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759B1 -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759B1
KR101068759B1 KR1020100000967A KR20100000967A KR101068759B1 KR 101068759 B1 KR101068759 B1 KR 101068759B1 KR 1020100000967 A KR1020100000967 A KR 1020100000967A KR 20100000967 A KR20100000967 A KR 20100000967A KR 101068759 B1 KR101068759 B1 KR 101068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arm
terminal
cradle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0639A (ko
Inventor
김현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0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759B1/ko
Publication of KR20110080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759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한 크래들; 상기 단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접속부가 상기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위치와 상기 단자접속부가 상기 단자로부터 분리되는 분리위치간을 이동가능한 차단기 본체; 및 상기 크래들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단자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단자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간을 회동하는 셔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높이를 축소할 수 있으며, 셔터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Description

회로차단기{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회로차단기는, 선로 전압에 따라 수 킬로 볼트(Kilo Volt) 내지 수 백 킬로 볼트의 고전압 선로를 차단하는 고압 차단기와, 변압기 후단의 수백 볼트이하의 저전압 선로를 차단하는 저압 차단기로 구별될 수 있다.
또한, 회로차단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고정 배치되는 고정형과, 크래들에 대해 인입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인입출형으로 구별될 수 있다. 상기 인입출형 회로차단기는 시험과 유지 보수에 편리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인입출형 회로차단기는, 회로를 개폐하는 개폐기구, 과전류계전기로 대표되는 제어장치 및 단자부를 포함하는 차단기 본체와, 외부의 전원 및 부하 측과 접속가능하며 차단기 본체의 인입, 시험 또는 인출 위치에 따라 차단기 본체의 단자부에 접속 또는 분리가능한 단자부를 구비한 크래들(cradl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입출형 회로차단기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인입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회로차단기의 크래들 및 차단기 본체의 결합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크래들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셔터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의 셔터 및 구동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차단기는, 모선 및 부하에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12)를 구비한 크래들(10)과, 모선 및 부하에 연결된 단자(12)와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접속부(22)를 구비하여 상기 크래들(10)에 대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기 본체(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본체(20)의 내부에는 진공차단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기 본체(20)의 후방영역에는 상기 크래들(10)의 모선 및 부하와 연결된 각 단자(12)에 접속가능하게 복수의 단자접속부(2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본체(20)의 하부에는 복수의 휠(2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0)의 후벽부에는 복수의 단자(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단자(12)는 상기 차단기 본체(20)의 각 단자접속부(22)가 삽입될 수 있게 일 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0)의 후벽부에는 상기 단자(12)의 입구측을 개폐할 수 있게 셔터(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셔터(15)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부셔터(16) 및 하부셔터(1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 셔터(15)는 긴 판상부재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셔터(15)는 상기 크래들(10)의 후벽부의 상하방향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0)의 양 측벽에는 상기 셔터(15)를 승강 구동시킬 수 있게 구동장치(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30)는, 상기 크래들(10)의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아암(31)과, 일 단부는 상기 구동아암(3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셔터(15)에 연결되는 구동링크(3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아암(31) 및 구동링크(39)는 각각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구동아암(31)에는 상기 차단기 본체(20)의 진입시 상기 차단기 본체(20)와 접촉될 수 있게 접촉부싱(35)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아암(31)은 동일한 회전축(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아암(31)의 회전축(33)에는 도면상 하측에 배치된 구동아암(31)을 탄성가압하는 스프링(3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7)은 토션스프링(37)일 수 있다.
