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861A - 계량포장장치 - Google Patents

계량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861A
KR20230026861A KR1020210108995A KR20210108995A KR20230026861A KR 20230026861 A KR20230026861 A KR 20230026861A KR 1020210108995 A KR1020210108995 A KR 1020210108995A KR 20210108995 A KR20210108995 A KR 20210108995A KR 20230026861 A KR20230026861 A KR 20230026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ides
contents
upper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9911B1 (ko
Inventor
홍순영
Original Assignee
홍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영 filed Critical 홍순영
Priority to KR1020210108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9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32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weig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량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체의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양측 하단에 설치된 전자계량장치에 의해 정량의 내용물이 포대입구의 양측으로 균형있게 투입되어 포대가 쓰러지지 않으며 포대 내부로 내용물이 골고루 신속하게 담겨져서 작업의 효율이 높아지고, 상체에 설치된 전자계량장치에 의해 내용물을 정량으로 계량하여 포대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 및 유지비용이 절감되도록 한 계량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계량포장장치{A weighing and packing machine}
본 발명은 계량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체의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양측 하단에 설치된 전자계량장치에 의해 정량의 내용물이 호퍼 양측으로 분할되어 호퍼 하단에 있는 포대입구에 투입됨으로써, 포대가 투입되는 내용물에 의하여 한쪽으로 쓰러지지 않으며 포대 내부로 균등하게 담겨져서 작업의 효율이 높아지고, 상체에 설치된 전자계량장치에 의해 내용물을 정량으로 계량하여 포대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포대주입이 안정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제작 및 유지비용이 절감되도록 한 계량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선등록된 등록실용신안 제20-0436784호 '계량포장장치'(이하, 선등록 고안)가 개재되어 있으나, 선등록 고안은 포대에 내용물을 담을 때 실린더(21)의 작동에 의해 개폐관(22)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회전하여 점진적으로 개방되므로 포대 내부의 일측으로 내용물이 쏠리면서 담겨지므로 포대가 쓰러지는 일이 비번히 발생하여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등록 고안은 포대에 정량을 담기 위해 계량하는 장치(지지간(40), 지지대(30,60), 웨이트(70)를 포함)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유지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6784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체의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양측 하단에 설치된 전자계량장치에 의해 정량의 내용물이 포대입구의 양측으로 균형있게 투입되어 포대가 쓰러지지 않으며 포대 내부로 내용물이 골고루 신속하게 담겨져서 작업의 효율이 높아지는 계량포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체에 설치된 전자계량장치에 의해 내용물을 정량으로 계량하여 포대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 및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계량포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단이 개방되고 지면으로부터 수직높이로 일정높이 들어올려지도록 배치되며 내부에는 구획판(11)에 의해 내부 공간이 양분되고 상단 개방부로는 포대(40)에 포장할 내용물이 컨베이어(50)에 의해 이송되어 구획판(11)에 의해 양분된 양측 공간으로 각각 투입되며 구획판(11)에 의해 양분된 공간의 하단에 각각 설치된 전자계량장치(100)에 의해 정량의 내용물을 하방으로 각각 배출하는 상체(10);
상/하단이 개방되고 상체(10)의 하방에 지지프레임(21)에 의해 고정되며 상체(10)의 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하는 중간체(20);
상/하단이 개방되고 상단은 중간체(20)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단에는 개폐장치(300)가 설치되어 하단을 개폐시켜줌과 동시에 포대(40)의 상단을 집거나 놓아주는 하체(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체(10)의 구획판(11)에 의해 구획된 양측 하단에 설치된 전자계량장치(100)에 의해 정량의 내용물이 포대입구(41)의 양측으로 균형있게 투입되어 포대(40)가 쓰러지지 않으며 포대(40) 내부로 내용물이 골고루 신속하게 담겨져서 작업의 효율이 높아지게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상체의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양측 하단에 설치된 전자계량장치에 의해 정량의 내용물이 포대입구의 양측으로 균형있게 투입되어 포대가 쓰러지지 않으며 포대 내부로 내용물이 골고루 신속하게 담겨져서 작업의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체에 설치된 전자계량장치에 의해 내용물을 정량으로 계량하여 포대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 및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체를 