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561B1 - 배전반의 셔터장치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셔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561B1
KR102389561B1 KR1020200060718A KR20200060718A KR102389561B1 KR 102389561 B1 KR102389561 B1 KR 102389561B1 KR 1020200060718 A KR1020200060718 A KR 1020200060718A KR 20200060718 A KR20200060718 A KR 20200060718A KR 102389561 B1 KR102389561 B1 KR 102389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diameter
unit
contact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021A (ko
Inventor
조승곤
Original Assignee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filed Critical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200060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561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24Shutters or gu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반의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셔터장치는 크래들의 내면에 고정된 장치베이스;와, 상기 장치베이스에서 회전이동하게 구비된 링크유닛;과, 상기 장치베이스 또는 상기 링크유닛에 연결되고, 회전하게 구비된 이중롤러유닛; 및 상기 링크유닛에 연결되고, 크래들의 접점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제공되는 셔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중롤러유닛은, 상기 링크유닛에 고정되어 상기 차단기 방향으로 돌출된 롤러축; 및 상기 크래들에 인입되는 차단기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고, 제1 직경을 가지는 영역인 제1 직경영역 및 제2 직경을 가지는 영역인 제2 직경영역을 포함하는 이중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롤러는, 상기 제1 직경영역이 상기 제2 직경영역보다 상기 장치베이스에 가깝게 놓이도록 상기 롤러축에 삽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반의 셔터장치{shutter apparatus of distribution panel}
본 발명은 배전반의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배전반에는 진공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 VCB)가 내장되어 있고, 진공차단기는 선로 상에서 사고전류의 차단 및 정격전류의 통전을 수행한다.
도 1에서 보이듯, 배전반의 크래들(1)에는 이동레일(3)이 구비되고, 차단기(2)에는 상기 이동레일(3)에 대응되는 이동바퀴(4)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레일과 이동바퀴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크래들(1)에 차단기(2)를 인입할 수 있게 된다.
크래들(1)의 측면에는 크래들 접점(1a)이 구비되고, 상기 크래들 접점(1a)은 배전반의 부스바(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차단기(2)의 후면에는 상기 크래들 접점(1a)에 접촉하는 차단기 접점(2a)이 구비되며, 크래들(1)에 차단기(2)를 인입함으로써 크래들 접점(1a)과 차단기 접점(2a)을 접촉시킬 수 있다.
크래들(1)에는 평소에 크래들 접점(1a)을 가리고 있는 셔터(5)가 마련되는데 상기 셔터(5)는 차단기(2)가 크래들(1)에 인입될 때 상기 크래들(1) 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크래들 접점(1a)을 개방한다.
그런데 도 2에서 보이듯, 셔터(5)의 개방이 불안정하게 되면 차단기 접점(2a)이 크래들(1)에 온전히 인입되지 못하여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크래들 접점(1a)과 차단기 접점(2a)이 접촉 불량 상태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KR 10-2055151 B1 (2019.12.06)
본 발명은 차단기 접점과 간섭이 제거된 배전반의 셔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내구성 및 작동 효율이 향상된 배전반의 셔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전반의 셔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셔터장치는 크래들의 내면에 고정된 장치베이스;와, 상기 장치베이스에서 회전이동하게 구비된 링크유닛;과, 상기 장치베이스 또는 상기 링크유닛에 연결되고, 회전하게 구비된 이중롤러유닛; 및 상기 링크유닛에 연결되고, 크래들의 접점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제공되는 셔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중롤러유닛은, 상기 링크유닛에 고정되어 상기 차단기 방향으로 돌출된 롤러축; 및 상기 크래들에 인입되는 차단기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고, 제1 직경을 가지는 영역인 제1 직경영역 및 제2 직경을 가지는 영역인 제2 직경영역을 포함하는 이중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롤러는, 상기 제1 직경영역이 상기 제2 직경영역보다 상기 장치베이스에 가깝게 놓이도록 상기 롤러축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래들은, 부스바에 연결된 접점과 대면하는 접점홀;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링크유닛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접점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제공되고, 상기 이중롤러유닛은, 상기 차단기에 구비된 셔터캠에 의해 상기 이중롤러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링크유닛을 회전이동시키게 제공되되, 상기 제1 직경영역은, 상기 셔터유닛이 상기 접점홀을 개방하는 동안 상기 셔터캠에 접촉하고, 상기 제2 직경영역은, 상기 셔터유닛이 상기 접점홀을 개방 완료한 이후에 상기 셔터캠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크래들에 고정되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비되어 상기 접점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 셔터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로드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비되어 