상기 차단기 본체(20)의 양 측벽에는 상기 각 구동아암(31)의 접촉부싱(35)과 접촉되어 상기 각 구동아암(31)이 회동되게 가압하는 부싱가압부(27)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싱가압부(27)는 상하로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차단기 본체(20)의 단자접속부(22)와 상기 크래들(10)의 단자(12)에 접속하기 위해 상기 차단기 본체(20)가 이동될 때, 상기 부싱가압부(27)에 의해 상기 각 구동아암(31)이 가압되어 각각 회동함으로써 상기 셔터(15)가 상하로 각각 구동되어 상기 단자(12)의 입구측이 각각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본체(20)의 분리 이동시 도면상 상부셔터(16)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고, 하부셔터(17)는 토션스프링(37)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어 각각 단자(12)의 입구영역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회로차단기에 있어서는, 셔터(15)가 단일의 판상 부재로 형성되어 크래들(10)의 후벽부의 상하방향을 따라 승강하도록 되어 있어 그만큼 상기 크래들(10)의 높이가 증가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셔터(16)는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셔터(16)의 승강 개폐 동작이 불완전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셔터(17)를 상승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37)은 일 단부가 차단기 본체(20)에 접촉되어 가압되도록 구성되므로 시간이 경과할 경우 토션스프링(37)의 차단기 본체와 접촉되는 접촉영역의 변형 또는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부셔터(17)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높이를 축소할 수 있는 회로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셔터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될 수 있는 회로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복수의 단자를 구비한 크래들; 상기 단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접속부가 상기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위치와 상기 단자접속부가 상기 단자로부터 분리되는 분리위치간을 이동가능한 차단기 본체; 및 상기 크래들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단자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단자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간을 회동하는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크래들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셔터, 상기 제1셔터의 단부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셔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방위치시 상기 제1셔터 및 제2셔터는 절첩되고, 상기 셔터의 차단위치시, 상기 제1셔터는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셔터는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기 본체의 접속위치로 이동시 상기 차단기 본체와 연동하여 상기 셔터를 개방위치로 구동시키는 셔터구동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셔터구동장치는, 상기 크래들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아암과, 일 단부는 상기 구동아암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셔터에 연결되는 구동링크와, 상기 차단기 본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구동아암을 회동시키는 구동아암회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아암회동부는, 서로 이격되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아암 및 제2아암, 상기 제1아암 및 제2아암을 연결하는 연결링크, 및 상기 차단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링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는 상하로 이격되는 복수의 상부단자 및 하부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셔터는 상기 상부단자를 개폐하는 상부셔터 및 상기 하부단자를 개폐하는 하부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링크는 상기 하부셔터의 제1셔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1셔터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셔터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하부셔터 및 상부셔터의 각 제1셔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스프로킷휠, 상기 각 스프로킷휠에 동시에 결합되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에는 상기 제2셔터를 안내하는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셔터에는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롤러의 이동궤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본체의 분리위치시 상기 셔터가 불시에 개방되는 것을 억제하는 록킹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아암은 상기 차단기 본체의 접속위치로 진입시 상기 제2아암보다 상기 차단기 본체와 먼저 접촉되게 배치되고,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제1아암의 회동을 억제하는 잠금위치와 상기 제1아암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위치를 회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록킹유닛이 상기 해제위치로 회동되게하는 록킹유닛해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아암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귀유닛은 인장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래들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단자의 입구 영역을 차단하는 셔터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크래들의 높이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를 절첩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크래들의 높이를 더욱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차단기 본체의 하중에 의해 셔터가 개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불시에 셔터가 개방될 염려가 없다.
