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718B1 -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 Google Patents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718B1
KR101063718B1 KR1020100109072A KR20100109072A KR101063718B1 KR 101063718 B1 KR101063718 B1 KR 101063718B1 KR 1020100109072 A KR1020100109072 A KR 1020100109072A KR 20100109072 A KR20100109072 A KR 20100109072A KR 101063718 B1 KR101063718 B1 KR 101063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fastening means
case
wings
gril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필
김동명
Original Assignee
한동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필 filed Critical 한동필
Priority to KR1020100109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7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7/00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air-conditioning
    • B61D27/0018Air-conditioning means, i.e. combining at least two of the following ways of treating or supplying air, namely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Y02T30/42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철도차량에 구비된 냉난방 토출구 그릴에 있어서, 그릴의 날개가 4개로 이루어지고, 날개 사이의 간격은 4mm 내지 6.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을 구현한바, 그릴의 날개를 4개로 제조하여 기존의 그릴과 비교하여 풍속 및 풍압을 감소하지 않고, 각각의 날개 사이 간격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날개 사이의 간격이 감소함에 따라 그릴 내부의 오염물질이 승객에게 투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그릴과 비교하여 날개 사이의 간격이 협소하여 날개 사이에 이물질 투입이 어려운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날개가 막히지 않아 고속철도 내부 객실의 공기 순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속철도 직원들이 보유한 베른키를 이용하여 그릴을 착탈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그릴을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직원들의 필요에 따라 별도의 공구 또는 인력 없이 그릴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베른키를 제외한 다른 용구로는 그릴의 착탈이 어렵기 때문에 그릴의 분실, 승객의 장난으로 인한 그릴의 이탈에 따른 안전사고 또는 그릴 내부의 분진 등의 오염물질이 객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Air Conditioner Grille for Korean Train Express}
본 발명은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릴의 날개의 개수와 날개 사이 간격 그리고 각도를 조절하여 종래의 고속철도 차량에서 사용되는 그릴과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풍량을 제공할 수 있고, 날개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거나 그릴 내부의 분진이 고속철도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시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용 베른키를 이용하여 한번에 탈착이 가능하므로 검수 및 청소가 용이하여 유지보수비의 절감효과가 있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철도 차량에는 냉난방 장치의 냉풍 또는 온풍을 객실 내부로 분산하거나 환기를 위해 창문 일측에 냉난방 토출구 그릴이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그릴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그릴의 날개 사이의 간격이 넓어 그릴 내부의 분진 덩어리 등의 오염물질이 승객의 시야에 노출되어 그릴에서 송풍 되는 바람에 대한 불쾌감 및 불안감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날개 사이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일부 승객이 쓰레기 등을 그릴의 날개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그릴을 통해 공급되는 냉ㆍ온풍 또는 통풍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고, 그릴을 막음으로써 공기의 순환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어 객실 내부의 공기가 탁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그릴의 청소 또는 고장 등의 원인으로 그릴을 객실 벽면에서 탈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취거 공구를 이용하여 많은 렌치볼트 등을 풀어야 하기 때문에 탈착이 번거로워 탈착 시간 및 인력 소모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중에서 흔히 공급되는 취거 공구로 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일부 승객의 장난 등으로 그릴을 고정하는 렌치볼트를 해체하는 경우 그릴의 이탈에 의해 안전 사고 발생, 분진의 객실 내부 노출 또는 그릴의 분실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릴의 날개의 개수와 날개 사이 간격 및 각도를 조절하여 종래의 고속철도의 차량에서 사용되는 그릴과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한 풍량을 제공할 수 있고, 날개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거나 그릴 내부의 분진이 고속철도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시야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철도 차량에 구비된 냉난방 토출구 그릴에 있어서, 그릴의 날개가 4개로 이루어지고, 날개 사이의 간격은 4mm 내지 6.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그릴의 날개는 종단부에 송풍 되는 바람의 풍향을 결정하기 위해 일정각도(θ)로 절곡된 유도 날개가 형성된다.
또한, 유도 날개의 절곡 각도(θ)는 130°내지 150°이다.
또한, 그릴의 양측 종단에는 그릴을 고속철도 차량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더 구비된다.
