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902Y1 - 온풍기의 풍향그릴 - Google Patents

온풍기의 풍향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902Y1
KR200259902Y1 KR2020010029818U KR20010029818U KR200259902Y1 KR 200259902 Y1 KR200259902 Y1 KR 200259902Y1 KR 2020010029818 U KR2020010029818 U KR 2020010029818U KR 20010029818 U KR20010029818 U KR 20010029818U KR 200259902 Y1 KR200259902 Y1 KR 2002599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irection
direction grill
air fan
grill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현엠. 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현엠. 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현엠. 티
Priority to KR2020010029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9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9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902Y1/ko

Links

Landscapes

  • Housings, Intake/Discharge, And Installation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풍기의 풍향그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온풍기의 전면판에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삽입부재와 경사편으로 이루어진 풍향그릴에 있어서, 상기 풍향그릴(20)의 경사편(22) 전면 단부에 수평을 유지하여 유도부재(23)가 일체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각각의 풍향그릴 전면에 각각 일체로 유도부재를 구비하여 온풍기에서 발생되는 더운 바람이 전방으로 멀리 뻗어 도출되도록 함으로써 열기가 실내에 골고루 퍼져 난방이 효율적이고, 열기에 의한 온풍기의 전면판에 대한 부식 및 그을음을 방지하게 되어 온풍기를 보호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온풍기의 풍향그릴{WIND GRILL OF HEATER}
본 고안은 온풍기의 풍향그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풍향그릴 전면에 유도부재를 구비하여 온풍기에 발생되는 더운 바람이 전방으로 멀리 뻗어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열기가 실내에 골고루 퍼져 난방이 효율적이고, 열기에 의한 전면판의 부식 및 그을음을 방지하게 되는 온풍기의 풍향그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풍기는 실내나 공장 등을 난방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주로 국부적인 난방과 전체적인 난방 등으로 구분되는 데, 여기서는 국부적인 난방을 위한 온풍기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이러한 온풍기의 전면판에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더운 바람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풍향그릴이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풍향그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온풍기 풍향그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 다른 타입의 온풍기 풍향그릴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풍향그릴(200)은 온풍기(100)의 전면판(110)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구비된다.
상기 풍향그릴(200)은 온풍기(100)의 전면판(110) 하부에 관통 형성된 사각의 장공(111) 내부에 삽입되도록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케이스로 이루어진 삽입부재(210)와, 삽입부재(210)의 전면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어 더운 바람을 외부로 안내하게 되는 경사편(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편(220)은 전면 단부의 상부에 보강부재(221)가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 더운 바람을 외부로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경사편(220) 사이의 삽입부재(210)에는 온풍기(100)의 더운 바람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공(222)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경사편(220)은 온풍기(100)의 전면판(110)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풍향그릴(300)은 온풍기(100)의전면판(110) 하부에 관통 형성된 사각의 장공(111) 내부에 삽입되도록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케이스로 이루어진 삽입부재(400)와, 삽입부재(400)의 전면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어 더운 바람을 외부로 안내하게 되는 경사편(41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경사편(410) 사이의 삽입부재(400)에는 온풍기(100)의 더운 바람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공(420)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경사편(410)은 온풍기(100)의 전면판(110)과 일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풍향그릴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동절기에 실내의 난방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온풍기(100)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온풍기(100) 내부에서 더운 바람이 발생되어 온풍기(100)의 전면판(110)에 형성된 장공(110)에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로 이루어진 삽입부재(210)로써 삽입된 풍향그릴(200)을 통하여 외부, 즉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 난방을 실시하게 된다.
즉, 온풍기(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더운 바람이 풍향그릴(200)의 삽입부재(210)에 형성된 다수의 토출공(222)을 통하고, 전면 단부의 상부에 보강부재(221)가 일체로 형성된 경사편(210)에 의해 안내되어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 난방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경사편(220)은 온풍기(100)의 전면판(110)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경사편(220)이 고정편(210)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풍향그릴(300)은 상하부에 고정편(300)이 수평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고정편(300) 사이에는 적정 경사를 유지하여 다수의 경사편(400)이 일체로 형성되어 온풍기(100) 전면판의 사각장공(110)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온풍기(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더운 바람을 실내로 토출시키게 된다. 이때, 100) 내부의 더운 바람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다수의 토출공(410)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편(300)과 경사편(400)은 온풍기(100)의 전면판(110) 표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온풍기의 풍향그릴은 온풍기로부터 발생되는 더운 바람을 실내로 안내하는 경사편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구조상 온풍기에서 발생되는 더운 바람이 경사편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더운 기류가 실내에 단시간 내에 골고루 퍼지지 못하게 되어 열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열기에 의해 전면판 자체에 부식 및 그을음이 생기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온풍기의 풍향그릴 단부에 수평을 유지하여 유도부재를 구비하게 됨으로써 실내의 난방효율을 상승시키고, 전면판의 부식 및 그을음을 방지하게 되는 온풍기의 풍향그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는, 온풍기의 전면판에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삽입부재와 경사편으로 이루어진 풍향그릴에 있어서, 상기 풍향그릴의 경사편 전면에 수평을 유지하여 유도부재가 일체로 각각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온풍기의 풍향그릴 설치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
도 3은 종래 다른 타입의 온풍기 풍향그릴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온풍기의 풍향그릴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온풍기의 풍향그릴의 동작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온풍기 20 : 풍향그릴
22 : 경사편 23 : 유도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온풍기의 풍향그릴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온풍기의 풍향그릴의 동작상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풍향그릴(20)은 온풍기(10)의 전면판(11)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구비된다.
상기 풍향그릴(20)은 온풍기(10)의 전면판(11) 하부에 관통 형성된 사각의 장공(12) 내부에 삽입되도록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케이스로 이루어진 삽입부재(21)와, 삽입부재(21)의 전면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어 더운 바람을 외부로 안내하게 되는 경사편(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편(22)은 전면 단부에 수평을 유지하여 유도부재(23)가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편(22)을 따라 이동된 더운 바람이 수평으로 안내되어 온풍기(10)의 전방으로 토출됨으로써 열기가 실내에 골고루 퍼져 난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경사편(22) 사이의 삽입부재(21)에는 온풍기(10)의 더운 바람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공(24)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경사편(22)은 온풍기(10)의 전면판(11)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풍향그릴(10)은 내식 및 내열성이 높고 표면 상태가 양호한 알루미늄을 압축 성형하여 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도 5에서와 같이 동절기에 실내의 난방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온풍기(10)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온풍기(10) 내부에서 더운 바람이 발생되어 온풍기(10)의 전면판(11)에 형성된 장공(12)에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로 이루어진 삽입부재(21)로써 삽입된 풍향그릴(20)을 통하여 외부, 즉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 난방을 실시하게 된다.
즉, 온풍기(10) 내부에서 발생되는 더운 바람이 풍향그릴(20)의 경사편(22)사이의 삽입부재(21)에 형성된 다수의 토출공(24)을 통하여 경사편(22) 사이로 토출되고,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편(22)을 따라 상방으로 토출되다가 전면 단부에 수평을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된 유도부재(23)를 따라 전방으로 안내된다.
이에 따라 온풍기(10)의 전방으로 토출됨으로써 열기가 실내에 골고루 퍼져 난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풍향그릴(20)의 삽입부재(21)는 온풍기(10)의 전면판(11) 표면과 일치되고, 경사편(22)은 삽입부재(21)보다 외측으로 돌출된다. 즉, 경사편(22)은 유도부재(24)의 길이 만큼 외부로 돌출되어 온풍기(10) 전면으로의 토출이 용이한 것이다.
한편, 풍향그릴(10)은 내식 및 내열성이 높고 표면 상태가 양호한 알루미늄을 압축 성형하여 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고안의 온풍기의 풍향그릴에 의하면, 풍향그릴 전면 단부에 유도부재를 각각 구비하여 온풍기에서 발생되는 더운 바람이 전방으로 멀리 뻗어 도출되도록 함으로써 열기가 실내에 골고루 퍼져 난방이 효율적이고, 열기에의한 온풍기의 전면판에 대한 부식 및 그을음을 방지하게 되어 온풍기를 보호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온풍기의 전면판에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삽입부재와 경사편으로 이루어진 풍향그릴에 있어서,
    상기 풍향그릴(20)의 경사편(22) 전면 단부에 수평을 유지하여 유도부재(23)가 일체로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의 풍향그릴.
KR2020010029818U 2001-09-27 2001-09-27 온풍기의 풍향그릴 KR2002599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818U KR200259902Y1 (ko) 2001-09-27 2001-09-27 온풍기의 풍향그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818U KR200259902Y1 (ko) 2001-09-27 2001-09-27 온풍기의 풍향그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902Y1 true KR200259902Y1 (ko) 2002-01-09

