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0903A -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 - Google Patents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0903A
KR20190020903A KR1020170105798A KR20170105798A KR20190020903A KR 20190020903 A KR20190020903 A KR 20190020903A KR 1020170105798 A KR1020170105798 A KR 1020170105798A KR 20170105798 A KR20170105798 A KR 20170105798A KR 20190020903 A KR20190020903 A KR 20190020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assembly
door
handle body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1308B1 (ko
Inventor
윤성식
Original Assignee
코리아알프스(주)
대선이엔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알프스(주), 대선이엔티(주) filed Critical 코리아알프스(주)
Priority to KR1020170105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3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92Moving otherwise than only rectilinearly or only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7/00Padlocks; Details thereof
    • E05B67/38Auxiliary or protective devices
    • E05B67/383Staples or the like for padlocks; Lock slings; Arrangements on locks to cooperate with padlo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물쇠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핸들이 좌물쇠를 통해 핸들본체에 채워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좌물쇠 잠금수단에 대한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 핸들본체에 새로운 구조로 구비되는 고정클립을 통해 원터치 방식으로 도어패널에 고정되게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받도록 하며, 특히 도어패널의 조립공으로부터 고정클립의 고정 해제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핸들본체와, 상기 핸들본체에 구비되면서 도어패널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한쪽 내부에 구비되면서 잠금 및 해제 가능하도록 하는 키 조립체와, 상기 핸들의 일측 단부와 결합 되며 핸들본체의 일측 내부에서 회전하는 샤프트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핸들본체에는 상기 핸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핸들본체와 핸들에는 서로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물쇠 잠금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좌물쇠 잠금수단은 상기 수납홈 내에 배치되는 형태로 수납홈의 내면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물쇠 고리부와; 상기 좌물쇠 고리부가 핸들의 방향을 향할 때 핸들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핸들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Door Handle Assemblage for Power Distributing Board Box}
본 발명은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물쇠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핸들이 좌물쇠를 통해 핸들본체에 채워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좌물쇠 잠금수단에 대한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 핸들본체에 구비되는 새로운 구조의 고정클립을 통해 원터치 방식으로 도어패널에 고정 되게 하여 조립 및 설치에 따른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받도록 하고, 특히 도어패널의 조립공으로부터 고정클립의 고정 해제에 따른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에는 발전소 또는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각종 전기적인 전력제어를 위하여 각종 온-오프스위치, 릴레이, 전력개폐차단기, 전력분배컨넥터 등 여러 가지 전력부품들이 구비된다.
상기 배전반은 수납 공간을 가지는 함체와, 이러한 함체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패널과, 상기 도어패널에 설치되어 도어패널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도어핸들조립체가 갖추어진다.
위와 같이 사용되는 상기 도어핸들조립체에는 담당 관리자 외에 다른 사람이 함체의 도어패널을 개방하여 조작하지 못하도록 도어패널과의 잠금 및 해제를 위한 키 잠금조립체가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강제 열림을 방지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로 상기 키 잠금조립체를 제작할 경우 키 잠금조립체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설치상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어 강제 열림을 강화하기 위한 복잡한 잠금 구조로 제작할 수 없어 그로 인해 도어핸들조립체에 구비되는 키 잠금조립체는 잠금 구조가 취약한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예를 들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통해 강제 열림이 이루어지는 일이 발생하고 있어 별도의 좌물쇠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잠금을 함으로써 잠금을 강화하고 있다.
