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799B1 -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셔터 잠금방법 - Google Patents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셔터 잠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799B1
KR101241799B1 KR1020110072644A KR20110072644A KR101241799B1 KR 101241799 B1 KR101241799 B1 KR 101241799B1 KR 1020110072644 A KR1020110072644 A KR 1020110072644A KR 20110072644 A KR20110072644 A KR 20110072644A KR 101241799 B1 KR101241799 B1 KR 101241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pad lock
lever
padlock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474A (ko
Inventor
최기열
한대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2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79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4Shutters or guards for preventing access to contac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atch Board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전력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하여 주기 위한 설비인 수배전반 내에 설치되어 함부로 셔터가 열리지 못하게 하는 장치로써 특히 전류를 차단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차단기 실에 내장된 함에 설치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셔터패드락의 몸체를 이루는 패드락 바디; 상기 상측 레버와 하측 레버 사이의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상,하측 레버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레버 서포트; 상기 레버 서포트 및 패드락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어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서포트 바디; 상기 패드락 바디의 일단 상측에 구비되어 탄성 누름으로 레버 서포트의 전후 힌지작동을 제어하는 패드락 스프링; 및 패드락 바디 측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힌지 결합하는 패드락 핀;을 구비한 셔터패드락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차단기 미투입시 셔터가 자동으로 잠금상태가 되어 셔터가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명사고 예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차단기 미투입시 셔터가 자동으로 잠금상태가 되어 셔터가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명사고 예방을 도모함과 동시에, 별도의 셔터 패드락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셔터 패드락의 유지 보수와 탈부착의 편리함 및 조립 공차를 줄여서 작업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셔터 잠금방법 {A Device for Shutter Pad Lock and Shutter Loc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산업용 전력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하여 주기 위한 설비인 수배전반 내에 설치되어 함부로 셔터가 열리지 못하게 하는 장치로써 특히 전류를 차단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차단기 실에 내장된 함에 설치되는 것으로, 별도의 셔터패드락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차단기 미투입시 셔터가 자동으로 잠금상태가 되어 셔터가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명사고 예방을 도모함과 동시에 셔터 패드락의 유지 보수와 탈부착의 편리함 및 조립 공차를 줄여서 작업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진공차단기(Vacuum Circuit Breaker, VCB)는 배전반에서 내장되어 있고 선로 상에서 사고 전류의 차단 및 정격전류의 통전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정상 부하시의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 시에 발생되는 아크(Arc)를 진공용기 내에서 소호시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키는 회로 및 기기보호용 기기이다.
이와 같이, 진공차단기는 고진공도에 의한 높은 절연내력 및 진공 중 급속 확산 원리에 의해서 단시간에 전류를 통전시켜 전력 계통 및 부하설비를 보호하는 장비이다.
이러한 진공차단기의 내부에는 이동선반을 이동시켜 진공차단기가 인출, 시험 및 운전위치에 있을 경우, 진공차단기의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잠금(Locking)시키기 위한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셔터 서포트(2)와 사이드 프레임(1)은 체결볼트로 견고하게 고정 체결되며, 셔터 서포트(2) 위에 셔터 홀더(4)가 장착된다. 그리고, 셔터 홀더(4) 위에 레버 핀(5)이 용접되어 놓여지고, 레버핀(5)을 통해 셔터 패드락(3)을 체결한 후 그 상부로 레버핀(5)을 통해 하측 레버(6a)와 상측 레버(6b)가 중첩되어 결합된다.
