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729B1 - 전기 스타터의 제어를 위한 전자기 컨택터 - Google Patents

전기 스타터의 제어를 위한 전자기 컨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729B1
KR101074729B1 KR1020057015140A KR20057015140A KR101074729B1 KR 101074729 B1 KR101074729 B1 KR 101074729B1 KR 1020057015140 A KR1020057015140 A KR 1020057015140A KR 20057015140 A KR20057015140 A KR 20057015140A KR 101074729 B1 KR101074729 B1 KR 101074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rib
housing
case
cont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755A (ko
Inventor
프레데릭 딸롱
삐에르 마뉘에
크리스또프 그뤼에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에끼쁘망 엘렉뜨리끄 모뙤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에끼쁘망 엘렉뜨리끄 모뙤르 filed Critical 발레오 에끼쁘망 엘렉뜨리끄 모뙤르
Publication of KR2005010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15/067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the starter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le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01H51/065Relays having a pair of normally open contacts rigidly fixed to a magnetic core movable along the axis of a solenoid, e.g. relays for starting automobi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컨택터(CT) 케이스(11)의 금속 하우징(15)은 기본 고정 코어(10)의 원통형 가장자리 맞은편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환형 리브(21)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는 페룰(16)의 직경보다는 크고 하우징(15)의 직경보다는 작은 내경(D1)을 가지고 있어, 케이스(11)의 구성 부품들의 록킹을 보장하고 리브(21)를 한정하는 오목한 부분의 축소된 직경부에 가해지는 국부적 변형을 따라 고정 자석(10)에서 하우징(15)의 주름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타터의 컨택터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스타터의 제어를 위한 전자기 컨택터{ELECTROMAGNETIC CONTACTOR FOR CONTROLLING AN ELECTRIC STARTER}
본 발명은 전기 모터를 가진 스타터용 전자기 컨택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컨택터는:
- 배터리 및 전기 모터에 연결되는 접속단자,
- 이동 코어(core),
- 기본 고정 코어,
- 상기 이동 코어와 기본 고정 코어 사이의 축 방향 자극간극,
- 여자 시 이동 코어와 기본 고정 코어 사이의 축 방향 자극간극 내에 자속을 생성하기 위한 링 모양의 코일 보빈,
- 고정 코어에 고정된 자성 요크(yoke)로 배열되는 케이스가 구비된 자기 회로,
- 파워 전기회로 접촉부를 둘러싸고 접속 단자를 가지는 절연 덮개를 포함하며,
- 상기 케이스는 종 모양의 금속 하우징, 코일 보빈을 둘러싸는 자기물질로 이루어진 내부 페룰(ferrule) 및 기본 고정 코어와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어 이동 코어가 통과하는 부가 고정 코어 역할을 수행하는 하나의 링 와셔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스타터는 전자기 컨택터를 포함하며, 전자기 컨택터의 역할은:
- 시동 시 연동 톱니 링 내에 피니언을 맞물리게 해주고, 시동 후에는 피니언이 분리되도록 하고,
- 전기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다.
컨택터는 일반적으로 플런저 코어를 작동시키는 전자석으로 구성된다. 플런저 코어는 이동하면서 전기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기 회로를 폐쇄하며, 시동 톱니 링 내로 피니언을 추진시키도록 작동 레버를 끌어당긴다.
프랑스 특허 FR-A-2795884에 따르면, 자동차 스타터(도 5 참조)는 회전 전기 모터(M) 및 아웃풋 샤프트를 포함한다. 아웃풋 샤프트는 자동차 연소 엔진의 시동을 보장하기 위해서 자동차 플라이휠과 회전 연동되는 시동 톱니 링(C)의 연동 피니언(1)이 구비된다. 상기 피니언(1)은 톱니 링으로부터 분리되는 정지위치와 상기 링과 맞물리는 활동위치 사이에서 보충 홈을 통해 아웃풋 샤프트 상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아웃풋 샤프트는 전기 모터에 전류가 공급될 때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샤프트는 도 6에서 모터(M)의 샤프트와는 구별된다. 왜냐하면 기어식 감속기가 상기 두 샤프트 사이에 개입되기 때문이다. 대체형으로, 아웃풋 샤프트가 모터(M)의 샤프트일 수 있다.