또한, 그릴의 양측 종단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체결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제 1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체결수단이 일측 종단에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타측 종단에는 체결상태가 고정된 제 2 체결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제 1 체결수단은, 그릴의 종단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케이스; 그릴과 인접한 일측과 대향 되는 타측 측벽에 형성된 관통부; 케이스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직선운동으로 관통부를 출입하는 인서트를 갖는 걸림부재; 걸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동부재; 걸림부재와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어 회동부재의 제어가 없는 경우 걸림부재의 인서트가 관통부 외부로 노출되도록 걸림부재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케이스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중심 일측에 제 2 관통공이 형성된 덮개;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체결수단은, 그릴의 종단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케이스; 그릴과 인접한 일측과 대향 되는 타측 측벽에 형성된 관통부; 케이스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직선운동으로 관통부를 출입하는 인서트를 갖는 걸림부재; 걸림부재와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어 회동부재의 제어가 없는 경우 걸림부재의 인서트가 관통부 외부로 노출되도록 걸림부재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케이스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덮개;를 포함한다.
또한, 걸림부재는, 케이스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부; 몸체부의 측면 일측에 돌출형성된 인서트; 인서트가 형성된 몸체부의 타측면 종단부에 형성된 반타원 형상의 제 1 관통공; 제 1 관통공의 종단 일측에 제 1 관통공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돌기; 및 제 1 관통공이 형성된 일측면에는 탄성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한다.
또한, 인서트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고 종단부로 갈수록 측면형상이 상방으로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45°내지 65°이다.
또한, 회동부재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원판형상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호 형상의 확장판이 형성된 몸체부; 몸체부의 상부면 중심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 및 연결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동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락킹부;를 포함한다.
또한, 락킹부는 고속철도 차량에서 사용되는 베른키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케이스의 상단부 일측에는 케이스를 그릴에 결합하기 위한 확장부가 형성된다.
또한, 확장부의 일측에는 제 1 핀공이 형성되고, 제 1 핀공에 압축핀 결합을 통해 그릴의 종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덮개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핀공에 대응되는 제 2 핀공이 형성된다.
또한, 고속철도 차량 객실에서 그릴이 설치되는 부분의 측부에는 그릴의 제 1 체결수단 또는 제 2 체결수단이 결합되도록 인서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브라켓의 장착으로 삽입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릴의 날개를 4개로 제조하여 기존의 그릴과 비교하여 풍속 및 풍압을 감소시키지 않고, 각각의 날개 사이 간격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날개 사이의 간격이 감소함에 따라 그릴 내부의 오염물질이 승객에게 투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그릴과 비교하여 날개 사이의 간격이 협소하여 날개 사이에 이물질 투입이 어려운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날개가 막히지 않아 고속철도 차량 객실의 공기 순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속철도 차량 직원들이 보유한 베른키를 이용하여 그릴을 착탈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그릴을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직원들의 필요에 따라 별도의 공구 또는 인력 없이 그릴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검수 및 청소가 쉬워져 유지보수비의 절감효과가 있다. 또한, 베른키를 제외한 다른 용구로는 그릴의 착탈이 어렵기 때문에 그릴의 분실, 승객의 장난으로 인한 그릴의 이탈에 따른 안전사고 또는 그릴 내부의 분진 등의 오염물질이 객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체결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체결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체결수단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체결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체결수단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의 구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100)의 날개(110)가 4개로 이루어지고, 날개(110) 사이의 간격은 4mm 내지 6.5mm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그릴(100)의 구성과 종래의 그릴을 비교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본 발명 종래기술
날개수 4개 3개
날개 사이 간격 4mm 내지 6.5mm 10.4mm이상
풍속 2.26m/s 내외 2.38m/s 내외
[표 1]과 같이, 날개(110)의 수를 증가시켜 날개(110) 사이를 감소시킴에 따라 종래에 사용되는 고속철도 차량의 그릴의 풍량 및 풍속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면서 날개(110) 사이의 간격이 축소되기 때문에 그릴(100) 내부의 분진 등의 오염 물질이 승객의 시야에 노출되지 않고, 날개(110) 사이에 쓰레기 등의 물질을 끼워넣지 못한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릴(100)의 날개(110) 종단부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되는 바람의 풍향을 결정하기 위해 소정각도(θ)로 절곡된 유도 날개(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유도 날개(120)의 절곡 각도(θ)는 130°내지 150°정도인 것이 좋다. 만약, 유도 날개(120)의 절곡 각도(θ)가 130°미만인 경우에는 송풍되는 바람의 풍속이 감소하고, 유도 날개(120)의 절곡 각도(θ)가 1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릴(100) 내부의 분진이 고속철도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시야에 노출될 수가 있다. 유도 날개(120)의 가장 바람직한 절곡 각도(θ)는 140°가 될 수 있다. 이때 절곡부위는 완만한 곡면을 이뤄 풍향 및 풍속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함이 좋다.
