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637B1 - 이중 관로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관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637B1
KR101898637B1 KR1020160060245A KR20160060245A KR101898637B1 KR 101898637 B1 KR101898637 B1 KR 101898637B1 KR 1020160060245 A KR1020160060245 A KR 1020160060245A KR 20160060245 A KR20160060245 A KR 20160060245A KR 101898637 B1 KR101898637 B1 KR 101898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hannel
water
section
channel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490A (ko
Inventor
현인환
김두일
구자용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637B1/ko
Publication of KR20170129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2Public or like main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4Domestic or like local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관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 이동하는 제1 관로와, 물이 이동하는 제2 관로와, 제1 관로 및 제2 관로를 연결하고 소정의 간격을 두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을 포함하고, 제1 관로 중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 사이의 제1 관로 구간의 수량과, 제2 관로 중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 사이의 제2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이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중 관로 장치{DOUBLE PIPE APPARATUS}
본 발명은 이중 관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두 관로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연결관을 배치하되, 두 관로에 있어서 인접하는 연결관 사이의 마주보는 관로 구간의 관경을 서로 다르게 하거나, 위 관로 구간에 각각 설치된 제수밸브를 조절하여, 연결관 내에서 물이 정체되지 않도록 하는 이중 관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좋은 수질의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은 시민들이 물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면서도 중요한 목표이다. 우리나라의 높아지는 경제적 수준만큼 더 나은 수질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지진 같은 자연 재해나 전쟁 등의 긴급 상황시에도 안정적인 물 공급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격자형 관망 구성이 어려운 도수, 송수 및 배수간선 관은 대부분이 단선 관로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관로 도중 어느 한 곳이라도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면 그 이후 단의 지역은 단수를 피할 수 없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도수, 송수 배수간선을 단선 관로로 설치한지 오래된 지역이 많아 향후 문제 발생에 대한 대책을 미리 강구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관로의 일부 구간을 이중 관로로 설치하여, 이중 관로의 각 관로에 1일 최대 급수량의 80% 정도가 흐를 수 있도록 설계하여, 비상시(가령 관로 사고시, 청소 등 유지관리시)에도 (일년 중 1일 최대 급수량이 요구되는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는) 정상적인 상수도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1일 최대 급수량이 소요되는 기간에도 필요한 급수량의 80%는 공급되기 때문에 이 경우 큰 문제없이 대처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경우 이중 관로는 비상시에도 일정 수량 이상을 공급할 수 있도록 과대한 관경으로 설계되기 때문에, 평상시의 유속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유속 문제는 관체나 밸브 등 부속시설이 파손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관로의 수질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특히 도수 관로의 경우 적정 유속을 만족하지 못하면 관내에 침전물이 적체되며 이로 인해 통수 단면적의 축소, 손실 계수의 증가, 이로 인한 에너지 손실, 수량 부족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저유속으로 인해 도수 관로에서는 침전 작용이 더욱 커지며, 잔류 염소의 감소량 증가로 인한 수질 오염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다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며, ‘이중송수관로를 이용한 안정적인 송수를 위한 설계인자에 관한 연구(2013, 현인환, 홍준의, 김두일, 대한상하수도학회지)’에서는 도 1과 같이 이중 관로에 소정의 간격으로 연결관을 설치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연결관이 있게 되면, 이중 관로 중 파손부분 또는 갱생 작업 구간이 있는 관로의 해당 부분만 제수밸브를 작동시켜 고립시키고, 고립된 구간에 대응하는 나머지 관로의 구간은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이중 관로처럼 관경을 과대하게 하지 않아도 되어 관로의 유속이 저하되는 문제를 어느 정도 개선할 수 있었다.
