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648Y1 -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 Google Patents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648Y1
KR200320648Y1 KR20-2003-0013275U KR20030013275U KR200320648Y1 KR 200320648 Y1 KR200320648 Y1 KR 200320648Y1 KR 20030013275 U KR20030013275 U KR 20030013275U KR 200320648 Y1 KR200320648 Y1 KR 200320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base
fixing
sadd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박수강
안남일
한연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안남일
한연수
박수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안남일, 한연수, 박수강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20-2003-0013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6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6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델의 블록 아웃의 작업을 진행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고안된 한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는, 작업대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 경사가 가변되도록 사방으로의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됨과 아울러 모델이 안착되는 새들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새들 베이스의 경사 각도를 고정/해제시키는 각도 고정/해제수단과; 상기 새들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모델을 고정/해제시키는 모델 고정/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A vise-device for model}
본 고안은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델의 블록 아웃의 작업을 진행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고안된 한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를 적절히 관리하지 못하게 되면 치아에 병원균이 침투해서 치아가 썩거나 잇몸질환등이 발생하는 경우, 치아를 뽑거나 심하게 훼손된 경우 그 부위를 치료하고 정상적인 주변의 치아 또는 대치되는 치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손상되거나 썩은 치아를 정상적인 상태로 복원하는 방법으로 인공치아로 심거나 기존의 치아에 보철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인공치아로 교체하거나 보철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통상 치과병원에서 환자의 치아에 대한 음각본을 만들어 기공소로 보내지게 된다. 기공소에서는 만들어진 음각본에 치과용 경석고를 주입하여 치아의 모형을 만드는데, 치아의 모형은 치료 또는 보철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치아의 갯수에 따라 치료할 해당치아만을 만드는 부분치아모형, 일측치아모형, 총치아모형 등으로 치아모형을 뜨며, 치아의 상관관계에 따라 작업치 또는 작업치와 대향되는 대합치의 치아모형을 제작한다.
작업치와 대합치가 만들어진 경우에 최종적으로 환자의 치아 교합 및 저작구조에 알맞는 보철물 및 인공치아를 제작하기 위해 이의 상관관계를 사전에 파악하여 최적의 보철물과 인공치아를 만들 수 있도록 환자의 상·하악 구조를 재현시켜야 하는데, 환자의 치아구조에 맞는 상·하악 구조를 재현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기구가 교합기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종래의 기공소에서 치아모형의 제작과 제작된 치아모형과 교합기의 마운팅 작업 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치과병원에서 환자의 치아모형을 만들기 위한 임프레션(Impression)이나 바이트(Bite)를 뜨고, 임프레이션이나 바이트는 치과기공소로 보내지게 되며, 치과기공소에는 환자의 임프레이션이나 바이트를 가지고 경석고(Hard stone)를 이용해 치형을 뜬다. 일정시간 지난 후에 경석고가 굳게되면 완성된 치형에 대해 다듬질작업(Polising)을 수행하고, 다듬질 작업이 끝나면 치료, 즉 보철이 행해질 치아의 모형 저면이나 그 주변 치아모형에 대해 핀작업(Pining)을 수행하게 된다.
핀작업(Pining)은 다듬질이 완료된 치아모형 저면에 고정핀(다우얼핀이라고도 함)이 삽입될 홈을 드릴로 가공하고, 가공된 홈에 고정핀의 상단에 접착제를 발라 끼움 결합시키면 고정핀의 상단이 고정되며, 치아모형의 저면에 결합시키는 고정핀의 핀작업은 통상 작업치의 경우에만 행하게 된다. 핀작업이 완료된 작업치가 고정 설치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베이스부재를 제작하여야 한다.
베이스부재 또한 작업치의 형상에 따라 부분본, 일측본, 총치아본으로 제작되며, 치아모형에 해당되는 베이스부재는 고무몰드에 경석고를 부어 제작되며, 베이스부재의 경석고가 경화되기 전에 기 핀작업이 완료된 치아모형의 저면에 분리제를 발라 치아모형의 저면에 노출된 고정핀이 베이스부재 상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치아모형을 가압하면 노출된 고정핀이 베이스부재 내부로 삽입되어 베이스부재 상면에 치아모형이 결합된다.