또한, 유도 날개(120)의 종단은 곡면을 이루면서 하향 볼록한 형상이다. 따라서, 유도 날개(120)를 따라 상향으로 유동되는 풍향이 종단의 곡면을 따라 수평 및 하향으로도 유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송풍된 바람은 상향은 물론 수평 및 하향으로도 유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릴(100)의 양측 종단에는 그릴(100)을 고속철도 차량의 창문틀 일측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200, 300)이 구비된다. 이러한 체결수단(200, 300)은 사용자가 체결상태를 조작하여 변경할 수 있는 제 1 체결수단(200) 및 사용자가 체결상태를 조작하지 못하고 체결상태가 고정된 제 2 체결수단(30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체결수단(200, 300)의 사용양태에 따라 그릴(100)의 양측 종단이 모두 제 1 체결수단(200)으로 이루어지거나, 일측은 제 1 체결수단(200)으로 이루어지고, 타측은 제 2 체결수단(300)으로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 체결수단의 구성)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체결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체결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체결수단(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0), 걸림부재(220), 회동부재(230), 탄성부재(240) 및 덮개(25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210)는 그릴(100)의 양측 또는 일측 종단부에 구비되고,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걸림부재(220), 회동부재(230) 및 탄성부재(240)가 안착할 수 있도록 육면체 형상의 중공부가 형성된다. 이때, 케이스(210)의 그릴(100)과 인접한 일측과 대향 되는 타측 측벽에는 소정 크기의 관통부(211)가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부(211)의 크기는 후술하는 걸림부재(220)의 인서트(222)가 출입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케이스(210)는 그릴(100)의 양측 종단부에 그릴(100)과 일체로 연장형성되도록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210)의 상단부 양측면에는 제 1 체결수단(200)을 그릴(100)에 체결하기 위한 제 1 핀공(213)이 형성된 확장부(2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체결수단(200)은 확장부(212)에 형성된 제 1 핀공(213)으로 압축핀을 관통시켜 그릴(100)의 종단부에 결합한다. 하지만, 케이스(210)의 결합은 압축핀 결합 외의 용접, 리벳팅 등과 같은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걸림부재(220)는 케이스(210)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직선운동을 통해 케이스(210)의 관통부(211)를 관통함으로써 그릴(100)을 고속철도 차량의 창틀 일측에 탈착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걸림부재(220)의 몸체부(221)는 케이스(210)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부(221)의 크기는 중공부의 내부에서 흔들림 없이 왕복 운동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부(221)의 측면 일측, 바람직하게는 케이스(210)의 관통부(211)가 형성된 일측 벽면에 대응되는 측면부에는 케이스(210) 외부로 돌출되는 인서트(2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인서트(22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몸체부(221)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고, 종단부는 종단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점차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45°내지 65°로 이루어진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60°의 경사로 기울어진 것이 좋다.