도 1은 종래 회로차단기의 크래들 및 차단기 본체의 결합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크래들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셔터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2의 셔터 및 구동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셔터의 정면도,
도 8은 도 6의 셔터구동장치의 측면도,
도 9는 도 8의 셔터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셔터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셔터구동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셔터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회로차단기는, 복수의 단자(112)를 구비한 크래들(110)과, 상기 크래들(110)의 단자(112)와 접속 및 분리 가능한 복수의 단자접속부(122)를 구비하여 상기 크래들(110)에 인입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차단기 본체(120)와, 상기 크래들(110)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단자(112)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단자(112)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간을 회동가능한 셔터(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10)은, 저판부(111a)와, 상기 저판부(111a)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는 후벽부(111b)와, 상기 저판부(111a) 및 후벽부(111b)의 양 측에 배치되는 양 측판부(111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벽부(111b)에는 모선 및 부하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자(112)는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상부단자(113) 및 하부단자(1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본체(120)는 상기 모선 및 부하에 각각 연결되는 단자(112)와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접속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 단자접속부(122)는 상기 상부단자(113) 및 하부단자(114)에 각각 접속되게 상하 및 좌우로 각각 이격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본체(120)의 하부영역에는 이동이 가능하게 복수의 휠(124)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래들(110)의 후벽부(111b)에는 상기 단자(112)의 입구영역을 개폐할 수 있게 셔터(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셔터(130)는 상기 상부단자(113) 및 하부단자(114)의 각 입구 영역을 개폐할 수 있게 상부셔터(150) 및 하부셔터(1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셔터(150) 및 하부셔터(14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래들(1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셔터(141,151)와, 상기 제1셔터(141,151)의 일 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셔터(142,152)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셔터(130)의 개폐 승강을 위해 필요한 높이를 줄일 수 있어 회로차단기의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상기 제1셔터(141,151) 및 제2셔터(142,152)는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셔터(141,151)는 상기 크래들(1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셔터(142,152)는 상기 제1셔터(141,151)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셔터(141,151) 및 제2셔터(142,152)는 상기 단자(112)의 입구 영역의 개방시 회동되어 서로 절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셔터(130)의 승강을 위한 높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상기 상부셔터(150)는, 상측에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셔터(151)와, 상기 제1셔터(151)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제2셔터(152)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셔터(140)는, 하측에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셔터(141)와, 상기 제1셔터(141)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제2셔터(142)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10)에는 상기 차단기 본체(120)와 연동하여 상기 셔터(130)가 단자(112)의 입구 영역을 개방하게 하는 셔터구동장치(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셔터구동장치(170)는, 상기 크래들(11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아암(171)과, 일 단부는 상기 구동아암(171)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셔터(130)에 연결되는 구동링크(173)와, 상기 차단기 본체(12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구동아암(171)을 회동시키는 구동아암회동부(17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10)의 양 측판부(111c)에는 상기 구동아암(171)을 지지할 수 있게 지지플레이트(1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아암(171)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1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아암회동부(175)는, 서로 이격되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아암(177) 및 제2아암(183)과, 상기 제1아암(177) 및 제2아암(183)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링크(18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아암(183)은 상기 구동아암(171)의 회전축(17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2아암(183)의 회동시 상기 구동아암(171)이 동시에 연동하여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아암(183)의 일 측에는 상기 제2아암(183)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유닛(18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귀유닛(185)은 인장코일스프링(185)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귀유닛(185)은 다른종류의 스프링 또는 전동모터 및 기어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복귀유닛(185)의 일 단부는 상기 제2아암(183)에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1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귀유닛(185)은 