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449B1 - 이미지 도화가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블록 - Google Patents

이미지 도화가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449B1
KR101081449B1 KR1020090013316A KR20090013316A KR101081449B1 KR 101081449 B1 KR101081449 B1 KR 101081449B1 KR 1020090013316 A KR1020090013316 A KR 1020090013316A KR 20090013316 A KR20090013316 A KR 20090013316A KR 101081449 B1 KR101081449 B1 KR 101081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insertion groove
plastering
socket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075A (ko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파그리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파그리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파그리드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01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4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94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면에 다양한 이미지 도화를 친환경적으로 연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미려한 외관이미지를 갖추는 보강토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재질의 블록형 본체(110); 및 본체(110)의 정면에 고정되는 바탕부(121)와, 바탕부(121) 정면에 안착되는 격자망과, 자갈과 접착제가 혼합돼 이루어지며 격자망을 매몰하면서 접착제의 접착력으로 바탕부(121) 정면에 접착 고정되는 미장도화부(122)로 된 미장체(120);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이미지 도화가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블록{Block having the drawn image}
본 발명은 정면에 다양한 이미지 도화를 친환경적으로 연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미려한 외관이미지를 갖추는 보강토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도로를 포함하는 각종 인공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해당 인공 구조물의 안정된 배치를 위해 주변지역에 대한 토지절개, 사방공사 또는 법면공사 등과 같은 옹벽 축조공사가 불가피하다.
종래 옹벽공사는 옹벽 대상지점의 기초를 다진 후 옹벽블록을 축조해 마무리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이때 적용되는 옹벽블록은 중력식 옹벽블록과 같이 단순한 콘크리트 블록이 대부분이었다. 결국, 상기 옹벽블록으로 완성된 옹벽은 반복적이고 단조로운 정면 이미지를 가질 수밖에 없었고, 이는 매우 인공적이고 투박한 모습으로 주변 자연환경과는 어울리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옹벽시공에 적용되는 옹벽블록의 정면이미지를 다양한 모습으로 디자인하였지만, 현실적으로 옹벽블록은 대량 생산될 수밖에 없어서 다양한 모습에도 한계가 있었고, 이러한 한계는 비교적 넓은 정면을 갖는 옹벽이 반복적인 패턴 이미지를 갖도록 하였다. 물론, 이러한 반복적인 패턴 이미지를 갖는 옹벽도 주변 자연과 조화를 이루기는 어려웠고, 시각적으로도 금방 식상해질 수 있어서, 전술한 문제의 완전한 해결방안은 아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옹벽의 정면을 주변 자연경관 및 환경과 어우러질 수 있는 다양한 형태와 이미지를 갖게끔 도화해 연출할 수 있고, 도화된 이미지의 주기적인 교체로 항시 새로운 모습의 옹벽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도화가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블록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재질의 블록형 본체(110); 및
본체(110)의 정면에 고정되는 바탕부(121)와, 바탕부(121) 정면에 안착되는 격자망과, 자갈과 접착제가 혼합돼 이루어지며 격자망을 매몰하면서 접착제의 접착력으로 바탕부(121) 정면에 접착 고정되는 미장도화부(122)로 된 미장체(120);
로 이루어진 이미지 도화가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블록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천연자재인 일반 토석을 이용해 이미지를 도화함으로서 친환경적인 외관 이미지를 손쉽게 표현할 수 있고, 일반 토석이 자중에 의해 옹벽블록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해서 도화 이미지의 노후 가능성을 최소화하며, 이미지 교체가 용이해서 항시 새로운 모습의 옹벽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의 제1실시예를 시공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에 구성된 미장체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100)은 통상적인 블록의 형상을 이루고, 이웃하는 다른 옹벽블록과의 긴밀한 결속을 위해 양측면에는 각각 돌기(111)와 홈(112)이 형성된 본체(110)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돌기(111)와 홈(112)은 서로 이웃하는 옹벽블록(100) 간의 결속을 도모하고, 옹벽블록(100)의 조적 위치를 정확히 하는데 일조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1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엇쌓기 형태로 조적될 수 있다.
