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207Y1 - 거름정량포장장치 - Google Patents

거름정량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207Y1
KR200167207Y1 KR2019970019939U KR19970019939U KR200167207Y1 KR 200167207 Y1 KR200167207 Y1 KR 200167207Y1 KR 2019970019939 U KR2019970019939 U KR 2019970019939U KR 19970019939 U KR19970019939 U KR 19970019939U KR 200167207 Y1 KR200167207 Y1 KR 200167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hopper
manure
cone
triangula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466U (ko
Inventor
이용학
Original Assignee
이용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학 filed Critical 이용학
Priority to KR2019970019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207Y1/ko
Publication of KR199900064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4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2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46Check-weighing of filled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control, or stop, the feed of articles or material to be packaged

Abstract

본 고안은 가축의 분뇨나 음식쓰레기를 발효시켜 만든 거름을 포장대에 일정한 량으로 담기 위한 거름정량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거름을 호퍼의 배출구로 계속 배출시킨 면서 포장대(18)를 배출구에 갖다대어 포장대(18)에 거름(19)을 담게 됨으로 각 포장대(18)에 담긴 거름(19)의 량이 정량을 넘게 되거나 정량에서 미달되게되어 유통과정에 있어 많은 문제가 따르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내벽(101)(102)으로 호퍼(1)를 형성하여 호퍼(1)의 공간부(1′) 외벽(101)면에는 삼각홈(4′)을 형성한 지지판(4)을 고정하여, 상긴의 삼각홈(4′)에는 여러개의 구멍(3′)이 뚫린 웨이트바(3)가 고정된 작동간(2)의 원추쇠(5)를 접촉시키고, 상기의 작동간(2)에 고정한 원추쇠(7)에는 걸이간(17)의 단부에 고정한 지지판(6)의 삼각홈(6′)을 접촉하고, 하단부는 호퍼(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운 유동호퍼(8)에 고정된 지지구(1)에 고정하여, 유동호퍼(8)의 배출구에 포장대(18)를 고정하여 거름(19)을 담을시 포장대(18)에 정량의 거름(19)이 담겨짐과 동시에 포장해(18)의 무게에 의하여 작동간(2)이 원추쇠(5)를 축정으로하여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작동간(2)이 물체감지센서(15)에 감지되어 자동으로 개폐판(9)(9′)이 닫히도록하여 포장대(18)에 정량의 거름(19)을 담을 수 있도록 한 거름정량 포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있음.

