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632Y1 - 자동포장기의 봉지적재대 - Google Patents

자동포장기의 봉지적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632Y1
KR0126632Y1 KR2019950037053U KR19950037053U KR0126632Y1 KR 0126632 Y1 KR0126632 Y1 KR 0126632Y1 KR 2019950037053 U KR2019950037053 U KR 2019950037053U KR 19950037053 U KR19950037053 U KR 19950037053U KR 0126632 Y1 KR0126632 Y1 KR 0126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vertical
height
mounting tab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7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372U (ko
Inventor
최병준
Original Assignee
최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준 filed Critical 최병준
Priority to KR2019950037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632Y1/ko
Publication of KR9700233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3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6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량물을 봉지에 담아 포장하는 자동포장기의 봉지 적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포장기의 봉지적재대는 기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한꺼번에 많은량의 봉지를 적재할 수 없어서 적재 작업이 번거롭고 인력 및 시간 낭비 요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자동포장기의 봉지 적재대(2)에 모터(28)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감속 및 정.역 회전하는 나사봉(22)과 안내봉(8)(10)(12)을 수직으로 끼워 적재대(2)가 승강되게 하고, 적재대(2)의 상부에 봉지(56)의 감소 높이를 감지하는 위상 감지기(90)를 설치하여 봉지(56)가 일정량 이상으로 소모되면 적재대(2)가 일정높이로 상승되게 함으로써 적재된 봉지(56)의 최상부면 높이가 일정 높이로 유지되게하고, 나사축봉(68)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수직봉(74)(76)과 또 다른 나사축봉(38)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수직봉(50)을 적재대의 개방홈(52)(54)(78)(80)에 각각 설치하여 봉지(56)의 전후 및 좌우를 지지토록 한 것으로 봉지(56)를 한꺼번에 다량 적재 할 수 있어서 작업이 간편하고, 인력과 시간이 절감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포장기의 봉지적재대
제1도는 적재대가 제거된 상태의 본 고안 요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제1도의 A-A' 방향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제1도의 B-B' 방향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위상 감지기의 일부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 위상 감지기의 단면도로서,
(a)도는 위상 감지기의 하강전 상태 단면도.
(b)도는 위상 감지기의 하강후 상태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적재대 4,6,8,94,96 : 미끄럼베어링
10,12,14,42,70,72 : 안내봉 16,18 : 받침대
20,36 : 너트 22,38,68 : 나사봉
24 : 감속기 26 : 지지간
28 : 모터 30,32 : 체인기어
34 : 체인 40,58 : 핸들
44 : 안내봉 46 : 연결편
48,50,74,76,98,100 : 수직봉 52,54,78,80 : 개방홈
56 : 봉지 60,62 : 나사산
64,66 : 이동간 68 : 나사봉
82 : 측판 84 : 상한 근접스위치
86 : 하한 근접스위치 88,114,116 : 피 감지체
90 : 위상 감지기 92 : 평판
102 : 연결간 104,106 : 베어링
108 : 수직판 110,112 : 근접 스위치
본 고안은 일정량으로 계량된 계량물을 봉지(포대)에 담아 포장하는 자동 포장기의 봉지 적재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봉지적재대를 승강가능케 구성하여 봉지 공급높이가 일정높이로 자동 유지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이나 콩과 같은 곡물을 일정량씩 계량한 다음 봉지에 넣어 포장하는 자동포장기는 대략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포장된다.
먼저 흡착패드가 하강하여 적재대위의 봉지중 최상부의 봉지를 흡착하여 계량포장부의 지그로 전진 이송하면 지그가 봉지를 압지하고, 또 다른 흡착패드가 봉지의 개방부를 확개하면 그 상부에 위치하는 계량장치에 의해 적당량으로 계량된 곡물이 슈트를 통하여 봉지로 투입되고, 곡물의 투입이 완료되면 실링장치가 작동되어 봉지의 상부 개방부가 실링(봉합) 되면서 포장되고, 포장된 봉지는 이송 콘베어로 배출되며 상기 과정의반복에 의해 곡물이 자동포장 된다.
