(1)나 모형을 손으로 잡고 강제로 변위시키는 힘에 의존하게 된다. 승강유닛(2)은 장착플레이트(1)의 위치를 변경시킨 작업자에 의해 변형된 후에, 작업자가 손을 떼어 외력을 해제하면 변형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상태 유지를 위하여 승강유닛(2)의 각 구동 부분의 마찰력을 이용한다. 즉 회전이 이루어지는 각 회전축과,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슬라이더(27)와 안내레일부(28) 간의 마찰력을 크게 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상당한 외력에 의해 회전이나 미끄러짐이 가능(승강유닛의 변형)하지만, 외력을 해제하였을 때에는 승강유닛이 변형된 현재 상태를 고수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링크의 회전축은 금속봉으로 구성하고, 회전축을 감싸는 축부재는 내경이 금속봉보다 다소 작은 합성수지로 제작하여, 힌지 결합을 양자의 억지 끼움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안내레일부(28)의 봉 부재는 금속으로 하고, 슬라이더(27)의 내경이 봉 부재의 외경보다 조금 작게 합성수지로 제작한 다음 억지 끼움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구동이 이루어지는 요소의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슬라이더의 이동을 구속하는 잠금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수단은 토글 스위치에 의해 슬라이더가 레일안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없도록 구속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 잠금수단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점선으로 표시한 장착플레이트(1)는 이동플레이트(6)와 평행하게 놓인 상태이고, 실선으로 표시한 장착플레이트(1)는 x축과 y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된 상태이다. 임의의 각도로 기울인 장착플레이트(1)에 대해, 장착플레이트(1)의 평면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에 놓인 4개의 승강유닛(2) 각각은 적절히 신축 또는 신장된 상태이다. 이때 승강유닛(2)과 장착플레이트(1)는 볼조인트로 연결됨으로써 제3 링크(25)의 비틀림을 해소하게 된다.
나아가 장착플레이트(1)가 임의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모든 승강유닛(2)이 신축 또는 신장함으로써, 장착플레이트(1)가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높낮이만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8은 승강유닛의 다른 실시예로, 승강유닛은 신축 작동이 가능한 피스톤부재(4)이다.
각 피스톤부재(4)는 실린더(41)와 피스톤로드(42)를 포함하며, 실린더(41)의 끝단과 피스톤로드(42)의 끝단에는 볼(251)이 구비되어, 장착플레이트와 이동플레이트에 볼조인트로 결합된다. 피스톤부재(4)는 작동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기울어진 상태로 조립된다.
피스톤부재는 피스톤로드의 외경과, 피스톤로드가 미끄러지는 실린더 내경의 재질과 사이즈를 달리함으로써 마찰력을 크게 하여, 신축 작동에 상당한 외력이 요구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스톤로드(42)는 금속 재질로 하고, 피스톤로드(42)와 마찰되는 실린더(41)의 내부에는 피스톤로드(42)의 외경보다 다소 작은 내경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마찰블록(411)를 사용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강유닛은 승강 작동이 가능한 다양한 기계 요소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조정부와 관련된다.
제2 조정부(20)는 교합기에 연결되는 하우징(5)과, 하우징(5)에 대하여 수평 이동하거나 회전이 가능한 이동플레이트(6)를 포함한다. 이동플레이트(6)의 배면에는 전술한 승강유닛(2)이 결합되어, 제2 조정부(20)와 제1 조정부(10)가 연결된다.
하우징(5)은 교합기의 상부구조체 또는 하부구조체에 고정되는 부재이다. 또한 하우징(5)의 내부에는 수평한 빈 공간(S)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S)과 연통되는 개방홀(51)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하우징 내부의 공간(S)은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플레이트(6)는 하우징(5)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장착부(61)를 구비한다.
장착부(61)는 기둥(611)과, 기둥(611)의 끝단에 구비되며 기둥(611)의 단면적보다 넓은 미끄럼블록(612)을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미끄럼블록(612)은 원형판으로 도시되어 있다.