아랫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에서 바라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로서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측면에서 바라본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도 4의 B - 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B - B'선 단면도로서 전자계량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계량포장장치(1)는 컨베이어(50)로 이송된 곡물 또는 비료 등의 내용물을 계량하여 일정 무게로 포장하는 것으로서, 포대(40)에 투입되는 내용물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하여 포대(40)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포대(40) 내부로 내용물이 골고루 신속하게 담겨져서 작업의 효율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량포장장치는 상체(10), 중간체(20), 하체(30),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체(10)는 상/하단이 개방되고 지면으로부터 수직높이로 일정높이 들어올려지도록 배치된다. 상체(10)의 내부에는 구획판(11)을 설치하여 구획판(11)에 의해 내부 공간이 양분된다. 상체(10)의 상단 개방부로는 포대(40)에 포장할 내용물이 컨베이어(50)에 의해 이송되어 구획판(11)에 의해 양분된 양측 공간으로 각각 투입된다. 상체(10)의 구획판(11)에 의해 양분된 공간의 하단에는 전자계량장치(100)를 각각 설치하고 양측 전자계량장치(100)에 의해 정량의 내용물을 하방으로 각각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체(10)의 전자계량장치(100)는 계량판(110), 전자계량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계량판(110)은 상체(10)의 구획판(11)에 의해 구획된 양측의 하단에 축봉(1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전자계량기(120)의 일단은 상체(10)의 외벽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자계량기(120)의 타단에 설치된 작동로드(121)는 계량판(110)과 연결된다.
그리하여, 계량판(110)의 상면에 내용물이 쌓이다가 정량에 도달하면 전자계량기(120)의 작동로드(121)가 하측으로 움직이고 계량판(110)이 축봉(111)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내용물을 중간체(20)를 향해 배출해주게 된다.
중간체(20)는 상/하단이 개방되고 상체(10)의 하방에 지지프레임(21)에 의해 고정된다. 중간체(20) 내부의 중공부로 상체(10)의 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하체(30)는 상/하단이 개방되고 상단은 중간체(20)의 하단에 결합된다. 하체(30)의 하단에는 개폐장치(300)가 설치되어 하체(30)의 하단을 개폐시켜줌과 동시에 포대(40)의 상단을 집거나 놓아주게 된다.
이때, 하체(30)의 개폐장치(300)는 개폐판(310), 포대접촉판(311), 연결대(320), 고정대(330), 고정받침대(331), 지지봉(332), 실린더(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폐판(310)은 상체(10)의 구획판(11)에 의해 구획된 양측 공간에 대응하며 하체(30) 하단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포대접촉판(311)은 개폐판(310)의 외면의 하단에 부착된다. 포대접촉판(311)은 고정받침대(331)와 함께 포대입구(41)를 집거나 놓아주게 된다.
연결대(320)는 개폐판(310)의 외면에서 비스듬히 상측으로 나란하게 돌출형성된다.
고정대(330)는 연결대(320)와 평행하도록 하체(30)의 양측 외면에 'ㄱ'자 형태로 나란하게 돌출형성된다. 한 쌍의 고정대(330) 사이에 한 쌍의 연결대(320)가 위치하게 된다.
고정받침대(331)는 양측 고정대(330)의 하단에 양측 고정대(330)를 연결하도록 부착된다.
지지봉(332)은 양측 고정대(330)의 하부에 양측 고정대(330)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지지봉(332)의 가운데에는 연결구(332a)가 장착된다.
실린더(340)의 일단은 양측 연결대(320)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축봉(3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실린더(340)의 타단의 작동로드(341)는 지지봉(332)의 연결구(33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어부(미도시)는 상기한 각 장치를 제어해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체(30)의 개폐장치(300)의 개폐판(310)이 개방되면서 포대접촉판(311)과 고정받침대(331)에 포대입구(41)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체(10)의 양측 전자계량장치(100)의 계량판(110)의 상면에 내용물이 쌓이다가 정량에 도달하면 전자계량기(120)의 작동로드(121)가 하측으로 움직이고 계량판(110)이 축봉(111)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내용물을 배출해주면 정량의 내용물이 포대입구(41)의 양측으로 균형있게 투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체(10)의 구획판(11)에 의해 구획된 양측 하단에 설치된 전자계량장치(100)에 의해 정량의 내용물이 포대입구(41)의 양측으로 균형있게 투입되어 포대(40)가 쓰러지지 않으며 포대(40) 내부로 내용물이 골고루 신속하게 담겨져서 작업의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체(10)에 설치된 전자계량장치(100)에 의해 내용물을 정량으로 계량하여 포대(40)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 및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서는 안 될 것이다.
1 : 계량포장장치 10 : 상체
11 : 구획판 100 : 전자계량장치
110 : 계량판 120 : 전자계량기
121 : 작동로드 20 : 중간체
30 : 하체 300 : 개폐장치
310 : 개폐판 311 : 포대접촉판
320 : 연결대 321 : 축봉
330 : 고정대 331 : 고정받침대
332 : 지지봉 340 : 실린더
341 : 작동로드 40 : 포대
41 : 포대입구 50 : 컨베이어

