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7501B1 -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7501B1 KR101217501B1 KR1020110111582A KR20110111582A KR101217501B1 KR 101217501 B1 KR101217501 B1 KR 101217501B1 KR 1020110111582 A KR1020110111582 A KR 1020110111582A KR 20110111582 A KR20110111582 A KR 20110111582A KR 101217501 B1 KR101217501 B1 KR 1012175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utter
- cradle
- terminal
- circuit breaker
- operation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24—Shutters or guar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출형 회로 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에 있어서 차단기 본체를 인입 위치로부터 시험 위치 또는 분리 위치로의 이동시킬 때, 자동적으로 셔터 작동 바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인출형 회로 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서 크래들에 고정되는 힌지 축 지지부재; 힌지 축 지지되는 일 단 부를 가지고, 셔터 어셈블리에 접촉하여 상기 셔터 어셈블리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며, 크래들의 힌지 축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셔터 작동 바(SHUTTER OPERATING BAR); 셔터 작동 바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셔터 작동 바의 일 단 부에 접속되며, 힌지 축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힌지 축; 및 힌지 축에 지지되어, 셔터 작동 바에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출형 회로차단기(WITHDRAWABLE CIRCUIT BREAK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전압용 회로차단기는 고정형 회로차단기와 인출형 회로차단기가 있는 바, 고정형은 설치한 위치에서 이동이 곤란한 고정식 회로차단기이고 인출형 회로차단기는 전원 및 부하 측의 선로(회로)와 접속되는 주회로 단자를 갖는 크래들(cradle)로 불리는 외부 지지장치는 설치된 위치에서 위치가 고정되지만 개폐접점 및 개폐기구를 내장하는 차단기 본체는 상기 크래들에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인출형 회로차단기는 차단기 본체를 주전원으로부터 분리하여 차단기 본체를 시험한다든지 차단기 본체를 완전히 인출 위치로 분리하여 차단기 본체의 보수, 교체 등 유지 보수 작업에 편리한 특성을 가져서 근래에 고정형 보다 수요가 많아지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출형 회로차단기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인출형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차단기 본체의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20)의 주전원 단자인 제 2 단자(20b)가 크래들(도 4의 부호 C참조)의 주전원 단자인 제 1 단자(C2)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투입 위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20)의 주전원 단자인 제 2 단자(20b)가 크래들의 제 1 단자(C2)로부터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전원과 부하간 주전원 회로로부터는 분리되지만 차단기 본체의 제 2 제어 전원 단자(20a)와 크래들의 제 1 제어 전원 단자(C1)가 접속되어 제어 전원의 공급경로는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여 차단기 본체(20)의 시험이 가능한 시험 위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20)의 주전원 단자인 제 2 단자(20b)가 상기 크래들의 제 1 단자(C2)로부터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주전원 회로로부터도 분리되고 차단기 본체의 제 2 제어 전원 단자(20a)와 크래들의 제 1 제어 전원 단자(C1)가 분리되어 제어 전원의 공급경로도 분리(차단)되는 분리 위치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20)가 크래들로부터 유지보수를 위해 완전히 인출된 인출위치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부호 1은 회로차단기의 전면 조작 및 표시부를 지시하고, 부호 H1은 차단기 본체(20)를 상기 인입 내지 인출 위치로 수동 구동하기위한 조작핸들을 지시하며, 부호 PL은 차단기 본체(20)의 인입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을 지시한다.
이러한 인출형 고전압 회로차단기(이하 인출형 회로차단기로 약칭함)로서 인출형 기중 회로차단기(일명 기중 차단기)와 인출형 진공 회로차단기(일명 진공 차단기)가 발전, 변전, 배전 등 전력의 발전과 송배전 개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단독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여타 전력의 감시계기와 함께 배전반에 수납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인출형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안전 셔터(shutter)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안전 셔터 장치는 크래들의 주회로 측 상기 제 1 단자의 전방에 설치되어, 차단기 본체가 투입 위치로 인입될 때는 주회로 측 제 1 단자를 자동적으로 개방하여 차단기 본체와 크래들의 대응 단자들이 접속하도록 허용하고, 차단기 본체가 시험 위치 또는 인출 위치일 때 크래들의 주회로 측 제 1 단자를 자동적으로 차폐하여 감전, 지락 등 전력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안전 셔터 장치에 있어서 종래기술을 소개한다.
소개하는 종래기술은 본원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0-0096506호(발명의 명칭: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원용하였다.
종래기술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가 설치되는 인출형 회로차단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구분하여 차단기 본체(20)와 크래들(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7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크래들(도 4의 부호 C 참조)에 포함되는 단자 베이스(C20)는 외부의 전력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폭이 좁은 제 1 단자(C2)를 갖는다. 단자 베이스(C20)는 제 1 단자(C2)를 지지하며 제 1 단자(C2)가 고정 및 설치되는 기판(base)이 되는 수단이다. 제 1 단자(C2)는 R, S, T, N의 교류 4극(pole, 다른 표현으로 상, 즉 phase)의 극 별로 마련되며, 또한 4극용 4개가 각각 전력회로의 전원 측 접속용과 부하 측 접속용으로 각각 마련되어, 총 8개가 4개씩 단자 베이스(C20)의 상하 부에 마련된다. 제 1 단자(C2)는 전체적으로는 U자형이지만, 대응하는 제 2 단자(20b)에 접속되는 부분은 각각 부스바(busbar)형태 즉, 폭이 넓지 않고 긴 직사각 판의 형태를 가진다.