스타터의 전기 모터는 또한 전기 모터 위에 놓여 있는 전자석을 가진 파워 컨택터(2)에 결합된다. 상기 컨택터(2)는 지지체에 지지되는 환형 코일 보빈(2a)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의 바닥은 이동 코어(2b)의 조정을 위한 베어링(2c)을 구성한다.
상기 컨택터(2)는 전기 모터(M)에 전류를 공급하고 이동 피니언(1)을 정지위치와 활동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진다. 전자석의 여자는 예를 들어 파워 컨택터의 기본 회로가 폐쇄된 후 이어서 배터리 쪽으로 전기 회로를 설정시키는 컨택 키의 작동에 의해 제어된다.
컨택터(2)의 이동 코어(2b)는 프리휠 방식의 트랜스미션 장치가 장착된 스타터 구동 어셈블리와 제어 레버를 포함하는 기계적 연결부(4)를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피니언(1)은 상기 스타터 구동 어셈블리에 속한다.
포크 형태의 제어 레버는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아웃풋 샤프트는 지지대를 통하여 케이스 내에 회전 장착된다.
상기 케이스는 자동차의 고정 부품에 고정되며, 링(C)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이러한 케이스는 자동차 엔진에 스타터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파워 컨택터의 기본 회로에는 한 쌍의 고정 접촉부와 브리지 형태의 이동 접촉부(3)가 갖추어져 있으며, 상기 이동 접촉부는 코일 보빈의 여자 시 이동 코어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작동용 푸시 로드에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푸시 로드는 축 방향 간극 조정 후 이동 코어(2b)에 의해 이동되며, 제2 복귀 스프링은 이동 코어를 정지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이동 코어 상에서 작용한다.
단절 스프링이라고도 불리는 제1 복귀 스프링은 고정된 접촉부와의 축 방향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동 접촉 유닛과 푸시 로드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킨다.
푸시 로드의 정지위치는 이동 접촉부(3)와 중앙에 구멍이 난 고정 코어의 접촉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고정 코어의 중앙 구멍은 돌출부와 이동 접촉부 사이에서 작용하는 접촉 압력 스프링으로 불리는 스프링의 설치를 위해 돌출부를 갖추고 있는 푸시 로드의 가이드를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 코어는 돌출되어 있으며, 코일 보빈(2a) 지지체의 중심배치를 위해 중심 지지대를 가지고 있다.
톱니 맞물림 스프링으로 불리는 스프링(5)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은 이동 코어(2b)의 내부에 놓이며, 제어 레버를 이동 코어(2b)에 연결하기 위하여 한 축을 통해 포크 형태로 된 제어 레버의 상부 단부에 연결되는 막대와 접한다.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컨택터는 전기 모터 근처에 위치되어 전기 모터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컨택터는 아웃풋 샤프트 및 이 샤프트 상에서 미끄러지도록 장착되는 피니언을 동시에 지지하는 상기 케이스 상에 고정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또한 전기 모터(M) 샤프트의 회전 장착을 위해서 후방 지지대에 의해 폐쇄되는 전기 모터(M)의 요크를 가지고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샤프트의 단부들 사이로 지지대가 개입되면서 전기 모터(M) 샤프트를 확장시켜주는 아웃풋 샤프트의 회전 장착을 위한 전방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컨택터는 이동 코어 외에도 자기 물질로 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또한 고정 접촉부에 연결된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절연 물질로 된 덮개를 포함한다. 컨택터의 고정부는 케이스 상에 부가될 수 있는 케이스 형태의 요크 및 축 방향 자극간극에 의해서 이동 코어와 분리되는 고정 코어로 구성된다. 환형 코일 보빈은 약간의 방사상 간극을 가지고 이동 코어를 동축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다.
