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634B1 - 조립식 마루패널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마루패널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634B1
KR101062634B1 KR1020080059580A KR20080059580A KR101062634B1 KR 101062634 B1 KR101062634 B1 KR 101062634B1 KR 1020080059580 A KR1020080059580 A KR 1020080059580A KR 20080059580 A KR20080059580 A KR 20080059580A KR 101062634 B1 KR101062634 B1 KR 101062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panel
fastening
groove
tourmalin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180A (ko
Inventor
고광채
김승자
Original Assignee
김승자
고광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자, 고광채 filed Critical 김승자
Priority to KR1020080059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634B1/ko
Priority to PCT/KR2008/003609 priority patent/WO2009157597A1/en
Publication of KR20100000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블럭 단위로 패널을 형성하고, 대량생산과 규격화를 위하여 각 블럭을 최소 단위로 성형하며, 필요에 따라 각 블럭을 최소 단위 이하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립식 마루패널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목재나 대리석과 같이 절단 가공되지 않고, 나일론과 같은 합성수지를 주재질로 하여 사출 성형하며, 성형시 나일론 이외에도 토르마린과 제오라이트를 더 혼합함으로써,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된다. 마루패널의 가장자리에 이음돌기와 이음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웃하는 이음돌기와 이음홈을 결합함으로써 다수의 블럭을 원하는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마루패널을 플레이트 형상의 상판과 하판으로 분리 성형함으로써, 패널 성형이 쉬워진다.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슬롯형태의 체결홈이 성형되고,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체결돌기가 성형됨으로써, 상,하부 플레이트가 상하로 조립된다. 체결돌기를 체결홈에 삽입하고, 초음파 진동에 의하여 체결돌기가 체결홈에서 용융되도록 융착함으로써, 체결돌기와 체결홈은 긴밀하게 결합한다. 특히, 하부에 전기필름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닐하우스 등의 난방에도 사용할 수 있다.
마루, 패널, 조립, 토르마린, 진동 융착

Description

조립식 마루패널과 그 제조방법{An assembly type panel for floor and a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조립식 마루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 평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고 시공이 용이하도록 블럭 단위로 패널을 형성하고, 각 블럭을 최소 단위로 규격화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각 블럭을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설치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조립식 마루패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목재나 대리석과 같이 가공 방법에 의하지 아니하고, 나일론 기타 합성수지를 원료로 한 사출 성형방법에 의하며, 성형시 나일론과 함께 토르마린과 제오라이트를 더 혼합함으로써,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효과가 기대되는 조립식 마루패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마루패널의 가장자리에 이음돌기와 이음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웃하는 이음돌기와 이음홈이 상호 결합함으로써, 다수의 블럭을 원하는 방향으로 연결하는 조립식 마루패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성형이 용이하도록, 마루패널을 판상의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로 분리 성형하고, 특히, 하부 플레이트는, 상부 플레이트와 함께 상하 로 이음홈을 형성하고, 독자적으로 이음돌기를 형성하도록 가장자리에 단차면이 구비된 조립식 마루패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슬롯형태의 체결홈이 성형되고,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체결돌기가 성형됨으로써, 상,하부 플레이트가 상하로 조립되는 조립식 마루패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돌기를 체결홈에 삽입하고, 초음파 진동 융착방법에 의하여 체결돌기를 체결홈에 용융함으로써,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긴밀하게 결합되는 조립식 마루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거실이나 안방의 바닥 혹은 전시장이나 공연장의 바닥재로서, 대리석 등의 석재류, 비닐계로 이루어진 장판, 원목을 가공한 후로링재 그리고 합판에 무늬목을 접착하여서 된 마루재가 일반화되어 있고, 그 사용이 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리석 등의 석재류는 좌식문화의 우리나라에는 잘 맞지 않으며, 주거에 적합하지 않아 전시나 로비 등에만 한정되고 있다. 상기 장판 등의 비닐계는 인체에 매우 유해한 성분으로 이루어져 사용상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시 여름에는 수분이 빠지지않아 끈적거리거나 냄새 등 위생상의 문제가 있다.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순수 원목으로 이루어진 후로링을 사용하기도 하나, 이는 습기에 매우 약하여 수분에 노출될 경우 휨이나 뒤틀림이 발생된다. 또한, 목질의 결이 이탈되어 스타킹이나 양말을 훼손시키거나 심할 경우 발에 가시가 들어가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 더구나 순수 원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재비나 가공비가 상당히 고가로 될 수밖에 없고, 또한 양질의 자재를 얻기 위하여 자연의 산림을 훼손할 수밖에 없다.
