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957B1 - 열전재료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전재료 세척방법 - Google Patents

열전재료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전재료 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957B1
KR101068957B1 KR1020100005837A KR20100005837A KR101068957B1 KR 101068957 B1 KR101068957 B1 KR 101068957B1 KR 1020100005837 A KR1020100005837 A KR 1020100005837A KR 20100005837 A KR20100005837 A KR 20100005837A KR 101068957 B1 KR101068957 B1 KR 101068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liquid
tellurium oxide
washing
thermoelectric material
tellur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6223A (ko
Inventor
하국현
이혜문
김경태
이길근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05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95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6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6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43Cleaning before device manufacture, i.e. Begin-Of-Line process
    • H01L21/02052Wet cleaning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재료 세척장치는, 광석에서 구리(Cu) 제련시 생성된 부산물인 텔루륨(Te)수용액을 중화반응시켜 추출한 산화텔루륨(TeO2)과 세척액이 저장되는 침전조와, 상기 산화텔루륨을 포함하는 세척액을 강제 이송하는 이송펌프와, 상기 산화텔루륨을 세척액 내부에서 분산하는 분산유닛과, 상기 세척액 내부에 분산된 산화텔루륨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필터링유닛과, 상기 필터링유닛을 경유한 세척액을 침전조로 안내하는 세척액회유로와, 상기 이송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광석 제련시에 생성된 부산물을 폐기하지 않고 재활용하여 열전재료를 제조할 수 있으며, 나트륨(Na) 등의 불순물 첨가량을 현저히 낮추어 열전 성능이 향상된 열전재료의 제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열전재료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전재료 세척방법{A Thermoelectric material cleansing device and Method for cleansing thermoelectric material use of the same}
본 발명은 광석에서 구리(Cu) 추출시에 발생하는 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열전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열전재료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전재료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전재료란 재료 양단 간에 온도차를 주었을 때 전기에너지가 생기고 반대로 재료에 전기에너지를 주었을 때 재료 양단 간에 온도차가 생기는 에너지 변환 재료이다.
이러한 열전재료는 19세기 초에 열전현상인 지백효과(Seebeck effect), 펠티에효과(Peltier effect), 톰슨효과(Thomson effect) 등이 발견 후, 1930년대 후반부터 반도체의 발전과 더불어 열전 성능지수가 높은 열전재료로 개발되어 최근에는 열전 발전을 이용한 산간 벽지용, 우주용, 군사용 등의 특수 전원장치로의 사용과 열전 냉각을 이용한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적외선 검출소자 등에서의 정밀한 온도제어나 컴퓨터 관련 소형 냉각기와, 광통신레이저 냉각장치, 냉온수기의 냉각장치, 반도체 온도조절장치, 열교환기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열전재료의 가장 유망한 실용화소재로 알려진 Bismuth Telluride (Bi2Te3)의 핵심원료는 비스무스(Bi)와 텔루륨(Te)이다. 두 금속 원소 중 텔루륨(Te)은 특히 세계적으로 매장량이 적어 자원선진국의 채굴량이 적고 원재료 가격도 높아 백금에 버금가는 가격으로 수입되고 있다.
