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647B1 -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 - Google Patents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647B1
KR101066647B1 KR1020090106204A KR20090106204A KR101066647B1 KR 101066647 B1 KR101066647 B1 KR 101066647B1 KR 1020090106204 A KR1020090106204 A KR 1020090106204A KR 20090106204 A KR20090106204 A KR 20090106204A KR 101066647 B1 KR101066647 B1 KR 101066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duit
waste gas
safety valve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9265A (ko
Inventor
황운봉
서정화
김동섭
정완균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06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647B1/ko
Publication of KR20110049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철소 등의 대형 공장에서 발생된 폐가스가 이동하는 대형 관로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유지 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는, 폐가스 관로에 다수가 제공되며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 안전밸브에서, 폐가스 관로의 저면에 연결되는 제 1 관로, 제 1 관로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제 1 관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관로를 포함하며, 제 1 관로와 상기 제 2 관로 사이에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바이패스 관로가 제공된다.
폐가스, 밸브, 응축수, 관로, 안전밸브, 바이패스

Description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A safety valve of low pressure pipeline}
본 발명은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철소 등의 대형 공장에서 발생된 폐가스가 이동하는 대형 관로에 설치될 수 있으며 유지 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등의 공장을 가동하는 과정에서 대량으로 폐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폐가스는 다양한 유해 물질, 수분 그리고 유분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폐가스는 폐가스 처리 시설에 연결된 대형 관로를 따라 이동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폐가스가 이동되는 대형 관로에는 약 천여 개의 응축수 배출을 위한 밸브들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 배출 밸브들은 폐가스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고여 있다가 서서히 배출될 수 있도록 관로가 밴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응축수 배출 밸브들은,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대형의 메인 폐가스 관로(101)의 저면에 응축수 배출밸브가 연결되고 이 응축수 배출밸브는 아래 방향으로 향하는 상태에서 위쪽 방향으로 밴딩되고 다시 이어서 아래쪽 방향으 로 밴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통상 S자 모양으로 두 번 구부려 액체가 항상 고여 있어 가스의 역류를 막는 S 트랩(trap)장치를 의미함).
응축수 배출밸브들에 고여있는 응축수(105)는 대형의 관로를 통과하는 폐가스가 적정한 압력을 유지하는 경우에 폐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폐가스가 대형의 관로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국부적으로 압력이 상승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폐가스는 응축수 배출밸브에 고여있는 응축수를 밀어내고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다량의 폐가스가 응축수 배출밸브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가스폭발 사고나 가스 중독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폐가스가 누출된 응축수 배출밸브에서는 응축수가 폐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배출되어 폐가스가 지속적으로 누출될 수 있어 신속한 폐가스 누출 차단 작업이 필요하다.
폐가스 누출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작업자들이 의심되는 각각의 응축수 배출밸브를 확인하여 찾아내고 배출된 응축수 대신 적당한 물 또는 액체를 다시 투입하여 폐가스의 배출을 차단한다. 따라서 대형의 관로에 제공되어 있는 다수의 응축수 배출밸브를 관리하고 유지 보수하는데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의 폐가스 관로에 제공된 다수의 응축수 배출밸브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유지 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가스 관로에 다수가 제공되며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 안전밸브에 있어서, 상기 폐가스 관로의 저면에 연결되는 제 1 관로, 상기 제 1 관로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제 1 관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관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관로와 상기 제 2 관로 사이에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바이패스 관로가 제공되는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제 2 관로는 일부가 연장되어 밴딩되어 출구부를 이루는 배출관로가 나란하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패스 관로는 상기 제 1 관로의 저면측과 상기 제 2 관로의 상부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패스 관로는 그 직경에 상기 제 1 관로와 상기 제 2 관로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대형의 폐가스 관로에서 국부적으로 가스의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에 바이패스 관로를 통하여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고 적정한 양의 응축수가 안전밸브 내에 그대로 남아 있어 작업자가 별도로 물 등의 액체를 보충할 필 요가 없으므로 작업 공수가 줄어들어 유지 관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를 도시하고 있다.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는 폐가스가 통과하는 폐가스 관로(1)의 저면에 제공된다.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는 폐가스 관로(1)의 저면에 연결되어 응축수가 유입되어 모이는 제 1 관로(3), 제 1 관로(3)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제 1 관로(3)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관로(5), 그리고 제 2 관로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제 2 관로(5)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3 관로(7)를 포함한다.
그리고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는 제 1 관로(3)와 제 2 관로(5) 사이에 제공되는 바이패스 관로(9)를 더 포함한다.
제 1 관로(3)는 폐가스 관로(1)의 저면에 연결되어 폐가스 관로(1)를 통과하는 폐가스에서 발생하는 응축수(w)가 모여진다. 응축수(w)는 일정한 양 이상이 모여지면 제 1 관로(3)와 제 2 관로(5) 사이에 있다가 증가되는 양만큼 제 3 관로(7)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항상 일정한 양은 제 1 관로(3)와 제 2 관로(5)에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응축수(w)는 일정한 압력 범위 내에서는 폐가스 관로(1)를 통과하는 폐가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관로(5)는 제 1 관로(3)에서 연장되어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밴딩된다. 그리고 제 2 관로(5)는 출구 측이 위쪽을 향하여 배치된다.
또한, 제 3 관로(7)는 제 2 관로(5)의 출구 측이 연장되어 밴딩되며 제 2 관로(5)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패스 관로(9)는 입구부(9a)가 제 1 관로(3)의 아래 부분에 연결되고, 출구부(9b)가 제 2 관로(5)의 위 부분에 연결된다. 이러한 바이패스 관로(9)는 제 1 관로(3) 및 제2 관로(5)에 비하여 직경이 작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이패스 관로(9)의 배치구조는 폐가스 관로(1)의 국부적인 내부 압력이 증가될 때 증가된 압력만큼의 폐가스만을 외부로 방출하고 적정량의 응축수는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폐가스 관로(1)를 통과하는 폐가스에서 응축수(w)가 생기면 제 1 관로(3) 측으로 모이게 된다. 응축수(w)가 일정한 양 이상이면 추가로 발생되는 응축수(w)는 제 2 관로(5)를 통과하여 제 3 관로(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응축수(w)의 양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폐가스 관로(1)를 통과하는 폐가스가 외부로 새지 않고 폐가스 처리장치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국지적으로 폐가스 관로(1)의 압력이 증가하면,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응축수(w)의 수면이 폐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제 1 관로(3) 의 저면 측으로 이동된다. 물론 이때 일정한 양의 응축수(w)는 제 2 관로(5)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폐가스 관로(1)의 압력에 의하여 응축수(w)의 수면이 바이패스 관로(9)의 두께(d) 사이로 내려가면 폐가스(w)가 바이패스 관로(9)를 통하여 제 2 관로(5)의 상부 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 2 관로(5)로 이동된 폐가스는 제 3 관로(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폐가스는 바이패스 관로(9)를 통하여 폐가스 만이 외부로 유출되고 적정량의 응축수(w)는 여전히 제 1 관로(3)와 제 2 관로(5)에 남아있게 된다.
그리고 폐가스 관로(1)의 압력이 적정한 압력으로 환원되면 제 1 관로(3)의 응축수(w)의 수면은 다시 상승하여 바이패스 관로(9)의 입구부(9a)를 차단한다.
따라서 제 1 관로(3)와 제 2 관로(5) 사이에는 적정량의 응축수가 그대로 유지되어 폐가스 관로(1)에서 폐가스가 지속적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제1 관로(3)와 제 2 관로(5) 사이에 항상 적정량의 응축수가 유지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별도로 제 1 관로(3)와 제 2 관로(5)측에 물 등의 액체를 채우는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의 저압가스 배관의 밸브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관리에 소요되는 작업 공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폐가스 관로(1)에 제공되는 응축수 밸브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의 구성도이다.

