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194A - 옹벽의 축조방법 - Google Patents

옹벽의 축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194A
KR20060131194A KR1020050051438A KR20050051438A KR20060131194A KR 20060131194 A KR20060131194 A KR 20060131194A KR 1020050051438 A KR1020050051438 A KR 1020050051438A KR 20050051438 A KR20050051438 A KR 20050051438A KR 20060131194 A KR20060131194 A KR 20060131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steel frame
reinforceme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1959B1 (ko
Inventor
안승한
Original Assignee
안승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한 filed Critical 안승한
Priority to KR1020050051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959B1/ko
Publication of KR2006013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사의 횡압력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가지는 옹벽의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록 끼움홈이 형성된 철골프레임을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다수 배열, 고정하되, 상기 철골프레임의 하단이 지면에 매설되도록 배열,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 끼움홈에 블록을 끼워 철골프레임의 사이에 블록을 조적하는 단계와; 상기 철골프레임에 보강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재가 보강토에 매립되도록 단계적으로 뒤채움 및 다짐하는 단계와; 상기 철골프레임의 노출된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옹벽의 축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에 고정된 철골프레임에 블록이 끼워지는 방법으로 축조되어 시공성이 우수하고, 무엇보다 철골프레임의 버팀력과, 철골프레임에 연결된 보강재의 매립에 의해 토사의 횡압력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갖는 효과가 있다.
옹벽, 블록, 보강재, 철골프레임, 토압

Description

옹벽의 축조방법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옹벽 축조용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상기 도 1a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상기 도 1b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옹벽의 축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 1a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축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면에 철골프레임이 배열 고정된 구성도이다.
도 3은 철골프레임에 블록이 끼움, 조적되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축된 옹벽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골프레임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횡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철골프레임과 보강재의 바람직한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블록의 내부에 매입되는 심재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이 조립되는 모습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이 철골프레임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옹벽의 축조방법을 설명하기 단면 구성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옹벽의 축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마감층 100 : 철골프레임
112 : 전방지지부 113 : 중앙심재부
114 : 후방지지부 120 : 블록 삽입홈
130 : 결속공 132 : 수직프레임
134 : 수평프레임 150 : 연결부재
200 : 블록 220 : 단턱
242 : 요홈부 244 : 돌출부
250 : 심재 260 : 문양
300 : 보강재 410 : 보강재 삽입공
420 : 고착재료 B : 수직면
C : 수평면
본 발명은 옹벽의 축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토사의 횡압력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가지는 옹벽의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옹벽은 성토지나 절개지 등에 시공되어 배면의 토사를 지탱함으로써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는 구조물이다. 이에 따라, 옹벽은 무엇보다 토사의 횡압력(토사의 측방향 압력)에 대한 높은 대응력이 요구된다.
종래, 옹벽의 축조방법으로는, 시공현장에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상기 거푸집 내에 철근의 조립 및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철근콘크리트의 배면에 토사나 잡석 등의 보강토를 뒤채움하여 축조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철근콘크리트 옹벽은 거푸집의 설치 및 해제, 철근의 조립 등이 모두 시공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콘크리트 양생에 따른 많은 시간이 소용됨은 물론 구부러진 부분(굴곡부)은 공사가 불편하여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절기에는 공사가 불가능하며, 옹벽의 전면에 양각, 음각 등의 외관을 부여하기 위해서 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조립식 볼록(Block)을 상호 끼움, 조적하여 구축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이 많이 축조되고 있다. 현재, 이러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은 시공이 용이하고 미려한 외관을 부여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장점 등의 이유로 철근콘크리트 옹벽의 대체공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은 소형 블록을 서로 맞물림 구조로 조립, 조적해 가면서 배면에 토사나 잡석 등의 보강토를 뒤채움하여 축조되고 있는데, 이는 철근콘크리트 옹벽과 대비하여 소형 블록을 조적하는 단순한 시공방법과 굴곡부의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은 기반의 침하에 의한 옹벽의 변형과 블록의 이탈이 생기기 쉬우며, 이 역시 시공성이 떨어지고, 무엇보다 토사의 횡압력에 대한 대응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0381265호에는 위와 같은 보강토 옹벽을 축조하기 위한 보강토 옹벽 블록이 제시되어 있다. 이를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블록(1)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상기 도 1a의 평면도이며, 도 1c는 상기 도 1b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d는 상기 도 1a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실용신안등록에서 제시한 옹벽 블록(1)은 그의 상부에는 돌출부(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돌출부(2)가 끼워지는 요홈(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면에는 보강재(5)가 연결되는 연결부재(4)가 일부 매입된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옹벽 블록(1)은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린 형태로 돌출부(2)와 요홈(3)의 끼움 구조로 조적되면서, 후면에 설치된 보강재(5)에는 연결부재(4)가 연결된 다음, 토사나 잡석 등의 보강토의 뒤채움에 의해 보강재(5)가 보강토에 매립되어 옹벽을 축조한다.
