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919A - 탄성가압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 Google Patents

탄성가압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919A
KR20100079919A KR1020080138516A KR20080138516A KR20100079919A KR 20100079919 A KR20100079919 A KR 20100079919A KR 1020080138516 A KR1020080138516 A KR 1020080138516A KR 20080138516 A KR20080138516 A KR 20080138516A KR 20100079919 A KR20100079919 A KR 20100079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elastic
unit
rotate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5276B1 (ko
Inventor
박기억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8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5276B1/ko
Priority to US12/633,827 priority patent/US8158898B2/en
Priority to ES09178671.5T priority patent/ES2527127T3/es
Priority to EP09178671.5A priority patent/EP2204826B1/en
Priority to MYPI20095464A priority patent/MY146927A/en
Priority to CN2009102657445A priority patent/CN101770908B/zh
Publication of KR20100079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4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009Interconnected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07Mounting or assembl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circuit breaker
    • H01H71/0235Contacts and the arc extinguishing space inside individual separate cases, which are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of the circuit breaker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가압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는, 복수의 고정접점과, 각 고정접점에 접촉되는 투입위치 및 이격되는 차단위치 또는 트립위치간을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접점과, 가동접점에 동시에 연결되게 배치되는 로테이트핀과, 로테이트핀에 연결되어 각 가동접점이 동시에 회동되게 하는 기구부와, 로테이트핀이 투입위치로 이동되게 로테이트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부품의 변형을 방지하여 기구부의 동작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성가압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ELASTIC PRESSING UNIT AND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성가압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변형에 기인한 접점의 접촉 불량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탄성가압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배전반 등에 설치되어 무부하 상태에서는 부하측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개폐장치의 역할을 하고, 부하 사용중에는 부하 전로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부하 전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흐를 경우 전로의 전선 및 부하 측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원 측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차단기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극차단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로테이트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는, 각 상(phase)의 전류를 통제하고 아크(arc) 압의 이동경로를 이루는 복수의 단극차단유닛(110)과, 사용자의 조작 또는 트립부(미도시)에 의해 단극차단유닛(110)을 동작시키는 기구부(140)와, 각 단극차단유닛(110)의 가동접점(131)이 동시에 움직일 수 있게 각 가동접점(131)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기구부(140)의 구동력을 각 단극차단유닛(110)에 전달하는 로테이트핀(150)을 구비한다.
상기 각 단극차단유닛(110)은, 프레임(111)과, 프레임(111)에 고정배치되는 고정접점(121)과, 상기 고정접점(12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상기 프레임(111)에 결합되는 가동접점(131)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접점(121)과 가동접점(131)은 한류 성능을 구비하게 구성된다.
상기 각 가동접점(131)은 상기 프레임(11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회동축(135)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가동접점(131)의 회동축(135)의 일 측에는 상기 회동축(135)과 나란하게 상기 로테이트핀(15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기구부(140)는, 상기 가동접점(131) 및 고정접점(121)이 서로 접촉 및 분리될 때 작용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도시 않은 복수의 링크 및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구부(140)의 일 측, 즉 상측에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게 핸들(145)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구부(140)는 상기 핸들(145) 및 트립부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핸들(145) 조작 및 트립부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31) 및 고정접점(121)이 상호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극차단유닛(110)은 각 상의 수와 동일한 개수(예를 들면, 3개 또는 4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테이트핀(150)은 상기 단극차단유닛(110)의 설치 개수에 따라 각 단극차단유닛(110)의 가동접점(131)에 동시에 결합 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핸들(145)을 투입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기구부(14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로테이트핀(150)이 회동되고, 상기 로테이트핀(150)에 의해 상기 단극차단유닛(110)의 각 가동접점(131)이 투입위치로 동시에 회동된다. 