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846B1 -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846B1
KR101186846B1 KR1020120067179A KR20120067179A KR101186846B1 KR 101186846 B1 KR101186846 B1 KR 101186846B1 KR 1020120067179 A KR1020120067179 A KR 1020120067179A KR 20120067179 A KR20120067179 A KR 20120067179A KR 101186846 B1 KR101186846 B1 KR 101186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air conditioner
post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원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원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원기연
Priority to KR1020120067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하여 작동에 따른 진동과 소음을 줄일 수 있고 특히 청소 또는 교체를 위한 필터의 탈 장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유지보수의 이점을 가지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케이싱의 내벽에 설치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중앙에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싱의 내벽에 설치되는 포스트프레임; 상기 포스트프레임에 결합되어, 필터의 상, 하단이 삽입되는 상, 하부 레일; 상기 포스트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상, 하부 레일 상에 설치된 상기 필터의 한쪽 측면과 접촉하는 고정성 지지대; 및 상기 포스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필터의 다른쪽 측면과 접촉하거나 이격됨으로써, 상기 필터의 장착과 분리를 위한 개폐구조를 이루는 이동성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한 필터의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having separating or mounting type filt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 여과유닛(에어필터)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청소 또는 교체를 위한 필터의 탈 장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유지보수의 이점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이것을 공기조화해서 내보내는 장치로써, 공기조화기의 내부에는 공기의 정화, 냉각, 가열 및 가습의 기능을 가진 각종의 유닛이 케이싱에 수납되어 있다.
공기조화기의 케이싱 내부에 수납되는 유닛에는, 여과유닛(에어필터), 예열기, 예냉기, 냉각 감습기, 가습기, 재열기, 송풍기 등이 있으며, 상기 예열기와 재열기로서는 공기 가열코일이 사용되고, 상기 예냉기와 냉각 감습기로서는 공기 냉각코일이 사용되며, 상기 가습기로서는 기화식 또는 스팀 인젝션이 사용된다. 이러한 각종 유닛의 조합은 공기조화 조건, 기계실의 크기, 열부하의 조건, 예산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채택하여 설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중앙식 덕트 공기조화기의 일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공기조화기는 케이싱(1)의 내부에 실내공기 흡입 팬(2)과, 실내공기 공급 팬(5), 공기 여과유닛(3), 열교환기(4)가 장착되어 있다.
즉, 상기 케이싱(1)은 흡입덕트와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다수개의 흡입구와, 공급덕트와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다수개의 토출구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 흡입구와 토출구에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댐퍼(11,12,13,1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여과유닛(3)과 열교환기(4)는 상기 흡입 팬(2)과 공급 팬(5)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도시된 공기조화기는 흡입 팬(2)의 송풍력에 의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댐퍼(11)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실내공기 중 일부는 배출댐퍼(1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한편 흡입덕트(13)를 신선한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믹싱하여 열효율과 신선도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후 믹싱된 공기는 공기 여과유닛(3)과 열교환기(4)를 차례로 거치고, 공급 팬(5)의 송풍력에 의하여 열 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한편,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공기 여과유닛(3)은, 실내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사용감에 따라 청소나 교체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바, 케이싱(1)으로부터 분리 혹은 교체가 용이한 구조를 만족하여야 한다.