기둥(611)의 단면적은 개방홀(51)의 단면적보다 작고, 미끄럼블록(612)의 단면적은 하우징(5)의 내부의 빈 공간(S)의 단면적보다 작다. 다만 미끄럼블록(612)의 단면적은 개방홀(51)의 단면적보다는 크다. 이로써 장착부(61)가 하우징(5)의 내부 공간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플레이트(6)가 수평면 상에서 수평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으며, 하우징(5)으로부터 이동플레이트(6)가 분리되지 아니하게 된다.
도 5의 (b)에서는 하우징(5)의 내부의 빈 공간(S) 내에서 수평 이동한 미끄럼블록(612)과 기둥(611)을 간략히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5) 내부의 빈 공간(S)과 미끄럼블록(612) 사이의 여유 공간과, 개방홀(51)과 기둥(611)의 사이의 여유 공간은, 하우징에 대한 이동플레이트의 수평 이동 또는 회전을 허용한다.
나아가 하우징(5) 내부의 공간에는 미끄럼블록(612)의 상면과 하면에 접촉하는 마찰부재(5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찰부재(52)의 두께를 조절하여, 하우징(5) 내에 설치된 상하의 마찰부재(52)가 미끄럼블록(612)의 상하를 가압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미끄럼블록(612)은 금속재질로 제작하고, 마찰부재(52)를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이동플레이트(6)를 수평면 상에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킬 때에 마찰부재(52)와 미끄럼블록(612)의 마찰력을 크게 하여, 작업자에게 상당한 외력이 요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이동플레이트(6)에 가한 외력을 해제하였을 때에, 마찰부재들(52)이 미끄럼블록(612)을 강하게 가압하여 이동플레이트(6)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조정부(20)를 통해 제1 조정부(10) 및 그에 결합된 모형은 수평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고, 수평면과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조정부(10)와 제2 조정부(20)의 조합을 통해, 모형은 3차원 공간에서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9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소모플레이트와 관련된다.
소모플레이트(3)는 장착플레이트(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소모플레이트(3)에는 석고로 성형한 모형(T)이 안착된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소모플레이트(3)는 모형의 취급을 용이하게 돕는 파지구(32)를 구비한다.
파지구(32)는 제작된 모형이 장착된 기틀(300)을 분리 가능하게 끼움 방식으로 파지하여, 제작하려는 일부 치형 등 모형의 일부분을 작업자가 전체 치아 모형에서 분리하고 재조립하는 작업에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소모플레이트(3)는 사용자의 일측 어금니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 치아 모형을 위한 것이다.
파지구(32)는 사람들의 구강 구조의 따른 개략적인 굴곡을 따른 형상이고, 소모플레이트(3) 위에 고정된다. 파지구(32)에 내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주름(3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파지구(32)에 끼워지는 기틀(300)의 하단부 둘레에도 주름(310)이 형성되어 있다.
더하여 파지구(32)의 주름(321) 중간에는 삽입홈(322)이 형성되고, 기틀(300)에는 삽입홈(322)에 끼워지는 단턱(320)이 돌출되어 있어, 파지구(32)에 끼운 기틀(300)의 이탈을 방지하고, 기틀(300)을 파지구(32)에 끼워 넣을 때에 장착감을 생성하여 작업자에게 전달한다.
기틀(300)과 파지구(32)는 합성수지로 제작됨으로써, 기틀(300) 위에 고정시킨 모형(T)과 함께 톱질로 절개 가능하다. 제작하려는 대상을 그 외 부분과 분리하기 위해 모형의 일부분을 절개할 때에, 파지구(32)에 기틀(300)을 장착한 상태에서 모형(T), 기틀(300) 및 파지구(32)를 한 번에 톱질할 수 있다. 이후 톱질에 의해 분리된 모형의 일부분을 들어내어 추가적인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톱질에 의해 톱날 폭만큼의 좌우 틈이 발생하지만, 파지구(32)와 기틀(300)에 형성해 둔 주름(321, 310)의 결합을 통해, 분리된 일부분이 올바른 위치에 재결합될 수 있다.