도 7 및 도 10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20)가 갖는 제 2 단자(20b)는 다수의 핑거(FINGER)형 단자의 조립체(일명 핑거 모듈)로 구성된다. 제 2 단자(20b)는, 2개의 핑거들이 제 1 단자(C2)의 각각의 상기 부스바형 단자 부를 사이에 끼워 접속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폭이 제 1 단자(C2)보다 넓다. 이러한 제 1 단자(C2)와 제 2 단자(20b)의 폭의 차이는 도 7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 도 7에 있어서 제 1 단자(C2)의 폭을 a라 하고 제 2 단자(20b)의 폭을 b라 했을 때, b가 a보다 큰 것을 볼 수 있다. 도 7과 도 9, 도 10과 도 1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20b)는, 크래들(C)의 제 1 단자(C2)에 접속되는 위치와 크래들(C)의 제 1 단자(C2)로부터 분리하여 인출되는 위치를 가진다.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는 크게 구분하여 도 7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셔터 어셈블리(SHUTTER ASSEMBLY)(40, 60)와, 셔터 작동 바(SHUTTER OPERATING BAR)(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셔터 어셈블리(40, 60)는 셔터 판(40)과 셔터 가압 핀(SHUTTER PUSH PIN)(60)을 포함한다.
셔터 어셈블리(40, 60)는 차단기 본체(20)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크래들(C)의 제 1 단자(C2)를 차폐하는 제 1 위치(도 7에 도시된 위치 참조)와 크래들(C)의 제 1 단자(C2)의 관통을 허용하여 크래들(C)의 제 1 단자(C2)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제 2 위치(도 9에 도시된 위치 참조)로 수평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셔터 어셈블리(40, 60)는 셔터 판(40)을 포함하고, 셔터 판(40)은, 함께 전후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서로 접속되는 제 1 셔터 판(40a)과 제 2 셔터 판(40b)을 포함한다. 제 1 셔터 판(40a)과 제 2 셔터 판(40b)이 함께 상기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전후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셔터 판(40)은, 도 5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통 공부(40a1, 40b1) 및 작동 바 접속 구 부(40a4, 40b3)를 포함한다.
단자 통 공부(40a1, 40b1)는 도 9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셔터 판(40) 중에서 크래들(C)의 제 1 단자(C2)가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부분이다.
또한 도 9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 바 접속 구 부(40a4, 40b3)는 셔터 작동 바(30)의 관통을 허용하면서 셔터 작동 바(30)와 접촉하여 셔터 작동 바(30)로부터 수평 구동력을 받는다. 즉,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리 위치로부터 시험 위치 및 인입(투입) 위치로 차단기 본체(20)가 전진함에 따라서 차단기 본체(20)에 의해 셔터 가압 핀(60)을 통해 가압된 셔터 판(40)이 크래들(C)의 제 1 단자(C2) 쪽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이동하는 셔터 판(40)의 작동 바 접속 구 부(40a4, 40b3)를 통해 자유단 부 측이 가압되는 셔터 작동 바(30)는 힌지 축(31)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셔터 작동 바(30)에 의해서 작동 바 접속 구 부(40a4, 40b3)가 접촉 및 수평방향으로 가압되는 셔터 판(40)은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도면상 좌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 1 셔터 판(40a)과 제 2 셔터 판(40b)은 도 5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셔터 판(40a)에 형성되는 실시예상 좌측 상하 부의 2개와 우측 하부의 1개로서 총 3개의 제 1 장공 부(40a2)와, 제 2 셔터 판(40b) 중 제 1 장공 부(40a2)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나사구멍과, 나사(S) 및 나사 풀림 방지용 와셔(washer)(W)에 의해서 서로 맞대어진 상태(겹쳐진 상태)로 결합된다.
셔터 가압 핀(60)은 도 7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20) 측으로 연장하게 셔터 어셈블리(40, 60)에 고정 설치된다. 특히, 셔터 가압 핀(60)은 도 5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4개가 셔터 판(40)의 상하 부에 각각 한 쌍씩 서로 일정거리 이격하여 마련된다. 각각의 셔터 가압 핀(60)은 제 1 셔터 판(40a)에 형성된 4개의 제 2 장공부(40a3)와 제 2 셔터 판(40b)에 마련되는 나사구멍(40b2)을 통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셔터 가압 핀(60)의 하단부에 나사 부가 형성되는 실시 예를 제안하였다. 셔터 가압 핀(60)은, 인입 위치 또는 인출 위치 측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단기 본체(20)로부터의 전후방향 구동력을 셔터 어셈블리 (40, 60)에, 특히 셔터 판(40)에 전달하는 수단이다.