따라서, 열전재료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재료비의 상승으로 인해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실용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금속 제련시에 버려지는 부산물로부터 열전재료를 추출하는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부산물로부터 얻어진 열전재료에는 나트륨(Na)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서 열전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석에서 구리(Cu) 추출시에 발생하는 부산물로부터 추출한 열전재료를 세척하기 위한 열전재료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전재료 세척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전재료의 세척장치는, 광석에서 구리(Cu) 제련시 생성된 부산물인 텔루륨(Te)수용액을 중화반응시켜 추출한 산화텔루륨(TeO2)과 세척액이 저장되는 침전조와, 상기 산화텔루륨을 포함하는 세척액을 강제 이송하는 이송펌프와, 상기 산화텔루륨을 세척액 내부에서 분산하는 분산유닛과, 상기 세척액 내부에 분산된 산화텔루륨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필터링유닛과, 상기 필터링유닛을 경유한 세척액을 침전조로 안내하는 세척액회유로와, 상기 이송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산유닛과 필터링유닛은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산유닛은 내부를 경유하는 산화텔루륨이 분산된 세척액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산화텔루륨을 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링유닛 내부 일측에는 역삼투압필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링유닛 내부는 선택적으로 개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산유닛과 침전조 사이에는, 상기 세척액에 외부로부터 물이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도록 물공급배관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열전재료 세척장치를 이용한 열전재료 세척방법은, 광석에서 구리(Cu) 제련시 생성된 부산물인 텔루륨(Te)수용액을 중화반응시켜 산화텔루륨(TeO2)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와, 상기 산화텔루륨을 침전조에 투입하여 세척액과 교반하는 재료교반단계와, 상기 산화텔루륨을 포함하는 세척액을 유동하는 세척액이송단계와, 상기 산화텔루륨을 포함하는 세척액을 분산유닛을 통과시켜 분산하는 세척액분산단계와, 상기 세척액에 분산된 산화텔루륨을 필터링유닛을 통해 선택적으로 걸러내는 분리단계와, 상기 산화텔루륨이 분리된 세척액이 상기 침전조를 경유하도록 회유하는 세척액회유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액은 물이 적용된다.
상기 분리단계는, 상기 세척액에 포함된 나트륨(Na)을 산화텔루륨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이다.
상기 세척액이송단계에서는, 세척액에 산화텔루륨이 포함되지 않은 물을 추가로 공급하는 과정이 선택적으로 실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광석에서 구리(Cu) 추출시에 발생하는 부산물인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에 포함된 텔루륨을 세척하여 나트륨(Na)이 제거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광석 제련시에 생성된 부산물을 폐기하지 않고 재활용하여 열전재료를 제조할 수 있으며, 불순물의 첨가량을 현저히 낮추어 열전 성능이 향상된 열전재료의 제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열전재료 세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전재료 세척장치를 이용한 열전재료 세척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열전재료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열전재료를 세척시에 세척액의 온도 변화에 따른 세척능력 변화를 나타낸 실험 데이터.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전재료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열전재료를 세척시에 세척 횟수 변화에 다른 나트륨 첨가량 변화를 나타낸 실험 데이터.
이하에서는 열전재료 세척장치에 의해 세척되어질 열전재료인 TeO2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상기 열전재료는 광산에서 수거된 광석으로부터 구리(Cu) 원광석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인 텔루륨(Te)을 포함한 수용액을 준비하고, 준비된 텔루륨 포함 수용액에 HNO3 와 H2SO4 중 하나 이상을 투입하여 수용액을 중화한 다음, 중화된 수용액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산화텔루륨(TeO2) 분말을 추출하게 된다.
추출된 산화텔루륨 분말에는 나트륨(Na) 성분이 다량(10,000 내지 20,000ppm) 포함되어 있으므로 고순도의 열전재료를 확보하는데 걸림돌이 되며, 열전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산화텔루륨 분말은 본 발명에 의한 열전재료 세척장치를 통해 세척되어 나트륨(Na)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됨으로써 고순도의 열전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열전재료인 텔루륨분말을 세척하기 위한 열전재료 세척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열전재료 세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열전재료 세척장치(이하 '세척장치(100)'라 칭함)는, 상기 산화텔루륨과 세척액이 저장되는 침전조(110)와, 상기 산화텔루륨을 포함하는 세척액을 강제 이송하는 이송펌프(120)와, 상기 세척액에 포함된 산화텔루륨을 분산하는 분산유닛(130)과, 상기 세척액 내부에 분산된 산화텔루륨을 필터링하는 필터링유닛(140)과, 상기 필터랑유닛을 경유한 세척액을 침전조(110)로 안내하는 세척액회유로(150)와, 상기 이송펌프(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침전조(110)는 일정 용량을 가지는 용기 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세척대상물인 산화텔루륨 분말과, 상기 산화텔루륨 분말에 포함된 나트륨(Na)을 희석하여 제거하기 위한 세척액이 수용된다.