도 2는 종래 공기 여과유닛의 설치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기 여과유닛(3)은, 필터(34)와 이 필터(34)를 케이싱(1)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홀딩프레임(31,32,33)을 포함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딩프레임(31,32,33)은, 케이싱(1)의 내벽에 고정되어 필터(34)의 사방 측면이 밀착되는 베이스프레임(3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31)과 볼트 혹은 용접으로 연결되어 필터(34)의 전면 가장자리와 밀착되는 제1 브래킷(32);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31)과 볼트 혹은 용접으로 연결되어 필터(34)의 배면 가장자리와 밀착되는 제2 브래킷(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이러한 홀딩프레임(31,32,33)에 의하여 필터(34)를 케이싱(1)에 장착하고 있는 공기 여과유닛(3)은 초기 장착 또는 청소 혹은 교체를 위한 분리를 위해서는 베이스프레임(31)으로부터 제1 브래킷(32) 혹은 제2 브래킷(33)을 분리한 다음 필터(34)가 분리 가능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공기 여과유닛(3)의 경우에는 분리 및 조립을 위한 작업이 불편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케이싱(1)으로부터 홀딩프레임(31,32,33)을 모두 해체할 필요 없이 예를 들어, 베이스프레임(31)으로부터 제1 브래킷(32)을 분리하여, 필터(34)를 베이스프레임(31)의 전면으로 분리하게 되는 것이나, 흔히 필터(34)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제작되는 베이스프레임(31)의 빡빡한 크기 때문에 필터(34)를 파지하기 위한 작업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확보 되지 않아 분리 시 어려움이 발생되며, 베이스프레임(31)의 사방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있는 제1 브래킷(32) 혹은 제2 브래킷(33)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조립 및 해체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분리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31)의 크기보다 필터(34)의 크기를 작게 형성함으로써 제1 브래킷(32)을 해체한 이후에는 필터(34)의 분리 작업을 어느 정도 편하게 수행할 수 있겠으나, 이러한 경우 설치된 상태에서 필터(34)의 사방 측면이 베이스프레임(31)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공기조화기의 사용 중 필터(34)의 진동과 소음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이와 같은 필터(34)와 베이스프레임(31) 사이의 틈새로 인한 진동과 소음을 해소하기 위하여 별도의 화스너(Fastener)를 더 설치 구성하여야 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가 대형인 경우에는 케이싱(1)의 크기에 비례하여 필터(34)의 평면 크기도 커져야 하는데, 흔히 이러한 경우에는 필터(34)의 제작 및 유통 상의 용이함을 이유로 작은 크기의 필터(34)를 다수개로 설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홀딩프레임(31,33,33)을 상하, 좌우 격자구조로 구성하여 다수개의 필터(34)를 홀딩프레임(31,32,33)의 내부 격자구조에 배치하게 된다. 이처럼 격자구조의 홀딩프레임(31,32,33)에 격자구조 내부에 다수개의 필터(34)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장착되는 필터(34)의 개수와 비례하여 필터(34)의 분리 및 조립 시 많은 수의 제1 브래킷(32) 혹은 제2 브래킷(33)을 조립하거나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작업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실내 환경 조건, 실내공기의 청정 정도, 예산 등에 따라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다수개의 필터(34)를 다단으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처럼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다단의 필터(34)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 장착되는 필터(34)의 개수와 비례하여 필터(34)의 분리 및 조립 시 많은 수의 제1 브래킷(32) 혹은 제2 브래킷(33)을 조립하거나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마찬가지 많은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국내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7-99308(2007.10.09) 국내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7-69537(2007.07.03) 국내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4-80810(2004.09.20)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필터의 초기 장착뿐만 아니라 청소 혹은 교체를 위한 필터의 분리 및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양별 필터의 크기변화와 무관하게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공기 여과유닛에서 발생되는 소음 진동 현상을 줄일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공기의 흐름방향과 직교하게 상하, 좌우 다수개의 필터가 구비되거나 또는 공기의 흐름방향과 나란하게 다단의 필터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다수개의 필터를 일괄적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분리 및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싱의 내벽에 설치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중앙에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싱의 내벽에 설치되는 포스트프레임;
상기 포스트프레임에 결합되어, 필터의 상, 하단이 삽입되는 상, 하부 레일;
상기 포스트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상, 하부 레일 상에 설치된 상기 필터의 한쪽 측면과 접촉하는 고정성 지지대; 및
상기 포스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필터의 다른쪽 측면과 접촉하거나 이격됨으로써, 상기 필터의 장착과 분리를 위한 개폐구조를 이루는 이동성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동성 지지대는,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내벽과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지지대 본체; 상기 지지대 본체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상, 하부 레일에 설치된 필터의 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고정성 지지대를 향해 필터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편은, 상기 지지대 본체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필터의 측면과 접촉하는 수직날개부; 상기 수직날개부의 끝단에서 경사지게 구비되어, 필터의 측면으로 상기 수직날개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날개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 본체에는, 상기 필터의 전면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탄성편이 필터의 측면에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필터의 측면과 이어지는 전면부에 접촉하는 연장지지부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회동식 개폐 작동 구조를 갖는 이동성 지지대의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하나 혹은 다수개의 필터에 대한 장착 및 분리를 매우 손쉽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의 청소 및 교체 작업을 매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동식 개폐 작동 구조를 갖는 하나의 이동성 지지대를 이용하여 상하, 좌우방향 혹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필터에 대한 일괄 장착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부품 제작의 비용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편을 포함한 이동성 지지대를 이용하여 하나 혹은 다수개의 필터를 동일한 긴장된 상태로 일괄하여 고정시킬 수 있어 공기조화기의 작동에 따른 진동과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품질향상이 기대된다.
