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433B1 - 구취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취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433B1
KR101071433B1 KR1020040006698A KR20040006698A KR101071433B1 KR 101071433 B1 KR101071433 B1 KR 101071433B1 KR 1020040006698 A KR1020040006698 A KR 1020040006698A KR 20040006698 A KR20040006698 A KR 20040006698A KR 101071433 B1 KR101071433 B1 KR 101071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d breath
composition
copper
weight
copper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8531A (ko
Inventor
황재관
김형진
김승진
김종일
강택균
강상진
조완구
김상년
Original Assignee
황재관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관,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황재관
Priority to KR1020040006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433B1/ko
Priority to PCT/KR2005/000312 priority patent/WO2005072691A1/en
Publication of KR20050078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8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61K31/30Coppe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4Copper;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취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잔소리졸 0.01 내지 5중량%; 및 구리 화합물 0.0001 내지 1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취억제용 조성물은 조성물 내에 함유된 잔소리졸과 구리 화합물의 상호 상승작용으로 인하여 효율적인 구취 억제 시스템이 구현됨으로서 강력한 구취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구취억제*잔소리졸*구리 화합물

Description

구취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hibiting halitosis}
본 발명은 구취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취는 타액 중에 존재하는 단백질, 음식찌꺼기 등이 구강 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이에 따라 생성된 아미노산이 탈회산 효소나 아미노 효소 등에 의해 다시 분해되어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생성함으로써 발생된다. 구취를 유발하는 주성분은 휘발성 황화물(Volatile Sulfide Compounds; VSC)로서 이들 휘발성 화합물에는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H2S), 메틸머캅탄(Methyl Mercaptan, CH3SH), 디메틸머캅탄(Dimethyl Mercaptan, (CH3)2S) 등이 있다. 특히 메틸머캅탄은 구취 중 역겨운 냄새의 주성분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들 휘발성 황화물 이외에도, 구취유발물질로서 트리에틸아민 등의 휘발성 아민화합물, 알데히드, 지방산, 암모니아 등이 있다.
이러한 구취를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커큐마 잔소리자(Curcuma xanthorrhiza)로부터 추출, 분리된 잔소리졸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는데(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0000256호, 제2000-0000342호, 제2000-0006939호 및 제2000-0073295호 참조), 이러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은 잔소리졸의 구강 미생물에 대한 항균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또한, PCT/US 92/10662호, JP8198709A2호, JP7165544A2호, WO02/41862호 등에는 글루콘산 구리를 중심으로 한 구리 화합물의 구취유발물질 제거특성을 이용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들은 구취발생의 1차원인을 제거하거나 구취발생물질을 제거하는 단편적인 구취억제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었을 뿐만 아니라, 그 효과에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구취발생의 원인과 구취발생물질을 동시에 제거할 뿐만 아니라, 보다 강력한 구취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구취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취억제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잔소리졸 0.01 내지 5중량%; 및 구리 화합물 0.0001 내지 1중량%를 함유한다.
상기 구리 화합물로는 글루콘산 구리, 아세트산 구리, 황산구리, 구리클로로필린나트륨 등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취억제용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취억제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잔소리졸 0.01 내지 5중량%; 및 구리 화합물 0.0001 내지 1중량%를 함유한다.
커큐마 잔소리자는 생강과 식물로서 자바산 심황 등으로 알려진 인도네시아의 전통약용식물이며, 트리글리세라이드 저감작용, 항암작용, 혈청콜레스테롤 저감작용 등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구취억제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잔소리졸은 이러한 커큐마 잔소리자(Curcuma xanthorrhiza) 등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0073295호 참조). 잔소리졸은 스트렙토코쿠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트렙토코쿠스 소브리누스(Streptococcus sobrinus),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등 구강 내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뛰어나므로, 구강청정제 등에 이용되어 충치 및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구리 화합물 특히, 염 형태의 구리 화합물은 구취 유발 물질로 생성되는 휘발성 황화물을 포집하여 구취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리 화합물로는 글루콘산 구리, 아세트산 구리, 황산구리, 구리 클로로필린나트륨, 등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은 식용으로서 식품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물질로 체내 섭취에 따른 인체 안정성이 이미 확보되어 있는 안전한 물질이다.