상기 침전조(110)의 좌측에는 여과유닛(170)이 구비된다. 상기 여과유닛(170)은 세척액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1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산화텔루륨은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여과유닛(170)과 침전조(110) 사이에는 다수 밸브(180) 및 배관(19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여과유닛(170)과 침전조(110) 사이에는 침전조(110) 내부의 세척액 및 산화텔루륨 분말이 여과유닛(170)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유동배관(192)과, 상기 유동배관(192) 내부에 외부로부터 세척액이 보충 및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물공급배관(194)이 구비되며, 상기 유동배관(192)과 물공급배관(194)에는 각각 차단밸브(182)와 물공급밸브(18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밸브(182)를 동작시켜 유동배관(192) 내부를 차단한 다음 상기 물공급밸브(184)를 열어 여과유닛(170)으로 깨끗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여과유닛(170)의 좌측에는 이송펌프(12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펌프(120)는 전원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유닛(16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흡입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유동배관(192)에 흡입력을 제공하여 침전조(110) 내부의 세척액 및 산화텔루륨분말이 유동하도록 강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펌프(120)는 세척액 및 산화텔루륨분말을 내부로 경유시킨 후 상기 분산유닛(130) 하측으로 안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펌프(120)의 일측에는 안내배관(122)이 구비된다. 상기 안내배관(122)은 분산유닛(130)의 하부와 연결되어 세척액 및 산화텔루륨분말이 분산유닛(130)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안내배관(122)의 일측에는 안내밸브(12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밸브(124)의 동작에 의해 상기 안내배관(122) 내부는 선택적으로 차폐되어 세척액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안내밸브(124), 물공급밸브(184) 및 차단밸브(182)의 동작은 제어유닛(16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안내배관(122)의 상측에는 분산유닛(130) 및 필터링유닛(140)이 구비된다. 상기 분산유닛(130)과 필터링유닛(140)은 내부가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분산유닛(130)과 필터링유닛(140)은 내부가 비어있는 통 형상의 분산탱크(135)의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분산탱크(135)의 내부는 상/하단부가 외부로 개구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산탱크(135)의 개구된 하단부는 상기 안내배관(122)과 연통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의 동작에 의해 상기 유동배관(192)과 물공급배관(194)은 세척액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물의 추가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분산탱크(135)에 구비된 분산유닛(130)과 필터링유닛(14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분산탱크(135)의 내부에서 하부 공간에는 분산공간(136)이 형성된다. 상기 분산공간(136)은 안내배관(122)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산화텔루륨분말을 세척액 내부에서 분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산탱크(135)의 하부 외면에는 초음파진동자(137)가 구비된다. 상기 초음파진동자(137)는 초음파를 발산하여 분산공간(136) 내부에 진동을 제공함으로써 산화텔루륨분말이 세척액 내부에서 분산되도록 한다.