이때, 상기 가동접점(131)이 상기 고정접점(121)에 접촉될 때, 상기 고정접점(121)과 가동접점(131) 사이에는 전자 반발력이 작용하게 되며, 기구부(140)의 구동력은 이 전자 반발력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가동접점(131)은 상기 고정접점(121)에 접촉되어 통전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에 있어서는, 투입시 상기 로테이트핀(150)에는 기구부(140)의 구동력 및 각 단극차단유닛(110)의 전자 반발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로테이트핀(150)은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기구부(140)는 로테이트핀(150)의 대략 중앙영역에 배치되므로, 상기 로테이트핀(150)은 상기 기구부(140)로부터 먼 쪽에 배치된 단극차단유닛(110)에 결합되는 구간(영역)의 변형이 더 크게 발생된다. 이렇게 상기 로테이트핀(150)의 변형이 발생될 경우 변형 발생영역에 배치된 단극차단유닛(110)은 가동접점(131)과 고정접점(121)이 서로 충분한 접촉 압력으로 접촉되지 못하게 되어 안정적인 통전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품의 변형을 방지하여 기구부의 동작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탄성가압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의 접촉압력을 증대시켜 접점의 안정적인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탄성가압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탄성가압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복수의 고정접점; 상기 각 고정접점에 접촉되는 투입위치 및 이격되는 차단위치 또는 트립위치간을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접점; 상기 가동접점에 동시에 연결되게 배치되는 로테이트핀; 상기 로테이트핀에 연결되어 상기 각 가동접점이 동시에 회동되게 하는 기구부; 및 상기 로테이트핀이 상기 투입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로테이트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가압유닛;을 포함하는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가압유닛은, 상기 로테이트핀을 가압하는 푸셔, 상기 푸셔가 상기 로테이트핀에 접촉되게 상기 푸셔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푸셔의 배후에 배치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유닛은 상기 푸셔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에는 상기 푸셔가 돌출 및 철회될 수 있게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유닛은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푸셔가 슬라이딩 될 수 있게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푸셔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셔는 상기 로테이트핀의 투입위치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푸셔에는 상기 로테이트핀의 회동 궤적에 대응되게 절취된 절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취부의 일측에는 상기 로테이트핀과 접촉될 수 있게 상기 로테이트핀의 형상에 대응되게 절취된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유닛은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일 측은 상기 로테이트핀에 연결되고 타 측은 고정물에 고정되는 인장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로테이트핀의 양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은 단극차단유닛으로 구성되어 상 별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가압유닛은 상기 기구부로부터 가장 먼 쪽에 배치된 단극차단유닛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따르면, 바디; 상기 바디에 대해 돌출 및 철회되게 결합되는 푸셔; 및 상기 푸셔가 돌출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푸셔는, 축선방향으로 서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가동접점에 동시에 결합되는 로테이트핀을 상기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유닛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푸셔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푸셔를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푸셔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에는 단극차단유닛의 프레임에 삽입될 수 있게 돌출된 복수의 결합편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테이트핀에 탄성력을 가하여 접점 간 전자 반발력에 의한 로테이트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구부의 구동력이 가동접점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어 기구부의 동작의 신뢰성 및 안정성이 확보된다. 또한, 통전시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의 접촉압력을 증대시켜 접점의 안정적인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배선용 차단기의 신뢰성이 제고되며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바디와, 푸셔 및 스프링을 구비하게 탄성가압유닛을 구성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가압유닛의 바디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결합편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가압유닛에는 상기 결합편이 삽입될 수 있게 결합부를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체결 부재의 개수를 줄여 조립(또는 설치)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분리사사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유닛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탄성가압유닛의 결합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탄성가압유닛의 결합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4의 탄성가압유닛의 설치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는, 