계속해서, 옹벽블록(100)의 본체(110) 정면에는 미장체(120)가 고정 배치된다.
미장체(120)는 바탕부(121)와 미장도화부(122)로 구성되는데, 바탕부(121)는 본체(110)의 정면에 위치한다. 이때, 바탕부(121)는 본체(110)와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고, 탈부착 가능하게 될 수도 있는데, 후자의 경우는 아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미장도화부(122)는 콩자갈, 해미석, 쇠석 등과 같은 5mm ~ 10mm 직경의 자연자갈을 접착제와 혼합한 미장부재가 바탕부(121)에 부착돼 고정된 것으로, 자연자갈이 갖는 천연 색을 이용해 특정한 이미지로 도화될 수도 있고, 불규칙한 추상이 미지로 도화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상기 접착제는 자연자갈 간의 결속과, 바탕부(121)와의 접착을 위한 것으로, 접착기능을 갖는 것이라면 다양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에폭시 수지를 접착제로 활용하였다.
미장체(12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미장체(120)는 옹벽블록(100)의 외관 이미지가 드러나는 곳으로, 작업자는 우선 옹벽 정면에 도화할 도안을 완성해 바탕부(121) 상에 도시한다.
바탕부(121)에 도안이 완성되면, 해당 도안에 따라 미장부재를 접착해 붙이되, 혼합된 자연자갈 중 색상을 고려해 진행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100)으로 완성된 옹벽의 정면은 단순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아닌, 다양하고 미려한 친환경 도화지가 되는 것이다.
한편, 바탕부(121)의 정면에 접착된 자연자갈은 접착제를 매개로 미장도화부(122)에 긴밀히 접착돼 고정되므로, 상기 도안에 상응하는 모습을 유지해 게시될 수 있을 것이다.
접착제를 매개로 옹벽블록(100)의 정면에 접착된 자연자갈은 종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정면에서 자중에 의해 분리돼 낙하할 수 있다. 이는 접착제가 장시간 노출되면서 접착성능이 저하되고, 지속적인 풍화로 인해 불가피 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자중을 갖는 자연자갈이 종방향으로 배치된 정면에 접착될 경우엔 그 시가는 더욱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은 바탕부(121)와 미장도화부(122) 사이에 격자망(미도시함)을 배치해서, 바탕부(121)와 미장도화부(122) 간의 결속을 도모할 수 있다. 참고로, 바탕부(121)는 본체(110)와 동일한 콘크리트 재질일 수도 있고, 본체(11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될 경우엔 자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재질의 바탕부(121)와 에폭시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된 미장도화부(122)를 긴밀히 결속시키기 위해 격자망은 코이어섬유와 같은 천연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격자망이 적용될 경우, 도안에 따라 격자망의 패턴을 완성하고, 접착제와 혼합된 자연자갈을 상기 패턴에 따라 포설 접착시키면서 이미지를 도화한다.
도화가 완성된 격자망은 본체(110)의 정면에 몰탈 등을 매개로 접착시켜서 양생한다.