상기 분산공간(136)의 상측에는 필터링유닛(140)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링유닛(140)은 세척액에 포함된 산화텔루륨분말만 선택적으로 걸러내고, 나머지 나트륨 및 세척액은 분산탱크(135) 외측으로 빠져나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링유닛(140)에는 역삼투압필터(142)가 구비되도록 구성하였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걸러내고자 하는 산화텔루륨분말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구멍 크기를 가지는 필터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링유닛(14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클램프(14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링유닛(140)의 상측에는 세척액회유로(150)가 구비된다. 상기 세척액회유로(150)는 필터링유닛(140)을 경유하면서 산화텔루륨분말이 제거되고 나트륨을 함유하는 세척액이 상기 침전조(110)로 다시 회유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세척액회유로(150)는 일단부가 분산유닛(13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내부가 서로 연통하게 되고, 타단부는 상기 침전조(110)에 연결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세척장치(100)를 이용하여 열전재료를 세척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열전재료 세척장치를 이용한 열전재료 세척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나트륨 및 불순물이 포함된 산화텔루륨분말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S100)와, 상기 산화텔루륨을 침전조(110)에 투입하여 세척액과 교반하는 재료교반단계(S200)와, 상기 산화텔루륨을 포함하는 세척액을 유동하는 세척액이송단계(S300)와, 상기 산화텔루륨을 포함하는 세척액을 분산유닛(130)을 통과시켜 분산하는 세척액분산단계(S400)와, 상기 세척액에 분산된 산화텔루륨을 필터링유닛(140)을 통해 선택적으로 걸러내는 분리단계(S500)와, 상기 산화텔루륨이 분리된 세척액이 상기 침전조를 경유하도록 회유하는 세척액회유단계(S600)를 순차적으로 거쳐 열전재료는 고순도를 갖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재료교반단계(S200)는 침전조(110) 내부에 세척액과 산화텔루륨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과정으로, 상기 세척액은 산화텔루륨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나트륨을 희석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물이 적용되었다.
이후 상기 세척액이송단계(S300)가 실시된다. 상기 세척액이송단계(S300)는 상기 제어유닛(160)을 통해 이송펌프(120)의 동작을 제어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침전조(110) 내부에 보관되어 있던 산화텔루륨분말이 세척액과 함께 유동배관(192)을 따라 강제 유동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세척액이송단계(S300) 이후에는 세척액분산단계(S400)가 실시된다. 상기 세척액분산단계(S400)는 초음파진동자(137)를 동작시켜 분산탱크(135) 내부로 유입된 산화텔루륨분말을 세척액 내부에서 분산하는 과정이다.
즉, 상기 세척액이송단계(S300)를 통해 세척액 및 산화텔루륨분말은 이송펌프(120)를 경유한 후 안내배관(122)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분산탱크(135)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초음파진동자(137)는 분산탱크(135) 내부로 초음파를 제공하여 산화텔루륨분말이 세척액 속에서 분산되도록 한다.
상기 세척액이송단계(S300)와 세척액분산단계(S400) 사이에는 불순물여과단계(S350)가 더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불순물여과단계(S350)는 유동배관(192)을 따라 유동한 세척액 및 산화텔루륨이 여과유닛(170)을 통과할 때 불순물 등이 선택적으로 걸려져 여과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상기 세척액분산단계(S400) 이후에는 상기 분리단계(S500)이 실시된다. 상기 분리단계(S500)는 산화텔루륨이 분산된 세척액이 필터링유닛(140) 내부로 유입될 때 산화텔루륨만 선택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과정으로, 상기 세척액 및 나트륨은 분산탱크(135) 내부에 남지 않고 상방향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링유닛(140)에 구비된 열삼투압필터에는 나트륨의 함량이 줄어들어 순도가 높아지는 산화텔루륨이 점차적으로 쌓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분리단계(S500) 이후에는 세척액회유단계(S600)가 실시된다. 상기 세척액회유단계(S600)는 나트륨이 포함된 세척액을 다시 침전조(110)로 안내하기 위한 과정으로, 상기 필터링유닛(140)을 경유하여 분산탱크(135) 외부로 빠져나온 세척액을 상기 세척액회유로(150)통해 침전조(110)로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침전조(110)에 회유된 세척액은 나트륨의 농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상기 침전조(110) 내부의 세척액을 제거하거나, 물공급배관(194)을 개방하여 외부로부터 나트륨이 포함되지 않은 세척액을 추가함으로써 나트륨의 함량이 감소하도록 제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물공급밸브(184)가 동작하여 물공급배관(194) 내부를 개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물공급배관(194)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상기 차단밸브(182)는 유동배관(192)을 차폐하여 침전조(110) 