본 발명자들은 구취억제용 조성물에 잔소리졸과 구리 화합물을 혼합하여 첨가한 결과, 이들 물질간의 상승작용으로 인하여 매우 강력한 구취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취억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잔소리졸의 함량은 조성물 총 량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이고, 구리 화합물의 함량은 0.0001 내지 1중량%이다. 잔소리졸과 구리 화합물의 함량이 각각 0.01 및 0.0001중량% 미만이면 구취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잔소리졸과 구리 화합물의 함량이 각각 1 및 5중량%를 초과하면 제형과의 혼용성이 떨어져 제품 적용에 어려움이 있고 함량 경제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구취억제용 조성물의 제형은 구체적으로 치약, 양치액, 마우스 스프레이, 식이성 필름 등의 구강 위생 증진제의 여러 제형을 모두 포함하며, 각각의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취억제용 조성물 중 치약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 통상의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잔소리졸과 구리 화합물 외에 추가로 연마제, 습윤제, 결합제, 기포제, 감미제, 방부제, pH조정제, 향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연마제로는 탄산칼슘, 인산수소칼슘, 침강 실리카, 함수 알루미나, 실리카겔,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지르코늄 실리케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 연마제를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20 내지 70중량%,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중량%를 사용한다.
습윤제는 글리세린, 솔비톨액,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20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 사용한다.
결합제로는 통상 카라기난, 잔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알긴산나트륨 등이 적합하다. 결합제의 사용량은 0.1 내지 3.0 중량%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중량%를 사용한다.
기포제로는 알킬황산나트륨, 라우로일살코신산나트륨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코폴리머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기포제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또는 단독으로 0.5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중량% 사용한다.
감미제로는 사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아세설팜, 스테비오사이드, 감초산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산 혼합하여 0.05 내지 0.5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부제는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산 혼합하여 0.05 내지 0.25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H 조정제로는 인산, 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호박산, 호박산나트륨, 주석산, 주석산나트륨 등을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산 혼합하여 0.02 내지 1.5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료를 구성하는 물질로는 통상의 치약에 사용되는 방향성 물질 및 식품 향료에 사용되는 물질로 페파민트 오일계, 멘톨, 스피아민트 오일계, 카르본, 아니스 오일계, 아니톨, 유칼립투스 오일계, 클로브 오일계, 유제놀, 윈터그린 오일계, 메틸살리실레이트, 신나몬 오일계, 신나믹알데하이드와 기타 향료 성분들이 사용되며, 향료를 구성하는 물질은 위 성분 1종 혹은 2종 이상을 혼합하여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중량%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취억제용 조성물은 이와 같이, 통상 그 제품에 사용되는 성분의 적당량을 사용하고 주요 약효성분으로 잔소리졸과 구리 화합물을 본 발명에 따른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취억제용 조성물 중 보편적인 제형인 치약과 양치액, 마우스 스프레이 및 식이성 필름으로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치약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에 따라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4004290463-pat00001
상기 실시예 1-1 내지 1-3 및 비교예 1-1 내지 1-3의 치약 조성물에 대한 구취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치아 우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남녀 30명을 선정하여동일한 식사를 하게 한 다음, Halimeter로 구취를 측정하여 초기의 구취 정도를 결정한 후 각각의 치약으로 일정 시간 동안 양치를 하고 1시간 경과 후 다시 Halimeter로 구취를 측정하였다. 이때 Halimeter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측정 전 2분 동안 입을 다물고 코로만 호흡을 하게 하였으며, 측정시에는 빨대를 약 1.5초 정도 입안으로 넣은 상태에서 약 15초 정도 유지하게 하였다. 