복수의 고정접점(121)과, 상기 각 고정접점(121)에 접촉되는 투입위치 및 이격되는 차단위치(또는 트립위치) 간을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접점(131)과, 상기 가동접점(131)에 동시에 연결되게 배치되는 로테이트핀(150)과, 상기 로테이트핀(150)에 연결되어 상기 각 가동접점(131)이 동시에 회동되게 하는 기구 부(140)와, 상기 로테이트핀(150)이 상기 투입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로테이트핀(15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가압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접점(121) 및 가동접점(131)은 서로 접촉 및 이격되게 각각 쌍을 이루게 배치되어 각 상(phase)의 전류를 통제하며, 단극차단유닛(110)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단극차단유닛(110)은 각 상의 수에 대응되게 병렬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극차단유닛(110)은 4상에 대응되게 4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단극차단유닛(110)은, 상기 고정접점(121) 및 가동접점(131)을 수용하는 프레임(11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1)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접점(121) 및 가동접점(131)의 개폐시 발생되는 아크(arc) 압의 이동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접점(131)은 상기 프레임(11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회동축(135)을 중심으로 상기 투입위치 및 차단위치 간을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단극차단유닛(110)의 가동접점(131)은 서로 동시에 투입위치 및 회동위치 간을 회동할 수 있게 로테이트핀(1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가동접점(131)의 회동축(135)의 일 측에는 상기 로테이트핀(150)이 동시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단극차단유닛(110)에는 상기 로테이트핀(150)이 회동할 수 있게 상기 로테이트핀(150)의 회동궤적에 대응되게 슬롯(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113)은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단극차단유닛(110) 중 어느 하나에는 사용자의 조작력 또는 트립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각 단극차단유닛(110)의 가동접점(131) 및 고정접점(121)이 서로 접촉 및 분리될 수 있게 상기 로테이트핀(150)을 이동시키는 기구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의 좌측으로부터 두 번째 단극차단유닛(110)에 기구부(140)가 배치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구부(140)는, 서로 연동할 수 있게 연결되는 다수의 링크(미도시)와, 이들 링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미도시) 등이 서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구부(140)의 상측에는 상기 핸들(145)이 회동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각 단극차단유닛(110)을 투입위치 또는 차단위치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기구부(140)의 일 측에는 사고 전류 등 대전류를 검출하여 차단되게 하는 트립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고 전류 등 대전류의 통전시 상기 트립부가 이를 검출하고 상기 기구부(140)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가동접점(131)이 상기 고정접점(121)으로부터 분리되어 사고전류를 차단하는 트립동작이 수행된다.
한편, 상기 로테이트핀(150)의 일 측에는 상기 로테이트핀(15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가압유닛(16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단극차단유닛(110)의 투입시 상기 고정접점(121) 및 가동접점(131) 사이에 작용하는 전자 반발력에 대응하여 전자 반발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로테이트핀(150)을 가압하여 상기 전자 반발력에 의한 상기 로테이트핀(150)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상기 탄성가압유닛(160)은, 상기 기구부(140)로부터 먼 쪽에 배치되는 단극차단유닛(11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가압유닛(16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좌측으로부터 세 번째 단극차단유닛(110)과 네 번째 단극차단유닛(110) 사이에 배치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는 로테이트핀(150)에 기구부(140)의 구동력이 작용하는 구간(영역)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네 번째의 단극차단유닛(110)의 결합 구간이 상대적으로 변형이 크기 때문에 이를 보상하여 로테이트핀(15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 6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탄성가압유닛(160)은, 상기 로테이트핀(150)에 접촉되는 푸셔(pusher)(181)와, 상기 푸셔(181)에 탄성력을 가하는 푸셔스프링(19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유닛(160)은 상기 푸셔(181)를 지지하는 바디(161)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61)는, 상기 푸셔(181)의 양 측에 배치되는 양 측판부(163)와, 상기 양 측판부(163)를 연결하는 연결부(16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디(161)는 거의 'U'단면 형상을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셔(181)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셔(181)의 일 측에는 상기 푸셔스프링(191)에 삽입될 수 있게 돌출부(18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셔스프링(191)은 상기 푸셔(181)의 이동방향을 따라 신축할 수 있게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푸셔스프링(191)은 상기 고정접점(121) 및 가동접점(131)의 전자 반발력 및 상기 기구부(140)의 구동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탄성력 및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61)의 내부에는 상기 바디(161)의 개방영역을 통해 상기 푸셔(181)가 돌출 및 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푸셔(181)의 배후에는 상기 푸셔스프링(191)이 배치된다.