상기 차단기 본체(120)의 접속 진입시 인장되어 탄성력을 축적하고, 상기 차단기 본체(120)의 분리 인출시 축적된 탄성력으로 상기 제2아암(183)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구동아암(171)이 초기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상기 상부셔터(150) 및 하부셔터(140)가 상기 단자(112)들의 입구 영역을 차단하는 차단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아암(177)의 일 측에는 상기 제1아암(177)이 불시에 회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록킹유닛(19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록킹유닛(191)은 상기 제1아암(177)의 회동을 억제하는 잠금위치와, 상기 제1아암(177)의 회동이 가능한 해제위치 간을 회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유닛(191)은 상기 제1아암(177)에 삽입될 수 있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아암(177)의 회동을 억제하는 걸림턱(193)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아암(177)에는 상기 걸림턱(193)이 삽입될 수 있게 함몰된 걸림턱홈부(17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93)에는 상기 차단기 본체(120)와 접촉이 원활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록킹유닛(191)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안내경사면(19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경사면(194)은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10)에는 상기 셔터(130)를 지지하는 셔터지지플레이트(1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셔터지지플레이트(117)는 긴 판상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셔터지지플레이트(117)는 상기 크래들(110)의 양 측판부(111c)의 내부에 각각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셔터지지플레이트(117)에는 상기 각 제1셔터(141,151)의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셔터(142,152)의 양 측 단부에는 롤러(145,1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셔터지지플레이트(117)에는 상기 제2셔터(142,152)를 각각 안내할 수 있게 가이드(147)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147)는 상기 롤러(145,155)들이 구름 접촉되면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롤러(145,155)의 이동 궤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래들(110)에는 상기 셔터구동장치(170)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210)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력전달유닛(210)은 상기 셔터구동장치(170)에 의해 상기 하부셔터(140)가 회동될 때 상기 셔터구동장치(170)의 구동력을 상기 상부셔터(150)에 전달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210)은, 상기 하부셔터(140) 및 상부셔터(150)의 각 제1셔터(141,151)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복수의 스프로킷휠(211), 상기 각 스프로킷휠(211)에 동시에 결합되는 체인(2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인(213)은 상기 스프로킷휠(211)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소위 엇걸기로 상기 스프로킷휠(2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하부셔터(140)의 제1셔터(141)가 하향 회동될 때, 상기 상부셔터(150)의 제1셔터(151)는 상향 회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유닛(210)은 다른 동력전달수단, 예를 들면 벨트 및 풀리, 기어트레인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단기 본체(120)에는 상기 연결링크(187)를 가압하여 하향회동시키는 가압부(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25)는 상기 차단기 본체(120)의 양 측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25)에는 상기 록킹유닛(191)에 접촉되어 상기 록킹유닛(191)을 해제위치로 회동시키는 록킹유닛해제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유닛해제부(126)는 상기 가압부(125)로부터 상향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유닛해제부(126)는 상기 제1아암(177)과 접촉이 원활하게 될 수 있게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유닛해제부(126)에는 상기 록킹유닛(191)을 상향 회동시킬 수 있게 돌출된 작용핀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용핀부(127)는 상기 록킹유닛(191)의 안내경사면(194)에 접촉되어 수평이동됨으로써 상기 안내경사면(194)이 상측으로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록킹유닛(191)이 해제위치로 상향 회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차단기 본체(120)의 단자접속부(122)가 상기 크래들(110)의 단자(112)로부터 분리된 분리위치시, 상기 상부셔터(150) 및 하부셔터(14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래들(110)의 각 단자(112)의 입구영역을 차단하는 차단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아암(171)은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아암(183)은 상기 복귀유닛(185)의 탄성력에 의해 당겨져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록킹유닛(191)은 잠금위치에서 상기 제1아암(177)의 불시 회동을 억제하고 있다.
한편, 상기 차단기 본체(120)의 단자접속부(122)와 상기 크래들(110)의 단자(112)가 접속되는 접속위치로 상기 차단기 본체(120)가 이동하면, 상기 차단기 본체(120)의 록킹유닛해제부(126),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작용핀부(127)가 상기 록킹유닛(191)의 안내경사면(194)에 접촉되어 상기 록킹유닛(191)을 상향 가압하여 상기 록킹유닛(191)을 해제위치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아암(177)은 회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차단기 본체(120)가 계속해서 접속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록킹유닛해제부(126)는 상기 제1아암(177)의 상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1아암(177)을 가압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아암(177)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아암(183) 및 구동아암(171)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셔터(140)의 제1셔터(141)는 구동링크(173)에 의해 하향 가압되고, 도면상 시계반대방향으로 하향 회동된다.