내부의 세척액이 유동배관(192)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3 을 참조하여 상기 세척장치를 이용한 열전재료의 세척 결과를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열전재료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열전재료를 세척시에 세척액의 온도 변화에 따른 세척능력 변화를 나타낸 실험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척장치(100)를 이용하여 세척하지 않은 산화텔루륨분말에 포함된 나트륨 함량을 100%로 하였을 때, 세척액의 온도를 변화시켜 나트륨의 세척 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세척액의 온도를 50℃로 맞추어 세척시에 가장 낮은 나트륨 함량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세척액의 온도를 50℃로 설정한 후 세척횟수에 따른 나트륨 함량 변화를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세척하지 않은 경우 산화텔루륨에 포함된 나트륨 함량은 18,450ppm 인 반면 1회만 세척하였을 때 961ppm으로 현저히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 횟수를 늘려감에 따라 나트륨의 함량은 보다 더 감소하여 4회에 걸쳐 세척한 경우 574ppm의 나트륨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세척횟수를 늘리면서 나트륨이 포함되지 않은 세척액을 추가하여 연속적인 세척을 진행하였을 대 100ppm 이하의 잔류 나트륨 농도를 구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열전재료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열전재료를 세척시에 세척 횟수 변화에 다른 나트륨 첨가량 변화를 나타낸 실험 데이터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구체적인 일예들에 불과하며, 제조 과정상의 온도, 시간 및 계면활성제 등의 부피분율 등과 같은 처리 조건 등은 당업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변형가능할 것이다.
100. 열전재료 세척장치 110. 침전조
120. 이송펌프 122. 안내배관
124. 안내밸브 130. 분산유닛
135. 분산탱크 136. 분산공간
137. 초음파진동자 140. 필터링유닛
142. 역삼투압필터 144. 클램프
150. 세척액회유로 160. 제어유닛
170. 여과유닛 180. 밸브
182. 차단밸브 184. 물공급밸브
190. 배관 192. 유동배관
194. 물공급배관 S100. 재료준비단계
S200. 재료교반단계 S300. 세척액이송단계
S350. 불순물여과단계 S400. 세척액분산단계
S500. 분리단계 S600. 세척액회유단계

Claims (10)

  1. 광석에서 구리(Cu) 제련시 생성된 부산물인 텔루륨(Te)수용액을 중화반응시켜 추출한 산화텔루륨(TeO2)과 세척액이 저장되는 침전조와,
    상기 산화텔루륨을 포함하는 세척액을 강제 이송하는 이송펌프와,
    상기 산화텔루륨을 세척액 내부에서 분산하는 분산유닛과,
    상기 세척액 내부에 분산된 산화텔루륨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필터링유닛과,
    상기 필터링유닛을 경유한 세척액을 침전조로 안내하는 세척액회유로와,
    상기 이송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재료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유닛과 필터링유닛은 내부 공간이 서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재료 세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유닛은 내부를 경유하는 산화텔루륨이 분산된 세척액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산화텔루륨을 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재료 세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유닛 내부 일측에는 역삼투압필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재료 세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유닛 내부는 선택적으로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재료 세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유닛과 침전조 사이에는, 상기 세척액에 외부로부터 물이 선택적으로 추가될 수 있도록 물공급배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재료 세척장치.
  7. 광석에서 구리(Cu) 제련시 생성된 부산물인 텔루륨(Te)수용액을 중화반응 및 환원반응시켜 산화텔루륨(TeO2)을 준비하는 재료준비단계와,
    상기 산화텔루륨을 침전조에 투입하여 세척액과 교반하는 재료교반단계와,
    상기 산화텔루륨을 포함하는 세척액을 유동하는 세척액이송단계와,
    상기 산화텔루륨을 포함하는 세척액을 분산유닛을 통과시켜 분산하는 세척액분산단계와,
    상기 세척액에 분산된 산화텔루륨을 필터링유닛을 통해 선택적으로 걸러내는 분리단계와,
    상기 산화텔루륨이 분리된 세척액이 상기 침전조를 경유하도록 회유하는 세척액회유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재료 세척장치를 이용한 열전재료 세척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은 물이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재료 세척장치를 이용한 열전재료 세척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는, 상기 세척액에 포함된 나트륨(Na)을 산화텔루륨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재료 세척장치를 이용한 열전재료 세척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이송단계에서는, 세척액에 산화텔루륨이 포함되지 않은 물을 추가로 공급하는 과정이 선택적으로 실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재료 세척장치를 이용한 열전재료 세척방법.