일정시간 경과 후 베이스부재가 경화된 후에 몰드에서 분리된 베이스부재와 대합치는 교합기에 고정 설치되며, 교합기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치아모형이 결합된 베이스부재와 대합치에 대해 또다시 석고작업을 수행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이 교합기에 결합된 작업치와 대합치는 교합기의 상·하동작에 의해 환자 치아의 상·하악 교합구조를 재현하게 되며, 이의 재현으로 치료가 필요한 해당치아의 정확한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보철물 제작시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교합기에 고정된 작업치는 치료가 필요한 치아에 대해 절단작업(Sawing)을 하여 절단된 치아모형을 교합기에서 분리하여 후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후작업으로는 언더컷(under cut)을 매워주는 작업 또는 블록 아웃(block out)작업, 왁스작업(Waxing), 매몰(Investing), 소환(Burning), 경석고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보철물을 제작하게 되고, 제작된 보철물은 마무리(Polishing)작업을 통하여 최종 보철물을 완료하게 되며, 제작이 완료된 보철물은 다시 교합기에 고정된 치료가 필요한 치아모형에 씌워져 교합기의 상·하ㆍ좌ㆍ우 동작으로 환자치아의 교합 및 저작관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중에서 블록아웃 작업을 진행할 때 바이스장치에 고정시켜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종래 기술에 의한 바이스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외관 형상을 갖는 모델을 탄력적으로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모델의 블록 아웃의 작업을 진행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고안된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바이스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바이스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바이스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바이스장치의 일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바이스장치에 모델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각도 고정/해제수단의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델 10 : 베이스
11 : 구형 공간부 12 : 개구부
15 : 구체 16 : 연결부재
20 : 새들 베이스 21 : 안치홈
21a : 평탄부 21b : 양측벽부
30 : 각도 고정/해제수단 31,32 : 제1, 제2 나사공
33 : 나사부 34 : 핸들
40 : 모델 고정/해제수단 41 : 고정 지지구
42 : 가이드홈 42a : 일측 내벽
42b : 타측 내벽 43 : 스크류부재
44 : 이동 지지구 45 : 조정핸들
41a, 44a : 요철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는, 작업대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 경사가 가변되도록 사방으로의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됨과 아울러 모델이 안착되는 새들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새들 베이스의 경사 각도를 고정/해제시키는 각도 고정/해제수단과; 상기 새들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모델을 고정/해제시키는 모델 고정/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바이스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바이스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바이스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바이스장치의 일측면도이며,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바이스장치에 모델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각도 고정/해제수단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바이스장치는 베이스(10)와, 새들 베이스(20)와, 각도 고정/해제수단(30)과, 모델 고정/해제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0)는 작업대(미도시)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새들 베이스(20)는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경사가 가변되도록 사방으로의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됨과 아울러 모델(1)을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도 고정/해제수단(30)은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새들 베이스(20)의 경사 각도를 고정/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델 고정/해제수단(40)은 상기 새들 베이스(20)에 설치되어 상기 모델(1)을 고정/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10)는 제1 베이스(11)와, 상기 제1 베이스(11)의 상면에 안착되어 접시구체트등의 체결수단(13)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제2 베이스(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제2 베이스(11)(12)의 내부에는 상기 제2 베이스(12)의 상면으로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14a)를 구비한 구형 공간부(14)가 형성되며, 상기 구형 공간부(14)에는 구체(15)가 상기 개구부(14a)로 일부가 돌출되게 내장 설치되되며, 상기 개구부(14a)로 돌출된 구체(15)와 상기 새들 베이스(20)의 하면은 연결부재(16)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베이스(12)에 구형 공간부(11)를 형성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체(15)를 내장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하여 다른 방법으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구형 공간부(11)를 형성하는 것과 이 구형 공간부(11)에 구체(15)를 설치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부분은 별도로 도면상에 도시하는 단면도로 도시하여 이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합니다.
상기 각도 고정/해제수단(30)은, 상기 제1, 제2 베이스(11)(12)에 각각 상하로 연통되도록 제1, 제2 나사공(31)(32)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제2 나사공(31)(32)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33)를 구비하여 상기 제2 베이스(12)의 외측에 위치되는 핸들(34)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34)의 회전 각도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부(33)가 상기 제1, 제2 나사공(31)(32)에 나사 결합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나사공(32)에만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제2 베이스(11)(12)의 접촉력을 가변시켜 상기 구체(15)를 상기 구형 공간부(14)내에서 회전/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모델 고정/해제수단(40)은, 고정 지지구(41)와, 이동 지지구(44)와, 스크류 부재(43)와, 조정핸들(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지지구(41)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새들 베이스(20)의 끝단부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모델(1)의 외면 일측을 지지하도록 돌출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부재(43)는 상기 새들 베이스(20)의 타단부에 끝단부로 갈수록상하로 관통 형성된 일정 길이의 가이드홈(42)의 일측 내벽(42a)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홈(42)의 타측 내벽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새들 베이스(20)의 외부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42)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나사부(43a)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 지지구(44)는 상기 스크류부재(4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42)내에서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홈(42)내에 상기 나사부(43a)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모델(1)의 외면 타측을 지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조정핸들(45)은, 상기 스크류부재(43)의 외부로 돌출된 스크류부재(43)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부재(43)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 지지구(44)의 이동 거리를 조정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46은 스크류부재(43)의 조립시 새들 베이스(20)의 끝단과 조정핸들(45)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스크류부재(43)가 관통되어 회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 플레이트이다.