Description

거름정량포장장치
본 고안은 가축의 분뇨나 음식쓰레기를 발효시켜 만든 거름을 포장대에 일정한 량으로 담기 위한 거름정량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거름을 호퍼의 배출구로 계속 배출시키면서 포장대(18)를 배출구에 갖다대어 포장대(18)에 거름(19)을 담게 됨으로 각 포장대(18)에 담긴 거름(19)의 량이 정량을 넘게 되짓나 정량에서 미달되게되어 유통과정에 있어 많은 문계가 따르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내벽(101)(102)으로 호퍼(1)를 형성하여 호퍼(1)의 공간부(1′) 외벽(101)면에는 삼각홈(4′)을 형성한 지지판(4)을 고정하여, 상기의 삼각홈(4′)에는 여러개의 구멍(3′)이 뚫린 웨이트바(3)가 고정된 작동간(2)의 원추쇠(7)를 점촉시킨고, 상기의 작동간(2)에 고정한 원추쇠(7)에는 걸이간(17)의 단부에 고정한 지지판(6)의 삼각홈(6′)을 접촉하고, 하단부는 호퍼(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운 유동 호퍼(8)에 고정된 지지구(1)에 고정하여, 유동호퍼(8)의 배출구에 포장대(18)를 고정하여 거름(19)을 담을시 포장대(18)에 정량의 거름(19)이 담겨짐과 동시에 포장대(18)의 무게에 의하여 작동간(2)이 원추쇠(5)를 축점으로하여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작동간(2)이 물체감지센서(15)에 감지되어 자동으로 개폐판(9)(9′)이 닫히도록하여 포장대(18)에 정량의 거름(19)을 담을 수 있도록 한 거름정량 포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륵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퍼 101 : 외벽
102 : 내벽 1′ : 공간부
2 : 작동간 3 : 웨이트바(WEIGHT BAR)
3′ : 구멍 4 : 지지판
4′ : 삼각홈 5 : 원추쇠
6 : 지지판 6′ : 삼각홈
7 : 원추쇠 8 : 유동호퍼
9,9′ : 개폐판 10,10′ : 크램프
13′ : 브라켓트 13 : 실린더
13′ : 피스톤로드 14 : 실린더
14′ : 피스톤로드 15 : 물체감지센서
16 : 핀 17 : 걸이간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내벽(101)(102)으로 호퍼(1)를 형성하여 호퍼(1)의 공간부(1′) 외벽(101)면에는 삼각홈(4′)을 형성한 지지판(4)을 고정하여 상기의 삼각홈(4′)에는 여러개의 구멍(3′)이 뚫린 웨이트바(3)가 고정된 작동간(2)의 원추쇠(5)를 접촉시켜 축역활을 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의 작동간(2)에 고정한 원추쇠(7)에는 제2도와 같이 걸이간(17)의 단부에 고정한 지지판(6)의 삼각홈(6′)을 접촉시키고 걸이간(17)의 하단부는 호퍼(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운 유동호퍼(8)에 고정된 지지구(11)에 고정하고, 유동호퍼(8)에 고정한 브라켓트(12)에는 한쌍의 개폐판(9)(9′)과 크램프(10)(10′)를 핀(16)으로 유착하여 개폐판(9)(9′)에는 실린더(13)와 피스톤로드(13′)를, 크램프(10)(10′)에는 실린더(14)와 피스톤로드(14′)를 고정하여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웨이트바(3)의 상부 호퍼(1)의 외벽(101)에는 물체감지센서(15)를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8은 포장대이고, 19는 거름이며, 20은 중량체이고, 21은 지주이며, 22는 거름(19)을 호퍼(1)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이다.
이와 같이 된 본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동하지 않는 상태는 작동간(2)과 웨이트바(3)는 제1도와 같이 수평상태로 유지되고, 개폐판(9)(9′)은 닫힌 상태로 되며, 유동호퍼(8)는 상승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포장대(18)에 거름(19)을 담고자 할 때는 포장대(18)를 벌여 개폐판(9)(9′)에 끼워 실린더(13)를 작동하여 개폐판(9)(9′)을 제4도의 실선화살표방향으로 벌리고 실린더(14)를 작동하여 크램프(10)(10′)를 제4도의 실선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포장대(18)의 개구부는 제4도와 같이 개폐판(9)(9′)과 크램프(10)(10′)사이에 압착되어 고정상태로 되고, 상기의 상태에서 유동호퍼(8)의 배출구로 통하여 포장대(18)에 거름(19)이 유입되어 포장대(18)에 정량의 거름(19)이 담겨짐과 동시에 포장대(18)에 담겨진 거름(19)의 무게에 의하여 외벽(101)에 고정된 지지판(4)의 삼각홈(4′)에 놓여진 원추쇠(5)를 축점으로하여 작동간(2) 및 웨이트바(3)는 제1도의 점선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게됨과 동시에 작동간(2)에 고정된 원추쇠(7)에 지지판(6)의 삼각홈(6′)이 접촉된 걸이간(17)의 하강에 의하여 유동호퍼(8)도 하강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회전된 웨이트바(3)는 제4도와 같이 물체감지센서(15)에 감지되어 도면에 도시하지않은 자등콘트롤박스의 전자회로에 의하여 실린더(13)(14)가 작동하여 개폐판(9)(9′)은 제4도의 점선화살표방향으로 닫히 게되고, 크램프(10)(10′)는 제4도의 점선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포장대(18)는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포장대(18)가 하방으로 떨어진 후에는 웨이트바(3)의 무게에 의하여 작동간(2)은 원추쇠(5)를 축점으로하여 제1도의 원상태로됨과 동시에 유동호퍼(8)는 상승되어 다음 작업준비상태로 되는데, 포장대(18)에 거름(19)이 정량으로 채워져 하방으로 떨어질 때는 유동호퍼(8)가 하강된 상태에서 떨어지게 됨으로 바닥과의 거리는 그만큼 좁혀지게되어 떨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작동간(2)에는 원추쇠(5)를 고정하여 상기의 원추쇠(5)를 외벽(101)에 고정한 지지판(4)의 삼각홈(4′)에 접촉시켜 축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무게에 의하여 매우 예민하게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고안은 작동간(2)에 의하여 개폐판(9)(9′) 및 크램프(10)(10′)를 개폐되게 구성하여 포장대(18)에 거름(19)이 정량으로 채워짐과 동시에 회전되는 작동간(9)(9′)이 물체감지센서(15)에 감지되게하여 포장대(18)에 거름(19)의 유입을 정지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였으므로 각 포장대(18)에 정확량으로 담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내벽(101)(102)으로 호퍼(1)를 형성하여 호퍼(1)의 공간부(1′) 외벽(101)면에는 삼각홈(4′)을 형성한 지지판(4)을 고정하여 상기의 삼각홈(4′)에는 여러개의 구멍(3′)이 뚫린 웨이트바(3)가 고정된 작동간(2)의 원추쇠(5)를 접촉시켜 축역활을 하도륵 하는 한편, 상기의 작동간(2)에 고정한 원추쇠(7)에는 걸이간(17)의 단부에 고정한 지지판(6)의 삼각홈(6′)을 접촉시키고 걸이간(17)의 하단부는 호퍼(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운 유동호퍼(8)에 고정된 지지구(11)에 고정하고, 유동호퍼(8)에 고정한 브라켓트(12)에는 한쌍의 개폐판(9)(9′)과 크램프(10)(10′)를 핀(16)으로 유착하여 개폐판(9)(9′)에는 실린더(13.)와 피스톤로드(13′)를, 크램프(10)(10′)에는 실린더(14)와 피스톤로드(14′)를 고정하여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웨이트바(3)의 상부 호퍼(1)의 외벽(101)에는 물체감지센서(15)를 고정하여서 된 거름정량포장장치.
KR2019970019939U 1997-07-23 1997-07-23 거름정량포장장치 KR200167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939U KR200167207Y1 (ko) 1997-07-23 1997-07-23 거름정량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939U KR200167207Y1 (ko) 1997-07-23 1997-07-23 거름정량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466U KR19990006466U (ko) 1999-02-25
KR200167207Y1 true KR200167207Y1 (ko) 2000-03-02