상기 접점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 셔터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장치베이스에서 회전이동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셔터플레이트에 연결된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장치베이스에서 회전이동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셔터플레이트에 연결된 제2 링크부재; 및 상기 제1 링크부재에 연결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축은,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롤러는, 상기 제1 직경영역의 직경이 상기 제2 직경영역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캠은, 상기 접점홀이 개방되는 동안 상기 제1 직경영역에 접촉하여 상기 이중롤러를 회전시키는 절곡영역; 및 상기 절곡영역의 후방으로 이어지고, 상기 접점홀이 개방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2 직경영역에 접촉하여 상기 이중롤러를 회전시키는 직선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축과 상기 이중롤러는, 중간 끼워맞춤 공차를 가지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기 접점과 배전반 셔터 간의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배전반 셔터의 내구성 및 작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통상의 차단기와 크래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통상의 차단기와 크래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통상의 차단기의 접점과 크래들의 접점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셔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셔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와 크래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제1 링크부재와 제2 링크부재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셔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의 셔터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차단기의 접점과 크래들의 접점의 접촉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고,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의해 익히 알려진 요소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당업자에 의해 특정 구성요소가 추가, 변경, 삭제된 다른 형태로도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과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도 4에서 보이듯,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셔터장치(100)는 크래들(10)의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크래들(10)의 내면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크래들(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지지로드(141)가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지지로드(141)에는 연결브라켓(144)이 상기 지지로드(141)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크래들(10)의 후면에는 크래들 접점(미도시)을 수용하는 부싱이 구비될 수 있고, 크래들(10)의 후면은 상기 크래들(10)을 관통하는 구멍인 접점홀(12)이 구비될 수 있다.
크래들 접점(미도시), 접점홀(12)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접점홀(12)은 크래들 접점(미도시)과 일대일 대응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접점홀(12)은 연결브라켓(144)에 연결된 제1 셔터플레이트(도 5의 142) 및 제2 셔터플레이트(도 5의 143)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크래들(10)의 하면에는 이동레일(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10)의 이동레일(13)에 맞물리는 이동바퀴(23)를 구비하는 차단기(20)는 상기 접점홀(12)에 삽입되어 상기 크래들 접점(미도시)과 접촉하는 차단기 접점(21) 또한 구비한다.
차단기(20)를 밀어 크래들(10)에 인입함으로써 차단기 접점(21)과 크래들 접점(미도시)을 접촉시킬 수 있다.
차단기(20)를 밀어 상기 차단기(20)를 크래들(10)에 인입하는 동안 제1 셔터플레이트(도 5의 142) 및 제2 셔터플레이트(도 5의 143)는 연결브라켓(144)에 의해 지지로드(141)를 따라 이동하면서 접점홀(12)을 개방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차단기(20)가 인입 완료된 이후에도 제1 셔터플레이트(도 5의 142) 및 제2 셔터플레이트(도 5의 143)는 접점홀(12)을 개방한 채로 유지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이듯,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셔터장치는 크래들(10)의 내면에 고정된 장치베이스(110), 상기 장치베이스(110)에서 회전이동하게 구비된 링크유닛(120), 상기 장치베이스(110) 또는 상기 링크유닛에 연결되고, 회전하게 구비된 이중롤러유닛(130) 및 상기 링크유닛에 연결되고, 크래들의 접점(미도시)이 수용된 접점홀(12)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제공되는 셔터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베이스(110)는 고정부재(111)에 의해 크래들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중롤러유닛은 상기 크래들에 인입되는 차단기(미도시)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이중롤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링크유닛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접점홀(12)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롤러유닛은 상기 차단기에 구비된 셔터캠(도 9의 22)에 의해 상기 이중롤러(131)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링크유닛을 회전이동시키게 제공되되, 상기 이중롤러(131)는 상기 셔터유닛이 상기 접점홀을 개방하는 동안 상기 셔터캠(도 9의 22)에 접촉할 수 있다.