위와 같은 조립식 옹벽 블록(1)은 단순한 끼움 조적에 의해 축조되어 시공성이 좋으며, 보강재(5)의 보강토 매립에 의해 토사의 횡압력에 대한 대응력을 어느 정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그의 크기 및 구조 상 서로 엇갈리게 조적해야 하고, 각 블록(1) 마다 보강재(5)를 연결해야만 토압에 대한 대응력을 가짐에 따라 조적 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 옹벽은 토압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가져야 하는 데, 보강재(4)만으로는 토압에 대한 대응력이 부족하여 사용에 대한 제약이 따르고, 토체의 변위발생에 대응력이 약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위와 같은 종래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은 철근콘크리트 옹벽과 대비하여 무엇보다 토압에 대한 대응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강재(5)가 매립되어야 하는 이유로 옹벽이 축조될 위치와 벽면의 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어야만 작업이 가능하며, 그러하지 못할 경우 매립되는 보강재(5)의 길이가 짧아 토압에 대한 대응력을 가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지면에 다수의 철골프레임을 소정 간격으로 배열 고정한 후, 상기 철골프 레임 사이에 블록을 조적하되, 상기 블록이 이탈되지 않도록 철골프레임에 블록 끼움홈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에 블록을 끼움, 조적함게 함과 동시에 상기 철골프레임에 보강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재가 보강토(뒤채움 흙)에 매립되도록 축조함으로써, 시공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토사의 횡압력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가지는 옹벽의 축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옹벽의 축조방법에 있어서,
블록 끼움홈이 형성된 철골프레임을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다수 배열, 고정하되, 상기 철골프레임의 하단이 지면에 매설되도록 배열,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 끼움홈에 블록을 끼워 철골프레임의 사이에 블록을 조적하는 단계와;
상기 철골프레임에 보강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재가 보강토에 매립되도록 단계적으로 뒤채움 및 다짐하는 단계와;
외부로 노출된 상기 철골프레임의 전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옹벽의 축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계단형 옹벽의 축조방법으로서,
블록 끼움홈이 형성되고,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교대로 연결되어 계단형의 구조를 가지는 철골프레임을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다수 배열, 고정하되, 상 기 철골프레임의 하단이 지면에 매설되도록 배열,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블록 끼움홈에 블록을 끼움, 조적하여 옹벽의 수직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직프레임에 보강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재가 보강토에 매립되도록 단계적으로 뒤채움 및 다짐한 다음, 그 위에 콘크리트나 토사를 덮어 옹벽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외부로 노출된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옹벽의 축조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옹벽의 시공현장은 옹벽이 축조될 위치와 토체 벽면과의 거리가 짧아 보강재가 충분히 매립될 수 있는 거리가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 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축조방법은, 상기 단계에 더하여 토체 벽면에 보강재 삽입공을 천공하고, 상기 보강재 삽입공에 보강재를 삽입한 다음, 고착재료를 주입,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옹벽 축조용 블록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 망통체의 심재가 다수 매입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옹벽 축조용 블록은 철골프레임에 끼워진 후, 그 전면이 돌출되도록 좌우측 말단에 단턱이 형성되거나, 또는 상하로 배치되는 볼록 상호간의 조립구조로서 그 상하부면에 요철 조립구조가 형성된 것이 유용하게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단턱과 요철 조립구조가 모두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에 고정된 철골프레임에 블록이 끼워지는 방법으로 축조되어 시공성이 우수하고, 무엇보다 철골프레임의 버팀력 및 보강재의 매립에 의해 토사의 횡압력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갖는다. 