도 3를 보면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셔터 패드락(3)은 레버핀(5)이 일체로 구비된 셔터홀더(4)의 우측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하측 레버(6a)와 상측 바(7a)는 하측 레버(6a)에 용접으로 되어 있는 핀(9a)으로 끼워 맞춤한 이후 힌지 결합되고, 상측 바(7a)와 셔터 플레이트(8a)도 상측 바(7a)의 상부에 용접되어 있는 핀으로 끼워 맞춰진 후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측 레버(6b) 및 하측 레버(6a)는 셔터홀더(4)에 용접되어진 레버핀(5)을 축으로 "┌" 및 "ㄴ" 형태로 힌지 결합되면서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가지면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하측 레버(6b,6a)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레버핀(5)을 축으로 상하 회동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하측 바(7b) 및 상측 바(7a)가 상하로 작동하면서 셔터플레이트(8a,8b)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셔터를 개폐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의 셔터 패드락 잠금작동을 살펴보면, 인입출 기능을 가진 차단기에 있어 차단기 유지 보수시 셔터 패드락(3)이 상,하측 레버(6b,6a)의 움직임을 구속하게 된다. 이는 잠금열쇠를 통해 셔터 패드락(3)에 형성된 상,하측 잠금공(33b,33a) 및 하측 레버(6a)와 상측 레버(6b)에 형성된 상,하측 잠금공(63b,63a)을 연이어 관통하여 셔터 패드락(3)과 상,하측 레버(6b,6a)가 레버핀(5) 및 잠금공(33a,33b)에서 3점 고정되어 레버의 작동을 구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속된 레버들에 의해 상측 바(7a) 및 하측 바(7b)가 상하 작용을 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셔터 플레이트(8a,8b)가 열리지 못하게 하여 잠금 기능을 실현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셔터 패드락의 탈부착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조립 공차가 발생하여 조립에 어려움이 있고, 작업성이 나쁘므로 효율이 저하되어 전체적인 조립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셔터패드락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셔터 패드락의 유지 보수와 탈부착의 편리함 및 조립 공차를 줄여서 작업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단기 미투입시 셔터가 자동으로 잠금상태가 되어 셔터가 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인명사고 예방을 도모하고, 허가받은 자 이외의 자가 차단기의 유지, 보수, 관리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것이며,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핀을 힌지축으로 상측 레버와 하측 레버가 상하 회동하면서, 핀으로 연결된 상측 바 및 하측 바로 셔터플레이트를 상하 구동시키는 차단기함의 셔터 개폐장치에서, 셔터패드락의 몸체를 이루는 패드락 바디; 상기 상측 레버와 하측 레버 사이의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상,하측 레버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레버 서포트; 상기 레버 서포트 및 패드락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어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서포트 바디; 및 패드락 바디 측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힌지결합하는 패드락 핀;을 구비한 셔터패드락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차단기 미투입시 셔터가 자동으로 잠금상태가 되어 셔터가 열리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드락 바디의 일단 상측에 구비되어 탄성 누름으로 레버 서포트의 전후 힌지작동을 제어하는 패드락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여 패드락 바디, 서포트 바디 및 레버 서포트가 패드락 핀을 힌지축으로 회동하도록 하고, 상기 레버 서포트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철판 또는 플라스틱 부재로 형성되며, 단면상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구속되는 상,하측 레버가 걸리도록 하며, 상기 패드락 서포트와 서포트 바디는 "T"자형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드락 바디는, 상측 레버 및 하측 레버의 힌지축인 레버핀이 관통되는 레버핀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패드락 핀이 상기 레버핀에 고정되어 셔터 패드락 어셈블리의 힌지축 기능을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셔터 패드락 어셈블리는, 셔터 서포트에 고정 설치되고, 패드락 바디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패드락 커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당해 패드락 커버에는 패드락 핀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드락 핀이 패드락 몸체의 패드락핀 관통공과 함께 연이어져 끼움 결속되어 패드락 몸체와 힌지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배전반 내에 설치된 차단기의 인입출시 열리고 닫히는 셔터가 함부로 열리지 못하게 하는 잠금방법에 있어서, 레버핀을 축으로 상측 레버와 하측 레버가 상하 회동하면서 셔터플레이트를 상하로 구동하는 셔터 개폐장치에서 패드락 바디, 패드락 핀, 패드서포트 및 서포트 바디를 포함하여 셔터패드락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상기 패드락 핀을 힌지축으로 셔터패드락 어셈블리가 전후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상측 레버와 하측 레버 사이의 이격공간에 패드락서포트가 내입되어 상,하측 레버의 상하 힌지작동을 구속함으로써 셔터플레이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단기 미투입시 셔터가 자동으로 잠금상태가 되어 셔터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셔터패드락 잠금장치를 이용한 셔터 잠금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셔터 잠금방법은 패드락 바디의 일단 상부에 구비되는 패드락 스프링의 탄성으로 패드락 핀을 힌지축으로 전후 힌지 회동하도록 하여 패드락 바디의 일단부를 누름으로써 셔터 패드락 잠금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및 후술할 구성과 결합, 작동관계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셔터 패드락 어셈블리와 같이 셔터 잠금장치를 일체형의 조립체로 제공하여, 종래의 셔터 패드락 장치에 비해 셔터 패드락의 유지 보수와 탈부착의 편리함을 도모함과 동시에 조립 공차를 줄여 작업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수배전반 내에 차단기 실의 사이드 프레임 좌우에 설치되어 차단기 미투입시 셔터가 자동으로 잠금상태가 되어 셔터가 열리지 않게 함으로써 인명사고를 예방하고, 허가받은 기술자 이외의 자가 차단기를 유지 보수, 관리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셔터 패드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셔터 패드락의 힌지부 상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셔터 패드락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셔터 패드락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에서 패드락 핀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도시한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셔터 패드락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를 통해 셔터의 잠금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를 통해 셔터의 잠금 해제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셔터 잠금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XYZ 축의 3차원 상에서 레버의 힌지작동은 YZ 평면상에서 이루어지고, 셔터 패드락의 힌지작동은 XZ 평면상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면 내지 청구범위에서 YZ 평면상의 Y축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칭하고, XZ 평면상에서 Z축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칭하며, XZ 평면상에서 X축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칭한다.
