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335B1 -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 및 이에 의한 계량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 및 이에 의한 계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335B1
KR101073335B1 KR1020110015133A KR20110015133A KR101073335B1 KR 101073335 B1 KR101073335 B1 KR 101073335B1 KR 1020110015133 A KR1020110015133 A KR 1020110015133A KR 20110015133 A KR20110015133 A KR 20110015133A KR 101073335 B1 KR101073335 B1 KR 101073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opening
hopper
weighing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욱
Original Assignee
김경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욱 filed Critical 김경욱
Priority to KR1020110015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32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weig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Weight Measurement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Of Specified Amounts Of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계량장치는 게이트와 호퍼 사이 공간에 회동프레임을 더 개재하고, 상기 회동프레임의 양측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게이트와 배출구에 구속되게 하여 회동프레임의 작동에 의해 게이트 및 배출구의 개폐가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한 계량방법에 있어서는, 저장조에 공급된 내용물을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호퍼측으로 이송하는 단계; 내용물이 호퍼에 인입되어 내부프레임과 받침플레이트가 형성하는 공간에 저장되는 단계; 받침플레이트와 연계된 계량감지센서를 통해 내용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목표 중량에 일치시 계량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한 개폐실린더의 작동으로 회동프레임의 위치를 가변되게 함으로써, 게이트는 닫고 배출구는 개방하는 단계; 계량감지센서로부터 인식된 정보에 의해 권취드럼에 권취된 와이어를 풀어 계량감지센서를 하강시킴에 따라 받침플레이트가 개구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 및 이에 의한 계량방법{WEIG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PACKING MACHINE THEREOF}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 등의 이송수단에 의해 연속 공급되는 비료나 곡류, 사료 등의 내용물을 일정량씩 계량하여 저장포대에 담는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 및 이에 의한 계량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량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면서도 포장시간은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능률이 극대화되는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 및 이에 의한 계량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에 의한 계량방법은, 계량장치를 갖춘 계량 호퍼에 수송 컨베이어로 피계량물을 공급하고 목표 값에 가까워지면 수송 컨베이어를 정지시키고 수직 계량 호퍼의 게이트를 열어 포대로 정량(목표 값)을 배출시키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수직 계량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피계량물은 포대에 관성력과 낙하충격력을 주게 되어, 안정된 계량 값을 얻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이러한 시간은 결과적으로 다음의 피계량물의 계량을 지연시키게 되므로 단위시간당 계량 포장시간이 길어져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3160호에는 음식물 찌꺼기 등으로 만든 유기질 비료를 벽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각체 프레임 상부에 비료가 담기는 호퍼가 설치되고, 호퍼 하부 이송관 내부에 이송 스크류가 설치되어 일정량의 비료를 댐퍼장치로 배출하고, 댐퍼장치에 고정된 비료포대에 담겨지는 비료를 로드셀로 계량하는 포장용 계량기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비료가 벽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는 댐퍼의 구조를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어서 여전히 정확한 계량 및 작업속도의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수단이 제시되지 못하였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6784호에는 이송 컨베이어로 이송된 곡물 또는 비료 등을 계량하여 일정 무게로 포장하는 계량 포장장치에 있어서, 피계량물이 포대에 주는 충격이나 진동으로 지지간이 지지대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포대가 한쪽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하는 계량 포장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투입 호퍼와 배출 호퍼가 연통되어 있어서 피계량물의 낙하충격에 의해서 지렛대가 충격을 받아 상하로 요동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계량 오차가 자주 발생할 뿐만 아니라, 매우 복잡한 기계적 기구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작이 어렵고 제작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한국 등록특허 제10-0345188호에는 투입 호퍼로 투입되는 사료나 비료 등의 낙하거리를 감소시켜서 정확한 계량을 할 수 있는 계량 포장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쏟아지는 사료나 비료가 투입 호퍼 외부에 장착된 완충구만으로 관성충격과 낙하충격을 크게 완화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 또한 상당히 복잡한 기계적 기구로 구성되어 있어서, 제작이 어렵고 제작단가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27884호에는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비료나 