셔터 작동 바(30)는 상기 셔터 어셈블리(40, 60)에 접촉하여 셔터 어셈블리(40, 60)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셔터 작동 바(30)는 크래들(C)의 측 판(C10)에 힌지 축 지지되는 일 단 부를 가지고, 셔터 작동 바(30)의 타 단 부인 자유단 부(30a)는 셔터 판(40)의 작동 바 접속 구 부(40a4, 40b3)를 통해 연장한다. 셔터 작동 바(30)는 크래들(C)의 힌지 축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즉,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할 수 있는 크래들(C)의 측판(C10)에는 셔터 작동 바(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축(31)과 힌지 축(31)을 지지하는 힌지 축 지지부재(32)가 마련되며, 셔터 작동 바(30)는 그의 일 단 부가 힌지 축(31)과 힌지 축 지지부재(3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크래들(C)의 힌지 축 지지점에 해당하는 힌지 축(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셔터 작동 바(30)는 기계적 강도를 위해서 금속 재 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 축(31)과 힌지 축 지지 부재(32)는 크래들(C)의 측 판(C10)을 기준으로 외 측에 위치하고 셔터 판(40) 및 작동 바 접속 구 부(40a4, 40b3)는 측 판(C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셔터 작동 바(30)가 힌지 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크래들(C)의 측 판(C10)에는 셔터 작동 바(30)의 관통과 회동을 허용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 부(C10a)를 가진다.
셔터 어셈블리(40, 60)로부터의 하중에 대해서 탄성력을 가져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셔터 작동 바(30)는 구불구불한 형상, 더욱 상세하게 복수의 단 차를 갖고 비스듬히 나아가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셔터 작동 바(30)는, 셔터 작동 바(30)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크래들(C)의 측 판(C10) 측으로 연장하게 형성된 회동 안내부(30b)를 구비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동 안내부(30b)의 회동을 안내하도록 크래들(C)의 측 판(C10)은 회동 안내부(30b)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회동 안내부(30b)가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안내구부(C10a)를 구비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는 셔터 어셈블리(40, 60)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안내기구(50, 51)를 더 포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안내기구(50, 51)는, 지지 축(50)과 안내 부재(51)를 포함한다.
지지 축(50)은 도 6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셔터 어셈블리(40, 60)보다 상위(上位)의 크래들(C)에, 더욱 상세히 크래들(C)의 단자 베이스(C20)에 고정 설치된다. 지지 축(50)은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긴 봉 형태의 축으로서 하단부는 크래들(C)의 단자 베이스(C20)에 고정 설치되고 자유단 부인 상단부는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20) 쪽을 향하게 배치된다.
안내 부재(51)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축(50)에 축수되는 일 단 부와 셔터 어셈블리(40, 60), 특히 제 2 셔터 판(40b)에 접속되는 타 단 부를 가지는 설정된 강도를 갖는 편(piece)으로 구성된다. 지지 축(50)에 축수되도록 안내 부재(51)는 상기 일 단 부에 U자형 홈 부로 형성되는 축수 부(51a)를 가지며, 타 단 부는 리벳(rivet), 핀(pin) 과 같은 연결 및 회동 지지 수단에 의해 제 2 셔터 판(40b)에 연결되고 지지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 부재(51)는 셔터 어셈블리(40, 60)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서 지지 축(50)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셔터 어셈블리(40, 60)의 수평 이동에 따라서 지지 축(5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또한, 셔터 어셈블리(40, 60)의 수평 이동시, 안내 부재(51)가 지지 축(50)에 의해 상승이 제한됨에 따라서 셔터 어셈블리가 상승하지 못하게 제한되면서 셔터 어셈블리(40, 60)가 연속적으로 부드럽게 수평이동 안내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의 동작을 도 1내지 도 4와, 도 7 내지 도 9 및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일반적 인출형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투입(인입) 위치, 시험위치, 분리위치, 인출위치에서 회로차단기의 차단기 본체와, 차단기 본체측의 제 2 제어 전원단자 및 제 2 단자와, 크래들의 제 1 단자 및 제 1 제어 전원단자의 접속 또는 분리 상태를 간략화하여 보여주는 동작 상태설명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10 내지 도 1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의 동작 상태를 특히 셔터 작동 바의 동작 상태를 중점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3,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 위치에서 도 2,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험위치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조작핸들(H1)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차단기 본체(20)를 도 3에 도시된 분리 위치로부터 인입 방향으로 구동하면, 차단기 본체(20)의 후면 즉, 차단기 본체(20) 중 도 3에서 전면 조작 및 표시부(1)의 반대 측면 중 도 7에서 양 제 2 단자(20b) 사이의 후면 부가 셔터 가압 핀(60)을 가압한다. 따라서 셔터 가압 핀(60)을 통해 전달된 동력에 의해서, 셔터 어셈블리(40, 60)에 있어서 셔터 판(40)은 후방(도 10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즉 도 7에서 제 1 단자(C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셔터 판(40)의 후방 이동량은 실시 예에 따라서 약 4.5 밀리미터(mm) 정도이다. 이때 셔터 작동 바(30)의 반 시계방향 회동 및 그에 따른 셔터 판(40)의 수평방향 즉,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량은 미소하여 무시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인출형 회로차단기는 도 2,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험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차단기 본체(20)의 주전원 단자인 제 2 단자(20b)가 크래들(C)의 제 1 단자(C2)로부터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전원과 부하 간 주전원 회로로부터는 분리되지만 차단기 본체(20)의 제 2 제어전원 단자(20a)와 크래들(C)의 제 1 제어 전원 단자(C1)가 접속되어 제어 전원의 공급경로는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여 차단기 본체(20)의 인위적인 차단동작 시험과 같은 시험이 가능한 상태 즉 시험 위치가 된다.