이중롤러(131)는 차단기(도 4의 20)가 크래들(10)에 인입되는 동안, 차단기(도 4의 20)가 크래들(10)에 인입 완료된 이후 및 차단기 접점(도 4의 21)과 크래들 접점(미도시)이 접촉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셔터캠(도 9의 22)과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제1 셔터플레이트(142) 및 제2 셔터플레이트(143)가 크래들의 접점홀(12)을 계속해서 개방하고 있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차단기 접점(도 4의 21)이 제1 셔터플레이트(142) 및 제2 셔터플레이트(143)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차단기 접점(도 4의 21)이 제1 셔터플레이트(142) 및 제2 셔터플레이트(143)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제1 셔터플레이트(142) 및 제2 셔터플레이트(143)에 가해지는 하중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 및 배전반의 셔터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차단기 접점(도 4의 21)과 크래들 접점(미도시)의 접촉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배전반 및 배전반의 셔터장치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크래들에 고정되는 상기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비되어 상기 접점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상기 제1 셔터플레이트(142) 및 상기 지지로드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비되어 상기 접점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상기 제2 셔터플레이트(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중력 반대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중력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장치베이스(110)에서 회전이동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셔터플레이트(143)에 연결된 제1 링크부재(121), 상기 장치베이스(110)에서 회전이동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셔터플레이트(142)에 연결된 제2 링크부재(122) 및 상기 제1 링크부재(121)에 연결된 탄성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23)의 일단은 상기 제1 링크부재(121)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크래들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제1 링크부재(121)의 회전 이동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23)는 차단기(도 4의 20)를 크래들(10)로부터 인출할 시에 제2 셔터플레이트(143)를 차단기(도 4의 20)를 크래들(10)로 인입하기 이전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에 의해 제2 셔터플레이트(143)는 접점홀(12)을 다시 폐쇄하게 된다.
상기 이중롤러유닛은 상기 제1 링크부재(121) 및 상기 제2 링크부재(122)에 고정되어 상기 차단기(도 4의 20) 방향으로 돌출된 롤러축(132) 및 상기 롤러축(132)에 삽입되고, 상기 롤러축(132)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이중롤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부재(121)는 힌지(H)에 의해 제1 보조링크부재(124)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보조링크부재는 힌지(H)에 의해 연결브라켓(14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144)은 제2 셔터플레이트(143)에 연결되고, 지지로드(141)에 삽입되며, 지지로드(141)를 따라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비된다.
제2 링크부재(122)는 힌지(H)에 의해 제2 보조링크부재(125)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보조링크부재는 힌지(H)에 의해 또 다른 연결브라켓(14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144)은 제1 셔터플레이트(142)에 연결되고, 지지로드(141)에 삽입되며, 지지로드(141)를 따라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연결브라켓(144)에는 관통된 구멍(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관통된 구멍에 지지로드(141)가 삽입될 수 있다. 지지로드(141)의 외주와 관통된 구멍(미도시)의 내경 조절을 통해 연결브라켓(144)의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6에서 보이듯, 차단기(20)가 인입되면 제1 링크부재(121) 및 제2 링크부재(122)가 회전이동하면서 제1 셔터플레이트(142) 및 제2 셔터플레이트(143)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접점홀이 개방되고, 제1 셔터플레이트(142) 및 제2 셔터플레이트(143)와의 간섭없이 차단기 접점(21)이 접점홀로 인입된다.
도 7에서 보이듯, 제1 링크부재(121) 및 제2 링크부재(122)는 상기 장치베이스(110)에 힌지(H)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링크부재(121)의 후면으로는 탄성부재 지지축(123b)이 돌출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 지지축(123b)에는 탄성부재(123)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도 8에서 보이듯, 제1 링크부재(121) 및 제2 링크부재(122)에는 상기 롤러축(132)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롤러축에는 이중롤러(131)가 삽입될 수 있고, 이때, 결합이 용이성을 위해 C링(150)이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중롤러(131)에 구비된 연결구멍(133)과 상기 연결구멍(133)에 삽입되는 상기 롤러축(132)은 중간 끼워맞춤 공차를 가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C링(150)은 제1 링크부재(121)에 구비된 제1 결합구멍(121a) 및 제2 링크부재(122)에 구비된 제2 결합구멍(122a)에도 마련되어 힌지(H)와 제1,2 링크부재(121,122)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중롤러(131)는 상기 셔터유닛(도 5의 140)이 상기 접점홀(도 5의 12)을 개방하는 동안 상기 차단기(도 6의 20)에 접촉하고, 제1 직경을 가지는 영역인 제1 직경영역(131a) 및 상기 셔터유닛(도 5의 140)이 상기 접점홀(도 5의 12)을 개방 완료한 이후에 상기 차단기(도 6의 20)에 접촉하고, 제2 직경을 가지는 영역인 제2 직경영역(13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직경영역(131a)의 직경이 상기 제2 직경영역(131b)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중롤러(131)는 도 9에서 보이는 차단기(20)의 셔터캠(22)에 접촉할 수 있다.