코일 보빈이 여자되지 않을 때, 이동 코어는 제2 복귀 스프링의 작용 하에 고정 코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놓이게 된다.
코일 보빈에 전류가 공급되면, 즉 코일 보빈의 여자 시, 제1 단계로서 이동 코어는 제1 복귀 스프링의 복귀력에 맞서도록 고정 코어 방향으로 나아가는 자력에 의해서 이동하게 된다. 제2 단계로서, 이동 코어와 푸시 로드 사이의 축 방향 간극조정 후 이동 코어는 상기 푸시 로드를 제 2 복귀 스프링 및 제 1 복귀 스프링에 의해 실행되는 힘의 맞서도록 이동시킨다. 상기 제 1 복귀 스프링은 제 2 복귀 스프링보다 더 단단한 특성을 나타내며, 접속 압력 스프링보다는 덜 단단한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이동은 고정 접촉부 및 전기 모터의 전류 공급과 함께 이동 접촉부에 접속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어서 접촉 압력 스프링은 이동 코어가 고정 코어와 접촉할 때까지 압축된다.
동시에 스타터 구동 어셈블리는 제어 레버의 작동 하에 링(C) 방향으로 이동한다.
피니언(1)이 링(C) 내로 직접 관통하지 않을 경우, 스프링(5)은 고정 접촉부 를 폐쇄시키고 전기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 압축된다. 이때 전류가 공급된 모터는 피니언이 링(C) 내로 관통할 수 있도록 피니언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컨택터의 자기회로 구조는 예를 들어 독일특허 101 55 103 혹은 상기한 프랑스특허 FR A 2 795 884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
도 1에서, 컨택터의 고정 코어(10)는, 일반적으로 고정 코어(10)의 가장자리나 후방부에 배열된 중공(13) 내에 삽입되는 오목부(12)를 형성하도록 측벽에 하나 이상의 변형부가 형성된 고정 케이스(11)에 대하여 회전 고정된다. 그러나, 케이스가 다수의 부품을 이용해 형성되는 경우, 케이스를 조심해서 다루지 않으면 전체 유닛이 분리되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도 2에서, 덮개(14)는 접속 단자 상에서 조임 토크(C)를 견뎌내기 위해서 케이스(11)에 대한 회전이 차단되어야 한다.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케이스(11) 단부의 재료를 변형하여 오목부(12a)를 형성하고 덮개(14)의 구멍(13a) 내로 삽입한다. 그러나, 덮개(14)에 가해지는 조임 토크가 일정 한도를 초과하게 되면, 이 덮개는 오목부(12a)에서 이탈하여 회전운동이 시작될 수 있다. 두께가 얇은 시트(sheet)(0.5 내지 1.5mm)의 금형작업을 통해서 얻어진 케이스의 기계적 강도가 부족할 때 상기와 같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높은 회전 토크 하에서는 케이스에 불균일한 마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케이스의 회전 정지 기능은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단점들을 개선하여 접속 단자에 가해지는 조임 토크와 관계없이 강화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케이스를 가진 스타터용 컨택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케이스의 금속 하우징이 기본 고정 코어의 원통형 가장자리에 대하여 연장되는 환형의 리브(ri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브는 케이스의 구성 부품들이 록킹될 수 있도록 페룰의 내경보다는 크고 하우징의 내경보다는 작은 내경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브는 케이스의 구성 부품들의 록킹을 보장해주는 것과 동시에, 상기 리브를 한정하는 오목부의 축소된 직경부에 가해지는 국부적 변형을 따라 고정 자석에 대한 하우징의 설치를 보장한다.