한편, 합판으로 이루어진 판재에 무늬목을 접착하여 된 마루판을 사용하기도 하나, 종래의 기술은 합판의 짧은 길이에 맞게 미리 마루판 소정의 규격으로 미리 재단된 무늬목을 접착하여서 소정의 마루판 규격으로 재단하고 중도 및 상도로 마감 도장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미리 재단한 무늬목을 합판의 길이방향으로 나열하여 접착할 때, 접착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또한 접착시에 미리 재단된 무늬목이 X축과 Y축이 조금만 맞지 않아도 재단시 무늬목이 접착된 부분에서 벗어나게 재단이 되고, 합판에 들어 남으로써 미관상 불량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습도나 기온의 변화에도 휨이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는 조립식 마루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거나 표면이 들뜨지 않으며, 외부의 충격에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조립식 마루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파를 차단하고,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발생하는 조립식 마루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바닥에 설치되는 마루패널에 있어서, 상기 마루패널은 상기 바닥 면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열되도록 각 블럭 단위로 제작되고, 상기 블럭은 합성수지를 원료로 사출 성형된다.
상기 마루패널의 가장자리에, 대칭되게 이음돌기와 이음홈이 형성됨으로써, 이웃하는 이음돌기와 이음홈이 결합하여 상기 각 블럭이 상호 연결되거나 혹은 분리되며, 그 블럭 단위는 가로 방향에서 90㎜ 내지 100㎜이고, 길이 방향에서 600㎜ 내지 800㎜이다.
상기 마루패널은,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로 분리 성형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장방형의 평판 플레이트이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대응되고, 상부 플레이트와 함께 이음홈을 형성하거나 혹은 독자적으로 이음돌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가장자리에 단차면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과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각각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는 슬롯형태의 체결홈과 체결홈에 압입되는 체결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압입은, 진동에 의하여 체결돌기가 체결홈에서 용융되도록 하는 초음파 진동 융착방법이며, 상기 체결돌기의 폭은 체결홈에 비하여 작고, 체결돌기의 높이는 체결홈의 깊이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체결돌기가 체결홈에 압입되기 쉽고, 압입될 때 측면방향으로 확장되면서 팽창력을 받게 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아래에서 위로 전달되는 열의 일부를 일시 저장함으로써 평균적으로 열을 유지하고, 층간 소음과 진동을 저감하며, 울퉁불퉁한 바닥에서도 수평을 유지하는 사각기둥 형상의 완충홈이 더 구비된다.
상기 블럭 단위를 그 이하의 단위로 분할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길이 방향에서 45㎜ 내지 55㎜ 간격으로 가로 방향의 절단홈이 더 구비된다.
상기 마루패널은, 나일론 수지를 주원료로 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토르마린이 더 혼합되어 조성되며, 상기 나일론 및 토르마린의 조성물 합을 100으로 볼 때, 상기 토르마린의 상대적 조성비는 6% 내지 10%이다.
상기 마루패널은, 나일론 수지를 주원료로 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토르 마린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제오라이트가 더 혼합되어 조성되며, 상기 나일론, 토르마린 및 제오라이트의 조성물의 합을 100으로 볼 때, 상기 제오라이트의 상대적 조성비는 1% 내지 3%이다.
상기 마루패널은, 하부에 난방용 전기필름이 더 구비되고, 전기필름은, 얇은 필름에 탄소 발열체가 병렬적으로 연결된 면상발열체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각 블럭 단위로 성형하여 조립되는 마루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토르마린 광물과 제오라이트 광물을 각각 준비하는 단계, 상기 토르마린 광물과 제오라이트 광물을 마이크로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나일론 수지를 분말 형태로 준비하고, 상기 토르마린 분말과 제오라이트 분말을 혼합하여 배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 분말을 브리켓으로 가공하여 건조하는 단계, 상기 브리켓을 120℃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마루패널을 사출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이 완료된 마루패널을 100℃ 이상의 끊는 물에서 50분 내지 120분 동안 삶아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마루패널은 합성수지를 주재료로 하여 사출 성형하고, 100℃ 이상의 끊는 물에서 장시간 삶아주기 때문에, 습도나 온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휨이나 뒤틀림이 방지되는 작용효과가 기대되며, 특히 끊는 물에서 50분 이상 삶아주기 때문 에 조직의 결이 질기고 내구성 강하여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둘째, 패널을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로 분리하여 성형하기 때문에, 이음부의 형성이 원만하게 수행되고, 체결돌기와 체결홈을 진동 융착에 의하여 접합하기 때문에 패널을 일체로 성형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나일론 이외에도 토르마린과 제오라이트가 혼합되기 때문에, 토르마린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 에너지에 의하여 피부의 각종 바이러스나 염증이 예방되고, 제오라이트의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원적외선이 지속적으로 세포 깊이 침투하기 때문에, 손상된 피부를 재생해주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마루패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마루패널(100)은, 설치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열할 수 있도록, 각 블럭 단위의 최소 규격으로 성형되고, 각 블럭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그 가장자리에 이음부를 구비한다.