퇴비를 일정 수위로 저장하는 호퍼와, 호퍼의 일면에 설치되어 상하, 좌우로 개폐되는 게이트와, 게이트 하측에 설치된 주입구로 이루어진 비료 자동포장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 역시 신속 정확한 계량을 수행하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계량을 신속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측정 정확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계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해결 과제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 과제로는, 상기의 계량장치를 적극 이용한 자동 포장기의 계량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계량장치 및 계량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량장치의 구성은,
저장조의 일측에서 비료나 퇴비 등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게이트가 구비되고, 양방향 개구되는 배출구를 통해 상기 내용물이 저장포대에 주입될 수 있도록 호퍼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되, 상기 게이트와 호퍼 사이 공간에는 회동프레임이 개재되고, 상기 회동프레임의 양측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게이트와 배출구에 구속되게 하여 회동프레임의 작동에 의해 게이트 및 배출구의 개폐가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프레임은 반호 형상이 되도록 절곡 형성시킨 한 쌍의 날개부(좌측 날개부, 우측 날개부)로 분리 구성하여 각 날개부의 중심 영역에 천공된 통공을 중첩되게 배치시켜 고정핀으로 결속하고, 양측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연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양측 상단부의 결합돌부는 개폐실린더와 게이트에 구속된 결속편에 각각 끼워지고, 양측 하단부의 결합돌부는 배출구 배면에 구비되는 삽지홀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고정핀은 호퍼 배면에 형성된 또 다른 삽지홀에 끼움 결속됨으로써, 개폐실린더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회동프레임의 양측 상단부를 밀어주거나 또는 당겨주면서 저장조의 게이트를 개폐시키고, 이와 동반하여 회동프레임의 양측 하단부와 결부된 배출구 또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프레임과 결부된 개폐실린더의 조작에 따라 게이트 및 배출구의 개폐 범위가 동시에 조절되고, 상기 게이트와 배출구에 대한 각각의 개폐동작은 서로 반대가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호퍼의 내부 공간에는 상광하협 형태의 내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 저면에서 경첩을 통해 일측이 결속되어 타측을 개구되게 하는 받침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타측 단부를 계량감지센서와 결부된 와이어에 고정체결하여 계량감지센서를 통해 호퍼에 투입된 내용물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계량감지센서는 상·하방에서 와이어에 의해 결속되고, 상측에 위치되는 와이어는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권취드럼에 권취되고, 하측에 위치되는 와이어는 받침플레이트와 결속됨에 따라 권취드럼의 회전 방향에 의하여 와이어가 길이 조절되면서 받침플레이트의 개폐가 조절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계량감지센서는 로드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자동 포장기의 계량방법에 있어서,
저장조에 공급된 내용물을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호퍼 측으로 이송하는 단계; 내용물이 호퍼에 인입되어 내부프레임과 받침플레이트가 형성하는 공간에 저장되는 단계; 받침플레이트와 연계된 계량감지센서를 통해 내용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목표 중량에 일치시 계량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한 개폐실린더의 작동으로 회동프레임의 위치를 가변되게 함으로써 게이트는 닫고 배출구는 개방하는 단계; 계량감지센서로부터 인식된 정보에 의해 권취드럼에 권취된 와이어를 풀어 계량감지센서를 하강시킴에 따라 받침플레이트가 개구되는 단계;로 이루어져, 목표 중량에 도달한 내용물이 한번에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내용물의 배출이 완료된 후 재차 와이어를 권취드럼에 권취시켜 받침플레이트를 내부프레임 저면에서 밀착 배치되게 하는 단계;와, 개폐실린더로 회동프레임을 조작하여 게이트를 미세 간격으로 개방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를 통해 내용물이 소량으로 호퍼에 저장되는 단계;와, 계량감지센서에 의해 목표 중량을 측정하고 일치할 경우 회동프레임을 작동시켜 게이트를 완전히 닫음과 동시에 배출구를 개방하는 단계;와, 계량감지센서의 신호로 받침플레이트를 개구시켜 내용물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전체 중량을 세분하여 계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게이트 및 배출구와 연결 구성된 회동프레임을 적용 배치함으로써, 상기 회동프레임의 동작에 따라 서로 대응되게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종래에 비해 제반 구성요소들이 현저하게 줄어들고, 이에 따라 제조단가를 절감시켜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배출구의 개폐 폭에 따라 상기 게이트의 폭이 조절 가능하게 되어 이송컨베이어를 타고 운반되는 내용물을 상황에 맞게 다량 또는 소량으로 호퍼에 공급할 수 있게 되는바, 이로 인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량의 내용물을 신속하게 계량 가능한 것은 물론(종래에는 저장포대 개당 20여초가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4~6초가 소요됨), 나아가 보다 정밀한 계량을 요하는 상황에서는 상기 내용물을 소량으로 호퍼에 순차 투입시키면서 적정량에 부합되도록 조절하여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측정감지센서를 통해 총 중량을 세분화하여 단계적으로 계량 가능하게 됨으로써, 계량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과다 투입에 따른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계량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요부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계량장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요부 구성도.
