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649B1 - 항노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녹차 유래의 PPARs활성 물질 - Google Patents

항노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녹차 유래의 PPARs활성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649B1
KR101063649B1 KR1020070088095A KR20070088095A KR101063649B1 KR 101063649 B1 KR101063649 B1 KR 101063649B1 KR 1020070088095 A KR1020070088095 A KR 1020070088095A KR 20070088095 A KR20070088095 A KR 20070088095A KR 101063649 B1 KR101063649 B1 KR 101063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tragalin
rhamnoside
green tea
aging
galactos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2595A (ko
Inventor
박혜윤
박준성
노호식
김덕희
장이섭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70088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649B1/ko
Publication of KR20090022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노화 및 보습 작용을 나타내는 PPARs 활성 물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록시좀 증식 활성 수용체(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s, PPARs) β 및 γ 활성 촉진을 통하여 MMP-1을 억제하여 노화를 개선시키고 피부 보습력을 증가시키는, 녹차(Camellia sinensis) 추출물에서 분리한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Astragalin-2'-galactosyl-6'-rhamnoside) 및/또는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Astragalin-2'-xylosyl-6'-rhamnoside)에 관한 것이다.
녹차, 항노화, 보습,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 PPARs 활성물질

Description

항노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녹차 유래의 PPARs 활성 물질{PPARs activator from green tea for anti-aging and moisturizing effect}
본 발명은 항노화 및 보습 작용을 나타내는 PPARs 활성 물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록시좀 증식 활성 수용체(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s, PPARs) β 및 γ 활성 촉진을 통하여 MMP-1을 억제하여 노화를 개선시키고 피부 보습력을 증가시키는, 녹차(Camellia sinensis) 추출물에서 분리한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Astragalin-2'-galactosyl-6'-rhamnoside) 및/또는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Astragalin-2'-xylosyl-6'-rhamnoside)에 관한 것이다.
페록시좀 증식 활성 수용체(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s, PPARs)는 핵 호르몬 수용체(nuclear hormone receptor)의 한 종류로서, 현재까지 α, β, γ의 3가지 아이소 타입(isotype)이 보고되고 있다. 각각이 존재하는 조직에 따라서 기능의 차이점을 나타내지만, 일반적으로는 특정 리간드(ligand)에 결합하여 활성화 되며, 단백질의 프로모터(promoter)에 결합하여 전사를 촉진시킴으로 써 대상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되어 세포의 생리적인 변화를 유도한다.
초기 PPARs에 관한 연구는 지질 대사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나, 현재는 노화, 염증, 보습 등과 관련한 다양한 기능이 보고되고 있다.
첫째로 PPARs는 피부, 지방세포 및 조골세포 등의 증식과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PAR-α는 설치류 세포에서 유전자의 복제와 세포 분열을 촉진하고, PPAR-γ의 경우 지방세포와 조골세포의 분화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PPAR-γ가 없는 배아줄기 세포는 지방세포로 분화하지 못하고(Mol Cell 1999;4:611-7), 자발적으로 조골세포로 분화되는 것이 보고되었다(J Clin Invest 2004;113:846-55). 또한 PPAR-α, -β, -γ는 모두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고, 피지세포(sebocyte)의 분화와 피지의 형성을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Mol Genet Metab 2001;74:362-9).
또한 PPARs는 세포 내에서 면역, 조직 재생 체계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신체의 항염증 및 피부 조직의 재생에 영향을 준다. PPARs가 활성화되면 IL-6의 생산과 NF-κB와 AP-1의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작용을 수행한다. 특히 PPAR-γ는 TNF-α, IL-6, IL-1β 등의 염증 사이토카인(inflammatory cytokine)과 젤라티나아제 B(gelatinase B), NO의 생성을 억제하여 면역반응을 억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Nature 1998;391:82-6 외).
PPAR-α와 β가 활성화되면 피부 조직의 재생을 촉진하여 상처 치유 등에 효과적이다. PPAR-α의 활성화에 의해서 분비되는 TNF-α는 SAPK/AP-1 신호전달체계를 통해서 PPAR-β를 활성화시키는데, 활성화된 PPAR-β는 PDK1, AKT1/PKB, Smad3 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세포 성장정지 또는 세포 생존의 기능을 수행해서 피부를 재생시킨다(Genes Dev. 2001;15:3263-77, EMBO J. 2004;23:4211-21, J. Biol. Chem., 2005;280:18163-70 ).