즉, 상기 지지 플레이트(46)는 상기 가이드홈(42)의 타측 내벽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전술한 설명에서 상기 새들 베이스(20)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 플레이트(46)를 별도로 새들 베이스(20)로부터 분리할수도 있다.
즉, 상기 가이드홈(42)의 타측 내벽이 새들 베이스(20)로부터 분리 결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42)의 타측 내벽은 상기지지플레이트(46)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고정 지지구(41) 및 이동 지지구(44)의 외면에는 상기 모델(1)과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요철부(41a,44a)가 형성된다.
이제까지 설명한 상기 새들 베이스(20)의 상면에는 상기 모델의 하면이 구체록하게 돌출된 형상인 경우에 안착 가능하도록 일정한 크기의 오목한 형상의 안치홈(21)이 형성된다.
상기 안치홈(2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으로 반구홈 형상으로 형성이 되도록 할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치홈(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부(21a)와, 상기 평단부(21a)의 양측에 형성된 양측벽부(21b)가 테이퍼지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할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을 위한 모델(1)을 새들 베이스(20)의 상면에 형성된 안치홈(21)에 안치시킨 후에, 작업자는 조정 핸들(33)을 회전 조작하여 이동 지지구(44)를 모델(1)측으로 근접되게 이동시킨다.
상기 이렇게 되면, 모델(1)은 고정 지지구(41)와 이동 지지구(44)에 의해 현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아울러 보편성 교합기(1b)가 부착된 모델(1)의 하면(1a)이 임의의 형상을 갖는 구체록한 외면을 갖는 경우에는 본 고안의 안치홈(21)에 의해 원활하게 안치될 수 있으며, 대부분의 모델을 충분히 본 고안의 바이스 장치로써 충분히 적용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이스장치는 모델을 제작할 때 치기공분야에서 가장 만히 사용되는 평균치 교합기(1b)의 상하부홈의 규격에 일체되도록 설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이스 장치는 새들 베이스(20)를 베이스(10)에 대해 경사 각도 조절할 수 있는데, 먼저, 핸들(33)을 회전시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32)가 구체(15)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구체(15)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어 구체(15)은 구형 공간부(11)내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작업이 편리한 각도로 새들 베이스(20)를 베이스(10)에 대해 가변시킨후, 다시 핸들(33)을 회전시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32)가 구체(15)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새들 베이스(20)는 고정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왁스 작업 전단계인 블록 아웃 작업을 실시할떼 보다 편리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스크류부재등이 새들 베이스의 내부에 내장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외관이 미려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모델의 블록 아웃의 작업을 진행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작업대의 상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경사가 가변되도록 사방으로의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됨과 아울러 교합기(1b)가 구비된 모델(1)이 안착되는 새들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10)에 대해 새들 베이스(20)의 경사 각도를 고정/해제시키는 각도 고정/해제수단(30)과;
    상기 새들 베이스(20)에 설치되어 상기 모델(1)을 고정/해제시키는 모델 고정/해제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제1 베이스(11)와, 상기 제1 베이스(11)의 상면에 안착되어 체결수단(13)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제2 베이스(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제2 베이스(11)(12)의 내부에는 상기 제2 베이스(12)의 상면으로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14a)를 구비한 구형 공간부(14)가 형성되며,
    상기 구형 공간부(14)에는 구체(15)가 상기 개구부(14a)로 일부가 돌출되게 내장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14a)로 돌출된 구체(15)와 상기 새들 베이스(20)의 하면은 연결부재(16)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고정/해제수단(30)은,
    상기 제1, 제2 베이스(11)(12)에 각각 상하로 연통되도록 제1, 제2 나사공(31)(32)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제2 나사공(31)(32)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33)를 구비하여 상기 제2 베이스(12)의 외측에 위치되는 핸들(34)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34)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나사부(33)가 상기 제1, 제2 나사공(31)(32)에 나사 결합되거나 상기 제2 나사공(32)에만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제2 베이스(11)(12)의 접촉력을 가변시켜 상기 구체(15)를 상기 구형 공간부(14)내에서 회전/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 고정/해제수단(40)은,
    상기 새들 베이스(20)의 끝단부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모델(1)의 외면 일측을 지지하도록 돌출 설치되는 한쌍의 고정 지지구(41)와;
