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468B1 - 분리수단이 구비된 페럴제작용 cnc선반 - Google Patents

분리수단이 구비된 페럴제작용 cnc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468B1
KR101076468B1 KR1020100082776A KR20100082776A KR101076468B1 KR 101076468 B1 KR101076468 B1 KR 101076468B1 KR 1020100082776 A KR1020100082776 A KR 1020100082776A KR 20100082776 A KR20100082776 A KR 20100082776A KR 101076468 B1 KR101076468 B1 KR 101076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cutting member
ferrule
cut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메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타스 filed Critical (주)메타스
Priority to KR1020100082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5/00Accessories or auxiliary equipment for turning-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5/00Accessories or auxiliary equipment for turning-machines
    • B23B25/02Arrangements for chip-breaking in turning-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럴제작용 CNC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에서 공급되는 소재를 링 형상으로 가공하는 복수 개의 가공부재와, 상기 가공부재를 통해 링 형상으로 가공된 소재를 일정 두께로 절단하여 제품화시키는 절삭부재와, 상기 가공부재와 상기 절삭부재가 결합되며, 상기의 가공부재와 절삭부재의 가공순서에 따라 위치를 변경시키는 가공공구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페럴제작용 CNC선반에 있어서, 상기 가공공구대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절삭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절삭부재를 통해 절단된 상기 소재를 타단부로 이동시키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삭부재가 절단 시 상기 소재를 상기 몸체로 유도하며, 전진하는 소재와 상기 몸체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분리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분리수단이 구비된 페럴제작용 CNC선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수단이 구비된 페럴제작용 CNC선반{A CNC lathe having seperating means for manufacturing a ferrule}
본 발명은 페럴제작용 CNC선반에 관한 것으로, 완성된 페럴을 따로 분리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수단이 구비된 페럴제작용 CNC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럴은 프런트패럴과 백패럴로 형성되며, 볼트와 너트의 결합시 너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밀폐력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링 형상으로 제작된다.
도 1은 종래의 패럴제작용 CNC선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서 봉 형상의 소재(40)를 링 형상으로 가공하는 복수 개의 가공부재(10)와, 상기 가공부재(10)를 통해 링 형상으로 가공된 소재(40)를 일정 두께로 절단하여 제품화시키는 절삭부재(20)와, 상기 가공부재(10)와 상기 절삭부재(20)가 결합되며, 상기의 가공부재(10)와 절삭부재(20)의 가공순서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가공공구대(30) 및 상기 가공공구대(3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공부재(10)와 절삭부재(20)의 공정 시 발생되는 칩(70)과 제품화된 소재(40)를 배출시키는 이송컨베이어(8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칩(70)과 제품화된 소재(40)가 한 곳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칩과 페럴이 한 곳으로 결집되므로 상기 칩의 사이에 섞여있는 상기 페럴을 찾아서 골라내야 하는 분류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분류작업으로 인해 시간 및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어 생산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완성된 페럴을 따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에서 공급되는 소재를 링 형상으로 가공하는 복수 개의 가공부재와, 상기 가공부재를 통해 링 형상으로 가공된 소재를 일정 두께로 절단하여 제품화시키는 절삭부재와, 상기 가공부재와 상기 절삭부재가 결합되며, 상기의 가공부재와 절삭부재의 가공순서에 따라 위치를 변경시키는 가공공구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페럴제작용 CNC선반에 있어서, 상기 가공공구대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절삭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절삭부재를 통해 절단된 상기 소재를 타단부로 이동시키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삭부재가 절단 시 상기 소재를 상기 몸체로 유도하며, 전진하는 소재와 상기 몸체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분리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소재가 상기 몸체를 타고 타단부로 모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공공구대의 일측에 결합되며,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홀에 관통시켜 상기 지지대의 상하부의 