상기 바디(161)에는 상기 푸셔(181)가 돌출 및 철회되게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푸셔(181)가 상기 바디(16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핀(19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핀(195)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61)에는 상기 가이드핀(195)이 결합될 수 있게 결합공(16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푸셔(181)에는 상기 가이드핀(195)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푸셔(181)가 상대 이동될 수 있게 장공 형상의 핀공(18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가압유닛(160)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테이트핀(150)의 투입위치시 로테이트핀(150)의 중심보다 그 중심이 상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로테이트핀(150)을 가압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푸셔(181)의 돌출 단부에는 상기 로테이트핀(150)이 차단위치에서 투입위치로 회동될 때 상기 로테이트핀(15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푸셔(181)가 후퇴될 수 있게 절취된 절취부(186a)가 형성된다. 상기 절취부(186a)는 상기 로테이트핀(150)의 회동궤적에 대응되게 내측으로 만곡된 호형상을 가지게 형성된다.
상기 푸셔(181)의 단부 중 상기 절취부(186a)의 하측에는 상기 로테이트 핀(150)의 투입위치시 상기 로테이트핀(150)과 접촉되는 접촉부(18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186b)는 상기 로테이트핀(150)의 원주에 대응되게 내측으로 함몰된 호형상을 이루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186b)는 상기 가동접점(131)이 해당 고정접점(121)에 접근하여 전자반발력이 작용하는 지점이전에 상기 로테이트핀(150)과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로테이트핀(150)을 상측으로 가압하는 전자 반발력에 대항하여 상기 로테이트핀(150)을 하향 가압되게 함으로써 상기 로테이트핀(15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절취부(186a)의 상측에는 상기 로테이트핀(150)과 접촉이 원활하게 될 수 있게 안내부(186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186c)는 외면이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161)에는 상기 푸셔(18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게 슬라이딩지지부(16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지지부(167)는 상기 바디(161)의 양 측판부(163)에서 상기 푸셔(181)에 접촉되게 돌출된 복수의 돌기(168)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푸셔(181)의 접촉면적을 줄임과 아울러 상기 푸셔(181)의 횡방향 유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디(161)는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68)는 상기 바디(161)의 외면에서 함몰되고 내면에서 돌출된 엠보싱(embossing)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61)에는 상기 단극차단유닛(110)에 삽입 결합될 수 있게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편(17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크류 등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상기 탄성가압유닛(160)을 결합하거나, 체결부재의 사용 개수를 줄일 수 있어, 탄성가압유닛(160)의 결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결합편(170)은 상기 바디(161)의 양 측판부(163) 및 연결부(165)에서 외측(폭방향)으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극차단유닛(110)에는 상기 결합편(170)이 삽입될 수 있게 삽입부(115)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핸들(145)을 투입위치로 조작하면 상기 기구부(140)에 의해 상기 로테이트핀(150)이 차단위치에서 투입위치로 회동된다. 상기 로테이트핀(150)이 하향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푸셔(181)의 안내부(186c)가 상기 로테이트핀(150)에 먼저 접촉된다. 이에 의해, 상기 푸셔(181)는 바디(161)의 내측으로 가압되어 이동(후퇴)되고, 상기 로테이트핀(150)은 상기 절취부(186a)와 탄성 접촉하면서 하향 회동된다.
상기 로테이트핀(150)이 투입위치에 이동되면 상기 푸셔(181)는 상기 푸셔스프링(191)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테이트핀(150)과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로테이트핀(150)이 상기 투입위치로 접근하게 되면 상기 가동접점(131)은 해당 고정접점(121)에 접근된다.
