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040B1 - 저온 저장고 - Google Patents

저온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040B1
KR101064040B1 KR1020040083785A KR20040083785A KR101064040B1 KR 101064040 B1 KR101064040 B1 KR 101064040B1 KR 1020040083785 A KR1020040083785 A KR 1020040083785A KR 20040083785 A KR20040083785 A KR 20040083785A KR 101064040 B1 KR101064040 B1 KR 101064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packing
compartment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3132A (ko
Inventor
오꾸다사또시
와따나베야스히데
사까따야스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 바이오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25163A external-priority patent/JP4334401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 바이오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 바이오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3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25D13/02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several cooling compartments, e.g. refrigerated locke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옵션 부품의 추가 및 내부 도어의 변경에 의해 중간 구획으로 구획된 중간 저장실을 상하의 작은 구획(소저장실)으로 더 구획할 수 있는 저온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방면에 개구를 갖는 단열 상자 본체와, 상기 단열 상자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는 단열 도어와, 상기 개구를 상하 중간 개구로 구획하는 중간 구획과, 상기 단열 도어와 본체로 형성되는 저장실을 중간 구획의 위치에서 상하로 구획하는 선반과,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각 장치와, 상기 중간 개구를 상하로 더 구획하는 금속제의 옵션 구획 부재와, 상기 구획 부재의 전방부에 부착되어 옵션 가스켓을 지지하는 선반 수지제의 프레임 부재와, 구획 부재로 구획된 각 소개구를 각각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복수의 내부 도어를 구비한 것이다.
저온 저장고, 단열 도어, 냉각 장치, 옵션 가스켓, 프레임 부재

Description

저온 저장고 {LOW TEMPERATURE STORAGE CONTAINER}
도1은 본 발명의 저온 저장고의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저온 저장고의 외부 도어(단열 도어)를 개방하여 2매식 내부 도어(제1 내부 도어)를 폐색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저온 저장고의 외부 도어(단열 도어)를 개방하여 4매식 내부 도어(제2 내부 도어)를 폐색한 상태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저온 저장고의 외부 도어(단열 도어) 및 4매식 내부 도어(제2 내부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옵션 구획 부재, 전방 프레임 및 옵션 가스켓의 분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옵션 구획 부재, 전방 프레임 및 옵션 가스켓의 조립 부착 상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종래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내부 도어의 도어 프레임을 비교하는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내부 도어와 옵션 부품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래치 장치의 개방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래치 장치의 폐색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종래와 본 발명의 래치 장치를 비교하는 측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종래와 본 발명의 래치 장치를 비교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온 저장고(초저온 프리저)
2 : 단열 상자 본체
2A : 전방면 개구(대개구)
3 : 힌지
4 : 단열 도어
5 : 저장실
11 : 선반
12 : 중간 개구
13 : 제1 내부 도어(2매식)
14 : 소개구
15 : 제2 내부 도어(4매식)
16 : 중간 구획
17 : 옵션 구획 부재
20 : 래치 장치
21 : 본체
22 : 지지 금속 부재
23 : 빔 부재
25 : 적재부
31 : 프레임 부재
32 : 홈부
35 : 옵션 가스켓
36 : 베이스부(접촉부)
38, 39 : 핀부
41 : 외부판
42 : 내부판
43 : 도어 프레임
44 : 단열재
50 : 래치
52 : 축
60 : 갈고리부
62 : 스테인레스층
63 : 주물층
65 : 축금속 부재
68 : 축부
본 발명은, 고온측의 냉동 회로에 있어서의 증발기와, 저온측의 냉동 회로에 있어서의 응축기를 캐스케이드 접속시킴으로써 보다 저온도의 저장 온도를 실현하는 이원 냉동 회로를 구비한 냉각 장치에 의해, -80 ℃ 전후의 초저온도 영역으로 냉각 유지되는 저장실이 있는 저온 저장고, 특히 단열 상자의 전방면 개구를 상하로 구획하는 중간 구획에다가, 개구를 상하로 더 구획하는 구획 부재와, 이 구획 부재에 맞추어 2매 혹은 4매의 내부 도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내부 도어의 래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저온 저장고는 -60 ℃ 내지 -90 ℃ 정도의 초저온도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이원 냉동 회로가 이용되어 있고, 고온측의 냉동 회로의 증발기와 저온측의 냉온 회로의 응축기를 캐스케이드 접속함으로써 구성한 것이 있다. 이 저온 저장고는 그 온도대를 포획하여 다른 이름으로 초저온 프리저라 불리우는 일이 있다. 또한, 저장 대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납하기 위해, 복수의 선반에 의해 저장실 내를 상하로 구획하고 있다. 이 복수로 구획된 저장실을 1매의 도어로 개폐 조작하면, 도어의 개폐 조작에 수반하여 저장실 내 전체에 외기가 진입하게 되므로, 출입하고 싶은 대상물에 무관한 선반에 대응하는 중간 저장실에도 외기가 진입되어 버린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중간 저장실에 대응시켜 복수의 중간 도어를 배치해 왔다. 이 경우, 단열 상자의 전방면 개구는 중간 구획에 의해 상하로 2개로 구획되어 상하에 중간 도어를 배치한다. 