상기 이음부는, 플레이트의 테두리에 구성되고, 이음돌기(102)와 이음홈(104)이 그 가장자리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음돌기(102)는 이웃하는 이음홈(104)에 삽입됨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블럭을 원하는 방향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음돌기(102)는 이음홈(104)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라운드 되지만, 반드시 자웅 결합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마루패널(100)은, 원목마루와 같은 느낌을 갖도록 가로의 폭보다 세로의 폭이 길게 성형하되, 시공성과 심미성을 모두 고려하여, 가로 방향은 90㎜ 내지 100㎜로 성형하고, 길이 방향은 600㎜ 내지 800㎜로 성형한다. 두께는 7㎜ 내지 9㎜ 정도가 적당하다. 그러나, 패널의 사이즈는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가로 세로 각각 200㎜, 500㎜으로 제작되는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되는 것은 당연하다. 가령, 대리석마루와 같은 느낌을 갖도록 가로 세로 300㎜ 동일한 사이즈로 제작할 수 있고, 후술할 전기 필름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규격화하여 가로 세로 1000㎜로 제작가능하다.
상기 마루패널(100)은, 목재나 대리석의 제작과 같이 가공방법에 의하지 않고, 합성수지 기타 재질을 혼합하여 사출 성형된다. 다만, 사출 성형시 내측으로 함몰되는 이음홈의 성형이 곤란하고, 함몰부분에서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음돌기는 다수의 경계면을 갖기 때문에 경계부분에서 사출이 매끄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금형 제작의 편의를 위하여, 마루패널(100)을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로 나누어 성형하며, 성형 후 조립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를 상,하부로 구분하여 제작하게 되면, 필요시 그 재질이나 강도 혹은 디자인을 서로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시 주로 상부 플레이트의 손상이 가해지는 점에서 상부 플레이트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10)는, 장방형의 평판 플레이트이다. 상부 플레이트 상면에는 미감을 높이기 위하여, 무늬목을 더 입히거나 도장을 할 수 있다.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120)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같이 전체적으로 평평한 판재로 구성되나 가장자리 부분에 이음부를 구성하기 위한 단차면을 더 구비하며, 저면에는 다양한 기능을 하는 완충홈(130)이 더 성형된다.
완충홈(130)은 하부 방향으로 개방된 다수의 원기둥 혹은 사각기둥 형상이다. 사각기둥 형상의 홈이 원기둥 형상의 홈보다 상부에서 하부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지지력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높기 때문에, 사각기둥 형상의 홈으로 성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삼각기둥 형상의 홈도 성형 가능하지만, 사각기둥 형상의 홈에 비하여 공간 효율이 작다. 상기 완충홈(130)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다.
하나, 마루패널이 온돌마루시스템에 적용될 때, 난방장치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아래에서 위로 전달되는 열의 일부를 일시 저장함으로써 평균적으로 열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둘, 마루패널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적용될 때, 층간 소음을 차단하고 위층에서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완충홈(130)은 층간 소음과 진동을 저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셋, 마루패널은 통상 바닥 슬라브 상에 적층되는데, 바닥 슬라브는 최종 마감재가 아니기 때문에 표면이 거칠고 다수의 요철이 튀어나와 있으며, 마루패널을 바닥 슬라브 상에 적층할 때 수평을 유지하기 어렵고, 이때 완충홈(130)은 울퉁불퉁한 바닥에서도 수평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하부 플레이트(120)에는 완충홈(130) 이외에도 절단홈(140)이 더 구비된다. 마루패널은 일정한 크기의 블럭으로 대량생산되기 때문에, 설치 조건에 따라 패널이 더 긴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의 일부분을 절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45㎜ 내지 55㎜ 간격으로 절단홈이 성형된다. 그 깊이는 3㎜ 내지 4㎜가 적당하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저면과 하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는 체결부가 구비된다. 즉 하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는 슬롯형태의 체결홈(122)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구비되고, 상부 플레이트(110)의 저면에는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돌기(112)가 다수 구비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결합하는데 접착제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진동 융착방법에 의하여 체결하기 때문에, 상기 체결돌기(112)가 체결홈(122)에 삽입된 상태로 임의로 분리되어서는 않된다. 따라서,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돌기(112)의 폭은 체결홈(122)에 비하여 좁고, 체결돌기(112)의 높이는 체결홈(122)의 깊이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체결돌기(112)가 체결홈(122)에 압입되는 동시에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방향으로 확장되면서 그 자체의 탄성력 혹은 팽창력을 이용하여 체결홈(122)에 긴밀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체결돌기(112)가 체결홈(122)에 압입된 채로 긴밀하게 고정되도록 사용되는 방법이 진동 융착방법이다. 진동 융착방법이란, 타재질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모재 자체를 용융시켜서 접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초음파 진동 융착기를 이용한 것인데, 진동 융착기에 의하여 진동이 발생하면, 진동은 0.1초 혹은 1초 동안에 40만 번 이상 진행되기 때문에, 진동에 의하여 체결돌기(112)가 체결홈(122)에서 융착된 채로 접합된다.