다음, 도 2,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험 위치에서 도 1,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입 위치(투입 위치 또는 일명 접속 위치)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조작핸들(H1)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차단기 본체(20)를 도 2에 도시된 시험 위치로부터 인입 방향으로 구동하면, 차단기 본체(20)의 후면 즉, 차단기 본체(20) 중 도 2에서 전면 조작 및 표시부(1)의 반대 측면 중 도 8에서 양 제 2 단자(20b) 사이의 후면 부가 셔터 가압 핀(60)을 가압한다. 따라서 셔터 가압 핀(60)을 통해 전달된 동력에 의해서, 셔터 어셈블리(40, 60)에 있어서 셔터 판(40)은 후방(도 10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즉 도 7에서 제 1 단자(C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셔터 판(40)의 후방 이동량은 실시 예에 따라서 약 45.5 밀리미터(mm) 정도이다. 이때 셔터 작동 바(30)는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 시계방향 회동하며, 그에 따라 셔터 작동 바(30)는 셔터 판(40)을 수평방향 즉, 도 11의 좌측 방향 화살표와 같이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서 도 5를 참조할 수 있는 셔터 판(40)의 단자 통 공부(40a1, 40b1)가 개방되어 크래들(C)의 제 1 단자(C2)가 단자 통 공부(40a1, 40b1)를 관통할 수 있게 허용된다. 이때 셔터 판(40)이 수평방향(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변위는 예컨대 18밀리미터(mm)가 된다. 이에 따라 인출형 회로차단기는 도 1,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입 위치에 위치한다. 즉, 셔터 판(40)이 후방 이동과 상기 관통 허용에 따라서 도 9 및 도 12와 같이 크래들(C)의 제 1 단자(C2)가 셔터 판(40)의 단자 통 공부(40a1, 40b1)를 관통한 상태가 되며, 계속하여 크래들(C)의 제 1 단자(C2)측으로 이동하는 차단기 본체(20)에 의해서, 차단기 본체(20)의 주전원 단자인 제 2 단자(20b)가 크래들(C)의 제 1 단자(C2)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과 부하간 주전원 회로가 연결된다. 이때, 차단기 본체(20)의 제 2 제어전원 단자(20a)와 크래들(C)의 제 1 제어전원 단자(C1)도 접속되어 제어전원의 공급경로가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여 차단기 본체(20)가 전원 및 부하 간 전력회로를 개폐할 수 있는 상태 즉 인입(접속) 위치가 된다.
상기 인입 위치로부터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로의 이동을 상술한 동작과 방향만 반대로 수행되며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인출형 회로 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는 셔터 작동 바(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시하고 있지 않아 차단기 본체(20)를 상기 인입 위치로부터 시험 위치 및 분리 위치로의 이동시킬 때, 자동적으로 셔터 작동 바(30)가 원위치로 복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출형 회로 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에 있어서 차단기 본체를 인입 위치로부터 시험 위치 또는 분리 위치로의 이동시킬 때, 자동적으로 셔터 작동 바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전력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를 갖는 크래들(CRADLE)과, 상기 크래들의 제 1 단자에 접속되는 위치와 상기 크래들의 제 1 단자로부터 분리하여 인출되는 위치로 이동가능한 제 2 단자를 갖는 차단기 본체를 포함하는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으로서, 상기 차단기 본체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크래들의 제 1 단자를 차폐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크래들의 제 1 단자의 관통을 허용하여 상기 크래들의 제 1 단자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제 2 위치로 수평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셔터 어셈블리(SHUTTER ASSEMBLY)를 포함하는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에 고정되는 힌지 축 지지부재;
힌지 축 지지되는 일 단 부를 가지고, 상기 셔터 어셈블리에 접촉하여 상기 셔터 어셈블리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크래들의 힌지 축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셔터 작동 바(SHUTTER OPERATING BAR);
상기 셔터 작동 바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셔터 작동 바의 일 단 부에 접속되며, 상기 힌지 축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힌지 축; 및
상기 힌지 축에 지지되어, 상기 셔터 작동 바에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상에 따라서 상기 복귀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양상에 따라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중심부가 상기 힌지 축에 지지 되도록 감기며, 일 단 부가 상기 셔터 작동 바의 외 측 판 면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고, 타 단 부는 상기 힌지 축 지지부재에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는, 셔터 작동 바가 지지되는 힌지 축에 지지되어, 셔터 작동 바에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복귀 스프링을 더 포함하므로, 차단기 본체가 인입 위치로부터 시험위치 또는 인출위치로 후방이동하면 자동적으로 셔터 작동 바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구성되므로,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에 대비해서 스프링의 변형이나 분실의 위험성이 감소될 수 있고 장기간 차단기 본체를 인입 위치 상태로 유지한 후 인출 위치로 인출할 때도 스프링의 영구변형에 의해 차단기 본체의 인출이 불가능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중심부가 상기 힌지 축에 지지 되도록 감기며, 일 단 부가 상기 셔터 작동 바의 외 측 판 면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고, 타 단 부는 상기 힌지 축 지지부재에 지지 되므로, 압축 스프링을 셔터 작동 바와 크래들의 측 판 사이에 설치하는 것에 대비해서 비틀림 스프링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인입 위치에서도 탄성 한계 이상으로 가압되지 않아 장기간 가압된 후에도 용이하게 탄성 복원력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출형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인입(투입) 위치일 때 회로차단기의 차단기 본체와, 차단기 본체 측의 제 2 제어 전원 단자 및 제 2 단자와, 크래들의 제 1 단자 및 제 1 제어 전원 단자의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도이고,
도 2는 인출형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시험위치일 때 회로차단기의 차단기 본체와, 차단기 본체 측의 제 2 제어 전원 단자 및 제 2 단자와, 크래들의 제 1 단자 및 제 1 제어 전원 단자의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 도이며,
도 3은 인출형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분리위치일 때 회로차단기의 차단기 본체와, 차단기 본체 측의 제 2 제어 전원 단자 및 제 2 단자와, 크래들의 제 1 단자 및 제 1 제어 전원 단자의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 도이고,