위와 같이 배전반의 도어패널에 설치되는 도어핸들조립체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75251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함)에 개시된 기술 내용을 요약해 보면, 선행기술문헌1에 개시된 도어핸들에서는 케이스에 구비된 제1자물쇠유니트가 핸들의 좌물쇠 인출공을 통해 전방으로 인출되고 이와 같이 인출된 제1자물쇠유니트에 자물쇠를 채우는 것으로 핸들이 케이스에 잠기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비상전원을 긴급공급하는 배전반이나 소방 전력을 제어하는 배전반에서는 관리 담당자가 긴급 상황에서 빠른 대처를 위하여 좌물쇠를 이용한 이중 잠금 기능이 없는 도어핸들을 선호하고 있다. 물론, 좌물쇠를 이용한 이중 잠금이 선택 가능한 선행기술문헌1의 도어핸들을 설치할 수도 있지만 제1자물쇠유니트가 핸들로부터 항상 인출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미관상 좋지 않고, 특히 좌물쇠로 이중 잠금을 하여야 하는 배전반과, 이중 잠금을 하지말아야 하는 배전반을 관리자가 자칫 혼동하여 좌물쇠를 이용한 이중 잠금이 서로 잘못 이루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좌물쇠 잠금 기능이 가능한 도어핸들을 설치시, 도어핸들에 대한 자체 잠금을 관리하는 관리자와 좌물쇠를 이용한 잠금을 관리하는 관리자를 각각 두어 잠금 해제에 따른 문제 발생시 관리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기 위한 선택적인 용도로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이중 잠금이 필요없는 경우인데, 선행기술문헌1의 도어핸들과 같은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자물쇠유니트가 항상 노출되어 있어 관리자가 혼동하게 됨으로써 이중 잠금을 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이 소비 업체에서 발생하는 미관 문제와 관리 담당자의 혼동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도어핸들의 제작 업체에서는 어쩔 수 없이 좌물쇠를 이용한 이중 잠금 기능이 갖추어진 도어핸들과, 좌물쇠를 이용한 이중 잠금 기능이 전혀 없는 도어핸들을 개별적으로 각각 제작하여야 함으로써 일원화된 제작 공정이 어려워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그로 인해 원가절감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편, 도어패널에 설치되는 도어핸들의 다른 일 예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53909호(이하, "선행기술문헌2"이라 함)에 개시된 기술 내용을 요약해 보면, 선행기술문헌2에 개시된 도어핸들에서는 도어핸들을 도어패널의 조립공에 원터치로 조립 고정될 수 있게 하여 도어핸들을 도어패널에 조립 설치시 작업에 대한 편의를 제공받고자 본체의 상면과 하단 면에 탄성편과 스토퍼가 각각 구비되는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필요에 따라 도어핸들을 도어패널로부터 분리하고자 하고자 스토퍼를 도어패널의 조립공으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할 때, 조립공과의 여유를 가지기 위해는 탄성편이 "∧" 형상으로 걸림된 형태에서 "―" 형상으로 편지는 탄성 변형을 하여야 하는데, 이때 탄성편이 "∧" 형상으로 도어패널에 결착된 상태에서는 "―" 형상으로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탄성편과 도어패널 간에 연유 공간이 전혀 없어 탄성편을 "―" 형상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 없게 되고 그로 인해 도어핸들을 도어패널로부터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도어핸들을 도어패널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탄성편을 본체로부터 분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탄성편이 본체에 리벳으로 고정되어 있어 탄성편을 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별도의 공구 사용이 불가피한 문제와 더불어 무리하게 분리할 경우, 탄성편의 파손으로 재사용이 불가능함은 물론, 교체되는 탄성편을 본체에 재 리벳 고정하기가 불가능하거나 또는 재 리벳 고정으로 인한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75251호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53909호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12087호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좌물쇠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핸들이 좌물쇠를 통해 핸들본체에 채워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좌물쇠 잠금수단에 대한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 핸들본체에 구비되는 새로운 구조의 고정클립을 통해 원터치 방식으로 도어패널에 고정 되게 하여 조립 및 설치에 따른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받도록 하고, 특히 도어패널의 조립공으로부터 고정클립의 고정 해제에 따른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핸들본체에는 상기 핸들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핸들본체와 핸들에는 서로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물쇠 잠금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좌물쇠 잠금수단은 상기 수납홈 내에 배치되는 형태로 수납홈의 내면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물쇠 고리부와; 상기 좌물쇠 고리부가 핸들의 방향을 향할 때 핸들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핸들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좌물쇠 고리부에 돌출 형태로 구비되어 좌물쇠 고리부가 핸들의 방향을 향하는 수평 상태에서 하향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납홈의 내면에 힌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힌지부재가 결합 고정되고, 상기 힌지부재의 힌지부에는 좌물쇠 고리부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핸들본체에는 도어패널의 조립공과 결합 될 수 있는 고정클립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클립은 핸들본체에 고정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선단과 외팔보 형태로 지지편의 중앙 방향을 향해 연결되면서 상부 굴곡면과 하부 굴곡면이 접하는 걸림굴곡돌출부가 