도 1은 종래 중앙식 공기조화기의 일예를 보이는 측면도
도 2는 종래 공기 여과유닛의 설치상태를 보이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여과유닛의 설치상태를 보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성 지지대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의 장착 상태를 보이는 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여과유닛의 설치상태를 보이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위에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히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실내와 연결되는 흡입덕트와 토출덕트와 연결되어 실내 외측에 설치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의 내부에 각종 유닛이 수납되어 일체를 이루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주요 특징부인 공기 여과유닛(3) 역시 케이싱(1)의 내부에 구비된다.
아울러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설치환경, 기계실의 크기, 열 부하 조건, 설치 예산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유닛을 선택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바, 공기조화기의 케이싱(1)에 적용될 수 있는 이러한 각종 유닛에 대한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어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필터 역시 설치 환경, 설치 예산 등에 따라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필터들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바, 이러한 필터의 구성에 관하여서도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어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케이싱(1)의 내벽에 설치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 내 포함된 이물질을 포집하여 신선한 공기만을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필터(2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포스트프레임(11), 상, 하부 레일(12,13), 고정성 지지대(15), 및 이동성 지지대(17)를 포함하여서 구성한 탈 장착형 공기 여과유닛(10)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사각 단면 구조를 케이싱(1)을 보이고 있으나, 꼭 이와 같이 사각 단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케이싱(1)의 공기 유로에 직교하여 필터(20)를 포함한 공기 여과유닛(10)이 배치되어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달리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포스트프레임(11)은, 필터(20)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부재로써, 중앙에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싱(1)의 내벽에 고정 설치된다. 실시 예에 의한 사각 단면의 케이싱(1)에 대응하여 상하, 좌우측 직선프레임의 모서리를 연결하여 사각형 구조의 포스트프레임(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 하부 레일(12,13)은 포스트프레임(11)의 상, 하단부에 대해 고정구(110)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어, 마치 창틀과 같이 필터(20)의 상, 하단을 내부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필터(20)가 상, 하부 레일(12,13)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필터(20)는 창틀에 끼워지는 창과 같이 포스트프레임(11)의 전면에서 상단을 상부 레일(13)에 먼저 끼워 넣은 다음 하단을 하부 레일(12)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하여 간단히 초기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고정성 지지대(15)는, 포스트프레임(11)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상, 하부 레일(12,13) 상에 안착된 필터(20)의 한쪽 측면과 접촉한다. 도시된 고정성 지지대(15)는 스크류 혹은 볼트나사 결합 구조의 고정구에 의하여 포스트프레임(11)과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부인 상기 이동성 지지대(17)는, 상기 고정성 지지대(15)와 반대하는 포스트프레임(11)의 다른쪽에 회전식 개폐구조를 이루도록 설치 구성된다. 즉, 일단이 상기 포스트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회전 정도에 따라 타단이 상기 필터(20)의 측면과 접촉하거나 혹은 이격됨으로써, 필터(20)의 장착 혹은 분리를 위한 개폐구조를 갖는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성 지지대(15)와 이동성 지지대(17)는 필터(20)를 사이에 두고 좌측과 우측에 설치 구성되는 것으로, 동일한 좌우 폭을 구비함으로써 케이싱(1)의 중앙부에 필터(20)를 위치시킬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달리,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비대칭의 좌우 폭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케이싱(1)의 좌측 혹은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필터(20)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결국 다양한 공기조화기의 설계 변경에 따른 유연한 설계가 가능하다.
계속해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요 특징부인 이동성 지지대(17)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이동성 지지대(17)는 포스트프레임(11)의 내벽과 일단이 힌지(172) 결합되어 상기 힌지(17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대 본체(170)와; 상기 지지대 본체(17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 본체(170)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상, 하부 레일(12,13)에 안착된 필터(20)의 측면에 접촉하는 탄성편(176)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편(176)은 지지대 본체(170)에 일체로 구비된 것일 수 있으며, 고정구에 의하여 결합된 것일 수 있다.
결국 상기 탄성편(176)은 힌지(172)를 중심으로 회전한 지지대 본체(170)의 닫힘 상태에서 필터(20)의 측면에 대해 긴장상태로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성 지지대(15)를 향해 필터(20)를 탄성 가압한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편(176)은, 필터(20)의 측면과 나란하게 지지대 본체(170)로부터 수직 절곡되는 수직날개부(1760)와; 상기 수직날개부(1760)의 끝단에서 경사져, 상기 힌지(172)를 중심으로 지지대 본체(170)의 회전 작동 중 필터(20)의 측면 끝단을 향해 수직날개부(1760)의 진입을 안내하는 경사날개부(1761)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 본체(170)의 끝단에는, 필터(20)의 전면부와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탄성편(176)이 필터(20)의 측면에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필터(20)의 측면과 이어지는 전면부에 접촉되는 연장지지부(174)를 포함하여 형성함이 좋다.