100 : 위치세팅유닛
10 : 제1 조정부
1 : 장착플레이트 11 : 함몰홈 12 : 끼움홈
2 : 승강유닛
21 : 거치블록 22 : 제1 링크 23 : 제2 링크
24 : 중간연결구 25 : 제3 링크 251 : 볼
G : 기어 26 : 제4 링크 27 : 슬라이더 28 : 안내레일부
3 : 소모플레이트
31 : 끼움돌기 32 : 파지구 321 : 주름 322 : 삽입홈
4 : 피스톤부재
41 : 실린더 411 : 마찰블록 42 : 피스톤로드
20 : 제2 조정부
5 : 하우징 S : 공간 51 : 개방홀 52 : 마찰부재
6 : 이동플레이트 61 : 장착부 611 : 기둥 612 : 미끄럼블록
200 : 교합기 210 : 하부구조체 220 : 상부구조체 230 : 힌지
T : 모형
300 : 기틀 310 : 주름 320 : 단턱
10 : 제1 조정부
1 : 장착플레이트 11 : 함몰홈 12 : 끼움홈
2 : 승강유닛
21 : 거치블록 22 : 제1 링크 23 : 제2 링크
24 : 중간연결구 25 : 제3 링크 251 : 볼
G : 기어 26 : 제4 링크 27 : 슬라이더 28 : 안내레일부
3 : 소모플레이트
31 : 끼움돌기 32 : 파지구 321 : 주름 322 : 삽입홈
4 : 피스톤부재
41 : 실린더 411 : 마찰블록 42 : 피스톤로드
20 : 제2 조정부
5 : 하우징 S : 공간 51 : 개방홀 52 : 마찰부재
6 : 이동플레이트 61 : 장착부 611 : 기둥 612 : 미끄럼블록
200 : 교합기 210 : 하부구조체 220 : 상부구조체 230 : 힌지
T : 모형
300 : 기틀 310 : 주름 320 : 단턱
Claims (6)
- 치과기공용 교합기에 장착되어 있으며, 환자의 구강 구조를 재현한 상악 모형 또는 하악 모형과 연결되며, 상하로 구비되는 모형의 상호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위치세팅유닛에 있어서,
상기 모형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평면에 대한 기울기 각도가 조절 가능하면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제1 조정부와,
상기 교합기와 상기 제1 조정부를 연결하며, 상기 교합기에 대하여 상기 제1 조정부를 수평면 상에서 이동과 수직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파지하는 제2 조정부를 포함하는 제2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정부는
상기 모형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장착플레이트의 일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적어도 3 이상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기계적 작동에 의해 높낮이가 서로 다르게 변경됨으로써 상기 제2 조정부에 대한 제1 조정부의 각도 조절을 구현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제2 조정부에 고정되는 거치블록,
상기 거치블록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각 회전축이 서로 다른 위치인 제1 링크 및 제2 링크,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를 평행하게 하며,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각 타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중간연결구,
상기 제1 링크의 타단부와 기어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링크와 대향적으로 회전되며, 끝단부에는 볼이 구비된 제3 링크,
상기 제1 링크의 중간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링크,
상기 제4 링크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조정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가 미끄럼 이동하도록 구속하는 안내레일부를 포함하여,
각 상기 승강유닛에 구비된 각 상기 제3 링크의 끝단부의 상기 볼이 상하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상기 제2 조정부에 대한 상기 제1 조정부의 각도 조절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세팅유닛. - 삭제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제2 조정부는
상기 교합기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평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개방홀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개방홀을 통해 상기 수평한 공간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이동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개방홀을 통과하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끝단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의 천장 및 바닥과 접하는 미끄럼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기둥의 단면적은 상기 개방홀의 단면적보다 작고, 상기 미끄럼블록의 단면적은 상기 공간의 수평 단면적보다 보다 작아서, 상기 이동플레이트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수평면 상에서의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세팅유닛.
- 제1항에서,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소모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소모플레이트에는 상기 모형의 기틀을 끼움 방식으로 파지하는 파지구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파지구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형성되어 있는
위치세팅유닛.