한편 자동포장기의 일단에는 봉지적재대가 설치되어 계량포장부로 봉지가 공급되게 하고 있는 바, 종래 자동포장기의 적재대는 유동되지 않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많은 량의 봉지를 적재할 수 없어서 봉지를 소량씩 자주 적재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의 경우 흡착패드의 승강거리를 다소 높게 하여 봉지의 적재높이를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승강거리를 높게 증가시키는 경우 봉지공급 시간이 지연되고, 흡착불량율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봉지 적재대를 승강 가능케 구성하여 봉지공급 높이가 일정 높이로 자동 유지되게하여 한꺼번에 많은량의 봉지를 적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성이 간편토록하고, 인력 및 시간이 절감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봉지적재대가 동력수단에 의해 승강되게 하되 승.하강 감지스위치를 부착하여 적재대의 상승 한계점과 하강 한계점을 설정하고, 적재대의 전.후측에 스크류에 의해 수평이동 하면서 벌어지고 오무려지는 수직봉을 설치하여 적재된 봉지의 폭(봉지의 전후측 길이)을 지지 및 간추림 할 수 있게 한다.
적재대의 후면측에 스크류에 의해 좌우로 수평이동되는 수직봉을 설치하여 적재된 봉지의 길이(봉지의 좌우측 길이)를 간추림 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적재대의 상부에는 봉지의 높이를 감지하는 위상감지기를 설치하여 적재된 봉지의 최상부면 높이가 일정높이 범위 이내로 항상 유지되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 사시도로서 곡물을 적당량 계량한 다음 봉지에 투입하여 포장하는 자동포장기에 있어서, 평판형으로 된 적재대(2)의 적정간격 가장자리부에 통공을 형성한 다음 링형 미끄럼 베어링(4)(6)(8)을 수직으로 끼워 고정하고, 미끄럼 베어링(4)(6)(8)의 중심공에 안내봉(10)(12)(14)을 끼워 미끄럼운동 되게 하고, 안내봉(10)(12)(14)의 상.하단부는 기대의 상.하 받침대(16)(18)에 고정하여 적재대(2)가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게한다.
미끄럼 베어링(4)(6) 사이에 링형 너트(20)를 수직으로 끼워 고정한 다음 나사봉(22)을 수직으로 체결하고, 나사봉(22)의 하단부는 하부 받침대(16)상에 고정한 감속기(24)의 출력축에 연결하고, 나사봉(22)의 상단부는 지지간(26)으로 상부 받침대(18)에 고정하거나 지지수단없이 상향 돌출시켜 회전되게 한다.
하부 받침대(16)의 상부면 일단에 정역회전되는 모터(28)를 고정하고, 모터(28)의 회전축과 감속기(24)의 입력축에는 체인기어를 고정한 다음 체인(34)으로 연결하여 모터(28)가 정역회전하면 적재대(2)가 상승 또는 하강 되게 한다.
받침대(16)의 상부면 좌우로 너트(36)가 끼워진 나사봉(38)을 축 설치하고, 나사봉(38)의 일측단부에 핸들(40)을 끼워 고정하고, 나사봉(38)의 일측에 안내봉(42)을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 하도록 고정한다.
안내봉(42)에는 안내편(44)을 미끄럼운동되게 결합한다음 상기 너트(36)와 연결편(46)으로 연결하여 일체화 시키고, 너트(36)와 안내편(44)의 상부면에 한쌍의 수직봉(48)(50)을 소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설치하고, 수직봉(48)(50)의 상부는 적제대(2)의 좌우방향으로 절개되어 나사봉(38) 및 안내봉(42)과 평행하는 개방홈(52)(54)에 헐겁게 끼워 핸들(40)을 정.역회전 시키면 나사봉(38)을 따라 적재대(2)의 좌우로 이동하면서 봉지(56)의 좌우 길이를 지지토록 한다.
또한 축봉의 일측단부에 핸들(58)이 고정되고 축봉의 길이방향 중앙을 기준하여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60)(62)이 각각 형성되고, 나사산(60)(62)에 장방형의 이동간(64)(66)이 나사결합된 나사봉(68)을 받침대(16)의 전.후로 축설치하고, 이동간(64)(66)의 좌우측에는 나사봉(68)과 평행하는 안내봉(70)(72)을 미끄럼 운동되게 결합하고, 안내봉(70)(72)의 양단부는 받침대(16)상에 고정시킨다.