또한, 축조된 옹벽은 토체의 변위발생에 대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며, 상기 블록에 심재로서 다수의 망통체가 매입된 경우 우수한 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축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는 지면에 철골프레임(100)이 배열 고정된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철골프레임(100)에 블록(200)이 끼움, 조적되는 사시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축된 옹벽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종래와 같이 벽면 깎음 공사 및 지반 다짐 등의 기초 공사를 한 다음, 본 발명에 따라서 옹벽이 축조될 위치에 다수의 철골프레임(100)을 소정 간격으로 일렬로 배열한다. 이때, 철골프레임(100) 간의 간격은 볼록(200)의 가로 길이와 거의 동일한 거리를 갖게 하며, 철골프레임(100)의 하단을 지면에 매설하여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견고히 고정한다. 지면과의 고정은 지면에 구멍을 천공한 다음, 여기에 철골프레임(100)을 삽입한 후 콘크리트를 주입, 양생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철골프레임(100)은 블록(2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그 양측에는 블록 삽입홈(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철골프레임(100)은 예를 들어 H형 빔, ㅗ형 빔 또는 I형 빔을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철골프레임(100)을 고정한 다음에는 철골프레임(100) 사이에 볼록(200)을 끼움, 조적한다. 이때, 철골프레임(100)의 볼록 삽입홈(120)에 볼록(200)의 측면 끝부분을 끼워진다. 철골프레임(100) 사이에 끼워지는 블록(200)의 개수는 옹벽의 높이 및 블록(200)의 세로 길이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블록(200)은 공장에서 별도로 제작된 것으로서, 이는 직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철골프레임(100)에 끼워진 후 그 전면(201)이 돌출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좌우측 말단에는 단턱(22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다음으로, 상기 철골프레임(100)에 보강재(300)를 연결한다. 상기 보강재(300)는 철골프레임(100)과 보강토의 결속력을 갖게 하여 토사의 횡압력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금속, 유리섬유 등의 부패성이 없는 재질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재(300)는 철사, 유리섬유 가닥의 집합체(통상의 고강도 지오그리드), 철사에 합성수지가 피복된 선 등의 와이어 형태는 물론 띠 형태를 포함한다.
위와 같이, 보강재(300)를 연결한 다음에는, 배면에 토사나 잡석 등의 보강토(뒤채움 흙)를 채워 보강재(300)가 매립되도록 배면을 뒤채움하되, 통상과 같이 단계적으로 채우고 다짐한다. 즉, 소정 두께로 뒤채움하는 과정과, 진동 다짐하는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한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철골프레임(100)의 전면(101)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데, 우수에 의해 철골프레임(100)이 부식될 수 있으므로 노출된 철골프레임(100)의 전면(101)을 마감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노출된 전면(101)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바르는 등의 방법으로 마감층(5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마감층(50)은 블록(200) 제작에 사용된 콘크리트 모르타르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블록(200)에 단턱(220)이 형성된 경우, 이에 의해 블록(200)의 전면(201)이 철골프레임(100)보다 돌출되는데, 이때 마감층(50)에 의해 옹벽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면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골프레임(100)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철골프레임(100)과 보강재(300)의 바람직한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사시도이다.