또한 PPARs의 활성화는 NF-kB와 AP-1 등과 같은 염증유발인자의 저해를 유발하고, 궁극적으로는 사이토카인과 MMP의 생성을 억제한다(Mol Med. 2006 :12(1-3):17-24 외). 결과적으로 진피의 주 구성 성분인 콜라겐(collagen)의 파괴가 감소되어 피부의 주름 형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항산화와 관련하여 PPARs는 활성 산소종을 제거하는 효소인 비공유단백질-2(uncoupling protein-2), 카탈라아제(catalase), 구리/아연 SOD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체내에서 발생하는 활성 산소종을 제거하여 피부 노화를 개선시킬 수 있다(J. Immunol. 2006 Sep 15;177(6):3737-45).
현재까지 많은 종류의 PPARs 활성물질이 발견되었지만, 대부분이 정확한 효능과 성분을 알 수 없는 추출물의 형태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유래의 우수한 PPAR 활성 물질을 찾고자 연구하던 중,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녹차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한 후 정제 과정 및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과정을 거쳐 상기 추출물에서 유효 성분을 분리하여 이 물질들의 PPAR 활성화 효과를 확인하고 콜라게네이즈(MMP-1) 분해 억제능 및 피부 보습 효과를 측정한 결과, 녹차 추출물에서 유래한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와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가 PPAR 활성을 통한 MMP-1 억제 효능과 피부 보습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PARs 활성화 효과를 통한 항노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페록시좀 증식 활성 수용체(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s, PPARs) β 및 γ 활성 촉진을 통하여 MMP-1을 억제하여 노화를 개선시키고 피부 보습력을 증가시키는, 녹차(Camellia sinensis) 추출물에서 분리되고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Astragalin-2'-galactosyl-6'-rhamnoside) 및/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Astragalin-2'-xylosyl-6'-rhamnoside)를 제공한다:
Figure 112007063535025-pat00001
Figure 112007063535025-pat00002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 및/또는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를 함유하는 항노화 또는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녹차 추출물에서 분리한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 시드 및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를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PPAR-β와 PPAR-γ의 활성화를 통하여 MMP-1을 억제하고 최종적으로 피부 노화를 지연 또는 개선시켰고,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 및 피부 보습을 증가시켰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녹차로부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아스트라갈린 배당체를 함유하는 녹차 추출물을 제조하며, 그 과정은 하기와 같다:
① 녹차 종자 또는 잎(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에 녹차의 약 1 내지 6 배, 바람직하게는 약 3배의 헥산을 넣고, 상온에서 1 내지 5회 교반하면서 추출하여 탈지시킨다.
② 탈지된 식물에 약 1 내지 8 배, 바람직하게는 약 4 배의 물,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넣고, 1 내지 5회 환류 추출한 후, 10 내지 20℃에서 1 내지 3일간 침적시킨 다음,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하여 잔사와 여액을 분리한다.
③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추출액을 물에 현탁한 후, 에테르 등을 이용하여 색소를 제거한다.
④ 수층을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하여 1 내지 5회 추출한 다음,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층을 감압농축하여 추출액을 얻는다.
⑤ 상기 추출액을 소량의 메탄올 등에 녹인 다음, 대량의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추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시켜 아스트라갈린 배당체를 함유하는 녹차 추출 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스트라갈린 배당체를 함유하는 녹차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유기 용매로는 헥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제조한 아스트라갈린 배당체를 함유하는 녹차 추출물로부터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Astragalin-2'-galactosyl-6'-rhamnoside) 및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Astragalin-2'-xylosyl-6'-rhamnoside)를 분리하는 과정은 하기와 같다.