이 중간 저장실이 선반에 의해 상하의 소저장실로 더 구획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저장실을 구획부로 구획하여 이 구획부의 전방면 부분에 구획 전방 프레임을 배치하고, 이 구획 전방 프레임과 구획부로 형성되는 공간에도 발포 단열재를 충전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 통상, 구획부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저장실은 각각 단열 도어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폐색된다. 각 도어의 내면 주연 부분에는 자석이 붙은 가스켓이 설치되고, 이 가스켓은 단열 상자의 개구 모서리 및 구획 전방 프레임의 전방면에 배치된 금속제의 커버에 대해 밀착하여 각 저장실 내로의 외기 침입을 방지한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의 전방면 개구를 1매의 단열 도어로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한편, 이 단열 도어의 내측에 상하로 복수의 수지제의 내부 도어를 개폐 가능하게 배치하는 보냉고가 있다. 특히 이 내부 도어는 래치 기구에 의해 기계적으로 개구를 폐색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6-12976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1-183052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개시한 바와 같은 가정용 냉장고에 있어서는, 옵션 부품의 추가 및 내부 도어의 변경에 의해 중간 구획으로 구획된 중간 저장실을 상하의 작은 구획(소저장실)으로 더 구획하는 일은 없다. 업무용 냉동고 등의 저온 저장고에 있어서는 통상 가정용 저장고에 비해 그 내용적이 대형화되므로, 사용자(소위 고객)의 요망에 따라서 언제나 옵션 부품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되는 보냉고에 있어서는 래치 기구의 상세 구조에 대해 불명확하지만, 그 도면으로부터 판단하여 래치 기구의 회전 조작에 의해 단열성의 내부 도어를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저장실 내로 압입하고, 개구를 내부 도어로 견고하고 확실하게 폐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60 ℃ 내지 -90 ℃ 정도의 초저온도 영역에서 사용되는 초저온 저장고에 있어서는 내부 도어의 개폐 조작으로 진입한 외기가 급격히 차가워지므로, 그 출입구 부근, 특히 래치 기구가 설치되는 내부 도어의 비축지지측에 있어서의 고 내 벽면에의 서리 부착 현상이 현저해지기 쉽다. 또한, 장기 보존에 의해 이 서리 부착 현상에서 점차 그 두께 및 경도가 성장하므로, 이 성장한 서리가 래치 기구의 래치 동작을 방해하게 된다. 즉, 서리 부착 현상의 최초이면, 다소 무리라도 지레의 원리로 내부 도어를 압입할 수도 있지만, 장기 사용의 동안에는 도저히 내부 도어를 폐색할 수 없는 두께까지 성장하는 것도 예상된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매우 강한 힘으로 래치 기구를 조작하게 되어 래치 기구에 있어서의 강도(내하중) 이상의 응력의 작용으로 래치 기구의 일부(특히 강도 부족의 부분)가 변형되고, 그 이후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저온 저장고에 있어서, 옵션 부품의 추가 및 삭제 및 그것에 맞춘 내부 도어의 변경에 의해 중간 구획으로 구획된 중간 저장실을 상하의 작은 구획(소저장실)으로 더 구획할 수 있는 저온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것에다가 본 발명은 래치 기구에 있어서의 계지부의 강도 상승 과 점차 성장하는 서리 부착 상황에 대한 사용 가능 범위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저온 저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전방면에 개구(2A)를 갖는 단열 상자 본체(2)와, 상기 단열 상자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는 단열 도어(4)와, 상기 개구를 상하의 중간 개구(12)로 구획하는 중간 구획(16)과, 상기 단열 도어와 본체로 형성되는 저장실을 중간 구획의 위치에서 상하로 구획하는 선반(11)과, 저장실(5)을 냉각하는 냉각 장치를 구비한 저온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중간 개구(12)를 상하로 더 구획하는 금속제의 옵션 구획 부재(17)와, 상기 구획 부재(17)의 전방부에 부착되어 옵션 가스켓(35)을 지지하는 수지제의 프레임 부재(31)와, 구획 부재(17)로 구획된 각 소개구(14)를 각각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복수의 내부 도어(15)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옵션 구획 부재(17)의 본체(21)는 단열 상자 본체의 내부 상자측면 전방부에 부착되는 지지 금속 부재(22)와, 양 지지 금속 부재(22, 22)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 부재(31)를 부착하는 단면 역ㄷ자형의 빔 부재(21)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빔 부재(23)는 지지 금속 부재(22, 22)에 적재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옵션 가스켓(35)은 상하의 내부 도어(15, 15)의 이면 주연부에 설치된 패킹(48)과 접촉하는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옵션 가스켓(35)은 패킹(48)과 접촉하는 부분보다도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밀봉하는 상하의 핀 부재(38, 39)를 구비하는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내부 도어(15)는 패킹(48)보다도 내측이고 또한 옵션 가스켓(35)을 향해 신장되는 핀형 패킹(49)을 구비하는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내부 도어(15)는 외부판(41)과, 내부판(42)과, 양 판을 열적으로 절연하는 수지제의 도어 프레임(43)과, 이들 외부판, 내부판 및 도어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하는 단열재(44)로 이루어지고, 도어 프레임(43)에는 상기 패킹(48)을 부착하는 제1 홈(45)과, 상기 핀형 패킹(49)을 부착하는 제2 홈(46)을 마련한 것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전방면에 개구를 갖는 단열 상자 본체(2)와, 상기 단열 상자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는 단열 도어(4)와, 상기 개구를 상하의 중간 개구(12, 12)로 구획하는 중간 구획(16)과, 상기 단열 도어와 본체로 형성되는 저장실(5)을 중간 구획(16)의 위치에서 상하로 구획하는 선반(11)과, 저장실을 -80 ℃ 전후로 냉각하는 냉각 장치와, 상기 중간 개구(12, 12)를 상하로 더 구획하고 그 전방부에 옵션 가스켓(35)을 지지하는 수지제의 프레임 부재(31)가 부착된 금속제의 옵션 구획 부재(17)의 본체(21)를 구비한 저온 저장고에 있어서, 힌지로 지지되어 상기 구획 부재(17)로 구획된 각 소개구(14)를 각각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복수의 내부 도어(15)와, 상기 단열 상자 본체의 내부 상자에 있어서의 힌지가 부착되지 않은 측의 각 소개구(14) 부분에 설치되어 주물제의 축부(68) 를 갖는 축금속 부재(65)와, 내부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축금속 부재(65)에 계지하는 갈고리부(60)를 갖는 금속제의 래치(50)를 구비한 것이다.