상기 철골프레임(100)은 그 횡단면의 형상이 H형, ㅗ형 또는 I형을 가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지지부(112), 후방지지부(114) 및 이들의 중앙을 일체로 연결하는 중앙심재부(113)를 가지는 H형이 좋다. 그리고 전방지지부(112)의 길이(L)는 후방지지부(114)의 길이(ℓ)보다 더 길고, 상기 전방지지부(112)는 중앙심재부(113) 쪽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지지부(112)는 그 양말단부보다 중앙부의 두께가 더 큰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전방지지부(112)가 중앙심재부(113) 쪽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 높은 토압에도 휘어지지 않는 이점 이 있다.
또한, 상기 철골프레임(100)에는 보강재(300)를 연결할 수 있는 결속공(130)이 형성된 것이 좋다. 이러한 결속공(130)은 철골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와이어 형태의 보강재(300)를 묶음 연결하는 데에 유용하다.
철골프레임(100)에 보강재(300)를 연결함에 있어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50)를 매개로 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공(151)이 형성된 'U'자형 또는 'ㄷ'자형 본체(152)와, 상기 체결공(151)에 결합되는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153)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150)를 이용하는 경우, 와이어 형태의 보강재(300)의 끝부분을 고리형태로 만든 다음, 이를 본체(152)에 끼우고, 철골프레임(100)과는 체결구(153)를 통하여 연결함으로써 철골프레임(100)과 보강재(300)의 연결을 손쉽게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철골프레임(100)에 와이어 형태의 보강재(300)는 물론 띠 형태의 보강재(300)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5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가 개방된 사각형의 본체(152)와, 상기 개방된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하나의 너트(15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방된 양측 단부에는 나사산(152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너트(154)의 이동에 의해 본체(152)는 개폐되며, 개방된 상태에서 본체(152)를 결속공(130)에 끼운 다음, 본체(152)에 보강재(300)를 삽입한 후 너트(154)를 잠금으로써 철골프레임(100)과 보강재(300)의 연결을 손쉽게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철골프레임(100)에 와이어 형태의 보강재(300)는 물론 띠 형태의 보강재(300)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 도 7은 와이어 형태의 보강재(300)가 연결된 모습을 보인 것이고, 도 8은 띠 형태의 보강재(300)가 연결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200)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블록(200)의 내부에 매입되는 심재(250)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200)이 조립되는 모습의 종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200)이 철골프레임(100)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블록(200)은 직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바람직하게는 그 좌우측 말단에 단턱(220)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하로 배치되는 블록(200) 상호간의 조립구조로서 그 상하부 면에는 요철 조립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요철 조립구조로서 상부 면에는 요홈부(242)가 형성되고, 하부 면에는 돌출부(244)가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또한, 상기 블록(200)은 그 내부에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은 망통체의 심재(250)가 적어도 1개 이상 매입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심재(250)는 삼각 또는 사각 망통체가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심재(250)는 3개(삼각 망통체) 또는 4개(사각 망통체)의 지지봉(252)과, 상기 지지봉(252)들을 망 형태로 결선하는 와이어(25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는 삼각 망통체의 심재(250)를 예시하였다.