상기 녹차 유래 추출물에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 용액을 가하여 추출한 후, 정제 과정을 거쳐서 유효 성분을 분리한다. 녹차 유래 추출물을 유기 용매와 물의 질량비를 80/20∼50/50으로 한 용액에 가하여 혼합 처리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의 효율성을 위하여 사용하는 유기 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을 들 수 있다. 녹차 추출물의 5배 내지 10배의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 용액을 첨가하여 처리한 후에 20∼70℃에서 10∼120분 정도의 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에 존재하는 성분들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녹차 유래의 추출물로부터 수용성 물질을 추출한 후, 반응액에 남은 잔사를 제거하기 위해서 원심 분리 또는 여과 보조제를 첨가하여 여과기로 여과하여 분리한다. 여과 방법은 가압 여과법, 원심 여과법, 흡인 여과법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압 여과법을 사용하여 PPARs 활성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잔사 를 제거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수득된 조 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 = qa`7:1∼3:1)로 분리하여 PPARs 활성을 나타내는 유효 성분 및 다른 캄페롤 배당체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실험으로부터 수득한 녹차 추출물의 유효 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FAB-MS 분석을 통해 분자량을 확인하고, NMR 구조 분석을 실시(Varian Gemini 2000 300MHz, Varian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 및/또는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를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 및/또는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를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항노화용 또는 보습용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들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녹차 종자 추출물의 제조
녹차 종자 2㎏에 헥산 6ℓ를 넣고, 상온에서 3회 교반 추출하여 탈지시킨 다음, 탈지된 녹차 종자 1kg에 80% 메탄올 4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후, 15℃에 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얻은 추출액을 물에 현탁한 후, 에테르 1ℓ로 5회 추출하여 색소를 제거하고, 수층을 1-부탄올 500㎖로 3회 추출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총 1-부탄올층을 감압농축하여 1-부탄올 추출액을 얻고, 이를 소량의 메탄올에 녹인 다음, 대량의 에틸아세테이트에 추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건조함으로써, 녹차 종자 추출물 25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유효 성분의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녹차 추출물 10g에 20배(v/w)의 70% 에탄올 용액(v/v)을 가한 후 60℃ 반응기에서 2시간 동안 교반 처리하여 유효 성분을 추출하였다. 반응액에 남은 잔사를 제거하기 위하여 원심 분리기를 사용하여 침전물과 상층액을 분리한 후에 상층액을 취하여 감압농축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클로로포름:메탄올 = 4:1)를 사용하여 분리한 결과 아스트라갈린 배당체 물질이 포함된 유효 성분 2종을 각각 1.95g과 1.65g으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3] PPAR 활성 물질의 동정
상기 실시예 2로부터 수득한 녹차 추출물의 유효 성분 2종은 하기와 같은 특성을 나타내어 각각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와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로 동정(Varian Gemini 2000 300MHz, Varian사)하였다.
<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의 물리화학적 성상 >
[화학식 1]
Figure 112007063535025-pat00003
성상 : 황색의 미세 결정
양성(Positive) FAB-MS : 757[M+H]+
1H NMR : 8.02(2H, d, H2',6'), 6.90(2H, d, H3',5'), 6.38(1H, s, H8), 6.19(1H, s, H6), 5.33(1H, d, H1), 4.76(1H, d, H1), 4.47(1H, d, H1), 3.8-3.2(16H, m), 1.10(3H, d, H6).
13C-NMR : 158.7, 134.5, 179.2, 161.6, 101.0, 162.8, 95.7, 159.3, 105.0, 123.0, 132,4, 116.3, 159.3, 101.2, 82.3, 78.3, 72.1, 77.8, 68.3, 102.3, 72.3, 73.9, 71.4, 69.7, 17.9, 104.6, 75.4, 76.9, 71.2, 77.8, 62.4.
<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의 물리화학적 성상 >
[화학식 2]
Figure 112007063535025-pat00004
성상 : 황색의 미세 결정
양성(Positive) FAB-MS : 727[M+H]+
1H NMR : 8.05(2H, d, H2',6'), 6.89(2H, d, H3',5'), 6.34(1H, s, H8), 6.16(1H, s, H6), 5.37(1H, d, H1), 4.78(1H, d, H1), 4.49(1H, s, H1), 4.0-3.2(15H, m), 1.10(3H, d, H6).
13C-NMR : 158.7, 134.5, 179.2, 161.6, 101.0, 162.8, 95.7, 159.3, 105.0, 123.0, 132,4, 116.3, 159.3, 101.2, 82.3, 78.3, 72.1, 77.8, 68.3, 102.3, 72.3, 73.9, 71.4, 69.7, 17.9, 104.6, 75.4, 76.9, 71.2, 77.8, 62.4.