청구항 9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갈고리부(60)는 스테인레스층(62)과 주물층(63)의 이중 구조로 한 것이다.
청구항 10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축부(68)는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래치(50)는 갈고리부(60)가 축부(66)에 계지되었을 때의 회전력으로 내부 도어(15)를 폐색 방향으로 압박하는 것이다.
청구항 11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갈고리부(60)의 축부(68)와의 접촉면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회전 반경(R1)과, 말단부에 있어서의 회전 반경(R2)과의 치수 차에 의해 내부 도어(15)를 폐색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갈고리부의 길이(T)를 설정한 것이다.
청구항 12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전방면에 개구(2A)를 갖는 단열 상자 본체(2)와, 상기 단열 상자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는 단일의 단열 도어(4)와, 상기 개구를 상하의 중간 개구(12)로 구획하는 단일의 중간 구획(16)과, 상기 단열 도어와 본체로 형성되는 저장실을 중간 구획(16)의 위치에서 상하로 구획하는 선반(l1)과, 저장실을 -80 ℃ 전후로 냉각하는 냉각 장치를 구비한 저온 냉장고에 있어서,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중간 개구(12)를 더욱 상하의 소개구(14)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17)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상하의 중간 개구(12)를 각각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2개의 제1 내부 도어(13)를 배치하고, 상기 구획 부재(17)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4개의 소개구(14)를 각각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 는 4개의 제2 내부 도어(15)를 배치하는 것이다.
청구항 13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상기 구획 부재(17)의 전방부에 부착되어 가스켓(35)을 지지하는 수지제의 프레임 부재(31)를 구비하고, 상기 가스켓(35)은 상기 제2 내부 도어(15)의 이면 주연부에 설치된 패킹(48)과 접촉하고, 또한 상기 패킹과 접촉하는 부분보다도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밀봉하는 상하의 핀 부재(38, 39)를 구비하는 것이다.
청구항 14의 발명의 저온 저장고(1)는, 상기 제2 내부 도어(15)는 상기 패킹(48)보다도 내측이고 또한 상기 가스켓(35)을 향해 신장되는 핀형 패킹(49)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저온 저장고의 정면도, 도2는 저온 저장고의 외부 도어(단열 도어)를 개방하여 2매식 내부 도어(제1 내부 도어)를 폐색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저온 저장고의 외부 도어(단열 도어)를 개방하여 4매식 내부 도어(제2 내부 도어)를 폐색한 상태의 사시도, 도4는 저온 저장고의 외부 도어(단열 도어) 및 4매식 내부 도어(제2 내부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5는 옵션 구획 부재, 전방 프레임 및 옵션 가스켓의 분해 사시도, 도6은 옵션 구획 부재, 전방 프레임 및 옵션 가스켓의 조립 부착 상태 사시도, 도7은 종래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내부 도어의 도어 프레임을 비교하는 단면도, 도8은 내부 도어와 옵션 부품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9는 래치 장치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 도10은 래치 장치의 폐색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11은 종래와 본 발명의 래치 장치를 비교하는 측면도, 도12는 종래와 본 발명의 래치 장치를 비교하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저온 저장고(초저온 프리저)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면에 개구(2A)를 갖는 단열 상자 본체(2)와, 상기 단열 상자 본체(2)에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힌지(3)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개구(2A)를 폐색하는 외부 도어로서의 여닫이식 단열 도어(4)와, 상기 도어(4)와 본체(2)로 형성되는 저장실(5)과, 이 저장실(5)의 하방에 위치하여 저장실(5)을 냉각하는 냉각 장치(도시하지 않음)나 전장 상자(9) 등의 전기 및 기계 부품을 수납하는 기계실(6)을 구비한다. 이 기계실(6)은 그 전방면을 전방 패널(7)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고, 전방 패널(7)에는 그 후방에 배치되는 공기 안내 덕트, 먼지 회수용 필터, 응축기 등(도시하지 않음)에 대한 흡입구 커버로서의 그릴(8)이 부착된다.