본 발명은 레버핀(50)을 힌지축으로 상측 레버(60b)와 하측 레버(60a)가 상하 회동하면서, 핀(90a,90b)으로 연결된 상측 바(70a) 및 하측 바(70b)로 셔터플레이트(80)를 상하 구동시키는 차단기함의 셔터 개폐장치에서 셔터의 개폐기능을 잠금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레버를 이용한 셔터의 개폐 작동관계는 앞선 배경기술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셔터 서포트(20) 상에 설치된 셔터홀더(40)에 용접 설치되는 레버핀(50)에 힌지 결합하는 상,하측 레버(60b,60a)와 셔터패드락 어셈블리(100)로 구성되는 셔터 어셈블리(10)를 제공한다.
상기 셔터패드락 어셈블리(100)는, 셔터패드락의 몸체를 이루는 패드락 바디(120); 상기 상측 레버와 하측 레버 사이의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상,하측 레버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레버 서포트(140); 상기 레버 서포트 및 패드락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어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서포트 바디(150); 및 패드락 바디 측부에 형성된 관통공(180)을 통해 힌지결합하는 패드락 핀(130);을 구비하여 차단기 미투입시 셔터가 자동으로 잠금상태가 되어 셔터가 열리지 않도록 한다.
상기 패드락 바디(12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셔터패드락 어셈블리(100)의 몸체를 형성하고 있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강철 또는 플라스틱 박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패드락 바디(120)의 중앙부 상하에는 셔터패드락 어셈블리(100)가 힌지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축인 패드락 핀(130)이 관통 체결되는 패드락핀 관통공(18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드락 바디(120)는, 상측 레버(60b) 및 하측 레버(60a)의 힌지축인 레버핀(50)이 관통되는 레버핀 관통공(1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패드락 핀(130)이 상기 레버핀(50)에 고정되어 셔터패드락 어셈블리(100)의 힌지축 기능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패드락 핀(130)은 결국에는 셔터 서포트(20)와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셔터패드락 어셈블리(100)가 전후로 힌지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레버 서포트(1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철판 또는 플라스틱 부재로 형성되며, 단면상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구속되는 상,하측 레버(60b,60a) 사이의 이격공간에 내입되는 경우 레버의 상하 힌지회동이 구속되도록 걸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버 서포트(140)는 레버 사이의 이격공간에 내입되어 레버가 구속되도록 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축력을 받으므로 단면상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압축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트 바디(150)는,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패드락 바디(120)에서 일체로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철제 또는 플라스틱 부재로써 끝단에는 레버 서포트(1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서포트 바디(150)는 힌지운동을 하는 바(bar)의 기능을 하게 되므로 각관이나 원형관으로 형성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버 서포트(140)와 서포트 바디(150)는 "T"자형으로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부재 절감 및 전후 힌지회동을 위한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패드락 핀(13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드락 바디(120)의 상하 측부에 형성된 패드락핀 관통공(180)을 통해 내입되어 힌지축의 기능을 하는데, 고정된 힌지축으로써 기능하므로 종국적으로 셔터 서포트(20)에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패드락 핀(130)은, 도 5를 참조하면 셔터 서포트(20) 상에 고정된 셔터홀더(40)에 용접 고정된 레버핀(50)에 고정되어 힌지축의 기능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패드락 스프링(170)은, 셔터패드락 어셈블리(100) 내부에서 패드락 커버(160)를 관통하여 셔터 서포트(20)에 접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락 스프링(170)이 셔터 서포트(20)로부터 탄성으로 패드락 바디(120)의 끝단을 앞쪽(X축)으로 미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도 9에서와 같이 유지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패드락 스프링(170)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이 차단기 인출위치에서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작동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에 차단기가 투입되는 경우, 차단기가 상기 패드락 스프링(170)의 끝단 외측 상면에 압력을 가하여 도 8에서와 같이 패드락 바디(120)를 뒤쪽(X축 음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힌지축인 패드락 핀(130) 반대편의 레버 서포트(140)는 앞쪽(X축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레버들(60a, 60b)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XY 평면상 시계방향으로의 힌지운동)