컨택터 하우징의 단부에 있는 리브를 통하여 하우징 내부의 페룰 및 링 와셔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시에 접속단자의 조임 시 덮개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에 기인하는 변형을 피할 수 있는 케이스의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는 고정 코어의 중심 배치 기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정 코어용 재료 양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을 이용하면 표준 유형의 고정 코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케이스의 크기가 규격화될 수 있다. 덮개는 고정 코어 상에 작용하는 압착 덮개이며 상기 덮개는 링 상에 작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고정 코어에는 방사상 구멍이 제공되며, 설치 작업 중 하우징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덮개는 하우징 단부에 조립될 때 고정 코어의 구멍 내로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방향 스터드(stu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터드 수용 홈은 고정 코어의 구멍과 동일할 수 있다. 조립 후, 단열 덮개가 회전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하우징의 단부에 부가적인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과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히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도 1은 고정 코어에 케이스가 고정되어 있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컨택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 2는 연결 단열 덮개에 케이스가 고정되어 있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컨택터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택터 케이스의 단면도,
-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케이스의 사시도,
-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케이스가 장착된 컨택터의 반쪽 단면도,
-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타터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에서, 이동 코어(18)는 정지 위치에 있으며, 따라서 고정 코어(10)와 이 동 코어(18) 사이의 축방향 간극은 최대치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5에서, 케이스(11)는 종 모양의 금속 하우징(15), 연강으로 된 원통형 내부 페룰(16), 추가 고정 코어로 작용하는 자성 물질로 된 링 와셔(17)를 포함하는 다수의 요소들로 구성된다.
원통형 하우징(15)은 이동 코어(18)가 관통하도록 중앙에 구멍이 뚫린 바닥(115)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은 컨택터(CT)의 축 XX에 대하여 횡단 방향을 취하며, 내부 중심부 가장자리에 링 와셔(17)와 반대 방향으로 놓이는 축 방향 돌출부(116)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16)는 환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15)은 딥드로잉(deep drawing)에 의하여 경제적인 방법으로 제조된다.
상기 축 XX는 코일 보빈(22), 이동 코어(18) 및 푸시 로드(101)의 축을 형성한다. 푸시 로드(push rod)는 이동 코어(18)와 연결된 내부 링 와셔(103)를 통하여 이동 코어(18)에 의해서 이동된다. 참조번호 102는 접촉 압력 스프링, 참조번호 24는 단절 스프링인 제1 복귀 스프링, 참조번호 121은 제2 복귀 스프링, 참조번호 5는 톱니 스프링을 나타낸다.
상기의 모든 스프링들은 나선 스프링이다.
이동 코어(18)의 링 와셔(103)는, 축(118)을 통해 제어 레버(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막대(117)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이 개방된 바닥이 있는 공동(空洞)을 폐쇄한다. 상기 톱니 스프링(5)은 상기 바닥에 지지되며, 또한 막대(18)에서 돌출된 단부 상에 지지된다.
컵형상부(120)가 이동 코어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컵형상부는 제2 복귀 스 프링(121)의 일단의 지지체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특징에 따르면, 돌출부(116)는 복귀 스프링(121)의 나머지 단부(121)의 지지체로 사용되며, 따라서 하우징은 부가 기능을 가지게 된다.
링 와셔(17)는 하우징(15)의 바닥(115)에 지지되며, 그 중심부에 이동 코어(18)의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원형 구멍(19)을 포함한다. 바닥(115)의 중앙 돌출부(116)도 이동 코어(18)의 축 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원형 구멍을 가지고 있다.
한편으로 하우징 내에 페룰(16) 및 링 와셔(17)를 단단하게 고정시켜 주고, 다른 한편으로 접속 단자(20)의 조임 시 덮개(14)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에 기인하는 모든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스(11)의 강도를 보장하는 두 가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우징(15)의 원통형 측벽에는 고정 코어(10)의 영역의 맞은편에 환형 리브(21)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국부적인 변형이 실행된다. 이러한 국부적인 변형은 예를 들어 하우징(15)의 전체 외부 원주 상에서 롤링(rolling)을 통하여 얻어지는 직경의 감소를 유발하는 소재의 변형을 통해서 형성된다.