도2 내지 도4에 있어서, 저장실(5)은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매)의 선반(11)에 의해 상하의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구획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들 각 구획(이하, 소저장실이라 함)에 대응하는 개구부(12)는 각각 단열성의 내부 도어에 의해 마찬가지로 개폐 가능하게 폐색되지만, 도2에 있어서는 이들 4개의 소저장실을 상하 2개의 소저장실로 이루어지는 중간 저장실 2개로 나누고, 이 중간 저장실에 대응하는 중간 개구(12)를 제1 내부 도어로서의 2매의 내부 도어(13)로 폐색하도록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3에 있어서는 4개의 저장실에 대응하는 소개구(14)를 제2 내부 도어로서의 4매의 내부 도어(15)로 각각 폐색하도록 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어떠한 내부 도어(13, 15)에 있어서도 힌지가 부착되지 않은 측의 각 소개구 (14)에 설치되어 주물제의 축부(68)를 갖는 축금속 부재(65)와, 내부 도어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또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축금속 부재(65)의 축부(68)에 계지되는 갈고리부(60)를 가진 금속제의 래치(50)로 이루어지는 래치 장치(20)가 있다.
부호 16은 전방면 개구(2A)를 선반(1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하 2개로 구획하는 중간 구획이고, 17은 이 중간 구획(16)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 중간 개구(12)를 선반(1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하로 2개로 더 구획하여 4개의 소개구(14)를 형성하기 위한 구획 부재로서의 옵션 구획 부재이다. 부호 18은 단열 도어(4)의 비축지지측에 설치되는 손잡이(10)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도어 폐색 기구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옵션 구획 부재(17)를 도5 내지 도8을 기초로 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옵션 구획 부재(17)는 스테인레스강 등 금속제의 본체(21)와, 이 본체(21)의 전방부에 나사(33) 등으로 부착되는 수지제의 프레임 부재(31)와, 이 프레임 부재(31)의 전방면에 지지되는 가스켓으로서의 수지제의 옵션 가스켓(35)으로 이루어진다.
본체(21)는 단열 상자 본체(2)의 내부 상자에 있어서의 측면 전방부에 형성한 부착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금속 부재(22, 22)와, 이들 양 지지 금속 부재(22, 22)에 현가하는 형으로 지지되어 옵션 가스켓(35)의 화살촉부(37)를 끼워 넣은 홈부(32)를 갖는 단면 역ㄷ자형의 빔 부재(23)로 이루어 진다. 지지 금속 부재(22)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위치 결정 구멍(26)을 갖는 단면 역ㄷ자형의 적재부(25)와, 이 적재부(25)에 연속하여 내부 상자에 있어서의 측면 전방부에 부착되는 부착 구멍(28)을 갖는 2개의 고정부(27)로 이루어진다. 빔 부재(23)의 좌우 양단부에는 화장 나사(30)를 위한 절결부(29)를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이 본체(21)의 부착 조작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내부 상자 좌우 양측면에 형성한 부착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고정부(27)를 나사 등으로 고정하여 지지 금속 부재를 부착한다. 그 좌우를 끼워 넣도록 하여 빔 부재(23)를 상방으로부터 이 좌우 지지 금속 부재(22, 22)의 적재부(25)에 적재하여 지지한다. 그 후에는 좌우 위치 결정을 한 상태에서 화장 나사(30)에 의해 체결 부착하여 고정하면 된다.
옵션 가스켓(35)은 내부 도어(15)의 이면 주연부에 설치된 패킹(48)과 접촉하는 내부 공중의 베이스부(36)와, 이 베이스부(36)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프레임 부재(31)의 홈부(32)에 삽입되는 화살촉부(35)와, 베이스부(36)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어 내부 도어(15)의 패킹(48)과 접촉하는 부분보다도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패킹(48)에 접촉하여 밀봉하는 상하의 핀 부재(38, 39)를 구비한다.
내부 도어(15)는 그 단열성을 고려하여 외부판(41)과, 내부판(42)과, 양 판(41, 42)을 열적으로 절연하는 수지제의 도어 프레임(43)과, 이들 외부판(41), 내부판(42) 및 도어 프레임(43)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발포스티롤이나 섬유형의 슬라브재 등의 단열재(44)로 구성되어 있다. 단열재로서는, 상기 공간 내에 발포 단열재를 충전하도록 해도 좋다. 도어 프레임(43)은 그 전방부가 외부판(41)에 부착되고, 그 후방부에 내부판(42)을 부착한다. 이로 인해, 각 소저장실의 개구(14)를 폐색함으로써 각 소저장실의 전방면을 열적으로 단열할 수 있다.
