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174B1 - 절단이 용이한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절단이 용이한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174B1
KR101065174B1 KR1020090011584A KR20090011584A KR101065174B1 KR 101065174 B1 KR101065174 B1 KR 101065174B1 KR 1020090011584 A KR1020090011584 A KR 1020090011584A KR 20090011584 A KR20090011584 A KR 20090011584A KR 101065174 B1 KR101065174 B1 KR 101065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fusion
cutting
roller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288A (ko
Inventor
정관선
Original Assignee
정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관선 filed Critical 정관선
Priority to KR1020090011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1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92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 융착부와 상단 융착부, 하단 융착부에 의해 두겹의 포장지 사이에 내용물 충전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단 융착부, 하단 융착부의 양끝단에는 절단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절단부에는 다수개의 절단홈이 형성된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 융착부는 수직상태로 서로 평행을 이루되 상단 융착부와 하단 융착부는 사선상태로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하여 파우치의 정면형상이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파우치의 형상이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어서 절단부가 파우치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진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파우치의 모서리부분 절단을 위한 가상 절단선이 최단거리가 되는 것이어서 한 번의 찢는 동작으로도 파우치의 모서리부를 빠르고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파우치를 길이방향으로 찢다가 다시 측방향으로 찢어서 모서리를 제거해야하는 종래의 파우치에 비해 매우 깔끔하게 파우치를 개방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며,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개구부(개봉부) 폭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어서 내용물의 배출량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가 원하는 개구부(개봉부) 폭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레토르트, 파우치, 절단홈, 제조장치

Description

절단이 용이한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A RETORT POUCH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THE RETORT POUCH}
본 발명은 절단이 용이한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봉위치, 즉 절단위치의 조절이 용이하고 손쉽게 절단할 수 있는 파우치와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토르트 파우치는 주로 과일 및 채소의 엑기스나 한약재와 같은 액상, 차와 라면스프 같은 분말 및 과립 등을 보관이 용이하도록 비닐 또는 알루미늄 은박을 이용하는 포장수단을 의미하며, 상기 레토르트 파우치(이하 '파우치'라 한다)에 일정량의 내용물을 넣고 밀봉하기 위한 장치를 레토르트 파우치 제조장치(이하 '파우치 제조장치'라 한다)라 한다.
종래의 파우치(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측면 융착부(21)와 상단 융착부(22), 하단 융착부(23)에 의해 두겹의 포장지 사이에 내용물 충전부(24)를 형성하고 상기 내용물 충전부(24)에 내 용물을 충전하여 밀봉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상단 융착부(22), 하단 융착부(23)의 양끝단에는 톱날의 형상과 같은 절단부(25)가 형성되며, 상기 절단부(25)는 다수개의 절단홈(25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단홈(25a)은 파우치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로, 대개 종래의 파우치는 가장 취약한 부분인 절단홈(25a)부터 찢어지기 시작해서 힘이 가해지는 직선의 수직방향, 즉 파우치의 길이방향으로 찢어지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 파우치(1)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1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파우치의 양측단 부위를 가압하여 열융착할 수 있도록 일측에 히터(미도시)가 내장된 한쌍의 양측단 융착롤러(30)와, 파우치의 하단 부위 및 상단 부위를 접합할 수 있도록 역시 일측에 히터(미도시)가 내장되고 융착구(40a)를 구비하는 한쌍의 상하단 융착롤러(40)와, 내용물 충전이 완료된 파우치의 상단과 하단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절단구(50a)를 구비하는 한쌍의 절단롤러(50)와, 상기 양측단 융착롤러(30)와 상하단 융착롤러(40) 및 절단롤러(50)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개의 구동기어(31,41,51)를 구비하는 스테핑 모터(7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종래의 파우치(1)는 측면 융 착부가 수직상태로 서로 평행이고, 상단 융착부와 하단 융착부는 수평상태로 서로 평행인 구조여서 정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단 융착부(22)와 하단 융착부(23)의 끝단에 형성된 절단부(25)의 절단홈(25a)이 지나는 방향, 즉 가상 절단선(26)이 파우치(1)의 길이방향, 즉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어서 가위 등과 같은 절단도구가 없이 파우치를 절단하고자 할 때는 먼저 파우치의 모서리부분을 잡고 절단홈(25a)의 절단 결을 따라 먼저 수직방향으로 찢은 다음 다시 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모서리부분을 제거하게 된다.