Claims (3)

  1. 상/하단이 개방되고 지면으로부터 수직높이로 일정높이 들어올려지도록 배치되며 내부에는 구획판(11)에 의해 내부 공간이 양분되고 상단 개방부로는 포대(40)에 포장할 내용물이 컨베이어(50)에 의해 이송되어 구획판(11)에 의해 양분된 양측 공간으로 각각 투입되며 구획판(11)에 의해 양분된 공간의 하단에 각각 설치된 전자계량장치(100)에 의해 정량의 내용물을 하방으로 각각 배출하는 상체(10);
    상/하단이 개방되고 상체(10)의 하방에 지지프레임(21)에 의해 고정되며 상체(10)의 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내용물이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하는 중간체(20);
    상/하단이 개방되고 상단은 중간체(20)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단에는 개폐장치(300)가 설치되어 하단을 개폐시켜줌과 동시에 포대(40)의 상단을 집거나 놓아주는 하체(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체(10)의 구획판(11)에 의해 구획된 양측 하단에 설치된 전자계량장치(100)에 의해 정량의 내용물이 포대입구(41)의 양측으로 균형있게 투입되어 포대(40)가 쓰러지지 않으며 포대(40) 내부로 내용물이 골고루 신속하게 담겨져서 작업의 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10)의 전자계량장치(100)는,
    상체(10)의 구획판(11)에 의해 구획된 양측의 하단에 축봉(1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계량판(110)과,
    일단은 상체(10)의 외벽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설치된 작동로드(121)는 계량판(110)과 연결되는 전자계량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계량판(110)의 상면에 내용물이 쌓이다가 정량에 도달하면 전자계량기(120)의 작동로드(121)가 하측으로 움직이고 계량판(110)이 축봉(111)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내용물을 배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포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체(30)의 개폐장치(300)는,
    상체(10)의 구획판(11)에 의해 구획된 양측 공간에 대응하며 하체(30) 하단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개폐판(310)과,
    개폐판(310)의 외면의 하단에 부착되는 포대접촉판(311)과,
    개폐판(310)의 외면에서 나란하게 돌출형성되는 연결대(320)와,
    연결대(320)와 평행하도록 하체(30)의 양측 외면에 나란하게 돌출형성되는 고정대(330)와,
    양측 고정대(330)의 하단에 양측 고정대(330)를 연결하도록 부착되는 고정받침대(331)와,
    양측 고정대(330)의 하부에 양측 고정대(330)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가운데에는 연결구(332a)가 장착되는 지지봉(332)과,
    일단은 양측 연결대(320)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축봉(3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의 작동로드(341)는 지지봉(332)의 연결구(33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3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개폐장치(300)의 개폐판(310)이 개방되면서 포대접촉판(311)과 고정받침대(331)에 포대입구(41)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체(10)의 양측 전자계량장치(100)의 계량판(110)이 개방되어 정량의 내용물이 포대입구(41)의 양측으로 균형있게 투입되어 포대(40)가 쓰러지지 않으며 포대(40) 내부로 내용물이 골고루 신속하게 담겨져서 작업의 효율이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포장장치.
KR1020210108995A 2021-08-18 2021-08-18 계량포장장치 KR102579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995A KR102579911B1 (ko) 2021-08-18 2021-08-18 계량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995A KR102579911B1 (ko) 2021-08-18 2021-08-18 계량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861A true KR20230026861A (ko) 2023-02-27
KR102579911B1 KR102579911B1 (ko) 2023-09-15

Family

ID=85329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995A KR102579911B1 (ko) 2021-08-18 2021-08-18 계량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9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784Y1 (ko) 2006-10-31 2007-10-02 홍순영 계량포장장치
KR100858481B1 (ko) * 2007-03-30 2008-09-12 한대중 단위 포장장치
KR20110051365A (ko) * 2009-11-10 2011-05-18 이종열 비료 자동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784Y1 (ko) 2006-10-31 2007-10-02 홍순영 계량포장장치
KR100858481B1 (ko) * 2007-03-30 2008-09-12 한대중 단위 포장장치
KR20110051365A (ko) * 2009-11-10 2011-05-18 이종열 비료 자동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9911B1 (ko)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457747U (zh) 一种散料定量装袋机
CN209701840U (zh) 一种送料装置
CN109335110A (zh) 大重量铁订称重排列装箱系统
CN104249821A (zh) 茶叶包装机
CN205045060U (zh) 一种新型的小剂量中草药粉剂包装机
CN203005829U (zh) 用于颗粒包装机的下料装置
CN103373482B (zh) 称重计数包装机
KR20230026861A (ko) 계량포장장치
CN204415754U (zh) 一种细粉状物料自动称重包装装置
CN209776889U (zh) 一种真空自动化食品包装设备
KR20020019117A (ko) 제품의 정량 자동 포장 방법 및 그 장치
CN209684041U (zh) 一种高效配料包装机
CN207389594U (zh) 一种颗粒体定量包装机
CN207932044U (zh) 一种茶叶包装机用定量装置
CN109398813A (zh) 一种适用于包装生产线的多列称量计数一体机
CN214524509U (zh) 一种水泥粉磨站用水泥定量灌装装置
CN203439280U (zh) 一种中草药粉剂自动灌装装置
CN215797187U (zh) 一种用于复合肥生产的输送计量皮带
CN110937170B (zh) 计量装置以及制备物料包的设备
CN207759089U (zh) 一种小剂量称重包装机
CN207843460U (zh) 双秤包装机
CN213677244U (zh) 一种食品称量包装一体机
CN207510850U (zh) 一种一体化茶叶包装装置
CN207595303U (zh) 一种螺钉装箱机
CN105523215B (zh) 细长棒类物品自动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