지지편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굴곡된 탄성걸림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탄성걸림편이 배치되는 지지편의 양단은 핸들본체의 양편 선단을 감싸는 형태로 탄력 지지할 수 있도록 휘어진 굴곡부로 형성되는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좌물쇠 고리부에는 좌물쇠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를 사용하게 되면, 좌물쇠 잠금수단에 대한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핸들본체에 구비되는 새로운 구조 타입의 고정클립을 통해 원터치로 고정하여 조립 및 설치에 따른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받도록 하고 특히, 도어패널의 조립공으로부터 고정클립의 고정 해제에 따른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1a는 핸들이 핸들본체에 잠겨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1c는 핸들의 키 조립체가 핸들본체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도 2a는 일부 분해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2b는 좌물쇠고리부가 수직으로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c는 좌물쇠고리부가 수평으로 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좌물쇠고리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핸들이 핸들본체에 잠겨진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4a는 도어핸들조립체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고정클립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어핸들조립체의 고정클립이 도어패널에 걸림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평단면도서, 도 5a는 걸림 전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b는 걸림 후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이하, 도어핸들조립체로 칭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1a 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핸들조립체(10)는, 도어패널(12)의 조립공(14)에 설치되는 형태로 고정되는 핸들본체(16)와, 상기 핸들본체(16)에 구비되면서 도어패널(12)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핸들(18)과, 상기 핸들(18)의 한쪽 내부이면서 핸들(18) 내에 구비되는 키 조립체(20)와, 상기 핸들(18)의 일측 단부와 결합 되면서 핸들본체(16)의 일측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샤프트 조립체(22)와, 상기 샤프트 조립체(22)의 단부에 체결되어 핸들(18)과 연동하게 되면서 도어패널(12)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록킹바아(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핸들본체(16)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핸들(18)의 일측 면에는 키홀(26)이 형성된 키 조립체(20)를 수용하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는 설치부(28)가 배면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참고로, 상기 키 조립체(20)의 일측 단부에는 걸림돌기(30)가 설치부(28)로부터 인출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키 조립체(20)의 열림 또는 잠김 방향으로 회동시 걸림돌기(30)가 삽입 또는 인출되면서 후술하는 수용부(38)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홈(34)과 걸림 또는 걸림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핸들본체(16)의 내부에는 상기 핸들(18)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핸들본체(16)의 일측에는 수용부(38)가 배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핸들본체(16)의 타측(상기 수용부(38)로부터 간격을 둔 위치)에는 배면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삽입부(40)가 형성되어서 상기 샤프트 조립체가(22)가 일부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핸들본체(16)와 핸들(18)에는 좌물쇠를 사용하여 핸들(18)이 핸들본체(16)에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물쇠 잠금수단(42)이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물쇠 잠금수단(42)에 대한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수납홈(36)에 배치되면서 수납홈(36) 내에 형성된 핸들본체(16)의 결합홈(44)과 결합 되는 고정부(46) 그리고 후술하는 좌물쇠고리부(48)와 힌지(H) 연결되는 힌지부(50)를 형성하고 있는 힌지부재(52)와, 상기 힌지부재(52)의 힌지부(50)와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부(54)를 구비하고 있는 좌물쇠고리부(48) 및 상기 좌물쇠고리부(48)에 좌물쇠로 채울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좌물쇠구멍(56), 상기 좌물쇠고리부(48)가 핸들(18)의 방향을 향해 회동된 수평 상태에서 그 이상 하향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좌물쇠고리부(48)의 힌지부(54)에 돌출 형태로 형성되는 스톱퍼(58)와, 상기 핸들(18)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핸들(18)에 형성되는 관통공(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앞서 설명에서는 상기 좌물쇠고리부(48)가 핸들본체(16)와 결합 되는 힌지부재(52)에 힌지 결합 되어져 회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수납홈(36)의 내면인 핸들본체(16)에 좌물쇠고리부(48)가 회동 가능하게 바로 힌지 연결되어 앞서 설명된 상기 힌지부재(52) 없이도 좌물쇠고리부(48)가 회동하도록 하는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좌물쇠 잠금수단(42)을 이용하여 핸들(18)을 핸들본체(16)에 좌물쇠로 채울 경우, 먼저 좌물쇠고리부(48)가 핸들본체(16)와 교차하는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핸들(18)을 핸들본체(16)의 수납홈 (36) 방향으로 밀어 넣게 된다.