Family

ID=1950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939U KR200167207Y1 (ko) 1997-07-23 1997-07-23 거름정량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2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335B1 (ko) 2011-02-21 2011-10-12 김경욱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 및 이에 의한 계량방법
KR101199735B1 (ko) * 2010-06-09 2012-11-08 안태완 사료 포장기의 혼합사료 계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735B1 (ko) * 2010-06-09 2012-11-08 안태완 사료 포장기의 혼합사료 계량 장치
KR101073335B1 (ko) 2011-02-21 2011-10-12 김경욱 자동 포장기의 계량장치 및 이에 의한 계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466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7651A1 (en) Vertical type forming, filling and closing machine for flexible package
KR101144354B1 (ko) 분체 포장용 분진방지 및 정량포장을 위한 승하강장치
KR200167207Y1 (ko) 거름정량포장장치
KR200475623Y1 (ko) 분체 포장용 분진방지 및 정량포장을 위한 실린더 구동 승하강장치
KR940701536A (ko) 적하(bulk)물질 저울
CN207882102U (zh) 混凝土骨料含水量自动检测系统
CN108225971A (zh) 混凝土骨料含水量自动检测系统
KR200436784Y1 (ko) 계량포장장치
CA2428057A1 (en) Method and device for filling a bag, having air extracting means
KR100345188B1 (ko) 계량포장장치
KR100480324B1 (ko) 액체주입장치
CN208721225U (zh) 一种砌墙砖与砌块悬浸质量检测装置
ATE282574T1 (de) Silo-schieber-kombination zum verladen und fördern landwirtschaftlicher erzeugnisse
CN104698134B (zh) 一种含水率在线检测过程中的料流自动传感装置
ATE281995T1 (de) Verstellbare vorrichtung zur förderung mittels schwerkraft von pulverförmigem oder körnigem material
CN210071272U (zh) 多功能振动试验工装
KR0126632Y1 (ko) 자동포장기의 봉지적재대
EP0849571B1 (en) Weighing system and method for weighing material to be filled into a transport container, for instance a big sack
FI921692A (fi) Automatisk transmissions- och vaegningsanordning foer smao flaskor innehaollande radioktiv vaetska, vilken anordning placerats mellan en samplingsenhet och en analyskedja
CN211904388U (zh) 一种易清理的质检天平
JPH0537742U (ja) 供給装置
CN207373573U (zh) 发泡罐
US20150075263A1 (en) Moisture Sensing Device For Grain Handling
KR100509001B1 (ko) 써지빈호퍼의 죽탄분리장치
KR20230026861A (ko) 계량포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