또한, 걸림부재(22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인서트(222)가 형성된 몸체부(221)의 타측면 종단부에는 걸림부재(220)의 왕복운동을 제어하는 회동부재(230)가 삽입되는 제 1 관통공(223)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관통공(223)은 반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 관통공(223)의 종단부에는 회동부재(230)가 걸릴 수 있도록 제 1 관통공(223)의 내측으로 고정돌기(224)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걸림부재(220)의 제 1 관통공(223)이 형성된 일측면에는 제 1 관통공(223)의 양측면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탄성부재(240)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225)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동부재(230)는 걸림부재(220)의 제 1 관통공(223) 내부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며 걸림부재(220)를 왕복 운동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회동부재(230)의 몸체부(231)는 제 1 관통공(223)의 내부 일측에 삽입되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몸체부(231) 일측에는 원판형상보다 큰 직경의 원호 형상의 확장판(23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원판형상의 몸체부(231)의 직경은 걸림부재(220)의 제 1 관통공(223) 내측으로 형성된 고정돌기(224) 사이 길이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확장판(232)은 고정돌기(224) 사이 길이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몸체부(231)의 상부 중심 일측에는 원기둥 형상의 연결부(233)가 구비되고, 연결부(233)의 상부면에는 몸체부(231)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락킹부(234)가 형성된다. 이때, 락킹부(234)는 고속철도 차량에서 사용되는 베른키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240)는 걸림부재(220)의 고정홈(225)에 삽입되고, 케이스(210)의 벽면과 걸림부재(220) 사이에 탄성 지지되어 걸림부재(220)의 인서트(222)가 관통부(211)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부재(240)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덮개(250)는 케이스(210)에 대응되는 크기의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안착된 걸림부재(220), 회동부재(230) 및 탄성부재(24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덮개(250)의 일측에는 회동부재(230)의 락킹부(234)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제 2 관통공(251)이 형성된다. 또한, 덮개(250)의 일측에는 제 1 핀공(2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핀공(252)이 형성된다. 이 제 2 핀공(252)은 제 1 핀공(252)과 압축핀 결합되며 또는 용접, 리벳팅 등과 같은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제 2 체결수단의 구성)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체결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체결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체결수단(300)은 케이스(310), 걸림부재(320), 탄성부재(340) 및 덮개(350)로 구성되고, 전술한 케이스(310), 걸림부재(320) 및 탄성부재(340)는 제 1 체결수단(20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 2 체결수단(300)의 덮개(350)는 전체적으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지만, 회동부재(230)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회동부재(230)의 락킹부(234)가 관통되는 제 2 관통공(251)이 형성되지 않는다.
미설명 부호 311은 관통부, 312는 확장부, 313은 제 1 핀공, 321은 몸체부, 322는 인서트, 323은 제 1 관통공, 324는 고정돌기, 325는 고정홈, 352는 제 2 핀공을 나타낸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그릴(100)은 철도차량 내부에 기존의 그릴(100)이 설치된 위치와 동일하게 설치된다. 하지만, 종래의 그릴과는 다른 체결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릴(100)의 양측 종단이 설치되는 일측, 바람직하게는 제 1 체결수단(200) 또는 제 2 체결수단(300)의 걸림부재(220, 320)의 인서트(222, 322)가 돌출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인서트(222, 322)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이 삽입홈은 그릴(100)이 장착되는 철도차량 내부의 창틀 일측 부분에 브라켓(미도시)이 장착되어 형성된다. 이 브라켓 및 삽입홈은 인서트(222,322)와 결합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통상의 기술이 적용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의 설치양태>
본 발명에 따른 그릴(100)의 설치를 위하여 우선 종래에 설치되어 있는 그릴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기존의 그릴(100)이 설치된 위치에 걸림부재(220, 320)의 인서트(222, 3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브라켓을 장착하여 삽입홈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릴(100)은 종래의 그릴과 외관의 크기는 동일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장소를 변경할 필요가 없고, 삽입홈의 형성과 같은 단순한 개조를 통해 설치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그릴(100)의 양측 종단부에 제 1 체결수단(200)을 압축핀 결합을 통해 결합한다. 이때, 그릴(100)의 일측 종단부에 제 1 체결수단(200)을 결합하고, 타측 종단부에는 제 2 체결수단(300)을 결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양측 종단부에 체결수단(200, 300)이 구비된 그릴(100)을 기존의 그릴이 설치된 위치에 결합한다. 이때, 제 1 체결수단(200) 및 제 2 체결수단(300)의 인서트(222, 322)는 종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브라켓에 의해 형성된 삽입홈으로 결합할 때는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결합이 용이하다. 또한, 결합한 이후에는 인서트(222, 322)의 전체 면적으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그릴(100)이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인서트(222, 322) 종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릴(100)의 설치 과정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이 없이 그릴(100)을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도 그릴(100)의 설치가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체결수단의 동작 상태도이다. 만약, 그릴(100)의 청소 또는 파손 등의 문제로 그릴(100)을 분리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철도 차량의 관계자가 모두 가지고 있는 베른키를 이용하여 제 1 체결수단(200)의 회동부재(230)에 구비된 락킹부(234)를 회전시키면 락킹부(234)가 회전하며 회동부재(230)를 함께 회전시킨다. 이렇게 회동부재(230)가 회전하게 되면 걸림부재(220의 제 1 관통공(223)에 삽입된 회동부재(230)의 확장판(232)이 회전하며 걸림부재(220)의 고정돌기(224)에 걸려 걸림부재(220)의 몸체부(221)를 케이스(210)의 중공부 내측으로 밀어넣으며 인서트(222)가 삽입홈에서 이탈되며 그릴(100)을 분리할 수 있다.