도 4는 인출형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인출위치일 때 회로차단기의 차단기본체와, 차단기 본체 측의 제 2 제어 전원 단자 및 제 2 단자와, 크래들의 제 1 단자 및 제 1 제어 전원 단자의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 도이며,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중 셔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 도이고,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에 있어서 크래들의 단자 베이스와 셔터 어셈블리의 조립체를 별도로 보여주는 단자 베이스와 셔터 어셈블리의 조립체 사시 도이며,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가 분리 위치(DISCONNECTED POSITION)일 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가 시험 위치(TEST POSITION)일 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가 인입 위치(CONNECTED POSITION)일 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가 분리 위치(DISCONNECTED POSITION)일 때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가 시험 위치(TEST POSITION)일 때를 보여주는 사시 도이며,
도 1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가 인입 위치(CONNECTED POSITION)일 때를 보여주는 사시 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 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복귀스프링을 보여주는 사시 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조립 상태 사시 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차단기 본체가 시험 위치 또는 인출 위치일 때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차단기 본체가 인입 위치일 때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인출형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시험위치일 때 회로차단기의 차단기 본체와, 차단기 본체 측의 제 2 제어 전원 단자 및 제 2 단자와, 크래들의 제 1 단자 및 제 1 제어 전원 단자의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 도이며,
도 3은 인출형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분리위치일 때 회로차단기의 차단기 본체와, 차단기 본체 측의 제 2 제어 전원 단자 및 제 2 단자와, 크래들의 제 1 단자 및 제 1 제어 전원 단자의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 도이고,
도 4는 인출형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인출위치일 때 회로차단기의 차단기본체와, 차단기 본체 측의 제 2 제어 전원 단자 및 제 2 단자와, 크래들의 제 1 단자 및 제 1 제어 전원 단자의 상태를 보여주는 동작 상태 도이며,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중 셔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 도이고,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에 있어서 크래들의 단자 베이스와 셔터 어셈블리의 조립체를 별도로 보여주는 단자 베이스와 셔터 어셈블리의 조립체 사시 도이며,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가 분리 위치(DISCONNECTED POSITION)일 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가 시험 위치(TEST POSITION)일 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가 인입 위치(CONNECTED POSITION)일 때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가 분리 위치(DISCONNECTED POSITION)일 때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가 시험 위치(TEST POSITION)일 때를 보여주는 사시 도이며,
도 1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가 인입 위치(CONNECTED POSITION)일 때를 보여주는 사시 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 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복귀스프링을 보여주는 사시 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조립 상태 사시 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차단기 본체가 시험 위치 또는 인출 위치일 때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출형 회로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차단기 본체가 인입 위치일 때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의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서 좀 더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인출형 회로 차단기 및 그에 부설되는 안전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므로, 인출형 회로 차단기 및 안전셔터장치에 대해서는 앞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문단에서 기술한 기술 내용 및 도면을 참고로 활용하기로 하고, 본 발명에 대한 기술은 주로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에 촛점을 맞춰 도면을 참조하고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출형 회로 차단기에 부설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출형 회로 차단기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설명란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의 전력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C2)를 갖는 크래들(C)과, 크래들(C)의 제 1 단자(C2)에 접속되는 위치와 크래들(C)의 제 1 단자(C2)로부터 분리하여 인출되는 위치로 이동가능한 제 2 단자(20b)를 갖는 차단기 본체(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인출형 회로 차단기의 크래들(C)과 차단기 본체(20)의 더욱 상세한 구성과 작용 설명은 전술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설명란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인출형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안전셔터장치는 수평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할 수 있는 셔터 어셈블리(40, 60)를 포함한다.
셔터 어셈블리(40, 60)는 차단기 본체(20)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크래들(C)의 제 1 단자(C2)를 차폐하는 제 1 위치와 크래들(C)의 제 1 단자(C2)의 관통을 허용하여 크래 들의 제 1 단자(C2)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제 2 위치로 수평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 또는 도 16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서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는 힌지 축 지지부재(32), 셔터 작동 바(30), 힌지 축(31) 및 복귀 스프링(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6 또는 도 17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또한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 축 지지부재(32)는 크래들(C)에 고정, 더욱 상세히 크래들(C)의 측 판(C10)에 고정된다.