[시험예 1] PPARs 활성화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3에서 분리한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 및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에 대한 PPARs 활성화 효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양 성대조군으로는 캄페롤, 캄페롤-3-O-루티노시드, 캄페롤-3-O-글루코시드를 각각 1μM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정상적인 원숭이 신장 상피 세포주인 CV-1 세포(ATCC CCL 70)를 숯(charcoal)/덱스트란 처리 10% 우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 계대 배양하였고, 페놀레드(phenol red) 의 에스트로겐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무-페놀 레드 배지를 사용하였다. 플라스미드(출처: Dr. Ron Evans, Solk institute)는 일반적인 배양 조건에서도 발현되는 유니버셜 프로모터(universal promoter) 뒤에 PPAR(유전자를 지닌 것과 리간드 결합형의 PPAR)이 결합하여 활성화되는 PPRE(PPARs response element)를 프로모터로 가지고 뒤에 리포터로서 역할을 하는 반디불(firefly) 루시퍼라제 유전자를 지닌 것 그리고 참고로 사용될 유니버셜 프로모터에 레닐라 루시퍼라제(renilla luciferase) 유전자가 결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CV-1 세포를 5x104의 농도로 24공 평판배양기(well plate)에 분주하여 CO2 5%, 37℃의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고 상기 플라스미드들과 DMEM, PEI(Polyethylenimine)의 혼합액을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각각의 공(well)에 뿌려주는 방법으로 세포에 플라스미드들을 트랜스펙션시켰다.
처리 24시간 후 세포를 차가운 PBS로 두 번 씻고, 세포에 리포터 라이시스버퍼(reporter lysis buffer, Promega)를 10분간 처리하여 세포를 파괴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세포용출액을 마이크로 튜브로 옮기고 12,000rpm으로 3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 잔여물을 분리함으로써 순수한 세포 용출액을 얻었다.
각 시험물질의 PPAR활성도는 세포 용출액에 루시퍼라제 기질(Luciferase substrate, Promega)을 4:1비율로 혼합하고, 루미노메터로 방출되는 빛의 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세포용출액에 동량의 2X β-갈락토시다아제 엔자임 에세이 버퍼(2X β-galactosidase enzyme assay buffer, Promega)를 처리하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420nm 파장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각 시험물질의 베타-갈락토시다제 활성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2에 도시하였다.
도 1∼2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 및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는 양성대조군으로는 캄페롤, 캄페롤-3-O-루티노시드, 캄페롤-3-O-글루코시드 보다 우수한 PPAR-β 및 -γ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콜라게네이즈(MMP-1) 저해능
2.5%의 우태아혈청을 포함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함유된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5% CO2, 37℃ 항온배양기(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3에서 분리한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 및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 및 양성대조군인 레티노익산, 캄페롤, 캄페롤-3-O-루티노시드 및 캄페롤-3-O-글루코시드를 각각 10-4 몰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콜라게네이즈 측정기구(미국 아머샴파마샤 사. Catalog #: RPN 2610)를 이용하여 채취한 세포배양액의 콜라게네이즈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네이즈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배양기(96-well plate)에 채취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배양기(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인 3,3',5,5'-테트라메틸벤지딘(3,3',5,5'-tetramethylbenzidine; sigma)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발색반응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게 되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노란색을 띤 96-공 평판배양기(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였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콜라게네이즈의 합성 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세포 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콜라게네이즈 발현정도(%)=(물질처리세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화합물 발현정도(%)
비처리군 100
레티노익산 75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 77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 79
캄페롤 91
캄페롤-3-O-루티노시드 92
캄페롤-3-O-글루코시드 93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 및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는 양성대조군들과 비교하여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기질 메탈로 프로테아제(MMP-1)를 저해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무모 생쥐 피부에서의 피부 장벽 기능 회복 및 피부 보습력 증가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3에서 분리한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 및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의 피부 장벽 회복 및 보습력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출생 후 8 내지 10주 경과한 무모생쥐(Charles River, Japan)의 등에 아세톤을 1일 2회씩 5일 동안 주기적으로 도포하여 실험 동물 등 피부의 장벽 기능 손실을 유도한 다음 증발계(Evaporimeter)로 TEWL(Transepidermal water loss, 경피수분손실)을 측정하여 40g/㎡/hr 이상의 경피 수분 손실을 나타내는 피부를 가진 실험동물만을 대상으로 프로필렌 글리콜과 에탄올을 7:3의 비율로 혼합한 비히클(vehicle)과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 및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 및 양성대조군인 레티노익산, 캄페롤, 캄페롤-3-O-루티노시드 및 캄페롤-3-O-글루코시드를 각각 1%의 농도로 피부 면적 5㎠당 200ul의 용량으로 1일 2회씩 3일 동안 연속 도포하였다. 처리 후 일정 시간마다 TEWL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코니오미터(Corneometer, 독일 Courage Khazaka사)를 사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동시에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이때 무처리군의 피부 수분량도 함께 측정하였다.