그런데 파우치는 절단홈(25a)이 가장 취약한 부분이어서 결을 따라서 절단할 때는 잘 찢어지나 측 방향으로는 잘 찢어지지 않는 특성을 갖는 것이어서, 많은 사람들이 절단도구 없이 손으로 파우치를 개봉함에 있어 내용물이 쏟아지거나 개구부부가 완전히 찢어지지 않아 마시는데 방해가 되는 등 종래의 파우치(1)를 사용함에 있어 매우 불편해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파우치에 충전된 액상의 내용물을 섭취하고자 할 때 사용자들은 보통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는데, 직접 파우치에 입을 대고 마시는 경우와 컵에 따라 마시는 경우가 있다. 또 사용자에 따라 파우치의 개구부의 폭을 넓게 하여 신속하게 마시고자 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며, 좁게 하여 조심스럽게 마시고자 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또한 라면 스프 및 커피 등과 같이 액상 또는 과립형태의 내용물을 포장한 파우치의 경우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내용물의 투입량을 적게 또는 많게 조절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의 파우치는 모서리를 절단하는 구조가 아니라 길이방향으 로 절단되는 구조여서 개구부가 너무 넓게 절단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내용물의 투입량을 조절하기에 곤란한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충전된 내용물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파우치(1) 상단 모서리부를 사선(斜線) 방향으로 절단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상기 사선방향으로 파우치(1)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칼집을 파우치의 모서리에 형성해야 하는 단점을 갖게 된다. 이처럼 파우치에 별도의 칼집을 넣기 위해서는 칼집형성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고, 공정이 추가되어 파우치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을 갖는다.
더구나 상기와 같은 칼집을 파우치의 모서리에 한 방향 이상 형성하기란 매우 곤란한 것이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개구부(내용물 배출구) 폭을 조절하기 곤란한 구조이다.
또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는 파우치의 측면 융착부와 상단 융착부(22), 하단 융착부(23)에 의해 두겹의 포장지 사이에 내용물 충전부(24)를 형성하고 상기 내용물 충전부(24)에 내용물을 충전하여 밀봉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파우치를 측면 융착부는 수직상태로 서로 평행이 되도록 하고, 상단 융착부와 하단 융착부는 사선(斜線) 상태로 서로 평행이 되도록 함으로써 정면으로 보아 본 발명 파우치는 평행사변형의 구조를 갖도록 한다.
따라서 파우치 절단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절단홈이 지나는 방향, 즉 가상 절단선이 파우치의 모서리부분을 사선으로 지나게 되어 파우치 모서리가 한번에 손쉽게 절단되도록 하고, 또 절단홈의 모든 방향이 모서리부를 사선으로 지나는 구조여서 사용자가 제거하는 모서리부의 면적에 따라 개구부(開口部)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레토르트 파우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파우치의 양측단 부위를 가압하여 열융착할 수 있도록 내측에 히터가 내장된 한쌍의 측면 융착롤러와, 파우치의 하단 부위 및 상단 부위를 접합할 수 있도록 내측에 히터가 내장된 한쌍의 상하단 융착롤러 및 내용물 충전과 상단 부위 접합이 완료된 파우치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절단롤러와, 상기 측면 융착롤러와 상하단 융착롤러 및 절단롤러를 구동하는 다수의 구동기어를 구비하는 스테핑 모터와, 상기 상하단 융착롤러에 각각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파우치의 상단과 하단에 평행한 사선방향의 융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나선형상의 융착면을 구비하는 융착구와, 상기 절단롤러에는 상하단 융착롤러에 의해 융착된 파우치의 상하단 융착부의 중간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역시 나선형상으로 배치된 절단칼날을 구비하는 절단부로 구성되는 레토르트 파우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파우치의 형상이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어서 절단 부가 파우치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진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파우치의 모서리부분 절단을 위한 가상 절단선이 최단거리가 되는 것이어서 한 번의 찢는 동작으로도 파우치의 모서리부를 빠르고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은 파우치를 길이방향으로 찢다가 다시 측방향으로 찢어서 모서리를 제거해야하는 종래의 파우치에 비해 매우 깔끔하게 파우치를 