이때 빨대가 혀에 닿 지 않도록 하였으며, 입술은 약 3~4mm 정도 벌린 상태를 유지하게 하였다. Halimeter의 측정값은 ppb 단위인데, 각각의 실험 대상들로부터 얻어진 구취 측정값을 평균하여 각 치약의 구취 억제율을 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Figure 112004004290463-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식사 후 생성된 구취는 양치 후 측정하였을 때 약효 성분이 전혀 들어있지 않은 비교예 1-1에서도 평균 33%의 억제율을 보였으나, 그 억제율은 크지가 않았다. 또한 잔소리졸과 글루콘산 구리를 각각 첨가한 비교예 1-2 및 1-3은 비교예 1-1에 비하여 구취 억제율이 상당히 증가하였으나, 잔소리졸과 글루콘산 구리를 상대적으로 소량 첨가한 실시예 1-1보다 구취 억제율이 오히려 작게 나타났다. 이로부터 잔소리졸과 글루콘산 구리를 함께 사용할 경우 서로 상승 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 내 구취 유발 미생물 살균제인 잔소리졸과 구취유발 물질 제거제로 구리 화합물을 함께 혼합 사용할 경우에 각 성분들의 상승 효과에 의해 구취를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양치액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3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에 따라 양치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4004290463-pat00003
상기 실시예 2-1 내지 2-3 및 비교예 2-1 내지 2-3의 양치액 조성물에 대한 구취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치아 우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남녀 30명을 선정하여 동일한 식사를 하게 한 다음, Halimeter로 구취를 측정하여 초기의 구취 정도를 결정하였다. 각각의 양치액으로 일정 시간 동안 양치를 하고 30분 경과 시점에 다시 Halimeter로 구취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Halimeter의 사용법은 전술한 방법과 같다. 각각의 실험 대상들로부터 얻어진 구취 측정값을 평균하여 각 약치액의 구취 억제율을 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Figure 112004004290463-pat00004
표 4를 참조하면, 식사 후 생성된 구취는 양치 후 측정하였을 때 약효 성분이 전혀 들어있지 않은 비교예 2-1에서도 평균 24%의 억제율을 보였으나, 그 억제율은 크지가 않았다. 또한 잔소리졸과 글루콘산 구리를 각각 따로 첨가한 비교예 2-2 및 2-3은 비교예 2-1에 비하여 구취 억제율이 상당히 증가하였으나, 잔소리졸과 글루콘산 구리를 상대적으로 소량 첨가한 실시예 2-1보다 구취 억제율이 오히려 작게 나타났다. 이로부터 잔소리졸과 글루콘산 구리를 함께 사용할 경우 서로 상승 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 내 구취 유발 미생물 살균제인 잔소리졸과 구취유발 물질 제거제로 구리 화합물을 함께 혼합 사용할 경우에 각 성분들의 상승 효과에 의해 구취를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우스 스프레이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5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에 따라 마우스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4004290463-pat00005
상기 실시예 3-1 내지 3-3 및 비교예 3-1 내지 3-3의 마우스 스프레이 조성물에 대한 구취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치아 우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남녀 30명을 선정하여 동일한 식사를 하게 한 다음, Halimeter로 구취를 측정하여 초기의 구취 정도를 결정하였다. 각각의 마우스 스프레이를 입안에 골고루 5회 분무한 다음 다시 Halimeter로 구취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Halimeter의 사용법은 전술한 방법과 같다. 각각의 실험 대상들로부터 얻어진 구취 측정값을 평균하여 각 마우스 스프레이의 구취 억제율을 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냈다.
Figure 112004004290463-pat00006
표 6을 참조하면, 식사 후 생성된 구취는 양치 후 측정하였을 때 약효 성분이 전혀 들어있지 않은 비교예 3-1에서도 평균 20%의 억제율을 보였으나, 그 억제율은 크지가 않았다. 또한 잔소리졸과 글루콘산 구리를 각각 따로 첨가한 비교예 3-2 및 3-3은 비교예 3-1에 비하여 구취 억제율이 상당히 증가하였으나, 잔소리졸과 글루콘산 구리를 상대적으로 소량 첨가한 실시예 3-1보다 구취 억제율이 오히려 작게 나타났다. 이로부터 잔소리졸과 글루콘산 구리를 함께 사용할 경우 서로 상승 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 내 구취 유발 미생물 살균제인 잔소리졸과 구취유발 물질 제거제로 구리 화합물을 함께 혼합 사용할 경우에 각 성분들의 상승 효과에 의해 구취를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식이성 필름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7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에 따라 마우스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4004290463-pat00007
상기 실시예 4-1 내지 4-3 및 비교예 4-1 내지 4-3의 식이성 필름 조성물에 대한 구취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치아 우식을 가지고 있지 않은 남녀 30명을 선정하여 동일한 식사를 하게 한 다음, Halimeter로 구취를 측정하여 초기의 구취 정도를 결정하였다. 각각의 식이성 필름을 혀에 점착시켜 타액에 필름이 완전히 녹아 없어진 후에 다시 Halimeter로 구취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Halimeter의 사용법은 전술한 방법과 같다. 각각의 실험 대상들로부터 얻어진 구취 측정값을 평균하여 각 식이성 필름의 구취 억제율을 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냈다.