차단기(20)의 셔터캠(22)은 차단기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접점홀(도 5의 12)이 개방되는 동안 상기 제1 직경영역(도 8의 131a)에 접촉하여 상기 이중롤러( 8의 131)를 회전시키는 절곡영역(22a) 및 상기 절곡영역(22a)의 후방으로 이어지고, 상기 접점홀(도 5의 12)이 개방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2 직경영역(도 8의 131b)에 접촉하여 상기 이중롤러(도 8의 131)를 회전시키는 직선영역(2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중롤러(도 8의 131)의 상기 제1 직경영역(도 8의 131a)이 상기 제2 직경영역(도 8의 131b)보다 상기 장치베이스(도 6의 110)에 가깝게 놓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보이듯, 차단기(도 9의 20)의 인입초기에 셔터캠의 절곡영역이 이중롤러(131)의 제1 직경영역에 접촉할 수 있다.
셔터캠의 절곡영역이 제1 직경영역을 밀면 이중롤러(131)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롤러축(도 8의 132)이 회전하게 되고 제1 링크부재(121)가 회전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은 제2 링크부재(12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1에서 보이듯, 제1 링크부재(121) 및 제2 링크부재(122)가 회전이동을 계속하면 제1 보조링크부재 및 제2 보조링크부재도 힌지(H)에 의해 회전이동하면서 제1 셔터플레이트(도 6의 142) 및 제2 셔터플레이트(143)가 이동하게 된다.
차단기(도 9의 20)가 계속해서 인입되면 도 12에서 보이듯, 셔터캠의 직선영역(22b)의 내면이 이중롤러(131)의 제2 직경영역(131b)에 접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셔터캠의 절곡영역(22a)이 장치베이스(110) 방향으로 직선영역(22b)보다 돌출될 수 있다.
셔터캠의 직선영역(22b)의 내면이 이중롤러(131)의 제2 직경영역(131b)에 접촉하게 되는 순간이 제1 셔터플레이트(도 6의 142) 및 제2 셔터플레이트(143)가 이동 한계점에 다다른 순간이다. 그러므로 제1 셔터플레이트(도 6의 142) 및 제2 셔터플레이트(143)는 더 이상 이동하지 않는다.
도 13에서 보이듯, 차단기(도 6의 20)는 계속해서 크래들(도 6의 10) 방향으로 인입되면 셔터캠(22)이 계속해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이중롤러(131)의 제2 직경영역(131b)이 셔터캠(22)의 직선영역(22b)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계속해서 회전하게 되므로 배전반의 셔터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저감할 수 있다.
이중롤러(131)의 제2 직경영역(131b)이 셔터캠(22)의 직선영역(22b)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계속해서 회전하는 동안, 도 14에서 보이듯, 차단기(20)의 접점(21)은 계속해서 크래들(10)로 인입되고 있으므로 배전반의 셔터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은 저감하면서 크래들의 접점(11)과 차단기의 접점(21)을 더욱 밀접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기(20)의 접점(21)이 계속해서 크래들(10)로 인입되는 동안 이중롤러(131)의 제2 직경영역(131b)이 셔터캠(22)의 직선영역(22b)의 내면과 접촉하면서 계속해서 회전하고 있음에 따라, 제1 셔터플레이트(142) 및 제2 셔터플레이트(143)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1 셔터플레이트(142) 및 제2 셔터플레이트(143)와의 간섭없이 크래들의 접점(11)과 차단기의 접점(21)의 접촉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10 : 장치베이스 120 : 링크유닛
130 : 이중롤러유닛 140 : 셔터유닛
150 : C링

Claims (8)

  1. 크래들의 내면에 고정된 장치베이스;
    상기 장치베이스에서 회전이동하게 구비된 링크유닛;
    상기 장치베이스 또는 상기 링크유닛에 연결되고, 회전하게 구비된 이중롤러유닛; 및
    상기 링크유닛에 연결되고, 크래들의 접점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제공되는 셔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중롤러유닛은,
    상기 링크유닛에 고정되어 차단기 방향으로 돌출된 롤러축; 및
    상기 크래들에 인입되는 상기 차단기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고, 제1 직경을 가지는 영역인 제1 직경영역 및 제2 직경을 가지는 영역인 제2 직경영역을 포함하는 이중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롤러는,
    상기 제1 직경영역이 상기 제2 직경영역보다 상기 장치베이스에 가깝게 놓이도록 상기 롤러축에 삽입되는 배전반의 셔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부스바에 연결된 접점과 대면하는 접점홀;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링크유닛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접점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제공되고,
    상기 이중롤러유닛은,
    상기 차단기에 구비된 셔터캠에 의해 상기 이중롤러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링크유닛을 회전이동시키게 제공되되,
    상기 제1 직경영역은, 상기 셔터유닛이 상기 접점홀을 개방하는 동안 상기 셔터캠에 접촉하고,
    상기 제2 직경영역은, 상기 셔터유닛이 상기 접점홀을 개방 완료한 이후에 상기 셔터캠에 접촉하는 배전반의 셔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유닛은,
    상기 크래들에 고정되는 지지로드;
    상기 지지로드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비되어 상기 접점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 셔터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로드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비되어 상기 접점홀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2 셔터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셔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장치베이스에서 회전이동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셔터플레이트에 연결된 제1 링크부재;