그리고, 차단기가 인출되는 경우(미투입되어 제거시) 도 9에서와 같이 차단기에 의해 패드락 바디(120)의 끝단 외측 상면 압박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패드락 스프링(170)이 서터 서포트(20)에 접하는 부분과 패드락 바디(120)의 내측면 사이의 복원력에 의해 패드락 바디(120) 끝단은 앞쪽(X축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패드락 핀(130) 반대편의 레버 서포트(140)는 뒤쪽(X축 음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버 서포트(140)는 레버들(60a, 60b) 사이의 이격공간에 내입되어 레버의 작동이 구속되므로, 차단기의 인출위치에서의 셔터 패드락의 잠금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XY 평면상 시계 반대방향의 힌지운동)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셔터 서포트(20)에 고정 설치되고, 패드락 바디(120)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패드락 커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패드락 커버(160)는 패드락 바디(120)의 힌지회동과는 무관하게 셔터 서포트(20)에 고정된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드락 커버(160)는 패드락 핀(130)이 패드락 바디(120)의 패드락핀 관통공(180)과 함께 연이어져 끼움 결속되어 패드락 바디와 힌지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패드락핀 고정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패드락 커버(160)에는 패드락핀 고정공이 형성되는데, 당해 패드락핀 고정공에는 패드락 핀(130)이 패드락 바디(120)에 형성된 패드락핀 관통공(180)과 연이어져 관통 체결된다. 이에 따라 셔터 서포트(20)에 고정된 패드락 커버(160)의 패드락핀 고정공에 관통 체결된 패드락핀(130)을 힌지축으로 하여 패드락 바디(120)가 전후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드락 바디(120)의 일단 상측에 구비되어 탄성 누름으로 레버 서포트(140)의 전후 힌지작동을 제어하는 패드락 스프링(170);을 추가로 포함하여 셔터 패드락이 패드락 핀(130)을 힌지축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드락 스프링(170)은,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통상의 탄성 스프링인 용수철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패드락 바디(120)의 끝단부에 내입되는데, 패드락 바디의 내부 상측면과 셔터 서포트(20)의 상면에 접촉하여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패드락 스프링(170)은 패드락 바디(120)의 끝단부 후면을 누르는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도 8), 압축력을 받으면서 패드락 바디(120)의 끝단부가 뒤쪽(X축 음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힌지축인 패드락 핀(130)을 축으로 반대편의 레버 서포트(140)는 앞쪽(X축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레버들 사이의 이격공간이 생긴다. 이 경우 레버들의 상하 힌지운동을 구속되지 않으므로 잠금해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패드락 바디(120)의 끝단부 후면에 누르는 힘을 제거하는 경우(도 9), 패드락 스프링(1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패드락 바디는 앞쪽(X축 양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반대편의 레버 서포트(140)는 뒤쪽(X축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레버들 사이의 이격공간에 레버 서포트(140)가 내입되어 레버들의 상하 힌지운동이 구속되므로 잠금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기 패드락 바디(120) 끝단부의 누름 및 누름 해제는 차단기를 인입하거나 인출함에 따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차단기를 인입하는 경우는 차단기의 몸체 측벽이 자연스럽게 상기 패드락 바디(120)의 끝단을 누르게 되므로 패드락 스프링(170)에 압축력을 줄 수 있으며, 인출하는 경우는 패드락 바디(120)의 누름이 제거되므로 스프링(170)의 탄성 복원력으로 패드락 바디(120)의 끝단이 앞쪽(X축 양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차단기 미투입시 셔터가 자동으로 잠금상태가 되어 셔터가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셔터패드락 잠금장치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패드락 바디(120)와 서포트 바디(150)는 철재 각관으로 일체로 적당한 절곡을 주어 형성하고, 레버 서포트(140)와 서포트 바디(150) 용접을 하여 조립한다. 그리고, 패드락 바디(120)의 일단의 개방된 공간 안에 패드락 스프링(170)과 패드락 커버(160)를 끼워 조립함으로써 셔터패드락 어셈블리(100)를 형성한다. 그 이후에 셔터 어셈블리(10)와 셔터패드락 어셈블리(100)의 조립은 패드락 핀(130)을 패드락핀 관통공(180) 및 패드락핀 고정공을 통해 끼움 체결함으로써 결합한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셔터패드락 잠금장치를 이용한 셔터 잠금방법을 작동관계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셔터패드락 잠금방법은 수배전반 내에 설치된 차단기의 인입출시 열리고 닫히는 셔터가 함부로 열리지 못하게 하는 잠금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잠금방법은 레버핀(50)을 축으로 상측 레버(60b)와 하측 레버(60a)가 상하 회동하면서 셔터플레이트(80)를 상하로 구동하는 셔터 개폐장치에서 패드락 바디(120), 패드락 핀(130), 레버 서포트(140) 및 서포트 바디(150)를 포함하여 셔터패드락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실현한다.