Family

ID=73082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818U KR200259902Y1 (ko) 2001-09-27 2001-09-27 온풍기의 풍향그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9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718B1 (ko) 2010-11-04 2011-09-07 한동필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718B1 (ko) 2010-11-04 2011-09-07 한동필 고속철도 차량 냉난방 토출구 그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0087A1 (en) Air conditioner with air flow guide element for noise reduction
WO2022205896A1 (zh) 暖风机内部加热组件、暖风机及暖风机加热控制方法
KR10052412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259902Y1 (ko) 온풍기의 풍향그릴
KR2010002370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용 연교환 시스템
KR100903140B1 (ko) 공기조화기
KR100389426B1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CN212970596U (zh) 空调热交换器的均匀散热导风装置
KR200288375Y1 (ko) 팬코일 유니트의 일체형 토출그릴
KR100727878B1 (ko) 공기조화기
KR100360429B1 (ko) 공기조화기의 송풍장치
KR100748163B1 (ko) 공기조화기
KR101116676B1 (ko)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
CN109073313B (zh) 冷藏库
CN210980094U (zh) 出风结构以及具有该出风结构的空调
KR100360440B1 (ko) 삼면 토출형 공기조화기
KR20030043043A (ko) 공기조화기의 공기누출 방지구조
JP2916115B2 (ja) 暖房換気構造
KR910006940Y1 (ko) 냉/난방 겸용 에어컨디셔너의 증발기 보호장치
KR20000055577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와 쉬라우드 결합장치
JPH0125219Y2 (ko)
KR200232367Y1 (ko) 패키지에어콘의흡입구조
KR200263461Y1 (ko) 제어부 지지수단을 구비한 에어컨
KR100769894B1 (ko) 공기조화기
KR100579558B1 (ko) 서비스밸브유닛이 장착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