이때, 상기 좌물쇠고리부(48)가 핸들(18)의 전면을 통해 인출될 수 있도록 핸들(18)의 관통공(60)으로 관통시키게 되고, 상기 핸들(18)로부터 인출된 좌물쇠고리부(48)의 좌물쇠구멍(56)에 좌물쇠를 채우는 것으로 좌물쇠를 이용한 핸들(18)의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핸들(18)을 열림 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 우선 좌물쇠를 해제 및 분리하고, 핸들(18)의 키 조립체(20)를 구비하고 있는 설치부(28)가 핸들본체(16)의 수용부(38)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올 수 있도록 전방으로 들게 되는데, 이때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물쇠고리부(48)는 핸들본체(16)와 나란히 배치되는 상향에 대한 회동은 자유 회동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좌물쇠고리부(48)가 핸들(18)의 관통공(60)으로부터 빠져나옴에 따른 간섭이나 제약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좌물쇠 잠금수단(42)을 미사용시, 핸들본체(16)와 나란히 배치되도록 상기 좌물쇠고리부(48)를 상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핸들(18)을 핸들본체(16)의 수납홈(36)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서 핸들(18)의 키 조립체(20)에 구비된 걸림돌기(30)를 핸들본체(16)의 걸림홈(34)으로 삽입시켜 키 조립체(20)만을 사용하는 잠금으로 사용하면 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4a 내지 도 5b에서는 도어핸들조립체(10)의 배면, 다시 말해 핸들(18)과 대응하는 핸들본체(16)의 후면에는 핸들본체(16)를 도어패널(12)의 조립공(14)으로 설치시, 상기 핸들본체(16)가 원터치 방식으로 도어패널(12)의 조립공(14)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클립(62)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다.
상기 고정클립(62)은 핸들본체(16)에 면 밀착되는 형태로 고정되며 판 형 구조를 갖는 지지편(64)과, 상기 지지편(64)의 앙편 선단과 외팔보 형태로 지지편(64) 방향을 향해 연결되며 굴곡 되었을 때 상부 굴곡면(66)과 하부 굴곡면(68)이 서로 접하게 되는 걸림굴곡돌출부(70)가 지지편(64)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굴곡 되는 탄성걸림편(7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탄성걸림편(72)이 배치되는 지지편(64)의 양단는 핸들본체(16)의 양편 선단을 감싸는 형태로 탄력 지지할 수 있도록 휘어진 형태의 굴곡 구조를 갖는 굴곡부(74)로 형성되어 고정클립(62)의 탄성걸림편(72)이 핸들본체(16)의 양측 단을 감싸는 상태로 탄력 지지하게 됨으로써 고정클립(62)의 견고하고도 강력한 결합 고정과 회동이 방지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고정클립(62)이 결합된 후면클립(62)을 도어패널(12)의 조립공(14)으로 설치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클립(62)의 걸림굴곡돌출부(70)가 도어패널(12)의 조립공(14) 전면 선단에 밀착되는 상태로 걸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핸들본체(16)를 더 밀어 넣게 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굴곡돌출부(70)가 고정클립(62)의 중심 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는 상태로 탄성걸림편(72)이 탄성 변형을 일으키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걸림굴곡돌출부(70)는 도어패널(12)의 조립공(14) 내면을 타고 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걸림굴곡돌출부(70)가 도어패널(12)의 조립공(14) 내면을 타고 넘게 되면, 고정클립(62)의 중심 방향을 향해 탄성 변형된 탄성걸림편(72)이 고정클립(62)의 외측 방향으로 재복귀하게 되면서 걸림굴곡돌출부(70)가 도어패널(12)의 조립공(14) 선단 후면에 탄력 지지 됨은 물론, 조립공(14)의 내면에도 탄력 지지 되는 것으로 핸들본체(16)의 원터치 결합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패널(12)의 조립공(14)으로부터 핸들본체(16)의 분리를 위해 고정클립(62)의 걸림굴곡돌출부(70)에 대한 탄력 지지를 해제할 경우, 배경기술에서는 본체에 리벳으로 고정되어 있어 탄성편을 본체로부터 분리하여야 하고, 아울러 탄성편을 