도 1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 축 지지부재(32)는 한 쌍의 상하 판 부(32a)와, 한 쌍의 상하 판 부(32a)를 일 측에서 연결하는 측 판 부(32b)를 포함하는 누운 "U"자형의 부재로서, 각각의 상하 판 부(32a)의 일 측에는 힌지 축(31)의 관통을 허용하는 축 홀(shaft hole)(32a1)이 천공되어 있다. 힌지 축 지지부재(32)를 크래들(C)의 측 판(C10)에 고정하기 위해서, 측 판 부(32b)는 리벳과 같은 고정 핀(33)의 관통을 허용하는 통공(32b1)을 구비한다. 또한 힌지 축 지지부재(32)를 회동이 방지되도록 크래들(C)의 측 판(C10)에 더욱 확고히 고정하기 위해서, 측 판 부(32b)는 크래들(C)의 측 판(C10)에 삽입될 수 있는 회동 방지 삽입 판 부(32b2)를 바람직하게 더 포함하며, 크래들(C)의 측 판(C10)은 회동 방지 삽입 판 부(32b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게 수직 슬릿(slit) 부(미 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회동 방지 삽입 판 부(32b2)는 측 판 부(32b)의 판 면으로부터 크래들(C)의 측 판(C10) 측으로 절곡된 판 부로 구성된다.
셔터 작동 바(30)는 상기 셔터 어셈블리(40, 60)에 접촉하여 셔터 어셈블리(40, 60)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도 10 또는 도 13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셔터 작동 바(30)는 크래들(C)의 측 판(C10)에 힌지 축 지지되는 일 단 부(30c)를 가지고, 셔터 작동 바(30)의 타 단 부인 자유단 부(30a)는 셔터 판(40)의 작동 바 접속 구 부(40a4, 40b3)를 통해 연장한다. 여기서, 일 단 부(30c)는 힌지 축(31)의 관통을 허용하는 축 홀(shaft hole)(30c1)을 가진다.
셔터 작동 바(30)는 힌지 축(31)을 지점으로하여 힌지 축(3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기계적 강도를 위해서 금속 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 축(31)과 힌지 축 지지 부재(32)는 크래들(C)의 측 판(C10)을 기준으로 외 측에 위치하고 셔터 판(40) 및 작동 바 접속 구 부(40a4, 40b3)는 측 판(C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셔터 작동 바(30)가 힌지 축(31)을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크래들(C)의 측 판(C10)에는 셔터 작동 바(30)의 관통과 회동을 허용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 부(C10a)를 가진다.
셔터 어셈블리(40, 60)로부터의 하중에 대해서 탄성력을 가져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셔터 작동 바(30)는 구불구불한 형상, 더욱 상세하게 복수의 단 차를 갖고 비스듬히 나아가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셔터 작동 바(30)는, 셔터 작동 바(30)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크래들(C)의 측 판(C10) 측으로 연장하게 형성된 회동 안내부(30b)를 구비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동 안내부(30b)의 회동을 안내하도록 크래들(C)의 측 판(C10)은 회동 안내부(30b)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회동 안내부(30b)가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안내 구 부(C10a)를 구비한다.
도 13 또는 도 15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셔터 작동 바 (3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힌지 축(31)은 셔터 작동 바(30)의 일 단 부(30c)에 접속된다. 즉, 힌지 축(31)은, 복귀 스프링(34)의 중심부(34a)와, 힌지 축 지지부재(32) 중 한 쌍의 상하 판 부(32a)의 축 홀(32a1)과, 셔터 작동 바 (30) 중 일 단 부(30c)의 축 홀(30c1)을 모두 관통하게 설치된다.
또한, 힌지 축(31)은 크래들(C)의 측 판(C10)에 고정되는 힌지 축 지지부재(32)에 의해 지지되어 위치가 유지된다.
힌지 축(31)은 머리부가 있는 리벳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복귀 스프링(34)의 중심부(34a)와, 힌지 축 지지부재(32) 중 한 쌍의 측 판 부(32a)의 축 홀(32a1)과, 셔터 작동 바 (30) 중 일 단 부(30c)의 축 홀(30c1)을 모두 관통하게 힌지 축(31)이 설치된 후, 리벳의 다리 부 끝을 압착하는 처리에 의해서 힌지 축 지지부재(32)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34)은 힌지 축(31)에 지지되어, 셔터 작동 바(30)에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초기 위치는 차단기 본체(20)가 시험 위치 또는 인출 위치 일 때 즉, 차단기 본체(20)에 의한 가압력이 없을 때 셔터 작동 바(30)가 위치하는 위치(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상에 따라서,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34)은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구성된다.
복귀 스프링(34)을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에 대비해서 스프링의 변형이나 분실의 위험성이 감소될 수 있고 장기간 차단기 본체를 인입 위치 상태로 유지한 후 인출 위치로 인출할 때도 스프링의 영구변형에 의해 차단기 본체의 인출이 불가능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3 내지 도 15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복귀 스프링(34)을 구성하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힌지 축(31)에 지지 되도록 감기는 중심부(34a)와, 셔터 작동 바(30)의 외 측 판 면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중심부(34a)로부터 연장되는 일 단 부(34b)와, 힌지 축 지지부재(32)의 측 판 부(32b)에 지지되는 타 단 부(34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지한 실시 예에 따른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조립 방법을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작동 바(30) 중 일 단 부(30c)의 축 홀(30c1)과 연통하도록 복귀 스프링(34)의 중심부(34a)를 정렬하고, 이때 복귀 스프링(34)의 일 단 부(34b)는 셔터 작동 바(30)의 외 측 판 면을 마주 보게 위치시킨다.