다만, 도 1의 연결관이 설치된 이중 관로는 연결관 부위의 유속 관리에 문제가 있다. 연결관에서의 유속은 평상시에 연결관들을 전부 개방하거나, 폐쇄하거나 관계없이 거의 0 m/sec 에 가까운 유속을 나타내며, 비상시 일정구간을 폐쇄하였을 경우에 우회관로로 이용되는 연결관만 유속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관의 정체수로 인한 수질 오염이 문제가 되며, 장시간 유속이 정체된 연결관 부위를 비상시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수질 관리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0199호: 하수관로 물막이 공법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평상시에도 연결관에 물이 흐르게 하여 연결관 내 정체수 발생으로 인한 수질 오염을 방지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관로 장치는 물이 이동하는 제1 관로와, 물이 이동하는 제2 관로와, 상기 제1 관로 및 상기 제2 관로를 연결하고 소정의 간격을 두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로 중 상기 제1 연결관과 상기 제2 연결관 사이의 제1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과 상기 제2 관로 중 상기 제1 연결관과 상기 제2 연결관 사이의 제2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이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관로 구간의 관경은 상기 제2 관로 구간의 관경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관로 장치는 상기 제1 관로 구간에 설치된 제1 제수밸브와, 상기 제2 관로 구간에 설치된 제2 제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수밸브 및 상기 제2 제수밸브는, 상기 제1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이 상기 제2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과 상이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관로 장치는 상기 제1 관로 및 상기 제2 관로를 연결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제2 연결관과 인접하되 상기 제1 연결관과 반대되는 쪽에 배치되는 제3 연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은 상기 제2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보다 작고, 상기 제1 관로 중 상기 제2 연결관과 상기 제3 연결관 사이의 제3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은 상기 제2 관로 중 상기 제2 연결관과 상기 제3 연결관 사이의 제4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관로 구간의 관경은 상기 제1 관로의 관경보다 크고 상기 제4 관로 구간의 관경은 상기 제1 관로의 관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관로 구간의 관경은 상기 제1 관로 구간의 관경보다 크고, 상기 제4 관로 구간의 관경은 상기 제3 관로 구간의 관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관로 구간의 관경은 상기 제3 관로 구간의 관경보다 작고, 상기 제2 관로 구간의 관경은 상기 제4 관로 구간의 관경보다 클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관로 장치는 상기 제1 관로 구간에 설치된 제1 제수밸브와, 상기 제2 관로 구간에 설치된 제2 제수밸브와, 상기 제3 관로 구간에 설치된 제3 제수밸브와, 상기 제4 관로 구간에 설치된 제4 제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수밸브 및 상기 제2 제수밸브는, 상기 제1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이 상기 제2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보다 작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3 제수밸브 및 상기 제4 제수밸브는, 상기 제3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이 상기 제4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보다 크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관로에 있어서 인접하는 연결관 사이의 마주보는 관로 구간의 관경을 서로 다르게 하거나, 위 관로 구간에 설치된 제수밸브를 조절하여, 연결관 내에 물이 정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이중 관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중 관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중 관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관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이중 관로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연결관(130)이 설치된 이중 관로 장치(100)는 연결관(130) 부위에 유속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정체수 관리 문제가 있었다. 이에 설계수량, 제1 관로(110)와 제2 관로(120)의 관경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여 프로그램으로 가상 실험을 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한편, 앞으로 설명될 모든 실험은 이중 관로 사이에 14개의 연결관을 배치하여, 연결관과 연결관 사이에 15개의 관로 구간을 발생하게 하였으며, 각 관로 구간의 길이는 1,000m 이고, 연결관의 길이는 100m 로 설정하였다. 또한 정상시의 설계 유속을 1.0 m/sec ∼ 1.5 m/sec를 유지하고, 단수시에는 최대 유속을 3.0m/sec, 가능하면 유속 2.5m/sec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 수량 대비 관경을 설정하였다.
검토조건:
- 설계 수량: 150,000 m3/day
- 제1 관로(110) 관경: 1,100mm
- 제2 관로(120) 관경: 900mm
- 연결관(130) 관경: 600mm
Figure 112016047117887-pat00001
표 1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이중 관로의 연결관(130)에서의 평상시의 유속은 0.00 m/sec로 물이 흐르지 않고, 제1 관로(110) 또는 제2 관로(120)의 일정 구간을 폐쇄하는 경우, 우회관로로 이용되는 연결관만 유속이 증가하며, 그 외의 연결관은 여전히 유속이 없었다. 이에 후술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존의 연결관(130)에서의 정체수 발생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관로 장치(200, 300, 4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이중 관로 장치(200, 300, 400)는 공통적으로, 물이 이동하는 제1 관로(210, 310, 410)와, 물이 이동하는 제2 관로(220, 320, 420)와, 제1 관로(210, 310, 410)및 제2 관로(220, 320, 420)를 연결하고 소정의 간격을 두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연결관(231, 331, 431) 및 제2 연결관(232, 332, 432)과, 제1 관로(210, 310, 410) 및 제2 관로(220, 320, 420)를 연결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2 연결관(232, 332, 432)과 인접하되 제1 연결관(231, 331, 431)과 반대되는 쪽에 배치되는 제3 연결관(233, 333, 433)을 포함한다.