상기 하부셔터(140)의 제1셔터(141)가 회동을 개시하면 상기 제1셔터(141)의 회동력은 체인(213)을 통해 상기 상부셔터(150)의 제1셔터(151)의 회전축을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셔터(151)는 도면상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부셔터(140) 및 상부셔터(150)의 각 제1셔터(141,151)가 회동을 개시하면 상기 제1셔터(141,151)의 단부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셔터(142,152)들은 해당 제1셔터(141,151)에 의해 하방(또는 상방)으로 각각 당겨져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각 제2셔터(142,152)들은 단부에 구비된 롤러(145,155)가 가이드(147)에 접촉되어 안내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본체(120)가 접속위치로 이동을 계속하면 상기 가압부(125)의 저부면이 상기 연결링크(187)의 상면(단)과 접촉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1아암(177) 및 제2아암(183)은 하향 회동을 계속하고, 상기 구동아암(17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수평으로 배치되게 회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아암(171)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하부셔터(140) 및 상부셔터(150)의 제1셔터(141,151) 및 제2셔터(142,15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아암(171)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되어 서로 절첩되고, 각 단자(112)의 입구 영역을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2아암(183)이 회동되면 상기 복귀유닛(185), 보다 구체적으로 인장코일스프링(185)은 신장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
한편, 상기 차단기 본체(120)의 단자접속부(122)가 상기 크래들(110)의 해당 단자(112)로부터 분리되는 분리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하부셔터(140) 및 상부셔터(150)는 상기 개방위치에 그대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차단기 본체(120)의 가압부(125)가 상기 연결링크(187)의 단부를 지나게 되면 상기 제2아암(183)은 상기 복귀유닛(185)의 탄성력에 의해 도면상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아암(183)이 초기 위치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구동아암(171)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상기 구동링크(173)에 의해 가압된 상기 하부셔터(140)의 제1셔터(141)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하부셔터(140)의 제1셔터(141)가 회전을 개시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셔터(150)가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하부셔터(140) 및 상부셔터(150)는 상기 단자(112)의 입구영역을 차단하는 차단위치로 이동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크래들 113 : 상부단자
114 : 하부단자 115 : 지지플레이트
117 : 셔터지지플레이트 120 : 차단기 본체
122 : 단자접속부 124 : 휠
125 : 가압부 126 : 록킹유닛해제부
127 : 작용핀부 130 : 셔터
140 : 하부셔터 141,151 : 제1셔터
142,152 : 제2셔터 145,155 : 롤러
147 : 가이드 150 : 하부셔터
170 : 셔터구동장치 171 : 구동아암
173 : 구동링크 175 : 구동아암회동부
177 : 제1아암 183 : 제2아암
185 : 복귀유닛 187 : 연결링크
191 : 록킹유닛 193 : 걸림턱
210 : 동력전달유닛 211 : 스프로킷휠
213 : 체인

Claims (13)

  1. 복수의 단자를 구비한 크래들;
    상기 단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접속부가 상기 단자에 접속되는 접속위치와 상기 단자접속부가 상기 단자로부터 분리되는 분리위치간을 이동가능한 차단기 본체; 및
    상기 크래들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단자를 차단하는 차단위치와 상기 단자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간을 회동하는 셔터;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크래들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셔터, 상기 제1셔터의 단부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셔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방위치시 상기 제1셔터 및 제2셔터는 절첩되고,
    상기 셔터의 차단위치시, 상기 제1셔터는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2셔터는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본체의 접속위치로 이동시 상기 차단기 본체와 연동하여 상기 셔터를 개방위치로 구동시키는 셔터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회로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구동장치는, 상기 크래들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동아암과, 일 단부는 상기 구동아암에 연결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셔터에 연결되는 구동링크와, 상기 차단기 본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구동아암을 회동시키는 구동아암회동부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아암회동부는, 서로 이격되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아암 및 제2아암, 상기 제1아암 및 제2아암을 연결하는 연결링크, 및 상기 차단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링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하로 이격되는 복수의 상부단자 및 하부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셔터는 상기 상부단자를 개폐하는 상부셔터 및 상기 하부단자를 개폐하는 하부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링크는 상기 하부셔터의 