다음, 정렬된 셔터 작동 바(30) 중 일 단 부(30c)의 축 홀(30c1)과 복귀 스프링(34)의 중심부(34a)의 외 측에 힌지 축 지지부재(32) 중 상하 판 부(32a)의 축 홀(32a1)이 위치한 상태로 서로 연통하게 배치한다.
다음, 서로 연통하도록 정렬된 셔터 작동 바(30) 중 일 단 부(30c)의 축 홀(30c1)과 복귀 스프링(34)의 중심부(34a) 및 힌지 축 지지부재(32) 중 상하 판 부(32a)의 축 홀(32a1)을 모두 관통하도록, 머리부를 가진 리벳으로 구성된 힌지 축(31)을 삽입한다.
다음, 힌지 축(31)의 다리 부 끝을 압착하여 힌지 축 지지부재(32)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게 처리하면,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는, 힌지 축 지지부재(32) 중 측 판 부(32b)의 통 공(32b1)을 통해서 예컨대 머리 부를 갖는 리벳으로 구성되는 고정 핀(33)을 삽입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조립된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를 파지하고 크래들(C)의 측 판(C10) 중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위치시키고 크래들(C)의 측 판(C10) 중 미리 결정된 위치에 형성한 수직 슬릿(slit) 부(미 도시)에 회동 방지 삽입 판 부(32b2)를 삽입한다.
다음, 고정 핀(33)을 크래들(C)의 측 판(C10) 중 미리 결정된 위치에 형성된 대응 설치 구(미 도시)에 삽입하고, 크래들(C)의 측 판(C10)을 관통하여 연장된 고정 핀(33)의 단 부를 압착하여 이탈이 방지되게 처리함으로써 조립된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를 크래들(C)의 측 판(C10)에 설치하는 것도 완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바람지한 실시 예에 따른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작용을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20)가 시험위치 또는 인출위치의 초기상태로부터 도 17의 인입 위치로 이동할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한다.
차단기 본체(20)가 인입 위치로 진행하면서 셔터 작동 바(30)를 가압함에 따라서 셔터 작동 바(30)는 크래들(C)의 측 판(C10)에 고정된 힌지 축(31)과 힌지 축 지지부재(32)를 지점으로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복귀 스프링(34)은 일 단 부(34b)가 셔터 작동 바(30)의 외 측 판 면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에너지를 축세(charging)한 상태가 된다.
다음, 도 17의 인입 위치로부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20)가 시험위치 또는 인출위치의 초기상태로 이동할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한다.
차단기 본체(20)가 인출 위치 또는 시험 위치(상태)로 진행하면서 셔터 작동 바(30)를 해방함에 따라서 복귀 스프링(34)은 일 단 부(34b)를 누르던 셔터 작동 바(30)의 외 측 판 면에 의한 가 압력이 없어지고 따라서 복귀 스프링(34)은 축세한 탄성 에너지를 방세(discharging) 한다.
따라서 셔터 작동 바(30)는 방세되는 복귀 스프링(34)의 탄성 에너지에 의해서 크래들(C)의 측 판(C10)에 고정된 힌지 축(31)과 힌지 축 지지부재(32)를 지점으로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는, 셔터 작동 바(30)가 지지되는 힌지 축(31)에 지지되어, 셔터 작동 바(30)에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복귀 스프링(34)을 더 포함하므로, 차단기 본체(20)가 인입 위치로부터 시험위치 또는 인출위치로 후방이동하면 자동적으로 셔터 작동 바(30)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에 있어서, 복귀 스프링(34)은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구성되므로,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에 대비해서 스프링의 변형이나 분실의 위험성이 감소될 수 있고 장기간 차단기 본체(20)를 인입 위치 상태로 유지한 후 인출 위치로 인출할 때도 스프링의 영구변형에 의해 차단기 본체(20)의 인출이 불가능해 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중심부(34a)가 힌지 축(31)에 지지 되도록 감기며, 일 단 부(34b)가 셔터 작동 바(30)의 외 측 판 면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중심부(34a)로부터 연장되고, 타 단 부(34c)는 힌지 축 지지부재(32)에 지지 되므로, 압축 스프링을 셔터 작동 바(30)와 크래들(C)의 측 판(C10) 사이에 설치하는 것에 대비해서 비틀림 스프링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인입 위치에서도 탄성 한계 이상으로 가압되지 않아 장기간 가압된 후에도 용이하게 탄성 복원력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0: 차단기 본체 30: 셔터 작동 바
31: 힌지 축 32: 힌지 축 지지부재
34: 복귀 스프링
40: 셔터 판 40a: 제 1 셔터 판
40b: 제 2 셔터 판 40a1, 40b1: 단자 통 공 부
40a4. 40b3: 작동 바 접속 구 부 50: 지지 축
51: 안내 부재 60: 셔터 가압 핀
31: 힌지 축 32: 힌지 축 지지부재
34: 복귀 스프링
40: 셔터 판 40a: 제 1 셔터 판
40b: 제 2 셔터 판 40a1, 40b1: 단자 통 공 부
40a4. 40b3: 작동 바 접속 구 부 50: 지지 축
51: 안내 부재 60: 셔터 가압 핀
Claims (6)
- 외부의 전력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단자를 갖는 크래들(CRADLE)과, 상기 크래들의 제 1 단자에 접속되는 위치와 상기 크래들의 제 1 단자로부터 분리하여 인출되는 위치로 이동가능한 제 2 단자를 갖는 차단기 본체를 포함하는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으로서, 상기 차단기 본체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크래들의 제 1 단자를 차폐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크래들의 제 1 단자의 관통을 허용하여 상기 크래들의 제 1 단자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제 2 위치로 수평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셔터 어셈블리(SHUTTER ASSEMBLY)를 포함하는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에 고정되는 힌지 축 지지부재;
힌지 축 지지되는 일 단 부를 가지고, 상기 셔터 어셈블리에 접촉하여 상기 셔터 어셈블리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크래들의 힌지 축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셔터 작동 바(SHUTTER OPERATING BAR);