게다가 도어 프레임(43)에는 패킹(48)을 부착하는 제1 홈(45)과, 핀형 패킹(49)을 부착하는 제2 홈(46)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패킹(48)과 옵션 가스켓(35)의 접촉 관계에 의해 제1 밀봉을 행한다. 또한, 내부 도어(15)에 설치한 패킹(48)보다도 내측이고 또한 옵션 가스켓(35)을 향해 신장되는 핀형 패킹(49)에 의해 패킹(48), 가스켓(35) 및 핀형 패킹(49)으로 둘러싸이는 공간(K)을 형성할 수 있고, 이 공간(K) 내의 공기층에서 외기 진입을 막는 제2 밀봉을 행한다. 즉, 제1 및 제2 밀봉에 의해 이중의 밀봉을 실현할 수 있어 그 단열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옵션 구획 부재(17)를 설치하여 제2 내부 도어(15)를 배치하면 금속제의 옵션 구획 부재(17)에 의해 중간 개구(12)를 더욱 상하의 소개구(14)로 구획할 수 있고, 구획 부재(17)의 본체(21)의 전방부에 부착된 수지제의 프레임 부재(31)에 의해 옵션 가스켓(35)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구획 부재(17) 등의 옵션 부품으로 새롭게 구획된 각 소개구(14)를 제2 내부 도어(15)에 의해 각각 개폐 가능하게 폐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요망에 따른 소개구 방식의 저온 저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구획 부재(17)를 배치하지 않고 제1 내부 도어(13)를 설치하면 중간 개구 방식의 내부 도어에 맞춘 저장고를 제공할 수 있는 데다가 소개구 방식에 비해 고 내의 온도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어 냉각 성능이 향상된다. 즉, 고 내의 온도차가 소개구 방식에서는 5.2 ℃였던 것이 중간 개구 방식에서는 3.6 ℃ 향상되고, 고 내의 제어(도달) 온도가 소개구 방식에서는 -87.3 ℃였던 것이 중간 개구 방식에서는 -87.9 ℃로 약간이지만 향상되어 있다. 게다가, 개수가 크기 때문에, 큰 물건의 출입을 행하기 쉬워진다는 다른 이점도 있다.
단열 상자 본체의 내부 상자측면 전방부에 부착되는 지지 금속 부재(22, 22)와, 양 지지 금속 부재(22, 22)에 지지되어 옵션 가스켓(35)을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31)를 부착하는 단면 역ㄷ자형의 빔 부재(23)로 옵션 구획 부재(17)의 본체(21)를 구성한 것에 의해, 구획 부재(17)로서의 강도를 확보하는 한편, 그 상하 방향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어 저장실(5)의 유효 용적의 확보가 가능하다.
옵션 구획 부재(17)의 빔 부재(23)는 지지 금속 부재(22, 22)에 적재하여 고정되므로, 옵션 부품의 부착 조작을 용이하고 간단하게 행할 수 있어 그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하의 내부 도어(15)의 이면 주연부에 설치된 패킹(48)과 접촉하는 옵션 가스켓(35)에 의해 내부 도어(15)의 폐색시의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그 밀봉을 양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옵션 가스켓(35)에 설치한 패킹(48)과 접촉하는 부분보다도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패킹(48)에 접촉하여 밀봉하는 상하의 핀 부재(38, 39)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가스켓(35)과 패킹(48)의 접촉 관계를 구축하여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 도어(15)에 설치한 패킹(48)보다도 내측이고 또한 옵션 가스켓(35)을 향해 신장되는 핀형 패킹(49)에 의해 패킹(48), 가스켓(35) 및 핀형 패킹(49)으로 둘러싸이는 공간(K)을 형성할 수 있고, 이 공간(K) 내의 공기층에서 외기 진입을 막는 것이 가능해져 밀봉 성능이 현저히 향상된다.
내부 도어(15)가 외부판(41)과, 내부판(42)과, 양 판을 열적으로 절연하는 수지제의 도어 프레임(43)과, 이들 외부판, 내부판 및 도어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하는 단열재(44)로 이루어지므로, 각 소저장실의 개구(14)를 열적으로 단열할 수 있고, 게다가 도어 프레임(43)에는 패킹(48)을 부착하는 제1 홈(45)과, 핀형 패킹(49)을 부착하는 제2 홈(46)을 마련하였으므로, 패킹(48)과 옵션 가스켓(35) 및 핀형 패킹(49)에 의해 이중의 밀봉 구조를 실현할 수 있어 내부 도어로서의 단열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래치 장치(20)를 도9 내지 도12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래치 장치(20)는 내부 도어(15)의 측면에 있어서의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즉 비축지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축금속 부재(65)에 계지되는 갈고리부(60)를 갖는 금속제의 래치(50)와, 단열 상자 본체(2)의 내부 상자에 있어서의 힌지가 부착되지 않은 측의 각 소개구(14) 부분에 설치되어 주물제의 축부(68)를 갖는 스테인레스강제의 축금속 부재(65)로 구성된다.
래치(50)는 내부 도어(15)의 비축지지측에 위치하는 측면에 부착되는 스테인레스강 등 금속제의 고정판(51)과, 이 고정판(5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스테인레스강 등 금속제의 조작 부재(56)로 이루어지고, 고정판(51)은 피봇용 축(52)과, 축(52)을 보호하는 보호 고리(53)와, 고정 구멍(54)을 갖는다. 조작 부재(56)는 손잡이(57)와, 축(52)에 피봇되는 아암부(59)를 갖는 조작간(58)으로 이루어진 다. 이 조작간(58)에는 후술하는 축금속 부재(65)에 계지되는 갈고리부(60)와, 래치(50)의 사용시[즉 내부 도어(15)의 폐색시]에 고정판(51)의 고정 구멍(54)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형성되는 창(61)이 있다. 갈고리부(60)는 조작간(58)에 형성한 갈고리형의 스테인레스층(62)과, 상기 갈고리형의 부분에 주조되는 주물층(63)의 이중 구조로 하고 있다.