그리고, 상기 패드락 핀(130)을 힌지축으로 셔터패드락 어셈블리(100)가 전후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상측 레버(60b)와 하측 레버(60a) 사이의 이격공간에 레버 서포트(140)가 내입되어 상,하측 레버의 상하 힌지작동을 구속함으로써 셔터플레이트(8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차단기 미투입시 셔터가 자동으로 잠금상태가 되어 셔터가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락 바디(120)의 일단 상부에 구비되는 패드락 스프링(170)의 탄성으로 패드락 핀(130)을 힌지축으로 전후 힌지 회동하도록 한다. 이에 상기 패드락 바디(120)의 일단부를 누름으로써 셔터 패드락 잠금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누름 작동은 차단기의 인입 및 인출에 따라 차단기 몸체의 측벽이 패드락 바디(120)의 끝단 상면을 누름으로써 자연스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도 8에서 보는 것처럼, 차단기가 투입되는 경우 셔터 잠금기능을 해제해야 하므로, 패드락 바디(120)를 뒤에서 누르는 힘을 제거한다. 이때 패드락 스프링(1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패드락 바디(120)는 뒤쪽으로 이동하며 반대편의 레버 서포트(140)는 앞쪽으로 이동(위에서 볼 때 시계방향의 힌지운동)하여 레버들 사이의 이격공간에 나오게 된다. 이로써 레버들은 상하 힌지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므로 잠금기능을 해제하게 된다.
반대로 도 9에서 보는 것처럼, 인입출 기능을 가진 차단기가 미투입시 셔터가 잠금기능 상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패드락 바디(120)의 끝단부를 뒤에서 압축력을 주며 누르게 되고, 패드락 바디(120)는 앞쪽으로 이동하며 반대편의 레버 서포트(140)는 뒤쪽으로 이동(위에서 볼 때 시계반대방향의 힌지운동)하여 레버들 사이의 이격공간에 내입된다. 이로써 셔터 플레이트(80)가 열리지 않게 되고, 잠금상태로 된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셔터 잠금방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 : 사이드 프레임 2,20 : 셔터 서포트
3 : 종래기술의 셔터 패드락 33a,33b : 잠금공
4,40 : 셔터홀더 5,50 : 레버핀
6a,6b,60a,60b : 하측,상측 레버 63a,63b : 하측,상측 잠금공
7a,7b,70a,70b : 상측,하측 바 8a,8b,80 : 셔터 플레이트
9a,9b,90a,90b : 힌지핀 10 : 셔터 어셈블리
100 : 셔터패드락 어셈블리 120 : 패드락 바디
130 : 패드락 핀 140 : 레버 서포트
150 : 서포트 바디 160 : 패드락 커버
170 : 패드락 스프링 180 : 패드락핀 관통공
190 : 레버핀 관통공

Claims (8)

  1. 레버핀을 힌지축으로 상측 레버와 하측 레버가 상하 회동하면서, 핀으로 연결된 상측 바 및 하측 바로 셔터플레이트를 상하 구동시키는 차단기함의 셔터 개폐장치에서,
    셔터패드락의 몸체를 이루는 패드락 바디; 상기 상측 레버와 하측 레버 사이의 이격공간에 삽입되어 상,하측 레버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레버 서포트; 상기 레버 서포트 및 패드락 바디와 일체로 형성되어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서포트 바디; 및 패드락 바디 측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힌지결합하는 패드락 핀;을 구비한 셔터패드락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차단기 미투입시 셔터가 자동으로 잠금상태가 되어 셔터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락 바디의 일단 상측 내부에 구비되어 탄성 누름으로 레버 서포트의 전후 힌지작동을 제어하는 패드락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여 패드락 바디, 서포트 바디 및 레버 서포트가 패드락 핀을 힌지축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서포트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철판 또는 플라스틱 부재로 형성되며, 단면상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구속되는 상,하측 레버가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서포트와 서포트 바디는 "T"자형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락 바디는,
    상측 레버 및 하측 레버의 힌지축인 레버핀이 관통되는 레버핀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락 핀이 상기 레버핀에 고정되어 셔터 패드락 어셈블리의 힌지축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패드락 어셈블리는,
    셔터 서포트에 고정 설치되고, 패드락 바디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패드락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락 커버는,