도 7a,b는 본 발명에 의하여 내용물이 투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순수 인력에 의해 삽과 같은 도구로 비료나 퇴비 등을 저장포대에 담던 작업을 자동화하여 노동력의 수요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작업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특히 저장포대의 중량을 신속 정확하게 정밀 측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과다 투입에 따른 손실을 적극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 및 이에 의한 계량방법에 관련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계량장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요부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계량장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요부 구성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계량장치(500)는 저장조(3)의 일측에서 비료나 퇴비 등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게이트(300);와, 양방향 개구되는 배출구(110)를 통해 상기 내용물이 저장포대에 주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호퍼(100);로 구분 구성하되, 상기 게이트(300)와 호퍼(100) 사이 공간에는 회동프레임(200)이 더 개재되고,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양측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게이트(300)와 배출구(110)에 구속되게 하여 회동프레임의 작동에 의해 게이트 및 배출구의 개폐가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회동프레임(200)은 반호 형상이 되도록 절곡 형성시킨 좌측 날개부 및 우측 날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날개부의 중심 영역에 천공된 통공(260)을 중첩되게 배치시켜 고정핀(210)으로 결속함으로써, 고정핀을 기점으로 회동프레임의 각 날개부가 일정 범위 내에서 독립적으로 측방에 대해 이동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의 각 날개부가 서로 포개져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한 방향으로 자유로운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통공 주변의 두께를 협소하게 하여서 구비되는 작동간(23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회동프레임(200)의 양측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연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부(250)를 더 구비하여 양측 상단부의 결합돌부(250)는 개폐실린더(310)와 게이트(300)에 구속된 결속편(320)에 각각 끼워지게 하고, 양측 하단부의 결합돌부는 배출구 배면에 구비되는 삽지홀에 각각 끼워지게 하는 한편, 상기 고정핀(210) 또한 호퍼(100) 배면에 형성된 또 다른 삽지홀(220)에 끼움 결속되게 함으로써, 개폐실린더(31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양측 상단부를 밀어주거나 또는 당겨주면서 저장조(3)의 게이트(300)를 개폐시키고, 이와 동반하여 회동프레임(200)의 양측 하단부와 결부된 배출구(110) 또한 개폐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복수 마련된 개폐실린더(310)는 양측 게이트(300)와 결속편(320)에 의해 각각 연결 구성되고, 이러한 결속편에 회동프레임(200)의 양측 상단부(좌측 및 우측 날개부의 상측) 또한 동일하게 결속되는바, 개폐실린더(310)의 구동에 따라 게이트(300)의 개폐는 물론, 회동프레임(200)의 각 날개부 사이 거리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회동프레임(200)의 각 날개부 사이 거리가 개폐실린더(310)의 구동으로 가변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회동프레임의 양측 하단부와 결속된 배출구(110)를 개폐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동프레임(200)의 구조상 게이트(300)와 배출구(110)의 개폐 범위가 동시에 조절되는 것은 물론, 상기 게이트와 배출구에 대한 각각의 개폐동작은 서로 반대가 되어 게이트(300)가 열리면 배출구(110)가 닫히고, 게이트(300)가 닫히면 배출구(110)가 열리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은 회동프레임(200)을 중첩되지 않게 이격 배치하여 링크부재(270)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될 수 있다.