이러한 구성의 이동성 지지대(17)로 인하여 상, 하부 레일(12,13)에 안착된 필터(20)는 탄성편(17)에 의하여 측방으로 가압된 상태를 이루게 때문에, 좌, 우 측면이 고정성 지지대(15)와 이동성 지지대(17)에 틈새 없이 견고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작동 중 진동 및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더불어 이렇게 좌, 우측방향으로 견고히 장착된 상태에서 이동성 지지대(17)에 형성된 연장지지부(174)에 의하여 필터(20)의 한쪽 전면부가 후방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상, 하부 레일(12,13) 상에 안착된 필터(20)의 전, 후면이 연장지지부(174)와 상, 하부 레일(12,13)에 견고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좌우방향뿐만 아니라 전후방향에 대한 밀착력으로 인하여 진동 및 소음을 보다 크게 줄일 수 있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여과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본 발명은 포스트프레임(11), 상, 하부 레일(12",13"), 고정성 지지대(15), 및 이동성 지지대(17)의 구성은 전술한 일실시 예와 거의 동일하다.
다만, 전술한 일실시 예에 의한 공기 여과유닛(10)에서는 하나의 필터(20)를 구성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여과유닛(10")에서는 다수개의 필터(20")를 구성한 것에 차이점이 있다.
이처럼 케이싱(1)의 유로 상에 하나의 필터(20) 혹은 다수개의 필터(20")를 구성하는 정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 환경 조건, 공기의 청정 정도, 예산 등에 따라 임의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유로 상에서 상하 혹은 좌우방향으로 2개 이상의 필터(20")가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 상에서 상하, 좌우 4개 이상의 필터(2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공기의 흐름방향에 대해 다단의 필터(20")를 구성할 수도 있다. 흔히 공기의 흐름방향에 대해 다단의 필터(20")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포집하는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케이싱(1)의 유로단면 상에서 상하, 좌우방향으로 다수개의 필터(20")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양단이 상기 포스트프레임(11)에 결합되며 상부 필터(20")의 하단과 하부 필터(20")의 상단이 삽입되게 상, 하부에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중간 레일(14")만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모든 필터(20")에 대한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일실시 예와 마찬가지 하나의 이동성 지지대(17)를 그대로 구성함으로써, 상부에 배치된 다수개의 필터(20")와 하부에 배치된 다수개의 필터(20")는 좌측의 고정성 지지대(15)와 우측의 이동성 지지대(17)의 탄성편(176) 사이에서 일괄적으로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공기의 흐름방향으로 다단의 필터(20")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다단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필터(20")와 대응하여 상기 상, 하부 레일(12",13") 및 중간 레일(14")에 다수개의 레일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하나의 이동성 지지대(17)의 탄성편(176)을 이용하여 고정성 지지대(15)를 향해 다단의 필터(20")를 일괄하여 탄성 가압함으로써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다단의 필터(20")의 측면에 동시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편(176)의 수직날개부(1760)는 충분한 길이를 가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이동성 지지대(17)에 의한 필터(20)(20")의 장착과 분리를 위한 개폐구조는 상하, 좌우방향 혹은 공기 흐름방향에 대해 다수개의 필터(20")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설치되는 다수개의 필터(20")를 아주 손쉽게 일괄하여 장착할 수 있고, 또 그 장착위치를 일괄적으로 유지하는 한편, 청소 및 교체를 위한 분리 시에도 아주 손쉽게 일괄하여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여과유닛(10)(10")은, 필터(20)(20")의 한쪽 측면에 회동식 개폐 구조를 가지는 이동성 지지대(17)를 구비함으로써, 필터(20)(20")의 견고한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필터의 사방 둘레를 따라 고정 브래킷을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른 제작비의 절감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여과유닛(10)(10")은, 케이싱(1)의 단면상에서 상하, 좌우방향으로 다수개의 필터(20)(20")가 구비되거나 혹은 공기의 흐름방향으로 다단의 필터(20)(20")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이동성 지지대(17)를 이용하여 모든 필터(20)(20")에 대한 견고한 장착 상태를 만족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제작비의 절감효과가 더욱 기대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여과유닛(10)(10")은, 한쪽 측면에 구비된 이동성 지지대(17)의 회동식 개폐 작동만으로, 하나 혹은 다수개의 필터(20)(20")에 대한 장착 및 분리를 작업자가 아주 손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필터(20)(20")의 청소 및 교체 작업을 매우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케이싱 (10)(10") : 공기 여과유닛
(11) : 포스트프레임 (12)(12") : 하부 레일
(13)(13") : 상부 레일 (14") : 중간 레일
(15) : 고정성 지지대 (17) : 이동성 지지대
(170) : 지지대 본체 (172) : 힌지
(174) : 연장지지부 (176) : 탄성편
(1760) : 수직날개부 (1761) : 경사날개부
(20)(20") : 필터

Claims (7)

  1. 케이싱(1)의 내벽에 설치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필터(2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중앙에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싱(1)의 내벽에 설치되는 포스트프레임(11);