이동간(64)(66)의 길이방향 상부면에는 적당간격으로 다수의 수직봉(74)(76)을 고정하고, 수직봉(74)(76)의 상부는 적재대(2)의 전후방향으로 절개되어 나사봉(68) 및 안내봉(70)(72)과 평행하는 다수의 개방홈(78)(80)에 헐겁게 끼워 핸들(58)을 정역회전시키면 나사봉(68)을 따라 적재대(2)의 전후로 오무려지거나 벌어지면서 봉지(56)의 전후폭을 지지토록 한다.
측판(82)의 상.하부에는 적재대(2)의 상승한계와 하강한계를 각각 감지하여 모터(28)를 정지시키는 상.하한 근접스위치 (84)(86)를 설치하여 적재대(2)의 승강한계를 제어토록 하고, 적재대(2)의 일단에는 상기 상.하한 근접스위치(84)(86)를 능동시키는 피 감지체(88)를 고정한다.
제4도는 봉지(56)의 적재높이를 감지하여 봉지(56)의 최상부면 높이가 일정범위내로 항상 유지되게 적재대(2)의 높낮이를 제어하는 위상감지기(90)의 사시도로서 좌우 수직봉(48)(50)의 상부에 평판(92)를 끼워 고장하고, 평판(92)의 일단에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링형상으로 된 한쌍의 미끄럼베어링(94)(96)을 수직으로 끼워 고정하고, 미끄럼베어링(94)(96)의 중심공내에는 수직봉(98)(100)을 끼워 승강되게 한다.
수직봉(98)(100)의 하단부에 연결간(102)을 끼워 고장하고, 연결간(102)의 좌.우측 하단의 단턱부에 연결간(102) 보다 하향 돌출되는 롤러(104)(106)를 축설치하여 적재된 봉지(56)의 최상부면을 따라 승강하면서 또한 접동되게 한다.
평판(92)의 상부면 일측에 수직판(108)을 고정하고, 수직판(108)의 좌우측에 수직봉(98)(100)과 같은 간격으로 이격된 한쌍의 근접스위치(110)(112)를 같은 높이로 고정하고, 수직봉(98)(100)의 상부에 피 감지체(114)(116)를 고정하되 일측 피감지체(114)가 타측 피 감지체(116)보다 다소 낮은 위치에 위치 하도록 고정하여 봉지(56)의 위상이 감지되게 한다.
근접스위치(110)(112)는 모터(28)에 전기접속하여 봉지(56)의 소모에 따라 일측 피 감지체(116)가 하강하면서 일측 근접스위치(112)가 능동상태로 동작하면 모터(28)가 동작하여 적재대(2)가 상승하고, 적재대(2)의 상승에 따라 타측 피 감지체(114)가 상승하여 타측 근접스위치(110)가 능동상태로 동작하면 모터(28)가 정지되면서 적재대(2)의 상승이 멈추도록 함으로써 봉지(56)의 최상부면 높이가 일정범위내로 항상 유지되게 한다.
상기의 경우 피 감지체(114)(116)간의 높낮이는 적재된 봉지(56)의 두께에 따라 다소 달라 지나 약 20매(6㎜전후) 전후의 두께로 차이나게 설치하여 봉지(56)가 20매 전후의 두께로 소모될때마다 적재대(2)가 봉지(56) 20매의 두께로 상승되게 함으로써 봉지(56)의 최상부면 높이가 봉지(56) 20매 전후 이내의 두께로 항상 유지되게 한다.