리브(21)의 내경(D1)은 페룰(16)의 내경보다 크고, 하우징(15)의 직경(D3) 보다 작다. 축 방향으로 측정된 리브(21)의 두께(H)는 고정 코어(10)의 두께보다 작거나 동일하다.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선 하우징(15) 내에 바닥(115)의 접촉부에 링 와셔(17)를 장착하고, 이어서 하우징(15) 내에 페룰을 끼우고, 마지막으로 페룰의 축 방향 차단 및 오목부의 형성을 위해 페룰(16)의 자유단의 접촉부에서 하우징(15)의 소재를 변형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 및 운반 이 가능한 서브-유닛을 구성하는 세 부분(15,16,17)으로 이루어진 케이스(11)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해결책은 용접 작업을 수행함이 없이 이루어진다.
상기 페룰(16)은 바람직하게는 외부 가장자리를 통하여 하우징(15)의 내부 가장자리와 긴밀하게 접촉한다. 링 와셔(17)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부품들(16,17)과 하우징(15)은 연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상기 부품들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며, 코일 보빈(22)에 전류가 공급될 때 자속이 상기 부품들을 통과할 수 있다. 링 와셔(17)는 필요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물론 하우징(15)에 미적 요소를 부여하기 위해서 표면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변이형으로, 하우징(15)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기초로 하는 비자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이형으로, 하우징(15), 페룰(16), 링 와셔(17)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등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바닥(115)은 링 와셔(17)를 보호하여 내부식성을 강화한다. 페룰(16)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링 와셔(17)의 두께는 페룰(16)의 두께보다 크다.
이어서 U자형 단면의 환형 지지체(220)를 가지는 코일 보빈(22)을 장착한다.
환형 지지체(220)를 통한 코일 보빈(22) 및 링 와셔(17)는, 고정 코어(18)를 위한 베어링을 형성하며, 고정 코어(18)의 중심 배치 및 축방향 배치를 위한 환형 가장자리(99)에 지지되는 지지 파이프(23) 상에 장착된다. 상기 가장자리(99)는 축 XX에 대하여 횡단 방향인 플랜지(100)를 통해 일단으로 연장된다.
상기 플랜지는 지지체(220) 및 파이프(23)에 대하여 지지 숄더를 형성하고 따라서 축방향 지지부를 형성한다.
상기 지지 파이프(23)는 하우징(15) 및 돌출부(116)의 구멍(19)을 관통한다. 제1 복귀 스프링(24)은 고정 접촉부들(26)(그 중 하나가 도 5에 도시되어 있음)과 축 방향 간극을 두고 배열되어 이동 접촉부(25)가 고정 코어(10)에 맞닿는 브리지를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 플랜지(100)는 원통 형태이다. 그 외부 가장자리는 리브(21)의 내부 가장자리와 긴밀하게 접속된다. 상기 리브는 플랜지(100), 즉 고정 코어(10)의 중심 배치 기구로 이용된다. 리브(21)를 통하여 플랜지(100)의 높이, 즉 고정 코어를 구성하는 소재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더 경제적이다.
바람직하게는, 리브(21)의 내부 가장자리, 즉 오목부의 내부 가장자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00)의 중심 배치 기구로 사용되는 원통형 부분을 포함한다. 이 부분은 상기된 내경(D1)을 나타낸다. 두 개의 경사 측면들은 상기 부분과 함께 리브(21)를 한정하기 위해 중심 배치 부분의 양쪽으로 확장된다. 상기 경사 측면 중의 한 측면(210), 즉 페룰(16)의 자유 단부에 인접한 측면을 통하여 페룰이 링 와셔(17)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페룰을 조일 수 있으며, 상기 링 와셔는 바닥(115)에 지지된다. 상기 경사 측면(210)은 조임 측면이다. 물론, 대체형으로 홈은 예를 들어 도 2의 오목부(12a)의 단면과 유사한 단면으로 끝 부분이 둥근 형태를 가지는 V자 형태 등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정 코어(10)의 외부 가장자리, 즉 플랜지(100)의 외부 가장자리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코어(10) 상에서 케이스(11) 및 덮개(14)의 이중 차단 효과를 가능하게 하는 구멍(13)을 포함한다. 하우징(15)의 다수의 국부적 변형은, 회전하여 고정 코어를 차단하기 위해 고정 코어(10)의 플랜지(100) 구멍(13) 내로 금속을 국부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 리브(21)의 축소된 직경 상에 외부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국부적 변형은 바람직하게는 사다리꼴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하여 고정 코어에 대해 하우징이 설치된다.