이때 제1 관로(210, 310, 410) 중 제1 연결관(231, 331, 431)과 제2 연결관(232, 332, 432) 사이의 관로 구간을 제1 관로 구간(210a, 310a, 410a), 제2 관로(220, 320, 420) 중 제1 연결관(231, 331, 431)과 제2 연결관(232, 332, 432) 사이의 관로 구간을 제2 관로 구간(220a, 320a, 420a), 제1 관로(210, 310, 410) 중 제2 연결관(232, 332, 432)과 제3 연결관(233, 333, 433) 사이의 관로 구간을 제3 관로 구간(210b, 310b, 410b), 제2 관로(220, 320, 420) 중 제2 연결관(232, 332, 432)과 제3 연결관(233, 333, 433) 사이의 관로 구간을 제4 관로 구간(220b, 320b, 420b)이라 한다.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제1 관로 구간(210a, 310a, 410a)에 흐르는 수량이 제2 관로 구간(220a, 320a, 420a)에 흐르는 수량보다 작고, 제3 관로 구간(210b, 310b, 410b)에 흐르는 수량이 제4 관로 구간(220b, 320b, 420b)에 흐르는 수량보다 크도록 관로를 구성하여, 제1 관로 구간(210a, 310a, 410a)보다 수량이 많은 제2 관로 구간(220a, 320a, 420a)에서 제2 연결관(232, 332, 432)을 통해 제1 관로(210, 310, 410)로 물이 이동하도록 하며, 제4 관로 구간(220b, 320b, 420b)보다 수량이 많은 제3 관로 구간(210b, 310b, 410b)에서 제3 연결관(233, 333, 433)을 통해 수량이 적은 제2 관로(220, 320, 420)로 물이 이동하도록 하여 연결관에 유속을 발생시켜 정체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관로는 물이 이동하는 통로이며 도수관로, 송수관로, 배수관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제1 관로(210, 310, 410) 또는 제2 관로(220, 320, 420)의 어느 한 부분이 파손될 경우 제수밸브(241, 242, 243, 244, 341, 342, 343, 344, 441, 442, 443, 444)를 작동시켜 파손된 부분을 고립시키고, 물이 연결관(231, 232, 233, 331, 332, 333, 431, 432, 433)을 통해 파손된 관로를 우회하도록 하여 비상시에도 파손된 관로 구간을 제외한 모든 관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제수밸브(241, 242, 243, 244, 341, 342, 343, 344, 441, 442, 443, 444)는 송수관과 배수관 등의 관로에 사용하는 슬루스 밸브와 버터플라이 밸브 등을 포함한다. 제수밸브(241, 242, 243, 244, 341, 342, 343, 344, 441, 442, 443, 444)는 관로의 시점, 종점, 배수관의 분기점 중 적어도 한 지점에 설치할 수 있고, 배수의 균형을 꾀하기 위한 수압 조정과 누수 수리, 관청소, 급수관의 분기 공사때 수로의 개폐 등에 사용된다.