Figure 112004004290463-pat00008
표 8을 참조하면, 식사 후 생성된 구취는 양치 후 측정하였을 때 약효 성분이 전혀 들어있지 않은 비교예 4-1에서도 평균 15%의 억제율을 보였으나, 그 억제율은 크지가 않았다. 또한 잔소리졸과 글루콘산 구리를 각각 따로 첨가한 비교예 4-2 및 4-3은 비교예 4-1에 비하여 구취 억제율이 상당히 증가하였으나, 잔소리졸과 글루콘산 구리를 상대적으로 소량 첨가한 실시예 4-1보다 구취 억제율이 오히려 작게 나타났다. 이로부터 잔소리졸과 글루콘산 구리를 함께 사용할 경우 서로 상승 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 내 구취 유발 미생물 살균제인 잔소리졸과 구취유발 물질 제거제로 구리 화합물을 함께 혼합 사용할 경우에 각 성분들의 상승 효과에 의해 구취를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취억제용 조성물은 조성물 내에 함유된 잔소리졸과 구리 화합물의 상호 상승작용으로 인하여 효율적인 구취 억제 시스템이 구현됨으로서 강력한 구취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취억제용 조성물의 제형 은 앞서 설명한 치약이나 양치액, 마우스 스프레이 또는 식이성 필름에 국한되지 않고, 그 이외에 껌, 구강세정제, 연고 및 패치 제형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2)

  1. 구취억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잔소리졸 0.01 내지 5중량%; 및
    구리 화합물 0.0001 내지 1중량%를 함유하며,
    상기 구리 화합물은 글루콘산 구리, 아세트산 구리, 황산구리 및 구리클로로필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취억제용 조성물.
  2. 삭제
KR1020040006698A 2004-02-02 2004-02-02 구취억제용 조성물 KR101071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698A KR101071433B1 (ko) 2004-02-02 2004-02-02 구취억제용 조성물
PCT/KR2005/000312 WO2005072691A1 (en) 2004-02-02 2005-02-02 Composition for inhibiting halito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698A KR101071433B1 (ko) 2004-02-02 2004-02-02 구취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531A KR20050078531A (ko) 2005-08-05
KR101071433B1 true KR101071433B1 (ko) 2011-10-10

Family

ID=3482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698A KR101071433B1 (ko) 2004-02-02 2004-02-02 구취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71433B1 (ko)
WO (1) WO20050726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07143B2 (en) * 2013-03-15 2021-05-18 Cda Research Group, Inc. Topical copper ion treatments and methods of treatment using topical copper ion treatments in the oral-respiratory-otic areas of the body
US11083750B2 (en) 2013-03-15 2021-08-10 Cda Research Group, Inc. Methods of treatment using topical copper ion formulations
US11000545B2 (en) 2013-03-15 2021-05-11 Cda Research Group, Inc. Copper io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reatment for conditions caused by coronavirus and influenza
US11318089B2 (en) 2013-03-15 2022-05-03 Cda Research Group, Inc. Topical copper ion treatments and methods of making topical copper ion treatments for use in various anatomical areas of the body
US10398733B2 (en) 2013-03-15 2019-09-03 Cda Research Group, Inc. Topical copper ion treatments and methods of treatment using topical copper ion treatments in the dermatological areas of the body
US11193184B2 (en) 2019-02-22 2021-12-07 Cda Research Group, Inc. System for use in producing a metal ion suspension and process of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6214B2 (ja) * 1991-06-21 2003-09-16 ライオン株式会社 液状透明口腔用組成物
KR20000065613A (ko) * 1999-04-07 2000-11-15 김선봉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악취제거 및 충치 예방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72691A1 (en) 2005-08-11
KR20050078531A (ko) 200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6227B2 (ja) 口腔内乾燥防止および口腔内刺激緩和用組成物
US4272512A (en) Antigingivitis composition
HRP950385A2 (en) Antiseptic dentifrice
JP5804307B2 (ja) 口腔用組成物
JP5597970B2 (ja) 歯磨剤組成物
WO2008069631A1 (en) Liquid-type dentifrice composition contained silver particles and mousse-type dentifrice using the same
JP5825532B2 (ja) タバコタール除去剤およびそれに基づく組成物
WO2005072691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halitosis
KR20110107327A (ko) 치아 연마제 조성물
KR101336726B1 (ko) 식물의 꽃 절편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JP3706614B2 (ja) 口臭抑制用口腔組成物
JP2012012303A (ja) 口腔用組成物
KR101703269B1 (ko) 후박 추출물 및 중탄산염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용 조성물
JP4158036B2 (ja) 歯磨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01476A (ko)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CA2481004A1 (en) Novel anti-bacterial compositions
JP3511727B2 (ja) 口腔用組成物
KR101287800B1 (ko) 구강 조성물
KR101344803B1 (ko) 후박 추출물과 금속이온 봉쇄제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JPH05262631A (ja) 義歯者用口腔用組成物
JP3877412B2 (ja) 液体口腔用組成物
JP2003160459A (ja) メチオナーゼ活性阻害剤及び口腔用組成物
JP2023147254A (ja) 口内炎発症抑制組成物
KR100759518B1 (ko)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JP2950674B2 (ja) 口腔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