덮개(14)의 베이스에는 축 방향을 따라 고정 코어(10)의 구멍과 맞물리는 스터드(27)가 장착된다. 도 5에서, 이 구멍들은 하우징(15)의 설치 시 역진되는 금속을 수용하는 구멍들(13)과 동일하다.
컨택터(CT)의 최종 조립 후, 덮개(14)의 회전 차단을 보장하는 오목부(12a)를 생성할 수 있도록 덮개(14) 수준에서 하우징(15)의 단부의 국부적 변형을 실행한다. 이러한 오목부(12a)는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와 같이 덮개의 구멍 내로 수용된다.
이러한 덮개는 그 베이스를 통하여 고정 코어(10)의 플랜지(100)를 조이며, 덮개는 오목부(12a)를 수용하는 구멍들 부분에서 기울어진다. 그 결과 상기 오목부는 덮개에 축 방향 힘을 가한다. 따라서 부품들(17,16,100 및 14)은 바닥(115)과 오목부(12a) 사이에서 조여진다. 바람직하게는, 덮개 고정 후 하우징(15)의 금속을 구멍(13) 내로 삽입한다. 물론, 덮개를 고정하기 전에 이러한 작업은 실행할 수도 있으며, 이는 오목부 부위의 소재의 꺽임이 압축을 통해 실행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구멍 및 스터드(27) 내로 관통하는 국부적 변형을 통하여 구성 부품들을 서로에 대하여 회전 연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견고한 리브(21)를 통하여 하우징(15)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Claims (13)

  1. 배터리 및 전기 모터(M)에 연결되는 접속 단자,
    이동 코어(18),
    기본 고정 코어(10),
    상기 이동 코어(18)와 기본 고정 코어(10) 사이의 축 방향 자극간극,
    여자 시 상기 이동 코어(18)와 기본 고정 코어(10) 사이의 축 방향 자극간극 내에 자속을 생성하기 위한 링 모양의 코일 보빈(22),
    상기 고정 코어(10)에 고정된 자성 요크(yoke)로 배열되는 케이스(11)가 구비된 자기 회로,
    파워 전기회로 접촉부(25,26)를 둘러싸고 접속 단자(20)를 가지는 절연 덮개(14)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1)는 종 모양의 금속 하우징(15), 코일 보빈(22)을 둘러싸는 자기물질로 이루어진 내부 페룰(16) 및 기본 고정 코어(10)와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어 이동 코어(18)가 통과하는 부가 고정 코어 역할을 수행하는 하나의 링 와셔(17)로 구성되는 전기 모터가 장착된 스타터용 전자기 컨택터(CT)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의 금속 하우징(15)은 상기 기본 고정 코어(10)의 원통형 가장자리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환형 리브(21)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는 상기 케이스(11)의 구성 부품들을 록킹할 수 있도록 페룰(16)의 내경보다는 크고 하우징(15)의 내경보다는 작은 내경(D1)을 가지며,
    상기 기본 고정 코어(10)의 외부 가장자리는 상기 리브(21)의 내부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21)는 상기 케이스(11)의 구성 부품들의 록킹을 보장해주는 것과 동시에 상기 리브(21)를 한정하는 오목부의 축소된 직경부에 가해지는 국부적 변형을 따라 상기 고정 코어(10)에 대한 하우징의 설치를 보장하며, 상기 리브는 상기 내부 페룰을 축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내부 페룰의 자유단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고정 코어(10)에는 상기 설치에 의해 오목부(12)가 삽입되는 방사상의 구멍(13)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4)는 상기 하우징(15)의 단부 상에 조립될 때 상기 고정 코어(10)의 구멍 내로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 방향 스터드(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27)를 수용하는 홈은 상기 고정 코어(10)의 구멍(13)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터.