만약, 그릴(100)의 일측 종단에 제 1 체결수단(200)에 구비되고, 타측 종단에는 제 2 체결수단(300)이 구비된 경우에는 제 1 체결수단(200)을 전술한 방법에 의해서 분리하고, 제 2 체결수단(300)은 제 1 체결수단(200)이 설치된 그릴(100)의 일측 방향으로 당겨서 분리할 수 있다.
참고로, 도 7의 도면부호는 제 1 체결수단(200)의 체결상태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상세한 도면부호를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그릴
110 : 날개
120 : 유도 날개
200 : 제 1 체결수단
300 : 제 2 체결수단
210, 310 : 케이스
211, 311 : 관통부
212, 312 : 확장부
213, 313 : 제 1 핀공
220, 320 : 걸림부재
221, 321 : 몸체부
222, 322 : 인서트
223, 323 : 제 1 관통공
224, 324 : 고정돌기
225, 325 : 고정홈
230 : 회동부재
231 : 몸체부
232 : 확장판
233 : 연결부
234 : 락킹부
240, 340 : 탄성부재
250, 350 : 덮개
251 : 제 2 관통공
252, 352 : 제 2 핀공

Claims (17)

  1. 고속철도 차량에 구비된 냉난방 토출구 그릴(100)에 있어서,
    상기 그릴(100)의 날개(110)는 4mm 내지 6.5mm 간격의 4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릴(100)의 양측 종단에는 상기 그릴(100)을 상기 고속철도 차량의 객실 내부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200, 300)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수단(200, 300)은 상기 그릴(100)의 양측 종단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에 의해 체결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제 1 체결수단(200); 및
    상기 제 1 체결수단(200)이 일측 종단에 구비되는 경우에, 타측 종단에는 체결상태가 고정된 제 2 체결수단(3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100)의 날개(110)는 종단부에 송풍 되는 바람의 풍향을 결정하기 위해 소정각도로 절곡된 유도 날개(1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날개(120)의 절곡 각도(θ)는 130°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날개(120)의 종단은 곡면을 이루면서 하향 볼록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수단(200)은,
    상기 그릴(100)의 종단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케이스(210);
    상기 그릴(100)과 인접한 일측과 대향 되는 타측 측벽에 형성된 관통부(211);
    상기 케이스(210)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직선운동으로 상기 관통부(211)를 출입하는 인서트(222)를 갖는 걸림부재(220);
    상기 걸림부재(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동부재(230);
    상기 걸림부재(220)와 상기 케이스(2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부재(230)의 제어가 없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의 인서트(222)가 상기 관통부(211)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걸림부재(220)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40); 및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면에 구비되고, 중심 일측에 제 2 관통공(251)이 형성된 덮개(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수단(300)은,
    상기 그릴(100)의 종단부에 구비되고,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케이스(310);
    상기 그릴(100)과 인접한 일측과 대향 되는 타측 측벽에 형성된 관통부(311);
    상기 케이스(310)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직선운동으로 상기 관통부(311)를 출입하는 인서트(322)를 갖는 걸림부재(320);
    상기 걸림부재(320)와 상기 케이스(3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부재(230)의 제어가 없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320)의 인서트(322)가 상기 관통부(311)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걸림부재(320)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40); 및
    상기 케이스(31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덮개(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220, 320)는,
    상기 케이스(210, 310)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부(221, 231);
    상기 몸체부(221, 321)의 측면 일측에 돌출형성된 상기 인서트(222, 322);
    상기 인서트(222, 322)가 형성된 몸체부(221, 321)의 타측면 종단부에 형성된 반타원 형상의 제 1 관통공(223, 323);
    상기 제 1 관통공(223, 323)의 종단 일측에 상기 제 1 관통공(223, 323)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돌기(224, 324); 및
    상기 제 1 관통공(223, 323)이 형성된 일측면에는 상기 탄성부재(240, 34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225, 3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222, 32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고 종단부로 갈수록 측면형상이 상방으로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경사 각도는 45°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230)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원판형상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호 형상의 확장판(232)이 형성된 몸체부(231);