이중 관로 장치(200, 300, 400)는 제1 관로(210, 310, 410) 중 제1 연결관(231, 331, 431)과 제2 연결관(232, 332, 432) 사이의 관로 구간인 제1 관로 구간(210a, 310a, 410a)에 흐르는 수량과 제2 관로(220, 320, 420) 중 제1 연결관(231, 331, 431)과 제2 연결관(232, 332, 432) 사이의 관로 구간인 제2 관로 구간(220a, 320a, 420a)에 흐르는 수량이 서로 상이하도록 관로를 구성함으로써, 물이 이동할때 수량이 많은 관로에서 수량이 적은 관로로 연결관을 통해 물이 이동하도록 하여, 연결관 내 유속을 발생시켜 물이 정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일부분을 참조하면, 제1 관로 구간(210a, 310a)에 흐르는 수량과 제2 관로 구간(220a, 320a)에 흐르는 수량이 상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제1 관로 구간(210a, 310a)의 관경이 제2 관로 구간(220a, 320a)의 관경과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관로 구간(220a, 320a)의 관경이 제1 관로 구간(210a, 310a)의 관경보다 크도록 관로를 구성하면, 제2 관로 구간(220a, 320a)의 관로에는 제1 관로 구간(210a, 310a)의 관로보다 더 많은 수량이 흐르게 되므로, 연결관(231, 331)에는 제1 관로(210, 310)로부터 제2 관로(220, 320)로 물이 흐르게 되고, 다음 관로 구간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232, 332)에서는 제2 관로(220, 320)로부터 제1 관로(210, 310) 쪽으로 물이 흐르게 되어 연결관(232, 332) 내에 물이 정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일부분을 참조하면, 제1 관로 구간(410a)에 흐르는 수량과 제2 관로 구간(420a)에 흐르는 수량이 상이하도록 하기 위해, 제1 관로 구간(410a)에 제1 제수밸브(441)와, 제2 관로 구간(420a)에 제2 제수밸브(442)를 구성하여 제1 관로 구간(410a)에 흐르는 수량이 제2 관로 구간(420a)에 흐르는 수량과 상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수밸브(441)를 제어하여 제1 관로 구간(410a)에는 전체 수량의 30%만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제2 제수밸브(442)를 제어하여 제2 관로 구간(420a)에는 전체 수량의 70%을 흐를 수 있게 한다면, 제2 관로 구간(420a)의 관로에는 제1 관로 구간(410a)의 관로보다 더 많은 수량이 흐르게 되므로, 연결관(431)에는 제1 관로(410)로부터 제2 관로(420)로 물이 흐르게 되고, 다음 관로 구간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432)에서는 제2 관로(420)로부터 제1 관로(410) 쪽으로 물이 흐르게 되어 연결관(432) 내에 물이 정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관로 장치(200)는, 관경이 일정한 제1 관로(210)와 관로 구간 마다 관경이 상이한 제2 관로(2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 관로 구간(220a)의 관경은 제1 관로(210)의 관경보다 크고, 제4 관로 구간(220b)의 관경이 제1 관로(210)의 관경보다 작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로(210)의 관경은 1,000mm 이고, 제2 관로 구간(220a)의 관경은 1,100 mm, 제4 관로 구간(220b)의 관경은 800 mm로 구성한다면, 제1 관로 구간(210a)보다 관경이 더 큰 제2 관로 구간(220a)에서 더 많은 수량이 흐르게 되므로 제2 관로 구간(220a)에서 제2 연결관(232)을 통해 제1 관로(210)로 물이 이동하며, 제4 관로 구간(220b)보다 관경이 더 큰 제3 관로 구간(210b)에서 더 많은 수량이 흐르게 되므로, 제3 관로 구간(210b)에서 제3 연결관(233)을 통해 수량이 적은 제2 관로(220)로 물이 이동하여 연결관에 유속을 발생시켜 물이 정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설계수량, 제1 관로(210)와 제2 관로(220)의 관경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여 프로그램으로 가상 실험을 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검토조건:
- 설계 수량: 150,000 m3/day
- 제1 관로(210) 관경: 1,000mm
- 제2 관로(220) 관경: 800 mm→1,100 mm →800 mm →1,100 mm →...
- 연결관(231, 232, 233) 관경: 600 mm
Figure 112016047117887-pat00002
표 2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연결관(231, 232, 233)에서의 평상시의 유속은 0.63 m/sec으로 정체수가 발생하지 않으며, 제1 관로(210) 또는 제2 관로(220)의 일정 구간을 폐쇄하는 경우, 폐쇄된 구간의 연결관만 유속이 발생하지 않을 뿐, 나머지 구간의 연결관에서는 여전히 0.71~0.73 m/sec의 유속이 발생하여 정체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관로 장치(300)는 각 관로 구간의 마주 보는 제1 관로(310) 및 제2 관로(320)의 관경이 서로 상이하고, 더하여 같은 관로에서 인접하는 관로 구간(가령 310a 와 310b, 또는 320a 와 320b)의 관경 또한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되었다.