    상기 새들 베이스(20)의 타단부에 끝단부로 갈수록 상하로 관통 형성된 일정 길이의 가이드홈(42)을 이루는 일측 내벽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홈(42)을 이루는 타측 내벽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새들 베이스(20)의 외부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홈(42)내에 위치하는 부분에 나사부(43a)가 형성되는 스크류부재(43)와;
    상기 스크류부재(4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홈(42)내에서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홈(42)내에 상기 나사부(43a)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모델(1)의 외면 타측을 지지하는 이동 지지구(44)와;
    상기 스크류부재(43)의 외부로 돌출된 스크류부재(43)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부재(43)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 지지구(44)의 이동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핸들(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구(41) 및 이동 지지구(44)의 외면에는 상기 모델(1)과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요철부(41a,4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42)을 이루는 타측 내벽은 상기 새들 베이스(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 베이스(20)의 상면에는 상기 모델의 하면이 구체록하게 돌출된 형상인 경우에 안착 가능하도록 일정한 크기의 오목한 형상의 안치홈(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홈(21)은 반구홈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홈(21)은 평탄부(21a)와, 상기 평단부(21a)의 양측에 형성된 양측벽부(21b)가 테이퍼지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KR20-2003-0013275U 2003-04-29 2003-04-29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KR200320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275U KR200320648Y1 (ko) 2003-04-29 2003-04-29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275U KR200320648Y1 (ko) 2003-04-29 2003-04-29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648Y1 true KR200320648Y1 (ko) 2003-07-22

Family

ID=49336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275U KR200320648Y1 (ko) 2003-04-29 2003-04-29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64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996B1 (ko) * 2011-01-04 2011-11-09 김영수 바이스 구조
KR200469131Y1 (ko) 2011-12-07 2013-09-23 동 준 유 래치를 포함하는 치아용 교합기
KR102651529B1 (ko) * 2023-05-25 2024-03-26 (주)화이트치과기공소 교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996B1 (ko) * 2011-01-04 2011-11-09 김영수 바이스 구조
KR200469131Y1 (ko) 2011-12-07 2013-09-23 동 준 유 래치를 포함하는 치아용 교합기
KR102651529B1 (ko) * 2023-05-25 2024-03-26 (주)화이트치과기공소 교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13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chining a prosthetic tooth restoration
US7147465B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CA245286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uprastructure and a corresponding drill jig
KR20170023890A (ko) 맞춤형 치과용 임플란트 어버트먼트 및 임프레션 포스트 용 몰드
JPH0759799A (ja) 印像トップ
US4315740A (en) Apparatus for mounting dental casts
US6913462B2 (en) Pin tray dental prostheses modeling system with re-usable tray
DK163708B (da) Fatning til understoetning af en tandprotese
JP2005534450A (ja) 歯型鋳込治具本願は、米国国民であるロナルドイーハフマン名義で、2003年8月4日に米国を除くすべての加盟国を指定国としてpct国際出願されたものである。
US4358269A (en) Plasterless mounting dental articulator
US20080206704A1 (en) Dental modeling system with drillable tray base
KR200320648Y1 (ko) 치기공용 모델 바이스장치
US6948932B2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US6821115B2 (en) Apparatus for preparing at least one tooth for receiving a crown, bridge and the like
US20060210944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KR200446181Y1 (ko) 치아모형 교합기용 플레이트
WO2004002360A1 (en) Dental modeling and articulating system and method
KR100977908B1 (ko) 정밀유도식립을 위한 임플란트용 스텐트의 고정체
JPS58501260A (ja) 歯・あご骨模型の受込みのための関節式動き具
CN108324394B (zh) 全口无牙颌3d颜面万向颚间关系记录装置
US5026279A (en) Dental articulator
US4242292A (en) Method for embedding threaded apertured button in base of dental cast
KR100950200B1 (ko) 정밀유도 식립을 위한 임플란트용 스텐트 고정체
US20040096802A1 (en) Apparatus for precise registration and articulation of dental stone replicas
US7210932B2 (en) Pin-tray dental prostheses mode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