개방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며,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개구부(개봉부) 폭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어서 내용물의 배출량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파우치(200)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 파우치(200)는 측면 융착부(210)와 상단 융착부(220), 하단 융착부(230)에 의해 두겹의 포장지 사이에 내용물 충전부(240)를 형성하고, 상기 상단 융착부(220), 하단 융착부(230)의 양끝단에는 절단부(25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절단부(250)는 다수개의 절단홈(250a)이 형성된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 융착부(210)는 수직상태로 서로 평행을 이루되 상단 융착부(220)와 하단 융착부(230)는 사선상태로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하여 정면으로 볼 때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 파우치(200)는 절단부(250)에 형성된 다수개의 절단홈(250a)이 지나는 방향, 즉 가상 절단선(260) 방향은 파우치 모서리 꼭지점을 중심으로 다 수개의 가상의 이등변 삼각형(270)을 그렸을 때 상기 가상의 이등변 삼각형(270)의 밑변을 지나는 방향과 동일할 때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파우치의 모서리부분 절단을 위한 최단거리가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본 발명 파우치(200)는 절단홈(250a)의 모든 방향이 파우치의 모서리부를 최단거리 사선으로 지나는 구조여서 가장 빨리 가장 손쉽게 파우치의 모서리를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개구부(開口部)의 폭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고, 개구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은 내용물의 배출량도 손쉽게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 파우치(200)는 융착이 가능한 두 장의 합성수지 또는 은박시트를 파우치 제조장치(100)에 의해 서로 맞대서 융착함으로써 내용물을 포장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파우치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 파우치 제조장치(100)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즉 파우치의 양측단 부위를 가압하여 열융착할 수 있도록 내측에 히터(미도시)가 내장된 한쌍의 측면 융착롤러(110)와, 파우치의 하단 부위 및 상단 부위를 열융착할 수 있도록 내측에 히터(미도시)가 내장된 한쌍의 상하단 융착롤러(120)와, 내용물 충전 후 융착이 완료된 상하단 융착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절단롤러(130)와, 상기 측면 융착롤러와 상하단 융착롤러 및 절단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구동기어(110a,120a,130a)를 구비하는 스테핑 모터(140)와, 상기 상하 단 융착롤러(120)에 각각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파우치의 상단과 하단에 평행한 사선방향의 상하단 융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나선형상의 융착면(121a)을 구비하는 융착구(121)와, 상기 절단롤러(130)에는 상하단 융착롤러(120)에 의해 융착된 파우치의 상하단 융착부의 중간부분을 절단할 수 있도록 역시 나선형상으로 배치된 절단칼날(131a)을 구비하는 절단구(131)로 이루어진다.
이때 파우치의 상단과 하단에 평행한 사선방향의 상하단 융착부를 형성함에 있어 융착구(121)의 융착면(121a)이 나선형상을 가지며, 절단구(131)의 절단칼날(131a)이 나선형상으로 배치되는 이유는 상하단 융착롤러(120)와 절단롤러(130)가 회전하기 때문이고, 원통 형상이기 때문이다.
만일 파우치 제조장치의 측면 융착롤러(110)와, 상하단 융착롤러(120), 절단롤러(130)를 경사지게 배치하되, 축은 수평으로 회전하게 한 다음 파우치 역시 경사지게 상기 롤러들 사이로 진입되게 한다면 굳이 융착구(121)의 융착면(121a)이 나선형상을 가지지 않아도 되며, 절단구(131)의 절단칼날(131a)이 나선형상으로 배치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이는 파우치가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태로 내용물을 충진하게 되므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동일한 목적은 달성할 수 있지만 보다 열등한 기술이어서 본 명세서에 보다 상세한 구성의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 - 종래 파우치의 정면도.
도 2 - 종래 파우치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3 - 종래 파우치 제조장치의 측면도.
도 4 - 본 발명 파우치의 정면도.
도 5 - 본 발명 파우치 제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6 - 본 발명 파우치 제조장치의 결합된 사시도.
