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286Y1 - 옹벽블록 - Google Patents

옹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286Y1
KR200412286Y1 KR2020060000861U KR20060000861U KR200412286Y1 KR 200412286 Y1 KR200412286 Y1 KR 200412286Y1 KR 2020060000861 U KR2020060000861 U KR 2020060000861U KR 20060000861 U KR20060000861 U KR 20060000861U KR 200412286 Y1 KR200412286 Y1 KR 2004122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lock
retaining wall
groove
ex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신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수 filed Critical 신현수
Priority to KR2020060000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2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2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2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옹벽을 형성하도록 교차방향으로 조적되는 블록몸체(111)의 외측으로 구비된 외장면(112)에 중앙으로 직각으로 턱형태의 결합턱(113)을 형성하고, 블록몸체(111)의 상부에 복수의 결합홈(115)을 형성하며, 복수의 결합홈(115) 중에 설정된 결합위치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삽입 결합시키는 결합핀(114)을 형성하고, 블록몸체(111)의 하부에 돌출된 결합핀(114)이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장홈 형태의 결합장홈(116)을 형성하여 복수의 블록몸체(111)를 상하로 교차하면서 상부에 결합홈(115)에 삽입된 결합핀(114)에 하부에 결합장홈(116)을 결합하여 조적하도록 형성한 블록부(110)와, 상기 블록부(110)의 결합턱(113)에 대응되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고정홈(123)을 후부 중앙에 구비한 외장몸체(121)를 외장면(112)에 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되, 외장몸체(121)의 고정홈(123)이 형성된 후면 측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122)를 형성하여 블록몸체(111)의 외장면(112)에 접착되도록 형성한 외장부(12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블록몸체, 외장면, 결합턱, 외장부, 외장몸체, 고정홈

Description

옹벽블록 {Retaining Wall Block}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옹벽블록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벽블록을 나타내는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록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록에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록에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록에 직각옹벽형태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록에 중간경사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록에 최대 경사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 따른 옹벽블록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옹벽블록 110 : 블록부
111 : 블록몸체 112 : 외장면
113 : 결합턱 114 : 결합핀
115 : 결합홈 116 : 결합장홈
120 : 외장부 121 : 외장몸체
122 : 접착부 123 : 고정홈
본 고안은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을 형성하도록 조적되는 옹벽벽돌의 외측 표면에 설치되는 외장제를 고무재질로 접착제로 접착하여 고무재질의 탄성력으로 옹벽블록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수명을 증대하고 블록의 상부에 전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이격하여 결합돌기를 복수로 형성하고, 하부에는 전면에서 급접되도록 결합홈을 형성하여 상하 교차되도록 조적되는 옹벽블록이 결합되면서 계단식으로 조적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일정한 간격의 계단형식으로 조적되어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옹벽블록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옹벽(擁壁, retaining wall)은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를 말하는 것으로, 지표지반(地表地盤)의 안정된 경사를 그것보다 가파른 경사로 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만 든 구조물이다.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 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에 필요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이러한 옹벽을 시공하는 종류는 블록 조적식 공법으로 오랜기간 널리 쓰이는 축벽(築壁)이 이것에 속하며 현재는 콘크리트블록이 많이 사용된다.
또한, 중력식(重力式) 콘크리트 옹벽공법으로 콘크리트 자체의 중량으로 지반의 붕괴를 막아내는 구조로 되었는데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 채택된다.
아울러, 특수 철근콘크리트 옹벽공법으로 옹벽의 높이가 커져서 중력식 옹벽으로는 경제적이지 않거나 벽면을 수직으로 하여 용지(用地)의 이용을 유리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이용된다.
이 밖에 강판이나 목책(木柵)을 이용한 간단한 것도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옹벽은 풍수해 같은 때 붕괴에 의한 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것은 옹벽 뒤의 지반에 빗물이 침수하여 그 지반을 묽게 하고 내부에 토사가 유동수와 함께 유동하면서 옹벽에 엄청난 하중이 집중되어 지반을 무너뜨림에 따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옹벽블록공법은 옹벽블록을 교차되도록 형성하고 물이 빠지는 배수를 형성하여 옹벽블록의 결합력을 강화하면서 배수구를 구비하여 내부에 물을 배수함으로써, 견고한 옹벽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콘크리트블록 형태로 형성된 옹벽블록은 비바람에 침식되기 쉬운 콘크리트의 특성상 옹벽이 설치되는 외측으로 외장재를 형성하여 콘크리트의 침식을 방지하면서 외관도 미려하게 형성한다.