도 3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와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 처리군이 비히클 및 다른 캄페롤 배당체 처리군보다 더 빠르게 장벽 손상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4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와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 처리군이 비히클 및 다른 캄페롤 배당체 처리군보다 피부 수분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 및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는 각각 PPAR-β와 PPAR-γ에 대하여 매우 좋은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MMP-1을 억제함으로써 노화를 개선시키고, 손상된 피부 장벽 회복 및 피부 보습력 증가에 있어서 그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녹차 추출물에서 분리한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와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 및 다른 캄페롤 배당체가 페록시좀 증식 활성 수용체 베타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녹차 추출물에서 분리한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와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 및 다른 캄페롤 배당체가 페록시좀 증식 활성 수용체 감마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녹차 추출물에서 분리한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와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 및 다른 캄페롤 배당체가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녹차 추출물에서 분리한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와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 및 다른 캄페롤 배당체가 피부 수분량에 미치는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Astragalin-2'-galactosyl-6'-rhamnoside) 및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Astragalin-2'-xyloroside-6'-rhamnos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PPARs(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s) 활성 촉진을 통한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트라갈린-2'-갈락토실-6'-람노시드 및 아스트라갈린-2'-자일로실-6'-람노시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088095A 2007-08-31 2007-08-31 항노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녹차 유래의 PPARs활성 물질 KR101063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095A KR101063649B1 (ko) 2007-08-31 2007-08-31 항노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녹차 유래의 PPARs활성 물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095A KR101063649B1 (ko) 2007-08-31 2007-08-31 항노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녹차 유래의 PPARs활성 물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595A KR20090022595A (ko) 2009-03-04
KR101063649B1 true KR101063649B1 (ko) 2011-09-07

Family

ID=4069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095A KR101063649B1 (ko) 2007-08-31 2007-08-31 항노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녹차 유래의 PPARs활성 물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6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406B1 (ko) * 2010-11-09 2014-02-2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관련 기능성이 개선된 녹차 제조방법
WO2017192024A1 (ko) * 2016-05-03 2017-11-09 다당앤(주) 피부보습 및 재생 촉진활성을 갖는 녹차유래의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sci. Biotechnol. Biochem., 2006, 70(2), p387
J. Agric.Food Chem. 2006, 54(8), p2951*
Phytochem., 1991, 30(3), p99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595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469B1 (ko)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7202273B2 (en) Therapeutic methods and compositions involving isoflavones
EP2554177B1 (en) Cosmetic use of Elemi oil for improving rough skin resulting from the malfunction of the circadian rhythm
EP3119382B1 (fr) Applications cosmetiques et pharmaceutiques de la vescalagine et de la castalagine
JP6117915B2 (ja) ミゾコウジュの抽出物またはその分画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stat3媒介性疾患の予防または治療用医薬組成物
KR102022538B1 (ko)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모발 성장 촉진제
US20080107761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moting the Production of and/or Enhancing the Activity of Fibulin-5
CN103827294A (zh) 源自人皮肤真皮的成体干细胞
US8709502B2 (en) Extract of Vanilla planifolia
KR101063649B1 (ko) 항노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녹차 유래의 PPARs활성 물질
KR102006998B1 (ko) 개머루덩굴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6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65207B1 (ko) 녹차 종자 유래의 21-o-안젤로일데아사포젠올 e3 성분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20158424A (ja) 皮膚外用剤又は内用剤
KR20110097576A (ko) 벤즈알데하이드 티오세미카바존 유도체를 함유한 미백용 조성물
WO2019059555A1 (ko) 트리메톡시 페닐 화합물 및 그를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JP2002541084A (ja) コネキシン形成を促進する物質を少なくとも1つ含有する化粧組成物、使用及び化粧処置の方法
KR101127166B1 (ko) 후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축적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007546A (ja) 色素沈着防止剤並びにこれを利用する皮膚化粧料および皮膚外用剤
JPH09268115A (ja) 養毛化粧料
JP2013166732A (ja) エンドセリン作用抑制剤の製造方法及びナガサルオガセ抽出物の製造方法
JP2013151457A (ja) 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1阻害剤
KR20190037754A (ko) 트리메톡시 페닐 화합물을 포함하는 지방세포 분화 또는 아디포넥틴 촉진용 조성물
KR101755616B1 (ko) 셀라지넬린, 셀라지넬린 e, 셀라지넬린 a, 셀라지넬린 o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060110577A (ko) c-Kit 활성 저해제, 피부미백제 및 이를 함유하는피부미백용 조성물
JP5901179B2 (ja) スクリーニ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119

Effective date: 201107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