    상기 몸체부(231)의 상부면 중심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233); 및
    상기 연결부(233)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부재(230)의 구동을 제어하는 락킹부(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234)는 상기 고속철도 차량에서 사용되는 베른키에 삽입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10, 310)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210, 310)를 상기 그릴(100)에 결합하기 위한 확장부(212, 31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212, 312)의 일측에는 제 1 핀공(213, 313)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핀공(213, 313)에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그릴(100)의 종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50, 350)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핀공(213, 313)에 대응되는 제 2 핀공(252, 3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1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철도 차량 내부 객실에서 상기 그릴(100)이 설치되는 부분의 측부에는 상기 그릴(100)이 제 1 체결수단(200) 또는 제 2 체결수단(300)을 통해 결합되도록 상기 인서트(222, 3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브라켓의 장착으로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KR1020100109072A 2010-11-04 2010-11-04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KR101063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072A KR101063718B1 (ko) 2010-11-04 2010-11-04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072A KR101063718B1 (ko) 2010-11-04 2010-11-04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3718B1 true KR101063718B1 (ko) 2011-09-07

Family

ID=4495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072A KR101063718B1 (ko) 2010-11-04 2010-11-04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7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30756A (zh) * 2022-08-26 2022-10-25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顶板结构及轨道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0061A (ja) 1996-12-04 1998-06-26 Matsushita Seiko Co Ltd アンダーフロアー空調用吹出し口
KR200259902Y1 (ko) 2001-09-27 2002-01-09 주식회사 대현엠. 티 온풍기의 풍향그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0061A (ja) 1996-12-04 1998-06-26 Matsushita Seiko Co Ltd アンダーフロアー空調用吹出し口
KR200259902Y1 (ko) 2001-09-27 2002-01-09 주식회사 대현엠. 티 온풍기의 풍향그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30756A (zh) * 2022-08-26 2022-10-25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顶板结构及轨道车辆
CN115230756B (zh) * 2022-08-26 2023-09-26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顶板结构及轨道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3124B2 (en) Indoor device for air conditioner having wind visors
EP2857762B1 (en)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ES2788177T3 (es) Acondicionador de aire
EP2857763B1 (en)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KR101063718B1 (ko)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KR101264374B1 (ko) 전동차용 공기청정기의 바람유도 구조
JP6203699B2 (ja) 軌条車両構体へのモジュールユニット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取り付け方法
KR102246264B1 (ko) 지하철 차량의 에어콘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집진장치
WO2014207891A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2282408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20110067780A (ko) 다중 필터의 프레임
CN213955540U (zh) 一种电梯轿厢通风结构
KR102439556B1 (ko) 바스켓이 구비된 암레스트형 공기청정기
CN104386561A (zh) 设置于电梯轿厢的壁面的显示装置
CN110843834A (zh) 一种轨道列车空调新鲜空气导入装置及轨道列车空调
KR101264373B1 (ko) 전동차용 공기청정기의 유해가스 제거 필터 교환구조
KR102392833B1 (ko) 청소가 용이한 고속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청정기
CN214928838U (zh) 车辆空调出风口结构和车辆
WO2021241390A1 (ja) 換気装置
CN215398092U (zh) 一种汽车空调风道风口上盖
CN112977509B (zh) 一种轨道车辆的空调回风系统
CN217503839U (zh) 空气调节设备
KR101186846B1 (ko)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CN214324843U (zh) 一种空调出风口
JP2988408B2 (ja) 高所設置用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