축금속 부재(65)는 단열 상자 본체(2)의 내부 상자 개구 모서리에 있어서의 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측(즉 비축지지측)에 고정되는 고정 구멍(67) 및 원주형으로 형성되는 주물제의 축부(68)를 갖는 부착부(66)를 구비한다.
래치 장치(20)의 래치 조작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내부 도어(15)를 원하는 위치까지 폐색한다. 이 상태의 내부 도어에 있어서 래치(50)를 고정판(51)과 70도 정도의 각도를 이루는 위치까지 전방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축(52)을 중심으로 손잡이(57)를 그 갈고리부(60)의 선단부가 축금속 부재(65)의 축부(68)에 접촉하는 상태가 될 때까지 후방으로 회전시킨다. 이 상태로부터 소위 내부 도어(15)의 래치 조작이 개시된다. 즉, 갈고리부(60)의 내측에 형성한 만곡면에 따라서 손잡이(57)를 후방으로 더 회전시키면, 이 축부(68)의 표면이 만곡면을 이동하도록 지레의 원리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하여 래치 장치(20)의 축(52)이 축부(68)에 근접하도록 내부 도어마다 후방으로[즉 내부 도어(15)의 폐색 방향으로] 압박하게 되어 내부 도어(15)를 폐색 상태로 견고하게 보유 지지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래치 장치(20)에 따르면, 단열 상자 본체의 내부 상자에 있어서의 힌지가 부착되지 않은 측의 각 소개구 부분에 설치되어 주물제의 축부(68)를 갖는 축금속 부재(65)와, 힌지로 지지되어 옵션 구획 부재(17)로 구획된 각 소개구를 각각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복수의 내부 도어(15)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축금속 부재(65)에 계지되는 갈고리부(60)를 갖는 금속제의 래치(50)에 의해 갈고리부(60)가 축부(68)에 계지된 상태에서 래치(50)에 회전력을 가하면, 양부(60, 68)에 의한 지레의 원리에 의해 보다 견고한 회전력이 생기게 되고, 이 회전력에 의해 내부 도어(15)를 강제적으로 후방으로 압박할 수 있다.
또한, 갈고리부(60)를 스테인레스층(62)과 주물층(63)의 이중 구조로 한 것에 의해, 래치(50)로서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그 길이 및 두께 방향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축부(68)는 원주형으로 형성되므로, 판형의 수직 절곡부(80)에 비해 그 강도가 향상된다. 그리고 래치(50)는 그 갈고리부(60)가 축금속 부재(65)의 축부(68)에 계지되었을 때의 회전력을,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내부 도어(15)를 폐색 방향으로 압박하는 힘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갈고리부(60)의 축부(68)와의 접촉면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회전 반경(R1)과, 말단부에 있어서의 회전 반경(R2)과의 치수 차에 의해 내부 도어(15)를 폐색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갈고리부의 길이(T)를 설정하였으므로, 축부(68)에 대한 래치(50)의 회전 모멘트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작은 힘으로도 래치(50)를 래치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래치 장치로서의 사용성이 향상된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금속제의 옵션 구획 부재(17)에 의해 중간 개구(12)를 상하의 소개구(14)로 더 구획할 수 있고, 상기 구획 부재(17)의 본체(21)의 전방부에 부착된 수지제의 프레임 부재(31)에 의해 옵션 가스켓(35)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구획 부재(17) 등의 옵션 부품으로 새롭게 구획된 각 소개구(14)를 복수의 내부 도어(15)에 의해 각각 개폐 가능하게 폐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요망에 따른 저온 저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2의 발명에 따르면, 단열 상자 본체의 내부 상자측면 전방부에 부착되는 지지 금속 부재(22, 22)와, 양 지지 금속 부재(22, 22)에 지지되어 옵션 가스켓(35)을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31)를 부착하는 단면 역ㄷ자형의 빔 부재(23)로 옵션 구획 부재(17)의 본체(21)를 구성한 것에 의해, 구획 부재(17)로서의 강도를 확보하는 한편, 그 상하 방향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어 저장실(5)의 유효 용적의 확보가 가능하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3의 발명에 따르면, 옵션 구획 부재(17)의 빔 부재(23)는 지지 금속 부재(22, 22)에 적재하여 고정되므로, 옵션 부품의 부착 조작을 용이하고 또한 간단하게 행할 수 있어 그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4의 발명에 따르면, 상하의 내부 도어(15)의 이면 주연부에 설치된 패킹(48)과 접촉하는 옵션 가스켓(35)에 의해 내부 도어(15)의 폐색시의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그 밀봉을 양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5의 발명에 따르면, 옵션 가스켓(35)에 설치한 