이에, 일반적인 외장재를 설치하여 조적되는 옹벽블록을 도 1 및 도 2를 참 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차로 조적되면서 벽형태를 형성하는 블록몸체(11)의 결합되는 외측면 측으로 쐐기형태로 돌출된 결합구(12)를 형성하고, 결합구(12)에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태의 결합홈(14)이 형성된 목재재질의 외장제(13)를 포함하여 옹벽블록(10)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일반적인 옹벽블록은 외장제를 목재를 소재로 한 합판으로 형성하여 중량물인 합판을 블록몸체에 외측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쐐기형태로 외측에 중량을 지지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블록몸체의 전면부에 쐐기형상의 결합구를 형성함에 따라 블록 성형 시에 돌출되는 각도를 예각으로 형성함에 따라 형상틀의 제작과 형상틀에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 틀이 제거될 때 형상간섭이 발생하여 파손되기 쉬움으로 생산이 어렵고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옹벽블록은 외장제가 설치되는 외측으로 쐐기형태의 결합구가 형성되어 돌출되는 각도가 예각으로 형성되어 보관이나 이송 및 시공 시에 결합구가 서로 충돌되면 예각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옹벽블록은 외장제로 사용되는 목재의 합판이 중량이 무거워 운송 및 보관 비용이 발생하고 목재의 특성 상 장시간 다습공간에서 보관하면 부식하여 사용하지 못하여 설치 이후에도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옹벽블록은 외장제로 사용되는 목재의 합판이 외부에 비바람 및 여름과 겨울철의 온도변화 등의 기온의 변화에 따라 외부 색깔이 백색으로 변위되는 백화현상이 발생되어 외관이 퇴색되어 경관을 크게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옹벽블록은 블록몸체를 교차시켜 조적하면서 옹벽을 시공하는데, 상하부가 평면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블록을 쌓으면서 높이가 증가시키면서 지면과 수직과 수평을 정확하게 일치하기 어렵고, 일치시키기 위해서 쌓는 중간에 항상 측정을 하여야 하며 기술의 숙련도가 요구되어 시공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옹벽블록은 계단식으로 일정한 구배를 가지고 단차를 형성하면서 블록몸체를 조적하기 위해서는 단계별로 정확한 위치를 맞추고 단차의 직선위치를 측정하면서 조절하여 조적함으로써, 숙련도 뿐만 아니라 위치결정에 따른 측정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시공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고 공사기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외장을 제외한 콘크리트만으로 옹벽블록을 제작하면 운반과 보관이 간편하고, 제작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지만, 옹벽의 외부에 미려한 외장을 위하여 착색하기 위해서는 공사비가 증대되어 제품의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만으로 형성된 옹벽블록은 고가의 공사비로 착색을 하여도 여름과 겨울의 기온변화와 눈과 비 및 바람에 의한 침식작용에 의해 착색된 콘크리트가 단시간에 탈색되어 흉한 외관으로 변위함으로써, 일정한 기간 마다 착색작업을 지속적으로 하여야 함으로써,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콘크리트만으로 형성된 옹벽블록은 장시간이 흘러 착색부분이 이탈되면 옹벽블록 자체에 침식작용의 영향이 발생함에 따라 콘크리트 침식작용으로 백 화현상이 발생하면서 외부에 착색부분에 변질이 발생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옹벽블록 자체 강도가 저하되어 옹벽의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옹벽을 형성하는 옹벽블록의 외측으로 경량으로 기후에 따른 변위가 적은 소재인 합성수지재의 외장몸체를 접착제로 부착 형성하여 부착이 용이하고 장시간 외관을 유지하여 수명을 증대시키고, 상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선택적으로 결합핀을 삽입하여 하부에 형성된 결합장공에 삽입하여 옹벽블록의 조적각도를 조절하면서 시공함으로써, 적용범위를 확대하고 기울기에 따라 간편하게 시공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의 옹벽블록은 옹벽을 형성하도록 교차방향으로 조적되는 블록몸체의 외측으로 구비된 외장면에 중앙으로 직각으로 턱형태의 결합턱을 형성하고, 블록몸체의 상부에 복수의 결합홈을 형성하며, 복수의 결합홈 중에 설정된 결합위치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삽입 결합시키는 결합핀을 형성하고, 블록몸체의 하부에 돌출된 결합핀이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장홈 형태의 결합장홈을 형성하여 복수의 블록몸체를 상하로 교차하면서 상부에 결합홈에 삽입된 결합핀에 하부에 결합장홈을 결합하여 조적하도록 형성한 블록부와, 상 기 블록부의 결합턱에 대응되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고정홈을 후부 중앙에 구비한 외장몸체를 외장면에 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되, 외장몸체의 고정홈이 형성된 후면 측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를 형성하여 블록몸체의 외장면에 접착되도록 형성한 외장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부는 설치된 옹벽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홈을 형성하고, 결합홈에 설정된 옹벽의 기울기에 따른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돌출되도록 결합핀을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블록몸체의 하부에 장홈형태로 형성된 결합장홈의 내측의 단부를 고정하도록 결합하여 후측에 토사의 압력을 결합장홈에 결합된 결합핀으로 고정되면서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핀의 