Claims (4)

  1. 폐가스 관로에 다수가 제공되며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 안전밸브에 있어서,
    상기 폐가스 관로의 저면에 연결되는 제 1 관로,
    상기 제 1 관로에서 연장되어 밴딩되며 상기 제 1 관로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관로,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관로와 상기 제 2 관로 사이에 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바이패스 관로가 제공되는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관로는
    일부가 연장되어 밴딩되여 출구부를 이루는 배출관로가 나란하게 제공되는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관로는
    상기 제 1 관로의 저면측과 상기 제 2 관로의 상부측에 연결되는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관로는
    그 직경에 상기 제 1 관로와 상기 제 2 관로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이루어지는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
KR1020090106204A 2009-11-04 2009-11-04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 KR101066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204A KR101066647B1 (ko) 2009-11-04 2009-11-04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204A KR101066647B1 (ko) 2009-11-04 2009-11-04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265A KR20110049265A (ko) 2011-05-12
KR101066647B1 true KR101066647B1 (ko) 2011-09-21

Family

ID=4436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204A KR101066647B1 (ko) 2009-11-04 2009-11-04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6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654Y1 (ko) * 1991-12-26 1993-12-23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가스 분출 자동차단밸브
KR200223932Y1 (ko) 2000-11-10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씨오지 배관의 나프탈렌 및 수분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654Y1 (ko) * 1991-12-26 1993-12-23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가스 분출 자동차단밸브
KR200223932Y1 (ko) 2000-11-10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씨오지 배관의 나프탈렌 및 수분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265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441B1 (ko)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
Ramezani et al. The challenge of air valves: A selective critical literature review
KR102012128B1 (ko) 응축수 배출장치
CN105019538A (zh) 间歇压力流排水系统
KR101066647B1 (ko)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
KR100815875B1 (ko) 진공흡입차용 오,폐수 넘침 차단장치
US20140020775A1 (en) Manifold battery for hydrocarbon fields
Hager et al. Supercritical flow in sewer manholes
CN110863795A (zh) 一种通过高压气源排除地面管线积液的方法
JP2007146423A (ja) 雨水貯留施設運用システム
CN209688528U (zh) 煤气冷凝水组合型排水器
RU2393336C1 (ru) Обвязка устьевого и назем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метаноугольной скважины (варианты)
KR200435698Y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KR102436761B1 (ko) 오수 처리 장치 및 방법
CN215722563U (zh) 压力容器排污装置
CN214781675U (zh) 一种用于igcc气化炉激冷气压缩机入口排液装置
CN214598252U (zh) 一种干法脱硫塔的排水防护装置
CN211690651U (zh) 复合型排水管道
JP5492663B2 (ja) 真空式下水道システムの配管構造及び真空式下水道システム
CN220151957U (zh) 一种煤气处理装置及其排水系统
CN217175104U (zh) 一种管道系统缓冲排污装置
CN212481247U (zh) 一种海洋平台排放扩容装置
CN217584080U (zh) 一种供汽管道疏水系统
CN217128433U9 (zh) 一种污水管线分支口
CN209655045U (zh) 煤气水封排水系统及煤气安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