  6. 제1항에 있어서,
    오목부(12a)가 상기 덮개(14)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립 후 상기 하우징(15)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고정 코어(10)는 방사상 플랜지(100)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21)의 내부 가장자리는 상기 방사상 플래지(100)를 중심 배치하도록 작용하는 중심 배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 모양의 금속 하우징(15)은 상기 이동 코어(18)가 통과하는 중심 구멍을 가진 바닥(115)을 포함하고,
    상기 리브(21)는, 상기 중심 배치 부분과 함께 상기 리브(21)를 한정하도록 상기 중심 배치 부분의 측부에서 연장된 두 개의 경사 측면(210)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경사 측면 중 하나는 상기 내부 페룰(16)의 자유단에 접하여, 상기 내부 페룰을 상기 와셔(17)에 대하여 가압하고, 상기 와셔(17)는 상기 금속 하우징(15)의 바닥(115)에 대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배치 부분은 원통형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축 방향으로 측정된 상기 리브(21)의 두께(H)는 상기 고정 코어(10)의 방사상 플랜지(100)의 두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 모양의 금속 하우징(15)은 상기 이동 코어(18)가 통과하는 중심 구멍을 가진 바닥(115)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내부 가장자리의 중앙에 상기 와셔(17)와 반대 방향으로 축방향 돌출부(11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코어(18)와 금속 하우징(15) 사이에는 복귀 스프링(121)이 작용하고, 상기 돌출부(116)는 상기 하우징이 추가적인 기능을 가지도록 상기 복귀 스프링(121)의 일 단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고정 코어는 방사상 플랜지(100)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상 구멍들은 상기 방사상 플랜지(100)의 외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택터.
KR1020057015140A 2003-03-28 2004-03-26 전기 스타터의 제어를 위한 전자기 컨택터 KR101074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303876A FR2854665B1 (fr) 2003-03-28 2003-03-28 Contacteur electromagnetique de commande d'un demarreur electrique
FR03/03876 2003-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755A KR20050107755A (ko) 2005-11-15
KR101074729B1 true KR101074729B1 (ko) 2011-10-18

Family

ID=3310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140A KR101074729B1 (ko) 2003-03-28 2004-03-26 전기 스타터의 제어를 위한 전자기 컨택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75606B2 (ko)
EP (1) EP1613858B1 (ko)
JP (1) JP4516065B2 (ko)
KR (1) KR101074729B1 (ko)
CN (1) CN1742156B (ko)
BR (1) BRPI0406437B1 (ko)
FR (1) FR2854665B1 (ko)
MX (1) MXPA05010344A (ko)
WO (1) WO200408812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4037B1 (fr) * 2005-03-31 2007-05-11 Valeo Equip Electr Moteur Contacteur electromagnetique et demarreur comportant un tel contacteur
FR2885983B1 (fr) * 2005-05-19 2015-07-24 Valeo Equip Electr Moteur Etancheite par deformation de matiere
EP2080898B1 (en) 2008-01-18 2020-03-11 Denso Corporation Starter with compact structure
US7975982B2 (en) * 2008-09-03 2011-07-12 Defond Components Limited Electromagnetic valve
FR2957982B1 (fr) 2010-03-29 2012-04-13 Valeo Equip Electr Moteur Palier avant de demarreur de moteur thermique a pignon sortant et demarreur a pignon sortant comportant un tel palier
FR2959360B1 (fr) 2010-04-27 2013-01-18 Valeo Equip Electr Moteur Machine electrique comportant un rotor muni d'un bobinage permettant de faciliter la commutation, et demarreur associe
FR2959361B1 (fr) 2010-04-27 2015-11-13 Valeo Equip Electr Mote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en particulier pour un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DE202013100859U1 (de) * 2013-02-28 2013-10-29 Progress-Werk Oberkirch Ag Gehäuse für einen Elektroantrieb
FR3013396A1 (fr) 2013-11-21 2015-05-22 Valeo Equip Electr Moteur Lanceur de demarreur de moteur thermique a couronne dentee de demarrage et demarreur comportant un tel lanceur
KR102204849B1 (ko) * 2014-05-20 2021-01-18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접촉기