격자망을 대신해서 걸림돌기(124a)가 형성된 볼트체(124)를 이용해 바탕부(121)와 마장도화부(122)의 결속을 도모할 수도 있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탕부(121)의 정면에 암나사산을 갖는 너트체(123)를 매설한다. 이때, 다수 개의 너트체(123)는 도안에 따라 위치될 수도 있고, 일정 간격으로 종횡하게 위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너트체(123)의 암나사산에 상응하는 수나사산을 갖는 볼트체(124)가 너트체(123)에 고정된다. 이때, 전방으로 돌출되는 볼트체(124)의 말단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직각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24a)가 형성되어서, 자연자갈을 긴밀히 구속할 수 있도록 된다. 결국, 바탕부(121)와 미장도화부(122)는 접착제와 같은 화학적 접착력뿐만 아니라 걸림돌기(124a)와 같은 물리적 접착력에 의해 상호 고정되면서, 미장체(120')의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의 제2실시예를 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옹벽블록의 시공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옹벽블록의 시공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옹벽블록(100', 100")의 본체(110')가 미장체(120")와 탈부착 가능하게 되어서, 주기적으로 미장체(120")의 교체를 가능케 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옹벽이 시공되면 옹벽 정면에 표현된 이미지는 옹벽을 재시공하기 전까지는 불변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불변은 이미지에 대한 식상함을 일으켜서 시각적인 불편을 초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미장체(120")의 교체가 요구된다. 한편, 미장체(120")의 주기적인 교체를 가능토록함과 더불어 교체작업의 용이성도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옹벽은 낙석 및 산사태를 방지할 목적으로 시공되기도 하지만, 산간지방에 도로를 놓기 위해 인위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즉, 미장체(120")의 교체작업이 곤란하고 장시간의 소요가 불가피하다면, 현실적으로 도로의 통행을 차단하면서 교체작업을 진행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장체(120")의 교체작업이 용이해야 함은 물론, 교체 후에도 미장체(120")가 본체(110')와 긴밀히 결속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100', 100")은 본체(110')의 정면 중앙 종방향으로 고정 배치되는 중앙소켓(130)과, 본체(110')의 정면 일측단에서 중앙소켓(130)과 나란히 배치되는 일측소켓(140)과, 본체(110')의 정면 타측단에서 중앙소켓(130)과 나란히 배치되는 타측소켓(150)을 더 포함하고, 미장체(120")의 좌우 측단에는 중앙소켓(130), 일측소켓(140) 및 타측소켓(150)에 각각 맞물리는 제1,2고정턱(125, 126)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중앙소켓(130)은 본체(110')의 정면 중앙에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하단이 개구된 삽입홈(131)을 형성한 것으로, 이 삽입홈(131)으로는 미장체(120")의 제1,2고정턱(125, 126)이 각각 삽입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삽입홈(131)의 횡폭은 제1고정턱(125)과 제2고정턱(126)의 횡폭을 합산한 길이와 상응해서, 서로 이웃하는 미장체(120")의 각각의 제1,2고정턱(125, 126)이 모두 삽입홈(131)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한편, 삽입홈(131)의 내측 일면에는 상하단이 개구되고 삽입홈(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걸림홈(132)이 더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미장체(120")의 좌우 양측단에는 각각 제1,2고정턱(125, 126)이 형성되는데, 제2고정턱(126)은 'ㄷ' 형상으로 되어서, 말단이 걸림홈(132)과 맞물리게 된다. 결국, 오른쪽에 위치한 옹벽블록(100")의 중앙소켓(130)의 삽입홈(131)으로 미장체(120")의 제1고정턱(125)이 삽입되고, 왼쪽에 위치한 옹벽블록(100')의 중앙소켓(130)의 삽입홈(131)으로 미장체(120")의 제2고정턱(126)이 삽입되되 제2고정턱(126)의 절곡된 말단은 걸림홈(132)과 맞물리면서 서로 이웃하는 옹벽블록(100', 100") 간의 긴밀한 결속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장체(120")를 A타입과 B타입으로 본체(110')에 고정할 수 있다. 특히 A타입의 경우엔 중앙소켓(130)의 삽입홈(131)이 상하로 개구되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이렇게 고정된 미장체(120")가 본체(110')와의 흔들림없이 긴밀히 결속되도록 하기 위해 걸림홈(132)의 입구를 기준으로 한 바닥면에는 자성을 갖는 중앙자력체(133)가 부착되고, 이에 상응해서 상기 바닥면과 마주하는 제2고정턱(126)의 단면에는 중앙자력체(133)와 자력으로 접착하는 자성체(127)가 부착된다. 결국, 중앙소켓(130)에 양측단이 고정된 미장체(120")는 흔들림없는 긴밀한 결속을 이룰 수 있으면서도, 작업자는 볼팅작업과 같은 별도의 체결과정 없이 비교적 용이하게 미장체(120")의 탈부착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계속해서, 일측소켓(140)과 타측소켓(150)은 각각 본체(110')의 양측에 배치되어 중앙소켓(130)과 나란히 위치하는 것으로, 서로 이웃하는 옹벽블록(100', 100")을 상호 결속할 경우, 각 옹벽블록(100', 100")에 구비된 일측소켓(140)과 타측소켓(150)이 서로 마주하게 접하면서 중앙소켓(130)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즉, 일측소켓(140)과 타측소켓(150)에 형성된 맞물림홈(141, 151)이 연통하면 중앙소켓(130)의 삽입홈(131)에 상응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장체(120")를 C타입으로 본체(11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미장체(120")의 길이를 절반으로 줄여서 D타입 또는 E타입으로도 미장체(120")를 본체(110')에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타측소켓(150)에는 중앙소켓(130)의 걸림홈(132) 및 중앙자력체(133)와 동일한 걸림홈(152) 및 타측자력체(153)가 형성 될 것이다.