결합위치에 따라 옹벽의 경사도를 조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장부의 외장몸체는 고무, 우레탄 및 합성수지재의 경량에 기후에 따른 변위가 적은 재질로 형성하여 직각의 결합턱에 안치되어 접착되어도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블록부의 외장면을 평면으로 형성하고, 외장부의 외장몸체의 결합부분을 평면으로 형성하여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부의 접착력으로 부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옹벽블록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록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록을 나 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록에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록에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록에 직각옹벽형태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록에 중간경사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블록에 최대 경사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 따른 옹벽블록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옹벽블록(100)은 옹벽을 형성하도록 교차로 조적되는 블록몸체(111)를 형성한 블록부(110)와, 상기 블록부(110)의 블록몸체(111) 외측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122)로 외장몸체(121)를 접착시키도록 형성한 외장부(1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블록부(110)는 옹벽을 형성하도록 교차방향으로 조적되는 블록몸체(111)의 외측으로 구비된 외장면(112)에 중앙으로 직각으로 턱형태의 결합턱(113)을 형성하고, 블록몸체(111)의 상부에 복수의 결합홈(115)을 형성하며, 복수의 결합홈(115) 중에 설정된 결합위치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삽입 결합시키는 결합핀(114)을 형성하고, 블록몸체(111)의 하부에 돌출된 결합핀(114)이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장홈 형태의 결합장홈(116)을 형성하여 복수의 블록몸체(111)를 상하로 교차하면서 상부에 결합홈(115)에 삽입된 결합핀(114)에 하부에 결합장홈(116)을 결합하여 조적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블록부(110)는 설치된 옹벽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일정한 간 격으로 복수의 결합홈(115)을 형성하고, 결합홈(115)에 설정된 옹벽의 기울기에 따른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돌출되도록 결합핀(114)을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블록몸체(111)의 하부에 장홈형태로 형성된 결합장홈(116)의 내측의 단부를 고정하도록 결합하여 후측에 토사의 압력을 결합장홈(116)에 결합된 결합핀(114)으로 고정되면서 결합홈(115)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핀(114)의 결합위치에 따라 옹벽의 경사도를 조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장부(120)는 블록부(110)의 결합턱(113)에 대응되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고정홈(123)을 후부 중앙에 구비한 외장몸체(121)를 외장면(112)에 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되, 외장몸체(121)의 고정홈(123)이 형성된 후면 측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122)를 형성하여 블록몸체(111)의 외장면(112)에 접착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외장부(120)의 외장몸체(121)는 고무, 우레탄 및 합성수지재의 경량에 기후에 따른 변위가 적은 재질로 형성하여 직각의 결합턱(113)에 안치되어 접착되어도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블록부(110)의 외장면(112)을 평면으로 형성하고, 외장부(120)의 외장몸체(121)의 결합부분을 평면으로 형성하여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부(122)의 접착력으로 부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옹벽블록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옹벽을 형성하도록 적조되는 블록형태의 블록몸체(111)의 시공시 외측면이 되는 외장면(112)의 중앙에 단턱형태의 결합턱(113)을 형성하고, 블록몸체 (111)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홈(115)을 형성하고, 결합홈(115)에 설정된 위치에 따라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결합핀(114)을 형성하며, 블록몸체(111)의 하부에 교차되어 조적되도록 복수로 형성된 결합홈(115)에 결합되는 결합핀(114)이 고정되는 위치에 장홈형태의 결합장홈(116)을 형성하여 블록부(110)를 제작한다.
이때, 상기 블록부(110)는 설치된 옹벽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홈(115)을 형성하고, 결합홈(115)에 설정된 옹벽의 기울기에 따른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돌출되도록 결합핀(114)을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블록몸체(111)의 하부에 장홈형태로 형성된 결합장홈(116)의 내측의 단부를 고정하도록 결합하여 후측에 토사의 압력을 결합장홈(116)에 결합된 결합핀(114)으로 고정되면서 결합홈(115)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핀(114)의 결합위치에 따라 옹벽의 경사도를 조정한다.