상기 셔터 작동 바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셔터 작동 바의 일 단 부에 접속되며, 상기 힌지 축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힌지 축; 및
상기 힌지 축에 지지되어, 상기 셔터 작동 바에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부과하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중심부가 상기 힌지 축에 지지 되도록 감기며,
일 단 부가 상기 셔터 작동 바의 외 측 판 면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고,
타 단 부는 상기 힌지 축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축 지지부재는,
한 쌍의 상하 판 부;
상기 한 쌍의 상하 판 부를 일 측에서 연결하는 측 판 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상하 판 부의 일 측에는 상기 힌지 축의 관통을 허용하는 축 홀(shaft hole)이 마련되며,
상기 힌지 축 지지부재를 상기 크래들의 측 판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측 판 부는 고정 핀의 관통을 허용하는 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축 지지부재를 회동이 방지되도록 상기 크래들의 측 판에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측 판 부는 상기 크래들의 측 판에 삽입될 수 있는 회동 방지 삽입 판 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방지 삽입 판 부는 상기 측 판 부의 판 면으로부터 상기 크래들의 측 판 측으로 절곡된 판 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1582A KR101217501B1 (ko) | 2011-10-28 | 2011-10-28 |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1582A KR101217501B1 (ko) | 2011-10-28 | 2011-10-28 |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17501B1 true KR101217501B1 (ko) | 2013-01-02 |
Family
ID=4784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1582A KR101217501B1 (ko) | 2011-10-28 | 2011-10-28 |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750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74628A (ja) * | 1995-09-05 | 1997-03-18 | Meidensha Corp | 開閉装置 |
KR0136927Y1 (ko) * | 1994-09-03 | 1999-03-20 | 전성원 |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 |
KR100451372B1 (ko) | 2002-04-10 | 2004-10-06 | 엘지산전 주식회사 | 진공차단기용 크래들의 셔터 구동 장치 |
KR101068759B1 (ko) | 2010-01-06 | 2011-09-2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회로차단기 |
-
2011
- 2011-10-28 KR KR1020110111582A patent/KR1012175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6927Y1 (ko) * | 1994-09-03 | 1999-03-20 | 전성원 | 차량용 보조매트 고정구 |
JPH0974628A (ja) * | 1995-09-05 | 1997-03-18 | Meidensha Corp | 開閉装置 |
KR100451372B1 (ko) | 2002-04-10 | 2004-10-06 | 엘지산전 주식회사 | 진공차단기용 크래들의 셔터 구동 장치 |
KR101068759B1 (ko) | 2010-01-06 | 2011-09-2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회로차단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33386B2 (en) | Cable management device and server using same | |
EP2267852A2 (en) | Device for preventing withdrawing and inserting of a circuit breaker | |
WO2019131170A1 (ja) | 電気部品用ソケット | |
KR101010078B1 (ko) |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및 이를 가진 차단기 | |
EP3734773A1 (en) | Electrical component socket | |
KR101106854B1 (ko) | 인출형 회로차단기의 안전셔터장치 | |
KR101217501B1 (ko) | 인출형 회로 차단기용 안전셔터장치의 셔터 작동 바 어셈블리 | |
CN202050171U (zh) | 一种低压开关柜及低压开关柜柜体 | |
KR101492556B1 (ko) |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 |
US9711954B2 (en) | Snap-in shutter system for rack out circuit breakers | |
KR101759603B1 (ko) | 인출형 기중차단기의 제어단자 접속장치 | |
KR200474863Y1 (ko) | 전기 기구용 현수 암, 수술실용 전기 장비 | |
US9742164B2 (en) | Secondary disconnect assembly for a switching device | |
KR101037716B1 (ko) | 설치위치조정이 가능한 특고압 전선로 | |
EP3734774B1 (en) | Opening/closing mechanism of opening/closing body | |
CN103456571A (zh) | 断路器 | |
WO2020001958A1 (de) | Auszugsführung für relativ zu einem korpus eines möbels oder haushaltsgerätes bewegbare schubelemente und möbel oder haushaltsgerät | |
KR101415776B1 (ko) | 회로차단기 | |
US20170207610A1 (en) | Assembly for a withdrawable switching device and related switching device | |
KR20100079919A (ko) | 탄성가압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 |
CN110312399B (zh) | 用于模块化设备的枢转助力装置及不间断电源 | |
CN206293809U (zh) | 一种低压抽屉开关柜推进机构及低压抽屉开关柜 | |
CN220627724U (zh) | 一种二次回路结构及断路器 | |
JP2011050173A (ja) | 引出形電気機器の断路機構 | |
CN221150738U (zh) | 断路器插拔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