한편, 미장체(120")와 본체(110') 간의 결속을 도모하면서도 탈부착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삽입홈(131)의 횡폭을 제1,2고정턱(125, 126)의 횡폭보다 다소 길게 하고, 미장체(120") 삽입 후 서로 이웃하는 미장체(120")들 사이에 완충부재(160)를 삽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중앙소켓(130), 일측소켓(140) 및 타측소켓(150)은 일정한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서 미장체(120")와의 결속 과정에서 간섭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도 4의 A 부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확대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상기 미장체(120)의 양측단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제1,2고정턱(125, 126)이 형성되되, 제2고정턱(126)과 더불어 제1고정턱(125') 또한 'ㄷ'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이에 상응해서 중앙소켓(130)의 내측 타면에는 상하단이 개구되고 삽입홈(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서 제1고정턱(125')의 말단이 맞물리는 걸림홈(13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걸림홈(132')에는 마주하는 다른 걸림홈(132)에 배치된 중앙자력체(133)에 대응하는 다른 중앙자력체(133')가 보강 설치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제1고정턱(125')의 단면에도 상기 다른 중앙자력체(133')에 상응하는 자성체(127")가 더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앙자력체들(133, 133')은 자화 가능한 금속체이고, 자성 체(127', 127")는 N극과 S극을 갖는 자석체인데, 이러한 자성체(127', 127")는 서로 접한 미장체(120") 간에 척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된다. 즉, 일렬로 연결되는 미장체(120")가 상호 이격되도록 자력을 지속적으로 받으면서 본체(110', 110")에 긴밀히 밀착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의 제1실시예를 시공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에 구성된 미장체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블록의 제2실시예를 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옹벽블록의 시공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옹벽블록의 시공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A 부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5)

  1. 정면 중앙에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하로 개구된 삽입홈(131)과, 삽입홈(131)의 내측 일면에는 상하단이 개구되고 삽입홈(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서 제2고정턱(126)의 말단이 맞물리는 걸림홈(132)을 구비하되, 삽입홈(131)의 횡폭은 제1,2고정턱(125, 126)의 각 횡폭을 합산한 길이에 상응하게 형성되어서, 서로 이웃하는 미장체(120)의 각 제1,2고정턱(125, 126)이 일시에 삽입홈(131)에 삽입되도록 된 콘크리트 재질의 블록형 본체(110); 및
    본체(110)의 정면에 고정되는 바탕부(121)와, 바탕부(121) 정면에 안착되는 격자망과, 자갈과 접착제가 혼합돼 이루어지며 격자망을 매몰하면서 접착제의 접착력으로 바탕부(121) 정면에 접착 고정되는 미장도화부(122)로 구성되되, 양측단에는 'ㄷ' 형상으로 절곡된 제1,2고정턱(125, 126)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미장체(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고정턱(126)의 단면에는 자성체(127)가 더 포함되고;
    걸림홈(132)의 입구를 기준으로 한 바닥면에는 자성체(127)와 자력으로 접착하는 중앙자력체(133)가 더 포함되며;
    본체(110)의 정면 양측에는 각각 제1,2고정턱(125, 126)이 맞물리는 맞물림홈(141, 151)을 형성한 일측소켓(140) 및 타측소켓(150)이 더 포함되되, 일측소켓(140)과 타측소켓(150)이 연통해 통합된 맞물림홈(141, 151)은 삽입홈(131)에 상응하고, 타측소켓(150)에는 중앙소켓(130)의 걸림홈(132)과 중앙자력체(133)에 상응하는 걸림홈(152)과 타측자력체(153)가 형성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도화가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장체(120)는
    바탕부(121)의 정면에 삽입 배치되는 다수의 너트체(123)와, 전방으로 돌출되는 말단에는 미장도화부(122)의 자갈을 구속하도록 돌출된 걸림돌기(124a)를 구비하고 너트체(123)에 고정되는 다수의 볼트체(1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도화가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블록.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턱은 'ㄷ'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되, 단면에는 자성체가 더 포함되고, 상기 삽입홈(131)의 내측 타면에는 상하단이 개구되고 삽입홈(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서 제1고정턱(126)의 말단이 맞물리는 걸림홈(132')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홈(132')의 입구를 기준으로 한 바닥면에는 다른 자성체와 자력으로 접착하는 중앙자력체(133')가 더 포함되되;
    상기 중앙자력체(133, 133')는 자화가능한 금속체이고,
    상기 제1고정턱 및 제2고정턱(126)에 구비된 각각 자성체는 N극과 S극을 갖는 영구 자석체이되, 자성체는 서로 접한 미장체 간에 척력이 발생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도화가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블록.