이처럼 제2 관로 구간(320a)의 관경이 제1 관로 구간(310a)의 관경보다 크고, 제4 관로 구간(320b)의 관경이 제3 관로 구간(310b)의 관경보다 작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제1 관로 구간(310a)의 관경이 제3 관로 구간(310b)의 관경보다 작고, 제2 관로 구간(320a)의 관경이 제4 관로 구간(320b)의 관경보다 크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하여 위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로 구간(310a)의 관경은 900mm, 제2 관로 구간(320a)의 관경은 1,100mm, 제3 관로 구간(310b)의 관경은 1,100mm, 제4 관로 구간(320b)의 관경은 900mm로 구성한다면, 제1 관로 구간(310a)보다 관경이 더 큰 제2 관로 구간(320a)에서 더 많은 수량이 흐르게 되므로 제2 관로 구간(320a)에서 제2 연결관(332)을 통해 제1 관로(310)로 물이 이동하며, 제4 관로 구간(320b)보다 관경이 더 큰 제3 관로 구간(310b)에서 더 많은 수량이 흐르게 되므로, 제3 관로 구간(310b)에서 제3 연결관(333)을 통해 수량이 적은 제2 관로(320)로 물이 이동하여 연결관에 유속을 발생시켜 물이 정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설계 수량, 제1 관로(310)와 제2 관로(320)의 관경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여 프로그램으로 가상 실험을 하였고, 결과는 하기 표 3와 같다.
검토조건:
- 설계수량: 150,000 m3/day
- 제1 관로(310) 관경: 900 mm→1,100 mm →900 mm →1,100 mm →...
- 제2 관로(320) 관경: 1,100mm→900 mm →1,100 mm →900 mm → ...
- 연결관(331, 332, 333) 관경: 600 mm
Figure 112016047117887-pat00003
표 3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연결관(331, 332, 333)에서의 평상시의 유속은 1.07 m/sec으로 정체수가 발생하지 않으며, 제1 관로(310) 또는 제2 관로(320)의 일정 구간을 폐쇄하는 경우, 폐쇄된 구간의 연결관만 유속이 발생하지 않을 뿐, 나머지 구간의 연결관에서는 여전히 1.04 m/sec의 유속이 발생하여 정체수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관로 장치(400)는 제1 관로 구간(410a)에 설치된 제1 제수밸브(441)와, 제2 관로 구간(420a)에 설치된 제2 제수밸브(442)와, 제3 관로 구간(410b)에 설치된 제3 제수밸브(443)와, 제4 관로 구간(420b)에 설치된 제4 제수밸브(4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수밸브(441) 및 제2 제수밸브(442)는 제1 관로 구간(410a)에 흐르는 수량이 제2 관로 구간(420a)에 흐르는 수량보다 작도록 제어되고, 제3 제수밸브(443) 및 제4 제수밸브(444)는 제3 관로 구간(410b)에 흐르는 수량이 제4 관로 구간(420b)에 흐르는 수량보다 크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어 제1 제수밸브(141)를 제어하여 제1 관로 구간(410a)에는 30%의 수량만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제2 제수밸브(442)를 제어하여 제2 관로 구간(420a)에는 70%의 수량을 흐를 수 있게 하며, 제3 제수밸브(443)를 제어하여 제3 관로 구간(410b)에는 70%의 수량만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제4 제수밸브(444)를 제어하여 제4 관로 구간(420b)에는 30%의 수량을 흐를 수 있게 한다면, 제1 관로 구간(410a)보다 수량이 많은 제2 관로 구간(420a)에서 제2 연결관(432)을 통해 제1 관로(410)로 물이 이동하도록 하며, 제4 관로 구간(420b)보다 수량이 많은 제3 관로 구간(410b)에서 제3 연결관(433)을 통해 수량이 적은 제2 관로(420)로 물이 이동하도록 하여 연결관 내에 물이 정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300, 400: 이중 관로 장치
110, 210, 310, 410: 제1 관로
120, 220, 320, 420: 제2 관로
130: 연결관
210a, 310a, 410a: 제1 관로 구간
220a, 320a, 420a: 제2 관로 구간
210b, 310b, 410b: 제3 관로 구간
220b, 320b, 420b: 제4 관로 구간
231, 331, 431: 제1 연결관
232, 332, 432: 제2 연결관
233, 333, 433: 제3 연결관
241, 341, 441: 제1 제수밸브
242, 342, 442: 제2 제수밸브
243, 343, 443: 제3 제수밸브
244, 344, 444: 제4 제수밸브

Claims (8)

  1. 물이 이동하는 제1 관로와,
    물이 이동하는 제2 관로와,
    상기 제1 관로 및 상기 제2 관로를 연결하고, 소정의 간격을 두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연결관 및 제2 연결관과,
    상기 제1 관로 및 상기 제2 관로를 연결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제2 연결관과 인접하되 상기 제1 연결관과 반대되는 쪽에 배치되는 제3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로 중 상기 제1 연결관과 상기 제2 연결관 사이의 제1 관로 구간의 관경은 상기 제2 관로 중 상기 제1 연결관과 상기 제2 연결관 사이의 제2 관로 구간의 관경보다 작고,
    상기 제1 관로 중 상기 제2 연결관과 상기 제3 연결관 사이의 제3 관로 구간의 관경은 상기 제2 관로 중 상기 제2 연결관과 상기 제3 연결관 사이의 제4 관로 구간의 관경보다 큰
    이중 관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로 구간에 설치된 제1 제수밸브와,