상기 가동접점(131)이 고정접점(121)에 근접되면 상기 고정접점(121)과 상기 가동접점(131) 사이에는 상기 고정접점(121)과 가동접점(131)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전자 반발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푸셔(181)는 상기 접촉부(186b)가 상기 로테이트핀(150)과 접촉되어 상기 로테이트핀(150)이 하향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전자 반발력에 의해 상향 가압되는 로테이트핀(15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테이트핀(150)이 투입위치에서 차단위치로 상향회동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181)는 투입방향으로의 회동시와 마찬가지로 로테이 트핀(150)에 의해 절취부(186a)가 탄성적으로 접촉가압되면서 바디(161)의 내부로 후퇴된다.
[제2실시예]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유닛의 설치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는, 복수의 고정접점(121)과, 상기 각 고정접점(121)에 접촉되는 투입위치 및 이격되는 차단위치(또는 트립위치) 간을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접점(131)과, 상기 가동접점(131)에 동시에 연결되게 배치되는 로테이트핀(150)과, 상기 로테이트핀(150)에 연결되어 상기 각 가동접점(131)이 동시에 회동되게 하는 기구부(140)와, 상기 로테이트핀(150)이 상기 투입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로테이트핀(15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가압유닛(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접점(121) 및 가동접점(131)은 쌍으로 구성되고, 바디(161)를 더 포함하여 각 상의 전류를 통제할 수 있게 단극차단유닛(1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가압유닛(210)은 상기 로테이트핀(150)의 일 측에서 상기 로테이트핀(150)이 투입위치방향으로 가압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상기 스프링은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어 있다.
상기 로테이트핀(150)의 일 측에는 상기 스프링의 일 단이 걸려 고정될 수 있게 스프링걸림부(2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극차단유닛(110)의 프레임(111)에는 상기 스프링의 타 단이 연결될 수 있게 스프링고정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가압유닛(210), 즉 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로테이트핀(150)의 원주면에 걸림 고정되게 도시 않은 걸림고리(갈고리)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가압유닛(210)은 상기 로테이트핀(150)의 투입위치시 상기 로테이트핀(150)이 투입위치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할 수 있게 인장된 상태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가압유닛(210), 즉 상기 스프링은 상기 로테이트핀(150)의 단부 중 상기 기구부(140)로부터 더 먼쪽 단부(또는 그 단부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유닛(210)은 상기 로테이트핀(150)의 양 단부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유닛(210)의 탄성력 및 개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로테이트핀(150)이 투입위치로 회동되고, 이에 의해 상기 가동접점(131)이 해당 고정접점(121)에 접근되면 두 접점 사이에 전자반발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가압유닛(210), 즉 스프링은 상기 로테이트핀(150)을 투입위치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전자 반발력을 상쇄 또는 저감하여 상기 전자반발력에 의한 상기 로테이트핀(150)의 변형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탄성가압유닛이 하나 설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탄성가압유닛의 개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12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탄성가압유닛이 인장코일스프 링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으나, 압축코일스프링 또는 토션스프링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선용 차단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극차단유닛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로테이트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의 분리사사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유닛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탄성가압유닛의 결합상태의 측면도,
도 8은 도 6의 탄성가압유닛의 결합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도 4의 탄성가압유닛의 설치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요부확대도,
도 11은 도 9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유닛의 설치 상태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단극차단유닛 111 : 프레임
113 : 슬롯 115 : 삽입부
121 : 고정접점 131 : 가동접점
135 : 회동축 140 : 기구부
145 : 핸들 150 : 로테이트핀
160 : 탄성가압유닛 161 : 바디
167 : 슬라이딩지지부 168 : 돌기
169 : 결합공 170 : 결합편
181 : 푸셔 183 : 돌출부
186a : 절취부 186b : 접촉부
186c : 안내부 191 : 스프링
195 : 가이드핀

Claims (17)

  1. 복수의 고정접점;
    상기 각 고정접점에 접촉되는 투입위치 및 이격되는 차단위치 또는 트립위치간을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접점;
    상기 가동접점에 동시에 연결되게 배치되는 로테이트핀;
    상기 로테이트핀에 연결되어 상기 각 가동접점이 동시에 회동되게 하는 기구부; 및
    상기 로테이트핀이 상기 투입위치로 이동되게 상기 로테이트핀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가압유닛;