이렇게, 블록부(110)를 제작한 상태로 블록부의 외장면(112)에 결합턱(113)에 부착되는 형상으로 일정한 두께로 고무, 우레탄 및 합성수지재의 경량에 기후에 따른 변위가 적은 재질로 결합턱(113)에 결합되도록 일측면으로 고정홈(123)을 형성하여 경량으로 취급 및 이송이 용이하고 외기에 의한 변위가 작아 수명이 긴 외장몸체(121)를 제작한다.
이때, 상기 블록부(110)의 외장면(112)을 평면으로 형성하고, 외장부(120)의 외장몸체(121)의 결합부분을 평면으로 형성하여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부(122)의 접착력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블록부(110)에 외장면(112) 측으로 외장부(120)의 외장몸체(121)를 접착하기 위해서 고정홈(123)이 위치한 일측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부(122)를 형성하고, 블록부(110)의 외장면(112) 측으로 결합턱(113)에 고정홈(123)이 고정되면서 접착부(122)로 접착하도록 블록부(110)에 외장부(120)를 접착시킨다.
이렇게, 블록부(110)에 외장부(120)를 접착시킨 상태로 블록몸체(110)가 상호 접촉되어도 외장부(120)의 탄성에 의해 파손을 최소화 하면서 옹벽이 설치할 장소로 이송하여 옹벽의 형태에 따라 블록몸체(111)의 상부에 복수로 형성된 결합홈(115)을 옹벽의 경사도에 따라 선정된 위치에 결합핀(114)을 결합시키고, 블록몸체(111)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장홈(116)을 결합핀(114)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교차로 결합하여 블록부(110)를 조적하면서 결합홈(115)에 결합핀 결합위치에 따라 옹벽의 경사도를 조절하면서 시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옹벽블록은 대략 블록 형상으로 결합되는 외측인 외장면의 중앙으로 턱형태의 결합턱이 구비된 블록몸체를 형성하고, 외장면에 부착되는 외장몸체에 결합턱과 대응되는 형태의 고정홈을 형성하여 결합턱에 고정홈을 위치한 상태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를 외장몸체의 결합부분에 블록몸체와 용이하게 부착됨에 따라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옹벽블록은 블록몸체에 부착되는 외장몸체를 고무, 우레탄, 합성수지제 등의 경량으로 기후에 영향이 없이 장시간 형태와 모양을 유지하는 재질로 형성하여 접착제로 블록몸체의 외장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무게가 가벼워 이송과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주위의 조건에 따른 변위가 적음으로써, 보관이 용이하며, 시공이후에도 형상과 색상을 장시간 유지하여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옹벽블록은 블록몸체의 외장면에 경량의 외장부가 결합되는 결합턱을 접촉하여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형상인 직각으로 형성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파손률이 크게 감소하여 생산비를 절약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옹벽블록은 블록몸체의 외장면을 평면으로 형성하고, 외장몸체가 부착되는 면도 같은 형태로 형성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의 접착력으로 경량의 외장몸체를 부착시키도록 형성하여 시공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옹벽블록은 블록몸체의 상부에 복수의 결합홈에 결합핀을 삽입 결합시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장홈형태의 결합장홈에 결합시키면서 조적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서 조적되어 비숙련자도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게 시공함으로써, 신뢰성을 확보하면서 시공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옹벽블록은 블록몸체의 상부에 홈형태의 결합홈을 외장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으로 이격 형성하고, 복수로 형성된 결합홈 중에 설치되는 옹벽의 경사도에 따른 위치에 결합핀을 삽입 결합시킨 상태에서 결합핀에 위치에 따라 옹벽의 경사도를 형성하도록 블록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장홈형태로 결합장 홈을 결합시켜 조적함에 따라 일정한 간격의 경사가 형성되는 옹벽을 용이하게 조적시킴에 따라 경사에 따른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옹벽블록은 상부에 돌출형상으로 형성된 결합핀에 하부에 형성된 결합장홈을 교차가되도록 결합시켜 복수의 블록몸체를 조적하여 옹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옹벽이 형성된 토사의 압력을 시공된 옹벽블록의 결합력과 결합장공에 삽입된 결합핀에서 분산하면서 지지시켜 붕괴를 방지하고 견고하게 조적시켜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옹벽을 형성하도록 교차방향으로 조적되는 블록몸체(111)의 외측으로 구비된 외장면(112)에 중앙으로 직각으로 턱형태의 결합턱(113)을 형성하고, 블록몸체(111)의 상부에 복수의 결합홈(115)을 형성하며, 복수의 결합홈(115) 중에 설정된 결합위치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삽입 결합시키는 결합핀(114)을 형성하고, 블록몸체(111)의 하부에 돌출된 결합핀(114)이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장홈 형태의 결합장홈(116)을 형성하여 복수의 블록몸체(111)를 상하로 교차하면서 상부에 결합홈(115)에 삽입된 결합핀(114)에 하부에 결합장홈(116)을 결합하여 조적하도록 형성한 블록부(110)와,