위와 같은 망통체의 심재(250)는 콘크리트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일반전인 철 근 심재보다 우수한 강도를 블록(200)에 부여한다. 아울러, 망통체의 심재(250)는 도 11에 도시한 보와 같이 볼록(200) 내부에 두 줄로 매입되는 것이 강도의 보강 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 망통체의 심재(250)를 사용하는 경우 지그재그 형으로 두 줄로 배열하는 것이 더욱 좋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하로 배치되는 블록(200) 상호간의 요철 조립구조로서 요홈부(242)와 돌출부(244)를 형성하되, 돌출부(244)의 길이(H)보다 요홈부(242)의 깊이(h)를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다.(즉, h > H) 그리고, 블록(200)을 조적함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242)에 폴리머, 모르타르 등의 고착제(A) 및/또는 방수제(A)를 주입한 다음, 요홈부(242) 돌출부(244)를 끼워 조적함으로써 블록(200) 상호간의 견고한 결합력 및/또는 방수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철골프레임(100)과 블록(200)이 좀 더 견고한 결합력을 갖도록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블록(200)의 단턱(220)에는 끼움홈(22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220a)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철골프레임(100)의 전방지지부(112)에는 볼록(200) 쪽으로 돌출된 돌기(112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블록(200)은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가로(길이)는 1.0m ~ 5.0m, 세로(높이)는 0.5m ~ 3.0m, 두께는 10cm ~ 30cm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블록(200)은 종래의 보강토 옹벽 축조에 사용되는 블록보다 대형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철골프레임(100) 사이에 끼움, 조적 시에는 장비가 동원되어 작업이 진행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축조된 옹벽에는 통상과 같은 방법으로 배수 구조 또 는 외관을 갖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관은 옹벽의 전면 표면에 페인트 도장 등의 방법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옹벽에 페인트를 도장함에 있어서, 철골프레임(100) 사이에 7개의 블록(200)을 끼움, 조적하고, 각 블록(200)의 색깔을 다르게 하되, 맨 아래에서부터 또는 맨 위에서부터 차례로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랑색, 남색 및 보라색의 무지개 색깔을 도장할 수 있다.
또한, 옹벽에 외관을 부여함에 있어, 블록(200) 자체에 양각 또는 음각의 문양(260)을 형성시켜 외관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200)의 사시도이다. 도 13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블록(200)의 전면(201)에는 양각 또는 음각의 문양(2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문양(260)은 블록(200)의 제작과정에서 그 전면(201)이 돌출 또는 패여서 형성된 문자, 도형, 이미지로서, 예를 들면 공을 반으로 쪼갠 반구형 모양;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 모양; 중심에 꼭지점이 돌출된 마름모 모양; 벽돌 모양; 대리석 모양; 꽃, 동물, 인물, 십자가, 종(bell), 새(bird), 나무, 무지개, 폭포, 산, 자동차, 비행기, 열차, 건물, 식물 등을 형상화한 모양;을 포함한다. 도 13에는 반구형의 문양(260)이 규칙적으로 돌출 형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한편, 옹벽의 시공현장은 옹벽이 축조될 위치와 토체 벽면과의 거리가 짧아 보강재(300)가 충분히 매립될 수 있는 거리가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축조하면 옹벽이 축조될 위치와 토체 벽면의 거리가 짧아도 손쉽게 축조할 수 있다. 이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옹벽의 축조방법을 설명하기 단면 구성 도이다. 도 14에 보인 바와 같이, 먼저 토체의 벽면에 보강재 삽입공(410)을 천공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재 삽입공(410)에 보강재(300)를 삽입한 다음, 고착재료(420)를 주입, 경화시킨다. 이때, 상기 보강재 삽입공(410)은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장공(412)과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공(4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고착재료(420)는 모르타르나 수지(resin)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착재료(420)의 경화에 의해 보강재(300)와 고착재료(420)는 일체가 되고, 상기 일체물은 철근프레임(100)과 토체를 견고하게 결속시켜 높은 토압에도 충분한 대응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축조방법은 성토지나 절개지 등에 축조되는 옹벽은 물론 제방공사, 다리 구축공사 등과 같이 배면의 토사를 지탱하는 목적으로 구축되는 옹벽이면 모두 포함한다.
한편, 옹벽은 시공현장에 따라 필연적으로 계단형으로 축조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하천 제방공사 현장이나, 토체의 벽면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경우가 그러하며, 이때에는 본 발명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계단형으로 구축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옹벽의 축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계단형의 옹벽이 구축되도록 상기 철골프레임(100)은 계단형의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철골프레임(100)은 수직프레임(132)과 수평프레임(134)이 교대로 연결된 계단형 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수직프레임(13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보강재(300)가 연결된다.