    상기 제2 관로 구간에 설치된 제2 제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수밸브 및 상기 제2 제수밸브는,
    상기 제1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이 상기 제2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과 상이하도록 제어되는,
    이중 관로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로 구간의 관경은 상기 제3 관로 구간의 관경보다 작고,
    상기 제2 관로 구간의 관경은 상기 제4 관로 구간의 관경보다 큰,
    이중 관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로 구간에 설치된 제1 제수밸브와,
    상기 제2 관로 구간에 설치된 제2 제수밸브와,
    상기 제3 관로 구간에 설치된 제3 제수밸브와,
    상기 제4 관로 구간에 설치된 제4 제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수밸브 및 상기 제2 제수밸브는,
    상기 제1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이 상기 제2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보다 작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3 제수밸브 및 상기 제4 제수밸브는,
    상기 제3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이 상기 제4 관로 구간에 흐르는 수량보다 크도록 제어되는,
    이중 관로 장치.

KR1020160060245A 2016-05-17 2016-05-17 이중 관로 장치 KR101898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245A KR101898637B1 (ko) 2016-05-17 2016-05-17 이중 관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245A KR101898637B1 (ko) 2016-05-17 2016-05-17 이중 관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490A KR20170129490A (ko) 2017-11-27
KR101898637B1 true KR101898637B1 (ko) 2018-10-31

Family

ID=60810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245A KR101898637B1 (ko) 2016-05-17 2016-05-17 이중 관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6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2841A (ja) 1998-12-15 2000-06-30 Hitachi Ltd 電気機器の冷却装置
KR101230485B1 (ko) * 2012-10-04 2013-02-06 주식회사 인진 배기가스 열교환기용 열교환 배관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2841A (ja) 1998-12-15 2000-06-30 Hitachi Ltd 電気機器の冷却装置
KR101230485B1 (ko) * 2012-10-04 2013-02-06 주식회사 인진 배기가스 열교환기용 열교환 배관부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현인환 외 2명. 대한상하수도학회지(제129면 내지 제138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490A (ko) 201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441B1 (ko) 저압가스 배관의 안전밸브
EP3208388A1 (de) Spülstation für ein ring- oder reihenleitungssystem, ringleitungssystem sowie reihenleitungssystem
KR101898637B1 (ko) 이중 관로 장치
US91572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hydraulic capacity of a sewer
CN111305359A (zh) 一种水力型截流井及其使用方法
JP5525318B2 (ja) 既設本管の更新工法
CN208563531U (zh) 一种截流系统
DE202018102284U1 (de) Wasserarmatur zur Durchführung einer Hygienespülung
CN212896611U (zh) 一种多路稳压供水装置
CN207086491U (zh) 具有自吸防堵功能的导热油系统清洗设备
CN208547384U (zh) 一种可多级流量调节的排水系统试验装置
CN108844763A (zh) 可多级流量调节的排水系统试验装置
AU2007100605A4 (en) Grey water double interceptor
KR102228849B1 (ko)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 장치 및 그 방법
JPH03187433A (ja) 配排水管渠内の流下水を切り廻しする方法および装置
Ivetic Forensic transient analyses of two pipeline failures
JP6168988B2 (ja) バイパス管及びこれを備えた真空式液体収集システム
CN108775066A (zh) 一种截流系统
KR200256151Y1 (ko) 우수토실 유출조
Williamson et al. Challenges of repairing small ageing dams caused by the deterioration and failure of hydro mechanical equipment
CN207086488U (zh) 具有正反向切换冲洗功能的导热油系统清洗设备
JP2021011703A (ja) 圧送管構造
Formica et al. A new spin on CSO control: Optimizing regulator control with vortex valves
WO2007113378A3 (en) A method and equipment for water distribution
KR101683462B1 (ko) 사통 복통 대체용 다수의 취수구를 이용한 취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