제1셔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1셔터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셔터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로차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하부셔터 및 상부셔터의 각 제1셔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스프로킷휠, 상기 각 스프로킷휠에 동시에 결합되는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로차단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에는 상기 제2셔터를 안내하는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셔터에는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롤러의 이동궤적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본체의 분리위치시 상기 셔터가 불시에 개방되는 것을 억제하는 록킹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로차단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은 상기 차단기 본체의 접속위치로 진입시 상기 제2아암보다 상기 차단기 본체와 먼저 접촉되게 배치되고,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제1아암의 회동을 억제하는 잠금위치와 상기 제1아암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위치를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록킹유닛이 상기 해제위치로 회동되게하는 록킹유닛해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
KR1020100000967A 2010-01-06 2010-01-06 회로차단기 KR101068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967A KR101068759B1 (ko) 2010-01-06 2010-01-06 회로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967A KR101068759B1 (ko) 2010-01-06 2010-01-06 회로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639A KR20110080639A (ko) 2011-07-13
KR101068759B1 true KR101068759B1 (ko) 2011-09-28

Family

ID=44919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967A KR101068759B1 (ko) 2010-01-06 2010-01-06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7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501B1 (ko) 2011-10-28 2013-0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
KR101852320B1 (ko) * 2018-01-05 2018-06-08 주식회사 대연 중전기 인출이 용이한 수배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799B1 (ko) * 2011-07-21 2013-03-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셔터 잠금방법
KR102389561B1 (ko) * 2020-05-21 2022-04-22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배전반의 셔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6109U (ko) 1979-05-17 1980-11-29
JPH0951606A (ja) * 1995-08-07 1997-02-18 Fuji Electric Co Ltd 配電盤用遮断器のシャッタ装置
JPH09161625A (ja) * 1995-12-11 1997-06-20 Terasaki Denki Sangyo Kk 引出型回路遮断器のシャッタ装置
KR100451372B1 (ko) 2002-04-10 2004-10-06 엘지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용 크래들의 셔터 구동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6109U (ko) 1979-05-17 1980-11-29
JPH0951606A (ja) * 1995-08-07 1997-02-18 Fuji Electric Co Ltd 配電盤用遮断器のシャッタ装置
JPH09161625A (ja) * 1995-12-11 1997-06-20 Terasaki Denki Sangyo Kk 引出型回路遮断器のシャッタ装置
KR100451372B1 (ko) 2002-04-10 2004-10-06 엘지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용 크래들의 셔터 구동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501B1 (ko) 2011-10-28 2013-0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
KR101852320B1 (ko) * 2018-01-05 2018-06-08 주식회사 대연 중전기 인출이 용이한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639A (ko)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8091B1 (en) Automatic discharging apparatus for closing spring in air circuit breaker and air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KR101068759B1 (ko) 회로차단기
JP5860112B2 (ja) 真空回路遮断器の安全シャッター
MX2014005736A (es) Masa elevadora tipo pantografo.
KR101010078B1 (ko)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및 이를 가진 차단기
CN103959583B (zh) 用于开关设备的联锁装置
KR101191571B1 (ko) 기중 차단기
WO2014106912A1 (ja) 真空遮断器
KR101759603B1 (ko)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제어단자 접속장치
KR20080002431U (ko) 기중차단기 및 그에 사용되는 링크
CN208656280U (zh) 一种小型高压柜活门机构
KR100357697B1 (ko) 폐쇄배전반의셔터장치
KR20170003662U (ko) 배전반의 핸들 인터록 장치
JP5137733B2 (ja) 引出形開閉器用シャッタ装置
CN104282507B (zh) 一种紧凑型节能电磁操作机构
CN202696027U (zh) 一种开关柜的活门装置
CN108695757B (zh) 一种小型高压柜活门机构
CN102882138A (zh) 高压开关柜活门机构
CN210129453U (zh) 一种连杆式电子机械开关结构
KR100860529B1 (ko) 투입스프링 자동 석방장치를 구비한 기중 차단기
CN110400709B (zh) 一种用于断路器与三工位开关的连锁装置
CN203039277U (zh) 一种中置开关柜的活门自锁机构
CN202549692U (zh) 高压开关设备用联锁装置
CN102306909B (zh) 金属封闭开关设备的活门自锁机构
CN216122251U (zh) 电动机起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