패킹(48)과 접촉하는 부분보다도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패킹(48)에 접촉하여 밀봉하는 상하의 핀 부재(38, 39)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가스켓(35)과 패킹(48)의 접촉 관계를 구축하여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6의 발명에 따르면, 내부 도어(15)에 설치한 패킹(48)보다도 내측이고 또한 옵션 가스켓(35)을 향해 신장되는 핀형 패킹(49)에 의해 패킹(48), 가스켓(35) 및 핀형 패킹(49)으로 일정 공간(K)을 형성할 수 있고, 이 공간(K) 내의 공기층에서 외기 진입을 막는 것이 가능해져 밀봉 성능이 현저히 향상된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7의 발명에 따르면, 내부 도어(15)가 외부판(41)과, 내부판(42)과, 양 판을 열적으로 절연하는 수지제의 도어 프레임(43)과, 이들 외부판, 내부판 및 도어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하는 단열재(44)로 이루어지므로, 각 소저장실의 개구를 열적으로 단열할 수 있고, 게다가 도어 프레임(43)에는 패킹(48)을 부착하는 제1 홈(45)과, 핀형 패킹(49)을 부착하는 제2 홈(46)을 마련하였으므로, 이중의 밀봉을 실현할 수 있어 그 단열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8의 발명에 따르면, 단열 상자 본체의 내부 상자에 있어서의 힌지가 부착되지 않은 측의 각 소개구 부분에 설치되어 주물제의 축부(68)를 갖는 축금속 부재(65)와, 힌지로 지지되어 옵션 구획 부재(17)로 구획된 각 소개구(14)를 각각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복수의 내부 도어(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축금속 부재(65)에 계지하는 갈고리부(60)를 갖는 금속제의 래치(50)에 의해 갈고리부(60)가 축부(68)에 계지된 상태에서 래치 에 회전력을 가하면, 양부의 지레의 원리로 내부 도어(15)를 강제적으로 후방으로 압박할 수 있는 내부 도어(15)의 래치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9의 발명에 따르면, 갈고리부(60)를 스테인레스층(62)과 주물층(63)의 이중 구조로 한 것에 의해, 그 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그 길이 및 두께 방향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0의 발명에 따르면, 축부(68)는 원주형으로 형성되므로, 판형의 수직 절곡부(80)에 비해 그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래치(50)는 그 갈고리부(60)가 축금속 부재(65)의 축부(68)에 계지되었을 때의 회전력을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내부 도어(15)를 폐색 방향으로 압박하는 힘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1의 발명에 따르면, 갈고리부(60)의 축부(68)와의 접촉면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회전 반경(R1)과, 말단부에 있어서의 회전 반경(R2)과의 치수 차에 의해 내부 도어(15)를 폐색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갈고리부의 길이(T)를 설정하였으므로, 축부(68)에 대한 래치(50)의 회전 모멘트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보다 작은 힘으로도 래치(50)를 래치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래치 장치(20)로서의 사용성이 향상된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2의 발명에 따르면, 중간 개구(12)를 구획 부재(17)로 상하로 더 구획하는 경우와 구획하지 않는 경우의 양방의 타입을 선택할 수 있고, 구획 부재(17)의 선택 및 비선택을 기초로 하여 제1 내부 도어(13)나 제2 내부 도어(15)를 세트로 선택 가능해지고, 저온 냉장고의 사용자의 필 요에 따른 구획 체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져 범용성이 증가된다(선택 폭이 커짐).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3의 발명에 따르면, 제2 내부 도어(15)의 이면 주연부에 설치된 패킹(48)과 접촉하는 가스켓(35)에 의해 제2 내부 도어(15)의 폐색시의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그 밀봉을 양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가스켓(35)에 설치한 패킹과 접촉하는 부분보다도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패킹(48)에 접촉하여 밀봉하는 상하의 핀 부재(38, 39)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가스켓(35)과 패킹(48)의 접촉 관계를 구축하여 제2 내부 도어(15)와 구획 부재(17)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4의 발명에 따르면, 제2 내부 도어(15)에 설치한 패킹(48)보다도 내측이고 또한 옵션 가스켓(35)을 향해 신장되는 핀형 패킹(49)에 의해 패킹(48), 가스켓(35) 및 핀형 패킹(49)으로 일정 공간(K)을 형성할 수 있고, 이 공간(K) 내의 공기층에 의해 제2 내부 도어(15)의 외측으로부터의 외기 진입을 막는 것이 가능해져 제2 내부 도어(15)와 구획 부재(17)의 밀봉 성능이 현저히 향상된다.