미 설명부호(118)은 위상 감지기의 덮개, (120)은 적재대의 상승스위치, (122)는 스크류, (124)는 적재대의 하강스위치, (126)은 축 지지구, (128)은 연결간, (130)은 전원스위치, (132)는 선단측판 (134)는 고정링, (136)은 봉지 이송장치, (138)은 봉지흡착패드, (140)은 지그(142)는 계량부, (144)는 슈트, (146)은 봉지 받침대 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서 된 본 고안은 하강스위치(124)로 모터(28)를 회전시켜 적재대(2)를 최대로 하강시킨 다음 봉지(56)의 폭을 감안하여 핸들(40)을 회전시켜 수직봉(74)(76)의 이격거리를 조정하고, 봉지(56)의 길이를 감안하여 핸들(58)을 외전시켜 수직봉(50)과 선단측판(132)간의 이격거리를 조정한 다음 수직봉(50)(74)(76)과 선단측판(132)사이의 적재대(2)상에 봉지(56)를 충분한 양으로 적재한 상태에서 자동포장기를 작동시키면, 통상에서와 같이 봉지 이송장치(136)의 흡착패드(138)가 하강하여 최상부의 봉지(56)를 흡착하여 지그(140)로 전진 이송시킨 다음 확개시켜 계량부(142)에서 계량된 곡물을 투입포장하여 배출하고, 이러한 과정의 반복에 따라 적재된 봉지(56)가 계속 소모되면 봉지(56)의 적재높이가 점차적으로 낮아지고 그에 따라 봉지(56)에 접지된 롤러(104)(106)와 피 감지체(114)(116)의 높이 또한 점차적으로 낮아진다.
따라서 수직봉(100)에 고정된 일측 피 감지체(116)가 하강하면서 일측 근접스위치(112)를 능동상태로 동작시키고, 그에 따라 모터(28)가 정회전하고 나사봉(22)은 감속회전하여 적재대(2)가 상승하고, 피 감지체(114)(116)가 상승되며, 타측 피 감지체(114)가 타측 근접스위치(110)를 능동상태로 동작시키므로 모터(28)가 정지되고, 적재대(2)의 상승이 멈추어 봉지(56)의 최상부면 높이는 봉지 20대 두께의 범위내로 항상유지된다.
따라서 봉지(56)를 한꺼번에 다량 적재할 수 있으므로 봉지(56)의 잦은 공급이 불필요하므로 작업성이 간편하고, 인력과 시간이 절감된다.
본 고안에서 피 감지체(114)(116)간의 높낮이 차이를 낮게 하면 봉지(56)가 소량씩 소모될 대 마다 적재대(2)의 상승이 이루어지므로 봉지의 공급높이 변동을 줄일 수 있으며, 반대로 피 감지체(114)(116)간의 높낮이 차이를 높게하면 봉지(56)가 다량씩 소모될 때 마다 적재대(2)의 상승이 이루어져 봉지의 공급 높이 변동을 크게할 수 있으므로 봉지(56) 두께에 따라 봉지공급 범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봉지(56)흡착 불량요인이 없어진다.
본 고안에서 봉지(56)의 최상부면에 접동되는 롤러(104)(106)는 봉지(56)의 전진이송시 회전하므로 봉지의 전진이송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에서 적재대(2)상의 봉지가 거의 소모되면 피 감지체(88)에 의해 상한 근접스위치(84)가 능동 동작되므로 적재대(2)의 상승이 정지되며, 이러한 경우 하강 스위치(124)를 눌러 적재대(2)를 최대한 하강시킨다음 봉지를 다시 적재하면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축봉(68)의 외면에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60)(6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핸들(58)을 회전시키면 이동간(64)(66)이 같은 속도와 같은 거리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봉지(56)의 전.후폭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수직봉(50)(74)(76)은 봉지(56)의 전.후측 및 후단측을 각각 지지하여 흩어짐을 방지하며, 상단부는 적재되는 봉지(56)보다 다소높게 돌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적재대(2)가 봉지(56)의 높이에 따라 상승되므로 한꺼번에 많은 량의 봉지를 적재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편리하고, 인력과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계량물을 봉지에 넣어 포장하는 자동포장기에 있어서, 자동포장기의 기대에 가로 및 세로 개방홈(52)(54)(78)(80)이 형성된 적재대(2)의 가장자리부에 수직안내봉(10)(12)(14)을 설치하여 적재대(2)가 미끄럼 승강되게 하고, 적재대(2)의 일단에 나사봉(22)을 수직으로 나사 결합하고, 나사봉(22)의 일측단부에 감속기(24)와 모터(28)를 동력전달수단으로 연결하여 적재대(2)가 승강되게 하고, 받침대(16)의 상부에 핸들(40)(58)을 갖는 나사축봉(38)(68)을 가로 및 세로로 축설치하고, 일측 나사축봉(38)에 수직봉(50)이 고정된 너트(36)를 체결하여 수직봉(50)이 개방홈(52)을 따라 이동되게 하고,길이방향 중간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나사산(60)(62)이 형성된 타측 나사축봉(68)에 수직봉(74)(76)이 각각 고정된 너트(64)(66)를 체결하여 수직봉(74)(76)이 개방홈(78)(80)을 따라 이동되게 하고, 수직봉(50)의 상단부에 적재봉지의 최상부면 높이를 감지하는 위상 감지기(90)를 설치하여 봉지(56)가 일정이상 소모되면 적재대(2)가 일정높이로 상승하여 봉지(56) 공급 높이가 일정범위 이내로 자동 유지되게 한 자동포장기의 봉지적재대.