FR3074980A1 (fr) 2017-12-11 2019-06-14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Moteur electrique de demarreur de moteur thermique et demarreur equipe d'un tel moteur electriqu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6991A1 (fr) 1999-07-30 2001-02-02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erreur de vehicule automobile muni d'un element elastique d'engrenement de raideur elastique non lineaire
JP2002168166A (ja) 2000-12-01 2002-06-14 Denso Corp スタータ用マグネット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7598A1 (de) * 1985-10-23 1987-05-27 Bosch Gmbh Robert Elektromagnetischer schalter, insbesondere fuer andrehvorrichtungen von brennkraftmaschinen
JP2741331B2 (ja) * 1993-10-13 1998-04-15 共立金属工業株式会社 差筋アンカー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H08129948A (ja) * 1994-10-28 1996-05-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タータ用マグネットスイッチ
DE19542142A1 (de) * 1995-11-11 1997-05-15 Bosch Gmbh Robert Einrückrelais für Andrehvorrichtung von Brennkraftmaschinen
US6320485B1 (en) * 1999-04-07 2001-11-20 Klaus A. Gruner Electromagnetic relay assembly with a linear motor
JP2000322999A (ja) * 1999-05-12 2000-11-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タータ用マグネットスイッチ
DE10213286A1 (de) * 2001-04-06 2002-10-10 Denso Corp Elektromagnetischer Schalter für einen Anlass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6991A1 (fr) 1999-07-30 2001-02-02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erreur de vehicule automobile muni d'un element elastique d'engrenement de raideur elastique non lineaire
JP2002168166A (ja) 2000-12-01 2002-06-14 Denso Corp スタータ用マグネット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524888A (ja) 2006-11-02
FR2854665B1 (fr) 2007-02-23
FR2854665A1 (fr) 2004-11-12
WO2004088126A2 (fr) 2004-10-14
JP4516065B2 (ja) 2010-08-04
BRPI0406437B1 (pt) 2013-01-22
EP1613858B1 (fr) 2015-07-29
CN1742156B (zh) 2011-04-13
BRPI0406437A (pt) 2005-10-04
WO2004088126A3 (fr) 2004-11-18
KR20050107755A (ko) 2005-11-15
US7375606B2 (en) 2008-05-20
CN1742156A (zh) 2006-03-01
MXPA05010344A (es) 2005-11-17
US20070171583A1 (en) 2007-07-26
EP1613858A2 (fr)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7122B2 (ja) 電磁スイッチ
KR101074729B1 (ko) 전기 스타터의 제어를 위한 전자기 컨택터
KR101235536B1 (ko) 스타터용 전자 스위치 장치
US8446239B2 (en) Electromagnetic switch
US8390408B2 (en) Electromagnetic switch incorporating contact displacement limiting members for preventing unreliable operation caused by wear of switch contacts
EP0895334B1 (en) Electric rotating machine having radially outwardly extending bulge on yoke
JP2002168166A (ja) スタータ用マグネットスイッチ
JP5249395B2 (ja)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装置
US7504917B2 (en) Electromagnetic switch of starter
JPH0652772A (ja) マグネットスイッチ
JP3885640B2 (ja) スタータ用マグネットスイッチ
JPH05217481A (ja) 始動電動機の電磁スイッチ
JP4297036B2 (ja) 電磁スイッチ
EP1439304A2 (en) Wire connecting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switch of starter
JP2003208840A (ja)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
JP6107110B2 (ja) 電磁リレー
JP5340531B2 (ja) 回転電機
JP4232732B2 (ja) 電磁スイッチ
JP2004340058A (ja) スタータ
JP2763226B2 (ja) 始動電動機の電磁スイッチ
JP2005218268A (ja) 整流子付電動機及びその電機子製造方法並びに内燃機関始動装置
JP2006164563A (ja)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
JP2020194745A (ja) 補助リレーおよび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装置
JP2008027666A (ja)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29107A (ja) スタータ用マグネット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