- 지면에 세워지며 하악 모형이 거치되는 하부구조체,
상기 하부구조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악 모형이 거치되는 상부구조체 및
상기 하부구조체 또는 상기 상부구조체에 결합되며, 제1항과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위치세팅유닛을 포함하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5888A KR101745306B1 (ko) | 2016-01-18 | 2016-01-18 | 위치세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05888A KR101745306B1 (ko) | 2016-01-18 | 2016-01-18 | 위치세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5306B1 true KR101745306B1 (ko) | 2017-06-12 |
Family
ID=59219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05888A KR101745306B1 (ko) | 2016-01-18 | 2016-01-18 | 위치세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530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88114A (ja) * | 2004-04-01 | 2005-10-20 | Norihiro Masuda | 顎模型等保持支持装置。 |
US20090035739A1 (en) | 2007-07-30 | 2009-02-05 | The University Of Bristol | Dental simulator |
KR101180623B1 (ko) * | 2012-03-26 | 2012-09-07 | (주)알파덴트 | 석고 치아모형 그립퍼를 갖는 교합기 |
JP2015522320A (ja) * | 2012-06-07 | 2015-08-06 | ヴァーツラフ メンサVaclav Mensa | 石膏を用いずに歯の石膏模型を咬合器中に固定するシステム |
-
2016
- 2016-01-18 KR KR1020160005888A patent/KR1017453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88114A (ja) * | 2004-04-01 | 2005-10-20 | Norihiro Masuda | 顎模型等保持支持装置。 |
US20090035739A1 (en) | 2007-07-30 | 2009-02-05 | The University Of Bristol | Dental simulator |
KR101180623B1 (ko) * | 2012-03-26 | 2012-09-07 | (주)알파덴트 | 석고 치아모형 그립퍼를 갖는 교합기 |
JP2015522320A (ja) * | 2012-06-07 | 2015-08-06 | ヴァーツラフ メンサVaclav Mensa | 石膏を用いずに歯の石膏模型を咬合器中に固定するシステム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3082786 U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15674B1 (ko) | 치아 모형, 교합기 및 그 생성 방법 | |
US20190247170A1 (en) | Impressionless dental modeling systems and methods | |
KR101657990B1 (ko) | 인공치아 교합기 | |
CN105377180A (zh) | 人造牙齿咬合器 | |
US20060204920A1 (en) | Dental articulator and method for using same | |
KR20190087445A (ko) | 임플란트 홀 형성 기구의 고정 방법, 및 임플란트 홀을 형성하기 위한 치아교합을 통한 조절 가능한 제어 핸드피스 가이드 플레이트 | |
KR101745306B1 (ko) | 위치세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 |
US6821115B2 (en) | Apparatus for preparing at least one tooth for receiving a crown, bridge and the like | |
US7172424B2 (en) | Method of mounting removable restoration tooth by using a standardized set of inner crown units, outer crown units, and device units for conforming abutment | |
KR101291713B1 (ko) | 치아 보철용 3차원 측정장치 | |
KR102152234B1 (ko) | 3차원 스캐너 | |
KR20120029636A (ko) | 교합기 및 이를 위한 치아모형틀 | |
KR101865550B1 (ko) | 위치세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기공용 교합기 | |
CA2492228A1 (en) |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 |
JPH0260335B2 (ko) | ||
KR101816497B1 (ko) |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 | |
KR100454222B1 (ko) | 교합기 | |
KR200320648Y1 (ko) |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 |
KR101432420B1 (ko) | 정밀한 교합조정 테스트가 가능한 교합기 | |
US20030180683A1 (en) | Dental articulator with extended motion range | |
JP3133306U (ja) | 歯の模型の固定架の構造 | |
JP2000042004A (ja) | 歯科咬合器 | |
JP2013132356A (ja) | 咬合器 | |
AU2001283851A1 (en) | Articulator, specifically for applications in dentistry and dental technique | |
EP1226792A2 (en) | Apparatus and method to make dental prothes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