KR1020100005837A 2010-01-22 2010-01-22 열전재료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전재료 세척방법 KR101068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837A KR101068957B1 (ko) 2010-01-22 2010-01-22 열전재료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전재료 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837A KR101068957B1 (ko) 2010-01-22 2010-01-22 열전재료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전재료 세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223A KR20110086223A (ko) 2011-07-28
KR101068957B1 true KR101068957B1 (ko) 2011-09-29

Family

ID=4492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837A KR101068957B1 (ko) 2010-01-22 2010-01-22 열전재료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전재료 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9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6243A (zh) * 2020-12-15 2021-01-26 安徽中创电子信息材料有限公司 一种陶瓷电容器用超细粉体材料的洗涤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2146A (ja) * 1996-03-15 1997-09-22 Citizen Watch Co Ltd ビスマス・テルル化合物熱電半導体の製造方法
KR20070065477A (ko) * 2005-12-20 2007-06-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Bi­Te계 n형 열전재료의 제조방법
KR20080103126A (ko) * 2007-05-23 2008-11-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품질 박막 증착을 위한 화학적 기판처리 방법 및 이를이용한 박막형 열전소재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2146A (ja) * 1996-03-15 1997-09-22 Citizen Watch Co Ltd ビスマス・テルル化合物熱電半導体の製造方法
KR20070065477A (ko) * 2005-12-20 2007-06-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Bi­Te계 n형 열전재료의 제조방법
KR20080103126A (ko) * 2007-05-23 2008-11-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품질 박막 증착을 위한 화학적 기판처리 방법 및 이를이용한 박막형 열전소재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6223A (ko)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8750B2 (ja) クーラント循環装置。
CN108434854A (zh) 一种工业冷却液循环过滤装置
WO2007097046A1 (ja) シリコン粒子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068957B1 (ko) 열전재료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열전재료 세척방법
CN203154875U (zh) 聚结脱水滤油机
CN112222934A (zh) 一种智能排屑式机床
JP4377393B2 (ja) 多結晶シリコンの純水洗浄方法および純水洗浄装置
CN101758457A (zh) 一种化学机械抛光液回收和重复利用的方法
KR200404946Y1 (ko) 공작기계용 절삭유 세정장치
TWI606884B (zh) 金屬加工機之回收液處理設備及其方法
CN108161561A (zh) 排屑供液装置及方法
CN206855127U (zh) 一种金属镜面加工用切削液循环装置
CN215085338U (zh) 一种变压器污油回收装置
KR100634864B1 (ko) 공작기계용 절삭유 세정장치
CN212119206U (zh) 一种润滑油加工用多级过滤装置
CN210936210U (zh) 清洁装置
CN209885332U (zh) 一种用于洗板水原材料加工的除杂设备
CN208829407U (zh) 水处理综合自动化一体机设备
KR101409425B1 (ko) SiC 폐슬러리의 피절삭재 및 절삭재 분리 장치 및 방법
KR100713624B1 (ko) 공작기계용 절삭유 세정장치
CN214913733U (zh) 针对加工切屑液的自动循环过滤回收再利用装置
CN106270554B (zh) 一种超细钴粉的制备方法
CN217139397U (zh) 一种高效过滤连续补液装置
CN214972217U (zh) 一种呋虫胺的连续化处理系统
CN213388037U (zh) 一种水处理过程中污水收集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