위와 같이, 계단형의 철골프레임(100)을 고정한 다음에는 옹벽의 수직면(B)은 블록(200)을 끼워 형성한다. 즉, 수직프레임(132)의 블록 끼움홈(120)에 블록(200)을 끼워 옹벽의 수직면(B)을 형성한다. 그리고 블록(200)의 배면에 보강토(토사 및 잡석)를 뒤채움하고 다짐한 다음,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 표면은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거나 또는 토사를 덮어 마감한다. 즉, 뒤채움 보강토 위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나 토사 덮어 마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옹벽의 수직면(B)은 블록(200)으로 형성되게 하고, 수평면(C)은 콘크리트 또는 토사의 마감에 의해 형성되게 한다. 이때, 토사는 잔디 등의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것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작업을 진행하면, 수평프레임(134)은 콘크리트나 토사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나 수직프레임(132)의 전면(101)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때 수직프레임(132)의 전면(101)에 콘크리트를 발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마감 처리를 진행한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길이의 철골프레임(100) 및 블록(200)을 사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옹벽을 축조하고, 그 위에 철골프레임(100)의 배열 및 블록(200)을 조적하되 계단형이 되도록 2층 이상부터는 토체 쪽으로 옹벽을 축조하게 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단형의 옹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계단형 옹벽의 수직면(B)은 블록(200)으로 형성되는 것 이 좋고, 수평면(C)은 잔디 등의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토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된 철골프레임(100)에 블록(200)이 끼워지는 방법으로 축조되어 시공성이 우수하고, 무엇보다 철골프레임(100)의 버팀력과, 철골프레임(100)에 연결된 보강재(300)의 매립에 의해 토사의 횡압력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갖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보강재(300)는 철골프레임(100)에 연결되어 블록(200)에 연결되는 종래와 대비하여, 볼록(200)의 조적 및 보강재(300) 설치작업이 간소화되어 공기가 대폭 단축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축조된 옹벽은 토체의 변위발생에 대한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블록(200)의 내부에 심재(250)로서 다수의 망통체가 매입된 경우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다.

Claims (12)

  1. 옹벽의 축조방법에 있어서,
    블록 끼움홈이 형성된 철골프레임을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다수 배열, 고정하되, 상기 철골프레임의 하단이 지면에 매설되도록 배열,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블록 끼움홈에 블록을 끼워 철골프레임의 사이에 블록을 조적하는 단계와;
    상기 철골프레임에 보강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재가 보강토에 매립되도록 단계적으로 뒤채움 및 다짐하는 단계와;
    외부로 노출된 상기 철골프레임의 전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축조방법.
  2. 옹벽의 축조방법에 있어서,
    블록 끼움홈이 형성되고,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교대로 연결되어 계단형의 구조를 가지는 철골프레임을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다수 배열, 고정하되, 상기 철골프레임의 하단이 지면에 매설되도록 배열,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블록 끼움홈에 블록을 끼움, 조적하여 옹벽의 수직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수직프레임에 보강재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재가 보강토에 매립 되도록 단계적으로 뒤채움 및 다짐한 다음, 그 위에 콘크리트나 토사를 덮어 옹벽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외부로 노출된 상기 수직프레임의 전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축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토체 벽면에 보강재 삽입공을 천공하고, 상기 보강재 삽입공에 보강재를 삽입한 다음, 고착재료를 주입, 경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축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프레임과 보강재의 연결은 연결부재를 매개로 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옹벽의 축조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프레임은 전방지지부, 후방지지부 및 중앙심재부를 가지는 H형이고, 전방지지부의 길이가 후방지지부의 길이보다 더 길며, 전방지지부는 중앙심재부 쪽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옹벽의 축조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그 내부에 망통체의 심재가 매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축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삼각 또는 사각 망통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축조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그 좌우측 말단에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축조방법.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그 상하부 면에 요철 조립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축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요철 조립구조로서, 상부 면에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하부 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축조방법.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그 전면에 양각 또는 음각의 문양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축조방법.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삽입공은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장공과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의 축조방법.