    상기 장치베이스에서 회전이동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셔터플레이트에 연결된 제2 링크부재; 및
    상기 제1 링크부재에 연결된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셔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축은,
    상기 제1 링크부재 및 상기 제2 링크부재에 고정되는 배전반의 셔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롤러는,
    상기 제1 직경영역의 직경이 상기 제2 직경영역의 직경보다 큰 배전반의 셔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캠은,
    상기 접점홀이 개방되는 동안 상기 제1 직경영역에 접촉하여 상기 이중롤러를 회전시키는 절곡영역; 및
    상기 절곡영역의 후방으로 이어지고, 상기 접점홀이 개방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2 직경영역에 접촉하여 상기 이중롤러를 회전시키는 직선영역;
    을 포함하는 배전반의 셔터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축과 상기 이중롤러는,
    중간 끼워맞춤 공차를 가지게 결합된 배전반의 셔터장치.
KR1020200060718A 2020-05-21 2020-05-21 배전반의 셔터장치 KR102389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18A KR102389561B1 (ko) 2020-05-21 2020-05-21 배전반의 셔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718A KR102389561B1 (ko) 2020-05-21 2020-05-21 배전반의 셔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021A KR20210144021A (ko) 2021-11-30
KR102389561B1 true KR102389561B1 (ko) 2022-04-22

Family

ID=7872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718A KR102389561B1 (ko) 2020-05-21 2020-05-21 배전반의 셔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5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372B1 (ko) 2002-04-10 2004-10-06 엘지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용 크래들의 셔터 구동 장치
KR100957493B1 (ko) * 2010-02-02 2010-05-14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진공차단기반 케이스 도어 잠금장치
KR101158645B1 (ko) * 2011-02-24 2012-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크래들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759B1 (ko) * 2010-01-06 2011-09-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KR102055151B1 (ko) 2017-08-28 2019-12-12 동양산전(주) 배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372B1 (ko) 2002-04-10 2004-10-06 엘지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용 크래들의 셔터 구동 장치
KR100957493B1 (ko) * 2010-02-02 2010-05-14 주식회사 디투엔지니어링 진공차단기반 케이스 도어 잠금장치
KR101158645B1 (ko) * 2011-02-24 2012-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크래들을 구비한 회로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021A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6223B1 (en) Cradle with a door interlock device for a withdrawable vacuum circuit breaker
US7124488B2 (en) Retrofit breaker adapter system and method
JP5860112B2 (ja) 真空回路遮断器の安全シャッター
CA3167018A1 (en) Telescoping panels suitable for motor control center units
US20070066110A1 (en) Tap-off interlock
US9147540B2 (en) 3-way switch for a gas-insulated apparatus
KR102389561B1 (ko) 배전반의 셔터장치
KR100451372B1 (ko) 진공차단기용 크래들의 셔터 구동 장치
US2128149A (en) Electric switchgear
EP2826116B1 (en) Draw-out switching device
DK2843781T3 (en) Door locking means for an electrical switchboard
KR101492556B1 (ko) 위치 안내 장치 및 그를 갖는 배전반
CN111477505A (zh) 断路器的电动操作装置
CN112967903B (zh) 一种隔离开关锁止结构
US2005000621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switching module which can be displaced between an entry position and an exit position
US10157721B2 (en) Electrical breaker rear side actuator
KR100298332B1 (ko) 진공차단기의안전장치
KR100329908B1 (ko) 개폐장치
CN212322932U (zh) 一种远程操作断路器的机构
CN113675772B (zh) 一种抽拉式配电盘结构
CN212182251U (zh) 一种远程操作断路器的机构
CN116565744B (zh) 开关柜的联锁机构及母线开关柜
CN220324359U (zh) 真空负荷开关的弹簧操作机构
WO2021090437A1 (ja) 電力変換装置
CN113451081A (zh) 一种远程操作断路器的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