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별도의 공구 사용이 요구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고정클립(62)의 양편에 형성된 탄성걸리편(72) 중 어느 일측의 탄성걸림편(72)을 고정클립(62)의 중심 방향을 향해 작업자가 손으로 밀어 걸림굴곡돌출부(70)가 도어패널(12)의 조립공(14) 내면을 타고 도어패널(12)의 조립공(14) 선단 전면으로 빠져나오는 것으로 핸들본체(16)의 분리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탄성걸림편(72)의 분리나 무리한 탄성변형에 따른 손상 및 파손 없이 용이한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도어핸들조립체
12 : 도어패널
14 : 조립공
16 : 핸들본체
18 : 핸들
20 : 키 조립체
22 : 샤프트 조립체
24 : 록킹바아
26 : 키홈
28 : 설치부
30 : 걸림돌기
34 : 걸림홈
36 : 수납홈
38 : 수용부
40 : 삽입부
42 : 좌물쇠 잠금수단
44 : 결합홈
46 : 고정부
48 : 좌물쇠 고리부
50, 54 : 힌지부
52 : 힌지부재
56 : 좌물쇠 구멍
58 : 스톱퍼
60 : 관통공
62 : 고정클립
64 : 지지편
66 : 상부 굴곡면
68 : 하부 굴곡면
70 : 걸림굴곡부
72 : 탄성걸림편
74 : 굴곡부

Claims (6)

  1. 핸들본체(16)와, 상기 핸들본체(16)에 구비되어 도어패널(12)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핸들(18)과, 상기 핸들(18)의 한쪽 내부에 구비되어 잠금 및 해제 가능하도록 하는 키 조립체(20)와, 상기 핸들(18)의 일측 단부와 결합 되며 핸들본체(16)의 일측 내부에서 회전하는 샤프트 조립체(22)를 포함하고 있는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핸들본체(16)에는 상기 핸들(18)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핸들본체(16)와 핸들(18)에는 서로 잠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좌물쇠 잠금수단(42)이 구비되며,
    상기 좌물쇠 잠금수단(42)은 상기 수납홈(36) 내에 배치되는 형태로 수납홈(36)의 내면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물쇠 고리부(48)와;
    상기 좌물쇠 고리부(48)가 핸들(18)의 방향을 향할 때 핸들(18)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핸들(18)에 형성되는 관통공(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물쇠 고리부(48)에 돌출 형태로 구비되어 좌물쇠 고리부(48)가 핸들(18)의 방향을 향하는 수평 회동 상태에서 하향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5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36)의 내면에 힌지부(50)를 구비하고 있는 힌지부재(52)가 결합 고정되고, 상기 힌지부재(52)의 힌지부(50)에는 좌물쇠 고리부(48)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H)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본체(16)에는 도어패널(12)의 조립공(14)과 결합 될 수 있는 고정클립(62)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클립(62)은 핸들본체(16)에 고정되는 지지편(64)과, 상기 지지편(64)의 선단과 외팔보 형태로 지지편(64)의 중앙 방향을 향해 연결되면서 상부 굴곡면(66)과 하부 굴곡면(68)이 접하는 걸림굴곡돌출부(70)가 지지편(64)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굴곡된 탄성걸림편(7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걸림편(72)이 배치되는 지지편(64)의 양단는 핸들본체(16)의 양편 선단을 감싸는 형태로 탄력 지지할 수 있도록 휘어진 구조로 이루어진 굴곡부(74)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물쇠 고리부(48)에는 좌물쇠구멍(56)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
KR1020170105798A 2017-08-22 2017-08-22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 KR101961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798A KR101961308B1 (ko) 2017-08-22 2017-08-22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798A KR101961308B1 (ko) 2017-08-22 2017-08-22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903A true KR20190020903A (ko) 2019-03-05