KR1020050051438A 2005-06-15 2005-06-15 옹벽의 축조방법 KR100671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438A KR100671959B1 (ko) 2005-06-15 2005-06-15 옹벽의 축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438A KR100671959B1 (ko) 2005-06-15 2005-06-15 옹벽의 축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194A true KR20060131194A (ko) 2006-12-20
KR100671959B1 KR100671959B1 (ko) 2007-01-19

Family

ID=37811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438A KR100671959B1 (ko) 2005-06-15 2005-06-15 옹벽의 축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9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9769A (zh) * 2018-05-07 2018-09-28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一种超长嵌岩t形组合式柱板高挡墙施工方法
KR102548929B1 (ko) * 2022-09-20 2023-06-28 주식회사 세기 Pc콘크리트블록의 모듈러 공법으로 시공기간과 비용이 감축되고 모듈의 일체형 거동과 와이어 장력의 보강으로 고층 설계 시에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옹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363B1 (ko) * 2009-04-08 2010-04-29 조정태 벽체블럭
KR101356724B1 (ko) * 2013-07-26 2014-02-03 김규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888U (ko) * 1993-04-19 1994-11-17 흙막이용 판넬
KR200157315Y1 (ko) * 1996-12-28 1999-09-15 대정산업상사주식회사 보강심재가 매설된 합성수지재 토류판
KR200261318Y1 (ko) * 2001-04-11 2002-01-24 윤여원 H형강말뚝을 이용한 급속시공 보강토옹벽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9769A (zh) * 2018-05-07 2018-09-28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一种超长嵌岩t形组合式柱板高挡墙施工方法
KR102548929B1 (ko) * 2022-09-20 2023-06-28 주식회사 세기 Pc콘크리트블록의 모듈러 공법으로 시공기간과 비용이 감축되고 모듈의 일체형 거동과 와이어 장력의 보강으로 고층 설계 시에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옹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959B1 (ko) 200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82405A (zh) 一种装配式预制护坡装置及其施工方法
KR100671959B1 (ko) 옹벽의 축조방법
KR101066752B1 (ko) 일체형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시공방법
CA1286123C (en) Structural assembly for producing walls
KR100304861B1 (ko) 건축용단열프리캐스트콘크리트판넬
KR10062578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교각 구조물 및 그시공방법
KR101727688B1 (ko) 조적이 용이한 흙 벽돌 구조 및 흙 벽돌 조적 공법
KR101266082B1 (ko) 전면이 색채를 이루는 패널 및 시공방법
CN210858228U (zh) 一种装配式仿石隔音围墙
KR101035411B1 (ko) 옹벽용 인공암 및 이의 제조방법
CN212867118U (zh) 一种可重复拆装使用的装配式围墙
CN208762948U (zh) 一种预制组合桩生态挡墙及应用该生态挡墙的河道系统
CN219364698U (zh) 一种锚杆复合土钉生态挡墙
KR200146327Y1 (ko) 보강토 조립식 옹벽블록
CN216690035U (zh) 一种装配式围墙用砌块及装配式围墙
KR100375821B1 (ko) 옹벽용 블럭 및 그 시공 방법
KR100859294B1 (ko) 블럭형 옹벽을 이용한 옹벽 시공공법
KR200242401Y1 (ko) 기초석
CN218952237U (zh) 一种具有生态孔的挡土墙
CN219118228U (zh) 一种装配式挡土绿化透水构件
KR19990075158A (ko) 자연석만을 이용한 보강토옹벽의 구축공법및 그 구축구조
KR101107279B1 (ko) 보강토 블록을 이용한 옹벽 및 절토지반에서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공법
KR100938829B1 (ko) 옹벽 조립체
KR100473880B1 (ko) 소일 네일을 이용한 인공벽 조성공법 및 이에 의해 조성된인공벽
KR200223135Y1 (ko) 환경친화적인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