상기 호퍼(100)는 그 내부 공간에 상광하협 형태의 내부프레임(140);과, 내부프레임 저면에서 경첩을 통해 일측이 결속되어 타측을 개구되게 하는 받침플레이트(150);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타측 단부를 계량감지센서(50)와 결부된 와이어(51)에 고정체결하여 계량감지센서를 통해 호퍼(100)에 투입된 내용물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140)은 도 7a와 7b에서처럼 적정량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체형으로 구비되고, 계량감지센서(50)와 연결 구성된 와이어(51)가 순차 투입되는 내용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이들을 이격 배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계량감지센서(50)는 상·하방에서 와이어(51)에 의해 결속되고, 상측에 위치되는 와이어는 구동모터(52)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권취드럼(53)에 권취되고, 하측에 위치되는 와이어는 받침플레이트(150)와 결속됨에 따라 권취드럼(53)의 회전 방향에 의하여 와이어가 길이 조절되면서 받침플레이트의 개폐가 조절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계량감지센서(50)는 로드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의 로드셀은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무게 측정을 하기 위해 제작된 센서로서, 압력을 제공받으면 전기가 발생되는 압전소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호퍼(100)의 내부프레임(140)에 공급되는 내용물의 중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즉, 단위면적당 가해지는 하중(인장 혹은 압축)을 측정하고, 측정된 하중을 센서의 계측부 면적으로 나누어 주면 압력이 산출되는바, 내장된 압전소자에 의해 센서에 가해지는 힘을 전기신호로 내보내 줌으로써 수치화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는, 받침플레이트(150) 상에 일정량의 내용물이 투하되면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하중이 전이되고, 받침플레이트가 받는 하중은 고스란히 와이어를 통해 계량감지센서(50)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계량감지센서가 이러한 하중에 따른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에 전송함과 동시에 이를 수치화하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일련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는 보다 정확한 중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총 중량에 이르기 전 단계에 미리 또 한 번의 무게를 계량할 수 있게 프로그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목표 중량이 20kg인 경우, 계량감지센서를 통해 18kg을 먼저 계량(인식)한 후 2kg을 계량(인식)하도록 프로그램하고, 이러한 각각의 중량을 인식하였을 경우에 이와 관련하여 작동되는 일련의 구성요소들 또한 측정 중량에 따라 차별되게 제어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최초 18kg은 신속하게 저장포대에 담고, 나머지 2kg은 정밀하게 담을 수 있도록 하여 중량 측정시 오차범위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해 단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7a,b에 도시하였으며, 상기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의하여 내용물이 투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실시 예1)
저장조(3)에 공급된 내용물을 이송컨베이어(2)에 의해 호퍼(100) 측으로 이송하는 단계; 내용물이 호퍼에 인입되어 내부프레임(140)과 받침플레이트(150)가 형성하는 공간에 저장되는 단계; 받침플레이트와 연계된 계량감지센서(50)를 통해 내용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목표 중량에 일치시 계량감지센서(50)의 신호에 의한 개폐실린더(310)의 작동으로 회동프레임(200)의 위치를 가변되게 함으로써 게이트(300)는 닫고 배출구(110)는 개방하는 단계; 계량감지센서로부터 인식된 정보에 의해 권취드럼(53)에 권취된 와이어를 풀어 계량감지센서를 하강시킴에 따라 받침플레이트(150)가 개구되는 단계;로 이루어져, 목표 중량에 도달한 내용물이 한번에 배출되도록 하였다.