KR1020090013316A 2009-02-18 2009-02-18 이미지 도화가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블록 KR101081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316A KR101081449B1 (ko) 2009-02-18 2009-02-18 이미지 도화가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316A KR101081449B1 (ko) 2009-02-18 2009-02-18 이미지 도화가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075A KR20100094075A (ko) 2010-08-26
KR101081449B1 true KR101081449B1 (ko) 2011-11-16

Family

ID=4275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316A KR101081449B1 (ko) 2009-02-18 2009-02-18 이미지 도화가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250B1 (ko) 2021-12-29 2022-07-26 주식회사 코뉴 친환경 중력식 옹벽블록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는 중력식 옹벽블록 제조방법 및 중력식 옹벽블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286Y1 (ko) * 2006-01-11 2006-03-27 신현수 옹벽블록
KR100720179B1 (ko) * 2005-11-30 2007-05-18 김정석 옹벽 문양의 콘크리트 벽체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179B1 (ko) * 2005-11-30 2007-05-18 김정석 옹벽 문양의 콘크리트 벽체 제조방법
KR200412286Y1 (ko) * 2006-01-11 2006-03-27 신현수 옹벽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250B1 (ko) 2021-12-29 2022-07-26 주식회사 코뉴 친환경 중력식 옹벽블록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는 중력식 옹벽블록 제조방법 및 중력식 옹벽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075A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449B1 (ko) 이미지 도화가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블록
CN103243739A (zh) 具有自嵌锁功能的加筋土挡墙生态面板结构
KR101215838B1 (ko)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0445075B1 (ko) 토목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및 그것을 이용한 경사지반의안정화 공법
KR100838276B1 (ko) 식생매트를 이용한 녹화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385172B1 (ko) 식재수단이 형성된 옹벽구조물
KR102240949B1 (ko) 벽체 외관 개선을 위한 장착구조
CN202466991U (zh) 防水地梁
CN213417732U (zh) 一种卡槽式正六边形生态砖及生态护坡
KR20060131194A (ko) 옹벽의 축조방법
KR10079776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블록구조
KR102189287B1 (ko) 폐콘크리트전신주 및 폐콘크리트침목을 이용한 축대시공방법
KR200253377Y1 (ko) 토목구조물용 콘크리트 블록
KR100400170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
KR101065726B1 (ko) 조립식 옹벽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100660989B1 (ko) 절취경사면 보강공법 및 그 구조물
KR100938829B1 (ko) 옹벽 조립체
KR101654655B1 (ko) 뒷돌 고정식 석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0146327Y1 (ko)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
KR100480508B1 (ko) 친환경 개거수로
KR101045299B1 (ko) 친환경 돌담장
KR100973914B1 (ko) 평석을 구비한 뒷돌 고정식 산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89661B1 (ko) 보강토 옹벽 블럭
KR100621530B1 (ko) 하천의 친환경적인 식생용 제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