너트로 상기 몸체를 체결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는 원주를 따라 돌출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의 내주면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돌기를 상기 단턱에 거치시켜 상기 지지대의 하부로 돌출되는 상기 나사산을 너트로 체결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스프링은, 전방부가 펴져 상부의 피치(코일의 간격)를 덮도록 이루어져 상기 소재가 상기 피치 사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소재의 가공시 발생되는 칩은 CNC선반으로부터 배출시키고, 제품화된 페럴을 분리하여 저장을 시킴으로, 칩과 썩여있던 페럴을 분리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생산성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패럴제작용 CNC선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단이 구비된 패럴제작용 CNC선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단이 구비된 패럴제작용 CNC선반의 분리수단과 지지대의 결합을 도시하는 제1실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단이 구비된 패럴제작용 CNC선반의 분리수단과 지지대의 결합을 도시하는 제2실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단이 구비된 패럴제작용 CNC선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단이 구비된 패럴제작용 CNC선반의 분리수단과 지지대의 결합을 도시하는 제1실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단이 구비된 패럴제작용 CNC선반의 분리수단과 지지대의 결합을 도시하는 제2실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공부재(10), 절삭부재(20), 가공공구대(30) 및 분리수단(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공부재(10)는, 복수 개의 절삭 날이 형성되어, 전방에서 공급되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소재(40)를 절삭하여 링 형상으로 가공하게 되는데, 상기 소재(40)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장치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혼란을 줄 수 있어 단지 소재(40)를 전방으로 밀어준다는 것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절삭부재(20)는, 상기 가공부재(10)를 통해 링 형상으로 가공된 소재(40)를 일정 두께로 절단하여 상기 소재(40)를 페럴로 제품화시키게 되는데, 상기 가공부재(10)와, 절삭부재(20)를 통한 작업시에는 절단 및 절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절삭유를 분출하는 호스(90)가 위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 가공공구대(30)는, 상기 가공부재(10)와 상기 절삭부재(20)가 결합되며, 상기의 가공부재(10)와 절삭부재(20)의 가공순서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절삭부재(20)는 마지막 공정으로, 상기 가공부재(10)의 상부에 위치되며, 이에 관한 것은 공지된 기술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핵심인 상기 분리수단(100)은, 상기 가공공구대(30)에 결합되어 연동되는 것으로, 몸체(110)와 코일스프링(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는, 일단부가 상기 절삭부재(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절삭부재(20)를 통해 절단된 상기 소재(40)를 타단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스프링(120)은, 상기 몸체(11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데, 일측은 상기 몸체(110)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몸체(1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절삭부재(20)가 상기 소재(40)의 절단 시 상기 소재(40)를 상기 몸체(110)로 유도하며, 전진하는 상기 소재(40)와 상기 몸체(11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가공부재(10)를 통하여 소재(40)가 깍이며 발생되는 칩(70)은 이송컨베이어(80)를 타고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절삭부재(20)를 통하여 제품화된 소재(40)인 페럴은 상기 몸체(110)의 타단부로 모이게 되어, 칩(70)과 제품화된 소재(40)를 분리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는,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제품화된 상기 소재(40)가 상기 몸체(110)를 타고 타단부로 모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공공구대(30)의 하부에 결합되고,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110)가 결합되는 지지대(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을 참조로 상기 몸체(110)와 상기 지지대(200)가 결합되는 일실시 예를 설명하면, 상기 몸체(110)의 타단부에는 나사산(11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00)는 상부에서 하부를 관통하는 홀(210)이 형성되어, 먼저 너트(211)를 상기 나사산(111)에 결합시켜 상기 몸체(110)의 타단부를 상기 지지대(200)의 홀(210)을 관통시킨 후 상기 나사산(111)에 다른 너트(211)를 결합시켜 상기 지지대(20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너트(211)들을 죄여 고정을 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몸체(110)의 타단부에 모여지는 상기 소재(40)를 수거할 시에는, 상기 지지대(200)의 상하부의 너트(211)를 푼 후 상기 몸체(110)를 상기 홀(210)로부터 빼내어 상기 소재(40)를 수거할 수 있게 된다.