Claims (14)

  1. 전방면에 개구를 갖는 단열 상자 본체와, 상기 단열 상자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는 단열 도어와, 상기 개구를 상하의 중간 개구로 구획하는 중간 구획과, 상기 단열 도어와 본체로 형성되는 저장실을 중간 구획의 위치에서 상하로 구획하는 선반과,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각 장치를 구비한 저온 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중간 개구를 상하로 더 구획하는 금속제의 옵션 구획 부재와, 상기 구획 부재의 개구쪽 부분에 부착되어 옵션 가스켓을 지지하는 수지제의 프레임과, 구획 부재로 구획된 각 소개구를 각각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복수의 내부 도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구획 부재는 단열 상자 본체의 내부 상자측면 전방부에 부착되는 지지 금속 부재와, 양 지지 금속 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 부재를 부착하는 단면 역ㄷ자형의 빔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빔 부재는 상기 지지 금속 부재에 적재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가스켓은 상기 상하의 내부 도어의 이면 주연부 에 설치된 패킹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가스켓은 상기 패킹과 접촉하는 부분보다도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밀봉하는 상하의 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는 패킹보다도 내측이고 또한 옵션 가스켓을 향해 신장되는 핀형 패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어는 외부판과, 내부판과, 양 판을 열적으로 절연하는 수지제의 도어 프레임과, 이들 외부판, 내부판 및 도어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하는 단열재로 이루어지고,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패킹을 부착하는 제1 홈과, 상기 핀형 패킹을 부착하는 제2 홈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
  8. 전방면에 개구를 갖는 단열 상자 본체와, 상기 단열 상자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는 단열 도어와, 상기 개구를 상하의 중간 개구로 구획하는 중간 구획과, 상기 단열 도어와 본체로 형성되는 저장실을 중간 구획의 위치에서 상하로 구획하는 선반과, 저장실을 -80 ℃ 전후로 냉각하는 냉각 장치와, 상기 중간 개구를 상하로 더 구획하여 그 전방부에 옵션 가스켓을 지지하는 수지제의 프레임 부재가 부착된 금속제의 옵션 구획 부재를 구비한 저온 저장고에 있어서, 힌지로 지지되어 상기 구획 부재로 구획된 각 소개구를 각각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복수의 내부 도어와, 상기 단열 상자 본체의 내부 상자에 있어서의 힌지가 부착되지 않은 측의 각 소개구 부분에 설치되어 주물제의 축부를 갖는 축금속 부재와, 상기 내부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축금속 부재에 계지되는 갈고리부를 갖는 금속제의 래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부는 스테인레스층과 주물층의 이중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래치는 갈고리부가 축부에 계지되었을 때의 회전력으로 내부 도어를 폐색 방향으로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부의 축부와의 접촉면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회전 반경과, 말단부에 있어서의 회전 반경과의 치수 차에 의해 내부 도어를 폐색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갈고리부의 길이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
  12. 전방면에 개구를 갖는 단열 상자 본체와, 상기 단열 상자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는 단일의 단열 도어와, 상기 개구를 상하의 중간 개구로 구획하는 단일의 중간 구획과, 상기 단열 도어와 본체로 형성되는 저장실을 중간 구획의 위치에서 상하로 구획하는 선반과, 저장실을 -80 ℃ 전후로 냉각하는 냉각 장치를 구비한 저온 저장고에 있어서,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중간 개구를 상하의 소개구로 더 구획하는 구획 부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상하의 중간 개구를 각각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2개의 제1 내부 도어를 배치하고, 상기 구획 부재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획 부재에 의해 구획된 4개의 소개구를 각각 개폐 가능하게 폐색하는 4개의 제2 내부 도어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의 전방부에 부착되어 가스켓을 지지하는 수지제의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가스켓은 상기 제2 내부 도어의 이면 주연부에 설치된 패킹과 접촉하고, 또한 상기 패킹과 접촉하는 부분보다도 상측 및 하측에서 각각 밀봉하는 상하의 핀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 도어는 상기 패킹보다도 내측이고 또한 상기 가스켓을 향해 신장되는 핀형 패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저장고.
KR1020040083785A 2004-04-21 2004-10-20 저온 저장고 KR101064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25163A JP4334401B2 (ja) 2003-10-21 2004-04-21 低温貯蔵庫
JPJP-P-2004-00125163 2004-04-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132A KR20050103132A (ko) 2005-10-27
KR101064040B1 true KR101064040B1 (ko) 2011-09-08

Family

ID=3728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785A KR101064040B1 (ko) 2004-04-21 2004-10-20 저온 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356Y1 (ko) * 2009-08-28 2010-01-20 삼진기업 주식회사 냉동창고 방열문용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132A (ko)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4401B2 (ja) 低温貯蔵庫
US8752921B2 (en) Refrigerator or freezer comprising a reinforcement frame
US6266970B1 (en) Vertical partition cover assembly of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EP2937651A1 (en) Refrigerator
US20100219732A1 (en) Refrigeration Device Comprising an Insulation Strip for Thermally Decoupling the Lateral Walls
WO2013046581A1 (ja) 冷蔵庫
EP2893274B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323356B1 (ko) 냉각 저장고
KR101064040B1 (ko) 저온 저장고
JP2000009380A (ja) 冷蔵庫の仕切り構造
JPH11142046A (ja) 断熱壁
US11585590B2 (en) Sealing assembly for cooling device doors and cooling device having the sealing assembly
JP7542189B2 (ja) 冷蔵庫
JPH11264648A (ja) 冷蔵庫
JP3425314B2 (ja) 冷蔵庫
JP3394526B2 (ja) 観音開き式扉装置
JP2017194210A (ja) 冷蔵庫
JP2005180720A (ja) 冷蔵庫
CN221099074U (zh) 冰箱
CN220541497U (zh) 冷柜
KR102377308B1 (ko) 냉장고
JP2825700B2 (ja) 冷凍冷蔵庫のヒンジ構造
JPH11304353A (ja) 冷蔵庫
JP2006078057A (ja) 冷蔵庫
KR101324189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0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09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