    패드락 핀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드락 핀이 패드락 몸체의 패드락핀 관통공과 함께 연이어져 끼움 결속되어 패드락 몸체와 힌지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KR1020110072644A 2011-07-21 2011-07-21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셔터 잠금방법 KR101241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644A KR101241799B1 (ko) 2011-07-21 2011-07-21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셔터 잠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644A KR101241799B1 (ko) 2011-07-21 2011-07-21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셔터 잠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474A KR20130011474A (ko) 2013-01-30
KR101241799B1 true KR101241799B1 (ko) 2013-03-15

Family

ID=47840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644A KR101241799B1 (ko) 2011-07-21 2011-07-21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셔터 잠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7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36Y1 (ko) 2013-11-29 2015-04-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부하차단기 셔터핀 교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174B1 (ko) * 2019-12-04 2024-01-10 엘에스일렉트릭(주) 회전형 셔터 구조를 갖는 배전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1625A (ja) * 1995-12-11 1997-06-20 Terasaki Denki Sangyo Kk 引出型回路遮断器のシャッタ装置
JP2010136534A (ja) 2008-12-04 2010-06-17 Toshiba Corp 遮断器の引出装置
KR20110080639A (ko) * 2010-01-06 2011-07-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KR101057127B1 (ko) 2011-04-14 2011-08-16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콤팩트형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1625A (ja) * 1995-12-11 1997-06-20 Terasaki Denki Sangyo Kk 引出型回路遮断器のシャッタ装置
JP2010136534A (ja) 2008-12-04 2010-06-17 Toshiba Corp 遮断器の引出装置
KR20110080639A (ko) * 2010-01-06 2011-07-1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
KR101057127B1 (ko) 2011-04-14 2011-08-16 주식회사 청석엔지니어링 콤팩트형 수배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36Y1 (ko) 2013-11-29 2015-04-07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부하차단기 셔터핀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474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7407B2 (ja) 回路遮断器のプラグ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5108086B2 (ja) 回路遮断器
US9685282B2 (en) Door interlock device for vacuum circuit breaker
EP2267852A2 (en) Device for preventing withdrawing and inserting of a circuit breaker
EP2325856B1 (en) Key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DE102015206502A1 (de) Schloss für Elektrofahrzeug-Wartungstrenner
JP4743753B2 (ja) プラグイン端子装置
KR101241799B1 (ko) 셔터 패드락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셔터 잠금방법
KR101126941B1 (ko) 배전반의 차단기 도어 인터록장치
JP2010252561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US20120186953A1 (en) Switch-lock fitting and control device
KR20170036935A (ko) 배전반의 도어 인터록 장치
JP5338961B2 (ja) 配電盤
KR200415177Y1 (ko) 고압 전자접촉기의 인터록 장치
KR101961308B1 (ko)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
KR101650697B1 (ko) 배전반 도어의 인터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CN207819281U (zh) 辅助手车位置开关装置
KR20000013900A (ko) 차단기의 이동유니트 이송장치
KR100618568B1 (ko) 수배전반의 후면도어 인터록장치
CN205577622U (zh) 一种户内反相电磁锁
CN212366626U (zh) 开关柜
CN219778733U (zh) 一种联锁结构以及应用有该联锁结构的开关柜
CN203070974U (zh) 一种电气开关柜接地开关锁止装置
CN111478195B (zh) 一种馈线柜
JP5338122B2 (ja) 配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