  2. 제1항에 있어서, 수직봉(50)의 상단부에 평판(92)과 수직판(108)을 고정하고, 평판(92)의 일단에 수직봉(98)(100)을 미끄럼 승강되게 설치하고, 수직봉(98)(100)의 하단부에 롤러(104)(106)가 축설된 연결간(102)를 고정하고, 수직봉(98)(100)의 상부에 피감지체(114)(116)를 높이차이 나게 끼워 고정하고, 수직판(108)에 피감지체(114)(116)의 접근을 각각 감지하는 근접스위치(110)(112)을 설치하여서 된 자동포장기의 봉지 적재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재대(2)의 일측에 피감지체(88)를 고정하고, 측판(82)의 상하부에 피감지체(88)의접근이 감지되면 모터(28)를 정지 시키는 근접 스위치(84)(86)를 설치하여서된 자동포장기의 봉지 적재대.
KR2019950037053U 1995-11-28 1995-11-28 자동포장기의 봉지적재대 KR0126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053U KR0126632Y1 (ko) 1995-11-28 1995-11-28 자동포장기의 봉지적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053U KR0126632Y1 (ko) 1995-11-28 1995-11-28 자동포장기의 봉지적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372U KR970023372U (ko) 1997-06-18
KR0126632Y1 true KR0126632Y1 (ko) 1998-10-15

Family

ID=19431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7053U KR0126632Y1 (ko) 1995-11-28 1995-11-28 자동포장기의 봉지적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6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1816A2 (ko) * 2009-08-19 2011-02-24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쓰레기 자동 집하시설의 음식물 쓰레기 패킹장치
KR101272103B1 (ko) * 2012-04-20 2013-06-07 지엘에스이 주식회사 패킹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1816A2 (ko) * 2009-08-19 2011-02-24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쓰레기 자동 집하시설의 음식물 쓰레기 패킹장치
WO2011021816A3 (ko) * 2009-08-19 2011-06-30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쓰레기 자동 집하시설의 음식물 쓰레기 패킹장치
KR101272103B1 (ko) * 2012-04-20 2013-06-07 지엘에스이 주식회사 패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372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0990B2 (en) Combination weigher with peripheral annular recycling table
KR101268155B1 (ko) 분체 정량 공급장치
KR101742670B1 (ko) 조합 저울
EP0152923A2 (en) Device for portioning products
US5942732A (en) Automatic weigh and count filling machine feed mechanism
WO2020037740A1 (zh) 一种新型塑料托盒自动分离系统
CN211275541U (zh) 一种口服液泡罩包装检测装置
KR0126632Y1 (ko) 자동포장기의 봉지적재대
CN205707561U (zh) 一种全自动计数称重包装机
CN210434887U (zh) 产品选别装置
KR101596929B1 (ko) 과일 선별기
CN106586043A (zh) 一种分装称重装置
CN210192568U (zh) 一种重量检测筛选设备
CN205293136U (zh) 一种食品物料快速包装用计量分装一体装置
JP3129473U (ja) 昇降コンベア
CN213568171U (zh) 一种双层皮带控料的精准称量下料机
JP5188102B2 (ja) 箱詰め装置
CN211877218U (zh) 一种皮带秤自动校准装置
CN210175294U (zh) 一种包装机的自动卸料装置
CN114275230A (zh) 一种零部件包装设备
CN207242090U (zh) 一种结构改进的饲料自动打包装置
CN207592279U (zh) 爬坡式称重设备
CN218360731U (zh) 一种冲压件分选装置
CN218402450U (zh) 一种自动称重的滚筒输送机
JP2542767B2 (ja) 定量飯計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