KR101961308B1 KR101961308B1 (ko) 2019-03-25

Family

ID=65760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798A KR101961308B1 (ko) 2017-08-22 2017-08-22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4934A (zh) * 2019-04-01 2019-06-21 河南传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机箱监控管理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704U (ko) * 2007-06-27 2008-12-31 김금덕 단자함 시건 장치
KR200453909Y1 (ko) 2010-07-30 2011-06-02 권오숙 분,배전반 도어핸들
KR200475251Y1 (ko) 2013-05-15 2014-11-20 주식회사 공진 이중시건장치를 갖는 전기기기박스용 도어핸들구조
KR200475414Y1 (ko) * 2013-08-30 2014-11-28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임시장착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핸들장치
KR101712087B1 (ko) 2016-02-24 2017-03-03 코리아알프스(주)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704U (ko) * 2007-06-27 2008-12-31 김금덕 단자함 시건 장치
KR200453909Y1 (ko) 2010-07-30 2011-06-02 권오숙 분,배전반 도어핸들
KR200475251Y1 (ko) 2013-05-15 2014-11-20 주식회사 공진 이중시건장치를 갖는 전기기기박스용 도어핸들구조
KR200475414Y1 (ko) * 2013-08-30 2014-11-28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임시장착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핸들장치
KR101712087B1 (ko) 2016-02-24 2017-03-03 코리아알프스(주) 자동 잠금이 가능한 도어 록킹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4934A (zh) * 2019-04-01 2019-06-21 河南传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机箱监控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308B1 (ko) 201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501B2 (en) Swivelling lever control that can be locked after being swivelled inwards and for closing switchboard cabinet doors or the like
JP3749503B2 (ja) コンピュータケーシング
CN208737366U (zh) 闩锁结构及具有闩锁结构的服务器
PL190997B1 (pl) Modułowy zespół płytki czołowej
WO2001098609A1 (en) Draw latch
US4947289A (en) Latch mechanism for a plug-in cartridge or the like
KR101961308B1 (ko) 배전반용 도어핸들조립체
US20200181952A1 (en) Motor vehicle handle assembly
JP2000073643A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
EP3919709B1 (en) Panel door lockout
JP2007173186A (ja) ブレーカ取付構造
EP3299557B1 (en) Vehicle door latching device
KR101939072B1 (ko) 레버타입 커넥터
JPH06193330A (ja) インサイドハンドルベゼル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ベー スへの取付構造
JP2012143126A (ja) 分電盤
JP3477998B2 (ja) 分電盤
JP2003314128A (ja) 樹脂製ボックスの構造
JP2004179520A (ja) 樹脂製ボックスの扉体取り付け構造
JP2002357044A (ja) 扉取付構造
JP2006147678A (ja) 装置の筐体構造およびサブカバー開閉構造
EP1590819B1 (en) An assembly
CN213125564U (zh) 一种新型的电缆分接箱联锁装置
KR101557260B1 (ko) 사물함 잠금장치
JP3022138U (ja) 裏板固定具
CN219047097U (zh) 一种抄网装置及其抄网用的快速拆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