(실시 예2)
내용물의 배출이 완료된 후 재차 와이어를 권취드럼에 권취시켜 받침플레이트(150)를 내부프레임(140) 저면에서 밀착 배치되게 하는 단계;와, 개폐실린더(310)로 회동프레임(200)을 조작하여 게이트(300)를 미세 간격으로 개방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를 통해 내용물이 소량으로 호퍼(100)에 공급되는 단계;와, 공급된 내용물이 내부프레임(140)과 받침플레이트(150)가 형성하는 공간에 저장되는 단계;와, 계량감지센서(50)에 의해 목표 중량을 측정하고 일치할 경우 회동프레임(200)을 작동시켜 게이트(300)를 완전히 닫음과 동시에 배출구(110)를 개방하는 단계;와, 계량감지센서(50)의 신호로 받침플레이트(150)를 개구시켜 내용물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전체 중량을 세분하여 계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2: 이송컨베이어 3: 저장조
50: 계량감지센서 51: 와이어
52: 구동모터 53: 권취드럼
55: 고정프레임 56: 케이블
100: 호퍼 110: 배출구
120: 이음부재 130: 관통홀
140: 내부프레임 150: 받침플레이트
200: 회동프레임 210: 고정핀
220: 삽지홀 230: 작동간
250: 결합돌부 260: 통공
270; 링크부재 300: 게이트
310: 개폐실린더 320: 결속편
500: 계량장치

Claims (8)

  1. 삭제
  2. 저장조(3)의 일측에서 비료나 퇴비 등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게이트(300)와, 양방향 개구되는 배출구(110)를 통해 상기 내용물이 저장포대에 주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호퍼(100)와, 상기 게이트(300)와 호퍼(100) 사이 공간에는 회동프레임(200)이 개재되고,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양측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게이트(300)와 배출구(110)에 구속되게 하여 회동프레임의 작동에 의해 게이트 및 배출구의 개폐가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호퍼(100)의 내부 공간에는 상광하협 형태의 내부프레임(140);과, 내부프레임 저면에서 경첩을 통해 일측이 결속되어 타측을 개구되게 하는 받침플레이트(150);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타측 단부를 계량감지센서(50)와 결부된 와이어에 고정체결하여 계량감지센서를 통해 호퍼에 투입된 내용물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프레임(200)은 반호 형상이 되도록 절곡 형성시킨 한 쌍의 날개부(좌측 날개부, 우측 날개부)로 분리 구성하여 각 날개부의 중심 영역에 천공된 통공(260)을 중첩되게 배치시켜 고정핀(210)으로 결속하고, 양측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연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부(2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양측 상단부의 결합돌부는 개폐실린더(310)와 게이트(300)에 구속된 결속편(320)에 각각 끼워지고, 양측 하단부의 결합돌부는 배출구(110) 배면에 구비되는 삽지홀(220)에 각각 끼워지며, 상기 고정핀(210)은 호퍼 배면에 형성된 또 다른 삽지홀(220)에 끼움 결속됨으로써, 개폐실린더(31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회동프레임(200)의 양측 상단부를 밀어주거나 또는 당겨주면서 저장조(3)의 게이트(300)를 개폐시키고, 이와 동반하여 회동프레임(200)의 양측 하단부와 결부된 배출구(110) 또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감지센서(50)는 상·하방에서 와이어(51)에 의해 결속되고, 상측에 위치되는 와이어는 구동모터(52)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권취드럼(53)에 권취되고, 하측에 위치되는 와이어는 받침플레이트(150)와 결속됨에 따라 권취드럼의 회전 방향에 의하여 와이어가 길이 조절되면서 받침플레이트의 개폐가 조절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감지센서(50)는 로드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
  7. 삭제
  8. 내용물의 배출이 완료된 후 재차 와이어를 권취드럼에 권취시켜 받침플레이트(150)를 내부프레임(140) 저면에서 밀착 배치되게 하는 단계;와, 개폐실린더(310)로 회동프레임(200)을 조작하여 게이트(300)를 미세 간격으로 개방되게 하는 단계;와, 게이트를 통해 내용물이 소량으로 호퍼(100)에 공급되는 단계;와, 공급된 내용물이 내부프레임(140)과 받침플레이트(150)가 형성하는 공간에 저장되는 단계;와, 계량감지센서(50)에 의해 목표 중량을 측정하고 일치할 경우 회동프레임(200)을 작동시켜 게이트(300)를 완전히 닫음과 동시에 배출구(110)를 개방하는 단계;와, 계량감지센서(50)의 신호로 받침플레이트(150)를 개구시켜 내용물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전체 중량을 세분하여 계측할 수 있는 자동 포장기의 계량방법.