도 2 또는 도 4를 참조로 상기 몸체(110)와 상기 지지대(200)가 결합되는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상기 몸체(110)의 타단부에는 원주를 따라 돌출되는 안착돌기(130)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지지대(200)는 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홀(210)의 내주면에는 단턱(212)을 형성시켜, 상기 안착돌기(130)를 상기 단턱(212)에 거치시켜 상기 지지대(200)의 하부로 돌출되는 상기 나사산(111)을 너트(211)로 체결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몸체(110)의 타단부에 모여지는 상기 소재(40)를 수거할 시에는, 상기 지지대(200)의 하부에 죄여진 너트(211)를 푼 후 상기 몸체(110)를 상기 홀(210)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소재(40)를 수거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코일스프링(120)은, 전방부가 펴져 상부의 피치(코일의 간격)(p)를 덮도록 이루어져 상기 소재(40)가 상기 피치(p) 사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60)를 조작하여 작업공정을 설정을 하여 작동을 시키면, 척(50)에 끼워져 전방으로 움직이는 환봉 형상의 소재(40)를 복수 개의 가공부재(10)가 링 형상으로 소재(40)를 깍은 후 절삭부재(20)가 일정 두께로 절단하여 제품화시키는데, 상기 가공부재(10)의 절삭과 상기 절삭부재(20)의 절단시에는 더욱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호스(90)에서 절삭유가 분출된다.
한편, 상기 절단부재(20)가 절단면에 닿을 시에는, 코일스프링(120)이 상기 링 형상의 소재(4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환봉 형상의 소재(40)와 맞닿게 되고 상기 소재(40)가 전방으로 이동을 하여도 상기 코일스프링(120)의 탄성력에 의하여 몸체(110)와 상기 소재(40)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소재(40)와 상기 몸체(110)의 사이에 거리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코일스피링(120)의 일측이 상기 링 형상의 소재(40)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코일스프링(120)이 상기 링 형상의 소재(40)로부터 이탈이 되지 않으므로 절단되는 상기 소재(40)를 상기 몸체(110)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120)의 전방부를 펴서 상기 코일스프링(120)의 피치(p)를 덮도로 이루어져 상기 소재(40)가 상기 몸체(110)로 유도됨에 있어, 상기 피치(p)에 상기 소재(40)가 걸리지 않도록 한다.
이후, 상기 몸체(110)의 타단부에 모여진 상기 소재(40)는, 상기 몸체(110)의 나사산(111)에 결합되는 너트(211)를 풀어 상기 지지대(200)의 홀(210)로부터 상기 몸체(110)를 이탈시켜 상기 소재(40)를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페럴을 제작함에 있어 제품화된 소재인 페럴을 따로 분리 보관할 수 있는 분리수단을 구비시켜 칩과 페럴의 분리작업을 하지 않도록 하는 분리수단이 구비된 페럴제작용 CNC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가공부재 20 : 절삭부재
30 : 가공공구대 40 : 소재
50 : 척 60 : 제어부
70 : 칩 80 : 이송컨베이어
90 : 호스 100 : 분리수단
110 : 몸체 111 : 나사산
120 : 코일스프링 130 : 안착돌기
200 : 지지대 210 : 홀
211 : 너트 212 : 단턱
p : 피치

Claims (6)

  1. 전방에서 공급되는 소재(40)를 링 형상으로 가공하는 복수 개의 가공부재(10)와, 상기 가공부재를 통해 링 형상으로 가공된 소재를 일정 두께로 절단하여 제품화시키는 절삭부재(20)와, 상기 가공부재와 상기 절삭부재가 결합되며, 상기의 가공부재와 절삭부재의 가공순서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가공공구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페럴제작용 CNC선반에 있어서,
    상기 가공공구대에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절삭부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절삭부재를 통해 절단된 상기 소재를 타단부로 이동시키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삭부재가 절단 시 상기 소재를 상기 몸체로 유도하며, 전진하는 소재와 상기 몸체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코일스프링(120)으로 이루어지는 분리수단(1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단이 구비된 페럴제작용 CNC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소재가 상기 몸체를 타고 타단부로 모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단이 구비된 페럴제작용 CNC선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공구대의 일측에 결합되며,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단이 구비된 페럴제작용 CNC선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는 나사산(11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홀(210)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홀에 관통시켜 상기 지지대의 상하부의 너트(211)로 상기 몸체를 체결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단이 구비된 페럴제작용 CNC선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는 원주를 따라 돌출되는 안착돌기(13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홀(210)이 형성되어, 상기 홀의 내주면에 단턱(212)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돌기를 상기 단턱에 거치시켜 상기 지지대의 하부로 돌출되는 상기 나사산을 너트(211)로 체결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수단이 구비된 페럴제작용 CNC선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은, 전방부가 펴져 상부의 피치(코일의 간격)(p)를 덮도록 이루어져 상기 소재가 상기 피치 사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수단이 구비된 페럴제작용 CNC선반.