    을 포함하는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유닛은, 상기 로테이트핀을 가압하는 푸셔, 상기 푸셔가 상기 로테이트핀에 접촉되게 상기 푸셔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푸셔의 배후에 배치되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유닛은 상기 푸셔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푸셔가 돌출 및 철회될 수 있게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유닛은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푸셔가 슬라이딩 될 수 있게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푸셔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로테이트핀의 투입위치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에는 상기 로테이트핀의 회동 궤적에 대응되게 절취된 절취부가 형 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의 일측에는 상기 로테이트핀과 접촉될 수 있게 상기 로테이트핀의 형상에 대응되게 절취된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유닛은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일 측은 상기 로테이트핀에 연결되고 타 측은 고정물에 고정되는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로테이트핀의 양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은 단극차단유닛으로 구성되어 상 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유닛은 상기 기구부로부터 가장 먼 쪽에 배치된 단극차단유닛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15. 바디;
    상기 바디에 대해 돌출 및 철회되게 결합되는 푸셔; 및
    상기 푸셔가 돌출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푸셔는, 축선방향으로 서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가동접점에 동시에 결합되는 로테이트핀을 상기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푸셔를 안내함과 아울러 상기 푸셔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유닛.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단극차단유닛의 프레임에 삽입될 수 있게 돌출된 복수의 결합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압유닛.
KR1020080138516A 2008-12-31 2008-12-31 탄성가압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KR101015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516A KR101015276B1 (ko) 2008-12-31 2008-12-31 탄성가압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US12/633,827 US8158898B2 (en) 2008-12-31 2009-12-09 Elastic pressing unit and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ES09178671.5T ES2527127T3 (es) 2008-12-31 2009-12-10 Unidad de presión elástica y disyuntor de caja moldeada que contiene la misma
EP09178671.5A EP2204826B1 (en) 2008-12-31 2009-12-10 Elastic Pressing Unit and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MYPI20095464A MY146927A (en) 2008-12-31 2009-12-21 Elastic pressing unit and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CN2009102657445A CN101770908B (zh) 2008-12-31 2009-12-31 弹性压制单元以及具有该弹性压制单元的模制管壳断路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516A KR101015276B1 (ko) 2008-12-31 2008-12-31 탄성가압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919A true KR20100079919A (ko) 2010-07-08
KR101015276B1 KR101015276B1 (ko) 2011-02-15

Family

ID=4179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516A KR101015276B1 (ko) 2008-12-31 2008-12-31 탄성가압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58898B2 (ko)
EP (1) EP2204826B1 (ko)
KR (1) KR101015276B1 (ko)
CN (1) CN101770908B (ko)
ES (1) ES2527127T3 (ko)
MY (1) MY1469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475B1 (ko) * 2011-11-10 2013-04-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FR2999787B1 (fr) * 2012-12-14 2014-11-28 Schneider Electric Ind Sas Appareil de coupure de courant electrique, en particulier un disjoncteur de branchement.
KR20180064015A (ko) 2016-12-05 2018-06-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3155A (en) * 1989-04-27 1991-01-02 Delta Circuits Protection Electric circuit breaker
US5023416A (en) 1989-10-03 1991-06-11 Fuji Electric Co., Ltd. Circuit breaker
FR2668289B1 (fr) * 1990-10-19 1992-12-1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Procede d'adressage de tetes elementaires d'une tete multipiste d'enregistrement sur support magnetique et tete magnetique le mettant en óoeuvre.
FR2683089B1 (fr) 1991-10-29 1993-12-31 Merlin Gerin Mecanisme de manóoeuvre pour disjoncteur tetrapolaire.