    상기 포스트프레임(11)에 결합되어, 필터(20)의 상, 하단이 삽입되는 상, 하부 레일(12,13);
    상기 포스트프레임(11)에 결합되어, 상기 상, 하부 레일(12,13)상에 설치된 상기 필터(20)의 한쪽 측면과 접촉하는 고정성 지지대(15); 및
    상기 포스트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필터(20)의 다른쪽 측면과 접촉하거나 이격됨으로써, 상기 필터(20)의 장착과 분리를 위한 개폐구조를 이루는 이동성 지지대(17);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지지대(17)는,
    상기 포스트프레임(11)의 내벽과 일단이 힌지(172) 결합되는 지지대 본체(170);
    상기 지지대 본체(17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172)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상, 하부 레일(12,13)에 설치된 필터(20)의 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고정성 지지대(15)를 향해 필터(2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편(176)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176)은,
    상기 지지대 본체(170)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필터(20)의 측면과 접촉하는 수직날개부(1760);
    상기 수직날개부(1760)의 끝단에서 경사지게 구비되어, 필터(20)의 측면으로 상기 수직날개부(176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날개부(1761)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본체(170)에는, 상기 필터(20)의 전면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탄성편(176)이 필터(20)의 측면에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필터(20)의 측면과 이어지는 전면부에 접촉하는 연장지지부(174)를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20)는 공기의 흐름방향에 직교하는 상하, 좌우방향에 대해 다수개의 필터(20")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 필터(20")의 하단과 하부 필터(20")의 상단이 삽입되게 상, 하부에 레일이 형성된 중간 레일(14")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20)는 공기의 흐름방향에 대해 다수개의 필터(20")로 구비되며,
    상기 상, 하부 레일(12",13") 및 중간 레일(14")에는 다수개의 필터(20")와 대응하는 다수개의 레일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레일(12",13") 및 중간 레일(14")은, 고정구(110)에 의하여 상기 포스트프레임(11)으로부터 탈 장착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KR1020120067179A 2012-06-22 2012-06-22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KR101186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179A KR101186846B1 (ko) 2012-06-22 2012-06-22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179A KR101186846B1 (ko) 2012-06-22 2012-06-22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846B1 true KR101186846B1 (ko) 2012-09-28

Family

ID=47114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179A KR101186846B1 (ko) 2012-06-22 2012-06-22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8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161B1 (ko) * 2018-09-27 2019-04-09 주식회사 거양 저소음, 저진동, 고효율 구조와 조명 기능이 구비된 바이오 팬코일 유니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985B1 (ko) 2004-09-14 2006-02-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필터의 회동 장착구조를 갖는 에어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985B1 (ko) 2004-09-14 2006-02-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필터의 회동 장착구조를 갖는 에어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161B1 (ko) * 2018-09-27 2019-04-09 주식회사 거양 저소음, 저진동, 고효율 구조와 조명 기능이 구비된 바이오 팬코일 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597B1 (ko) 공기조화기용 필터 조립체
JP2015169389A (ja) 空気調和機
JP514852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186846B1 (ko)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JP6405524B2 (ja) 空気調和機
JP5999944B2 (ja) 空調室内機
JP3676547B2 (ja) 空気調和機
CN211781482U (zh) 一种新风装置及空调
KR100733294B1 (ko) 공기 조화기의 필터 장착구조
KR20120125019A (ko) 공기 청정기
KR100511979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CN209763301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KR100753448B1 (ko) 공기조화기
JPH09273769A (ja) 空気調和機
JP7008151B1 (ja) エアフィルター取付装置
CN220707531U (zh) 过滤网组件、新风部件和空调器
JP2013079773A (ja) 空気調和機
JP2007071494A (ja) 空気調和機
KR20060119068A (ko) 독립 공기청정기능이 부가된 공기조화기
KR102214711B1 (ko) 에어컨 장착용 미세먼지 저감 필터
JP6960574B2 (ja) 給気ファン
CN213272904U (zh) 空气处理装置、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18379633U (zh) 风道部件和空气调节设备
KR20070069538A (ko) 공기 조화기
KR20110027509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