KR1020100082776A 2010-08-26 2010-08-26 분리수단이 구비된 페럴제작용 cnc선반 KR101076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776A KR101076468B1 (ko) 2010-08-26 2010-08-26 분리수단이 구비된 페럴제작용 cnc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776A KR101076468B1 (ko) 2010-08-26 2010-08-26 분리수단이 구비된 페럴제작용 cnc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6468B1 true KR101076468B1 (ko) 2011-10-25

Family

ID=4503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776A KR101076468B1 (ko) 2010-08-26 2010-08-26 분리수단이 구비된 페럴제작용 cnc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4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6001U (ja) 1981-08-31 1983-03-09 ワシノ機械株式会社 旋盤における素材排出装置
JPS63182803U (ko) 1987-05-18 1988-11-25
JP2002239805A (ja) 2001-02-22 2002-08-28 Okuma Corp ワーク払い出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6001U (ja) 1981-08-31 1983-03-09 ワシノ機械株式会社 旋盤における素材排出装置
JPS63182803U (ko) 1987-05-18 1988-11-25
JP2002239805A (ja) 2001-02-22 2002-08-28 Okuma Corp ワーク払い出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64049A (zh) 加工装置
US20150111710A1 (en) Tool changer provided with covers
US7437816B1 (en) Lathe with arrangement for dropping chips into a container without blocking moving path of a saddle
CN102632522A (zh) 一种数控木柄加工机床
CN113732318A (zh) 一种自动化上料的数控车床
CN110723490B (zh) 一种用于空气导流罩的外壁柱槽同步加工装置
KR101076468B1 (ko) 분리수단이 구비된 페럴제작용 cnc선반
JP2012135846A (ja) チャック構造
CN201371392Y (zh) 全自动多功能多用自控机床
CN210413459U (zh) 一种阀芯自动加工机床
KR20150003700U (ko) 공작 기계의 절삭 부스러기 배출 장치
KR20100075796A (ko) 절삭칩 회수장치
CN210059477U (zh) 一种压力冲切机
CN214350012U (zh) 钢带修边装置
CN106364988B (zh) 剥纱管机
CN105689606A (zh) 一种新型高效搓丝机
KR101301973B1 (ko) 밀링머신용 공구박스 구조
CN202079656U (zh) 一种数控木柄加工机床
CN212665017U (zh) 一种数控机床用镗铣头
CN209062904U (zh) 一种应用于机械设备零件制造的工装
CN202779809U (zh) 一种具有工件车屑分离功能的接料装置
KR200491719Y1 (ko) 절삭칩 절삭유 분리기
CN206732158U (zh) 一种配合液压车床加工轴承外圈密封槽的刀头
KR101051599B1 (ko) 슬로터 공구
CN104625641A (zh) 一种直升机中型梁的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