도 7 - 본 발명 파우치 제조장치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래의 파우치 제조장치
20: 종래의 파우치 21: 측면 융착부
22: 상단 융착부 23: 하단 융착부
24: 내용물 충전부 25: 절단부
25a: 절단홈 30: 융착롤러
40: 상하단 융착롤러 40a: 융착구
50: 절단롤러 50a: 절단구
31,41,51: 구동기어 70: 스테핑 모터
100: 본 발명 파우치 제조장치
110: 측면 융착롤러 110a, 120a, 130a: 구동기어
120: 상하단 융착롤러 121: 융착구
121a: 융착면 130: 절단롤러
131: 절단구 131a: 절단칼날
140: 스테핑 모터
200: 본 발명 파우치
210: 측면 융착부 220: 상단 융착부
230: 하단 융착부 240: 내용물 충전부
250: 절단부 250a: 절단홈
260: 가상 절단선 270: 가상의 이등변 삼각형

Claims (3)

  1. 측면 융착부와 상단 융착부, 하단 융착부에 의해 두겹의 포장지 사이에 내용물 충전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단 융착부, 하단 융착부의 양끝단에는 절단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절단부에는 다수개의 절단홈이 형성된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 융착부(210)는 수직상태로 서로 평행을 이루되 상단 융착부(220)와 하단 융착부(230)는 사선상태로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하여 파우치의 정면형상이 평행사변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250)에 형성된 다수개의 절단홈(250a)의 가상 절단선(260) 방향은 파우치 모서리 꼭지점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가상의 이등변 삼각형(270)을 그렸을 때 상기 가상의 이등변 삼각형(270)의 밑변을 지나는 방향과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3. 파우치의 양측단 부위를 가압하여 열융착할 수 있도록 내측에 히터(미도시)가 내장된 한쌍의 측면 융착롤러(110)와, 파우치의 하단 부위 및 상단 부위를 열융착할 수 있도록 내측에 히터(미도시)가 내장된 한쌍의 상하단 융착롤러(120)와, 내용물 충전 후 융착이 완료된 상하단 융착부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절단 롤러(130)와, 상기 측면 융착롤러와 상하단 융착롤러 및 절단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구동기어(110a,120a,130a)를 구비하는 스테핑 모터(140)로 이루어지는 파우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하단 융착롤러(120)에 각각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파우치의 상단과 하단에 평행한 사선방향의 상하단 융착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나선형상의 융착면(121a)을 구비하는 융착구(121)와, 상기 절단롤러(130)에는 상하단 융착롤러에 의해 융착된 파우치의 상하단 융착부의 중간부분을 절단할 수 있도록 역시 나선형상으로 배치된 절단칼날(131a)을 구비하는 절단구(131)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제조장치.
KR1020090011584A 2009-02-12 2009-02-12 절단이 용이한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101065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584A KR101065174B1 (ko) 2009-02-12 2009-02-12 절단이 용이한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584A KR101065174B1 (ko) 2009-02-12 2009-02-12 절단이 용이한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288A KR20100092288A (ko) 2010-08-20
KR101065174B1 true KR101065174B1 (ko) 2011-09-21

Family

ID=42757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584A KR101065174B1 (ko) 2009-02-12 2009-02-12 절단이 용이한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345B1 (ko) 2021-08-19 2022-10-26 주식회사 풍림피앤피 레이저 마킹을 이용한 레토르트파우치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5245A (ja) 1999-08-11 2001-02-27 Toppan Printing Co Ltd 液体用包装容器
JP2001233355A (ja) 2000-02-23 2001-08-28 Toppan Printing Co Ltd 注出口付与包装袋
KR200344651Y1 (ko) 2003-12-15 2004-03-12 노한래 레토르트 파우치 제조 장치
KR200430223Y1 (ko) 2006-08-09 2006-11-10 황경연 포장용 파우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5245A (ja) 1999-08-11 2001-02-27 Toppan Printing Co Ltd 液体用包装容器
JP2001233355A (ja) 2000-02-23 2001-08-28 Toppan Printing Co Ltd 注出口付与包装袋
KR200344651Y1 (ko) 2003-12-15 2004-03-12 노한래 레토르트 파우치 제조 장치
KR200430223Y1 (ko) 2006-08-09 2006-11-10 황경연 포장용 파우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345B1 (ko) 2021-08-19 2022-10-26 주식회사 풍림피앤피 레이저 마킹을 이용한 레토르트파우치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288A (ko) 201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2753B1 (en) Separable beverage receptacle packaging with integral drinking spout
US5433526A (en) Flexible bag
JP4816322B2 (ja) 分岐型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5028762B2 (ja) 詰替パウチ
JP4768550B2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
JP4871456B2 (ja) 流体包装袋
US20150360839A1 (en) Flexible pouch with pressure relief valve
JP2009208836A (ja) 自立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4913743B2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ES2376129T3 (es) Bolsa con auxiliar de apertura.
KR101065174B1 (ko) 절단이 용이한 레토르트 파우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JP6892817B2 (ja) スパウト付きガゼット袋
JP2018024472A (ja) スパウト付きガゼット袋形成用のガゼット袋体
WO2005030601A1 (ja) レトルト食品用パウチ
JP2017119529A (ja) スパウト付きガゼット袋
JP4852944B2 (ja) 液体用紙容器
JP3703676B2 (ja) 包装袋
JP2540379B2 (ja) 成分溶出性嗜好食品のフィルタ―袋詰め品の製造方法
CN208856124U (zh) 流体密封袋
WO2017026122A1 (ja) 自立包装袋
JP6711056B2 (ja) 包装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11887B2 (ja) 収納容器
JP2011006122A (ja) 液体収納袋
JP7180807B2 (ja) チャック付き紙容器
JP2000272634A (ja) 不定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