KR1020110015133A 2011-02-21 2011-02-21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 및 이에 의한 계량방법 KR101073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133A KR101073335B1 (ko) 2011-02-21 2011-02-21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 및 이에 의한 계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133A KR101073335B1 (ko) 2011-02-21 2011-02-21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 및 이에 의한 계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335B1 true KR101073335B1 (ko) 2011-10-12

Family

ID=45032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133A KR101073335B1 (ko) 2011-02-21 2011-02-21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 및 이에 의한 계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33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709B1 (ko) 2015-10-27 2016-06-09 장경언 멀티 헤드를 이용한 자동 계량 패키징 장치
KR20190004023A (ko) 2017-07-03 2019-01-11 다우산업주식회사 자동 포대 공급장치
CN110104231A (zh) * 2019-06-12 2019-08-09 嘉兴莫因工业设备有限公司 一种螺丝自动包装设备用称重料斗机构系统
KR20200005944A (ko) * 2018-07-09 2020-01-17 (주)동영산업 흡음패널 자동 성형 장치
RU2721720C1 (ru) * 2019-10-28 2020-05-2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трозав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Дозатор весовой
RU2733737C1 (ru) * 2019-10-28 2020-10-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трозав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весового дозировани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207Y1 (ko) 1997-07-23 2000-03-02 이용학 거름정량포장장치
KR200213396Y1 (ko) * 2000-08-14 2001-02-15 김홍노 포대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207Y1 (ko) 1997-07-23 2000-03-02 이용학 거름정량포장장치
KR200213396Y1 (ko) * 2000-08-14 2001-02-15 김홍노 포대 포장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709B1 (ko) 2015-10-27 2016-06-09 장경언 멀티 헤드를 이용한 자동 계량 패키징 장치
KR20190004023A (ko) 2017-07-03 2019-01-11 다우산업주식회사 자동 포대 공급장치
KR20200005944A (ko) * 2018-07-09 2020-01-17 (주)동영산업 흡음패널 자동 성형 장치
KR102102368B1 (ko) 2018-07-09 2020-04-22 (주)동영산업 흡음패널 자동 성형 장치
CN110104231A (zh) * 2019-06-12 2019-08-09 嘉兴莫因工业设备有限公司 一种螺丝自动包装设备用称重料斗机构系统
RU2721720C1 (ru) * 2019-10-28 2020-05-2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трозав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Дозатор весовой
RU2733737C1 (ru) * 2019-10-28 2020-10-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трозав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весового дозировани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335B1 (ko)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 및 이에 의한 계량방법
KR101238705B1 (ko) 곡물포장용 호퍼 개폐장치
US20230002087A1 (en) Slide measuring system for filling pouches and associated method
CN100501352C (zh) 组合秤
ITMI20071137A1 (it)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di dosaggio
KR101456223B1 (ko) 자동 계량장치
KR100795401B1 (ko) 계량수단을 가지는 포장기
CN113978774A (zh) 一种颗粒物料定量混合设备
US9726533B2 (en) Weighing apparatus having a loss-in weight hopper
EP2985576B1 (en) Collection hopper and combination scale
US6981529B2 (en) Measuring catalyst(s) for filling reactor tubes in reactor vessels
KR101086279B1 (ko) 떡 정량 포장장치
KR101086958B1 (ko) 농산물 계량장치 및 계량방법
JP5839476B2 (ja) 計量装置
CN104029835A (zh) 粒料顺酐给料装置
KR20220130509A (ko) 정량 계량장치
KR200273160Y1 (ko) 유기질비료 정량 포장용 계량기
JP2012229920A (ja) 計量装置
RU24395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есового дозировани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CN112298636A (zh) 一种米粉计量理料设备及计量理料工艺
CN219821807U (zh) 一种高精度快速计量装置
KR102348475B1 (ko) 계량용기가 탈착되는 곡물 계량기
KR20240069081A (ko) 소포장 팩킹작업을 위한 농산물 정량공급장치
CN204479145U (zh) 称量装置
JP5895259B2 (ja) 計量機能を有する包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