US5874699A (en) 1997-09-18 1999-02-23 Eaton Corporatio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and moving conductor assembly therefor
US6545584B2 (en) * 2001-01-17 2003-04-08 Eaton Corporation Circuit breaker with inertia device to prevent shockout
US6787725B2 (en) 2002-03-21 2004-09-07 Lg Industrial Systems Co., Ltd.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for gas insulted switchgear
US6667680B1 (en) * 2002-06-27 2003-12-23 Eaton Corporation Circuit breaker
US6617533B1 (en) * 2002-09-20 2003-09-09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Interlock for a circuit breaker
KR100475071B1 (ko) 2002-12-14 2005-03-10 엘지산전 주식회사 차단기의 결상신호 표시장치
KR100505052B1 (ko) 2003-04-24 2005-08-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주회로 인입출 장치
DE20313872U1 (de) 2003-09-06 2005-01-05 Moeller Gmbh Kontaktanordnung für strombegrenzende Schutzschalter
KR100574423B1 (ko) * 2004-10-07 2006-04-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압트립 장치를 구비하는 배선용 차단기
KR100662746B1 (ko) * 2004-12-08 2007-0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회로차단기의 압트립 장치
ITBG20050024A1 (it) * 2005-05-13 2006-11-14 Abb Service Srl Interruttore installabile secondo diverse configurazioni operative
KR100662752B1 (ko) * 2005-10-04 2007-01-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다극 배선용 차단기
KR100689324B1 (ko) * 2005-10-05 2007-03-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다극 배선용 차단기
US7515022B2 (en) * 2005-10-19 2009-04-07 Eaton Corporation Circuit breaker common trip lever
US7474179B2 (en) * 2006-10-13 2009-01-06 Eaton Corpor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movable contact assembly and contact spring assembly therefor
US7569784B2 (en) * 2006-10-13 2009-08-04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housing and integral pole shaft bearing assembly therefor
KR101191158B1 (ko) * 2009-12-04 2012-10-1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4극 배선용 차단기의 회전 핀 보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27127T3 (es) 2015-01-20
MY146927A (en) 2012-10-15
KR101015276B1 (ko) 2011-02-15
EP2204826A2 (en) 2010-07-07
CN101770908B (zh) 2012-11-21
US20100163385A1 (en) 2010-07-01
CN101770908A (zh) 2010-07-07
EP2204826A3 (en) 2013-09-11
EP2204826B1 (en) 2014-10-01
US8158898B2 (en) 201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8519B1 (en) Movable contactor assembly for a current limiting type molded case circuit breaker
CN101303946B (zh) 电气开关装置及其导体组件和分流器组件
US7145419B2 (en) Contactor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KR100662752B1 (ko) 다극 배선용 차단기
US7800007B2 (en) Circuit breaker subassembly apparatus
US9384912B2 (en) Circuit breaker
US7935902B2 (en) Contact assembly of circuit breaker
KR101904877B1 (ko) 차단기의 가동자 어셈블리
US10811209B2 (en)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KR101015276B1 (ko) 탄성가압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배선용 차단기
US20120119856A1 (en) Multi-phase medium voltage contactor
CN108417459B (zh) 一种断路器的操作机构和断路器
JP2007149528A (ja) 回路遮断器
KR101079020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샤프트 유닛
KR100990256B1 (ko) 4극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장치 및 이를 갖는 4극 배선용 차단기
JP5810835B2 (ja) 回路遮断器
EP2736064B1 (en) Trip device and circuit breaker for electric wiring having same
KR101206540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순시 가조정 장치
KR101024708B1 (ko) 배선용 차단기
KR20120080139A (ko) 회로차단장치 및 조립방법
US10002736B2 (en) Double make double break interrupter module with independent blades
KR100379691B1 (ko) 회로차단기의 접점개폐장치
KR100606425B1 (ko) 배선용 차단기의 가동자 어셈블리
KR20130060866A (ko) 소형 회로차단기의 강제 트립 장치
KR200382138Y1 (ko) 배선용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