    상기 블록부(110)의 결합턱(113)에 대응되는 형태로 결합되도록 고정홈(123)을 후부 중앙에 구비한 외장몸체(121)를 외장면(112)에 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되, 외장몸체(121)의 고정홈(123)이 형성된 후면 측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122)를 형성하여 블록몸체(111)의 외장면(112)에 접착되도록 형성한 외장부(12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110)는 설치된 옹벽의 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결합홈(115)을 형성하고, 결합홈(115)에 설정된 옹벽의 기울기에 따른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돌출되도록 결합핀(114)을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블록몸체(111)의 하부에 장홈형태로 형성된 결합장홈(116)의 내측의 단부를 고정하도록 결합하여 후측에 토사의 압력을 결합장홈(116)에 결합된 결합핀(114)으로 고정되면서 결합홈(115)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핀(114)의 결합위치에 따라 옹벽의 경사도를 조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부(120)의 외장몸체(121)는 고무, 우레탄 및 합성수지재의 경량에 기후에 따른 변위가 적은 재질로 형성하여 직각의 결합턱(113)에 안치되어 접착되어도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110)의 외장면(112)을 평면으로 형성하고, 외장부(120)의 외장몸체(121)의 결합부분을 평면으로 형성하여 접착제를 도포한 접착부(122)의 접착력으로 부착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록.
KR2020060000861U 2006-01-11 2006-01-11 옹벽블록 KR2004122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861U KR200412286Y1 (ko) 2006-01-11 2006-01-11 옹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861U KR200412286Y1 (ko) 2006-01-11 2006-01-11 옹벽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058A Division KR100750940B1 (ko) 2006-01-11 2006-01-11 옹벽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286Y1 true KR200412286Y1 (ko) 2006-03-27

Family

ID=41762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861U KR200412286Y1 (ko) 2006-01-11 2006-01-11 옹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2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449B1 (ko) * 2009-02-18 2011-11-16 주식회사 이파그리드코리아 이미지 도화가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449B1 (ko) * 2009-02-18 2011-11-16 주식회사 이파그리드코리아 이미지 도화가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6220B2 (en) Method for strengthening a fence
KR100750940B1 (ko) 옹벽블록
KR200469815Y1 (ko) 비닐 하우스 프레임
KR101790130B1 (ko) 편리한 시공성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데크 구조체
CN102777040A (zh) 一种错缝双墙板内隔墙的安装工艺及双墙板内隔墙
US20230025077A1 (en) Simulated rock modular fence apparatus and system
KR200412286Y1 (ko) 옹벽블록
CN102677858B (zh) 一种氟碳装饰无机单板安装的背挂件及其施工方法
CN108301586A (zh) 一种建筑外挂装饰预制件安装结构
CA2901102A1 (en)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uch a building
CN102747820A (zh) 一种新型装饰用护墙板
JP2006194062A (ja) 束石と束柱の連結具
CN207348352U (zh) 一种墙面多点挂扣龙骨组件
CN108026727B (zh) 夹持件
KR20110116302A (ko) 벽체마감패널 어셈블리
CN209891650U (zh) 一种室外无钉孔防腐木装饰地面
CN204781311U (zh) 混凝土预制拼装房屋
KR101748783B1 (ko) 조립 블록과 이를 이용한 아치형 하우스 구조물
CN219887321U (zh) 一种用于仿木板的型钢及含型钢的仿木板和仿木结构总成
KR102201160B1 (ko) 조경시설물 및 데크용 난간
CN209990096U (zh) 装配式仿古楣子
CN111535530B (zh) 一种装配式楼梯
CN217814375U (zh) 一种卡扣及带有该卡扣的仿木结构总成
CN216999155U (zh) 一种栈桥高耐竹铺装装置
CN215164267U (zh) 一种榫卯结构的园路上层铺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