상기 마루패널(100)은 상,하부 플레이트 모두 동일한 재질로 성형되고, 전자파를 차단하면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기능성을 강화하도록, 나일론 수지를 주원료로 하지만, 나일론 이외에도 토르마린과 제오라이트가 일정한 비율로 더 혼합되어 조성된다.
상기 토르마린은, 전기를 발생하는 전기적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음이온의 계면 활성효과도 있고, 온도가 높아질수록 그 효과는 배가되는 성질이 있다. 또한, 미세한 분말이어도 그 성질은 바뀌지 않으며, 분말 하나하나가 전기적 특성을 발휘함으로써, 피부에 있는 체온을 이용하여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한다.
상기 제오라이트는, 나노 크기의 세공이 무수히 존재하기 때문에, 그 세공 속에는 보통 물 분자들이 가득 채워져 있고, 일정한 열이 가해지면 내포된 물 분자는 증발하여 수증기를 발산한다. 특히, 제오라이트는 흡착력과 화학 양이온 치환작용이 뛰어나 수분 외의 가스 등 다른 물질을 흡착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서서히 배출하는 특이한 성질이 있기 때문에, 다량의 음이온을 생성하여 방사하고, 피부 세포에 신선한 산소를 빠른 속도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이론, 토르마린 및 제오라이트의 상대적 조성비(%)는, 상기 3개 조성물의 합을 100으로 볼 때, 나일론 88% 내지 92%, 토르마린 6% 내지 10%, 제오라이트 1% 내지 3%에서 결정된다.
상기 토르마린의 배합비가 10%를 초과하면 토르마린의 인체에 대한 반응성이 커져서 명현 반응의 정도가 심해지며, 만약 토르마린의 배합비가 20%를 넘어서면 토르마린이 인체에 급격하게 반응하여 피부가 붉어지거나 가려움을 느끼게 하는 명현 반응이 급격하게 야기된다. 반대로, 토르마린의 배합비가 6% 미만이면, 토르마린 첨가의 효과가 크지 않아 인체에 유용한 반응을 제대로 일으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오라이트의 배합비가 3%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제오라이트가 토르마린의 움직임을 크게 자극하여 여왕벌 효과가 야기되며, 특히 제오라이트의 배합비가 5% 이상이 되면, 토르마린의 움직임을 급격하에 자극하여 여왕벌 효과를 크게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제오라이트의 배합비가 1% 미만이면, 제오라이트의 토르마린 자극 효과가 부족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마루패널의 하부에 난방장치(150)를 더 구비함으로써, 난방장치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난방장치(150)에는 전기필름 혹은 면상발열체가 사용된다. 난방장치의 하부에는 단열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전기필름은, 얇은 필름에 탄소 발열체를 도포하고, 각 발열체를 병렬 연결하며, 오염물질 흡착제인 활성탄을 박피하며, 동박으로 전극을 만든 후 필름으 로 라미네이팅 처리한 원적외선 면상 발열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 히터와는 달리 필름 전체에서 고른 열이 발산되며, 원적외선 방사효과로 인하여 자연광과 같은 따뜻한 복사열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전기필름은 외장재로 PET소재 혹은 특수원단을 사용하며, 공기와 접촉하지 않도록 특수 방수처리되기 때문에,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닥 난방용 히터이다. 전기필름은 국부적으로 하중을 받거나 예리한 부분과 닫게 되면, 쉽게 손상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플레이트 형태의 마루패널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면 위와 같은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마루패널의 제작방법에 대해서 도 13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순도 99% 이상의 토르마린 광물과 음이온을 1cc당 2000개 이상 방출할 수 있는 제오라이트 광물을 각각 준비하고, 토르마린 광물과 제오라이트 광물을 마이크로 입자로 분쇄한다. 나일론 수지 역시도 분말 형태로 준비하고, 위에서 준비된 토르마린 분말 및 제오라이트 분말과 혼합하여 배합한다. 이와 같이, 1차 배합이 완료된 혼합 분말을 사출하기 용이한 크기와 굵기의 브리켓으로 가공한다. 브리켓 단위로 가공된 원료를 충분하게 건조한다. 마지막으로, 건조된 브리켓 원료를 12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각각 사출성형한다.
한편, 성형이 완료된 각 플레이트를 100℃ 이상에서 삶아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플레이트의 특성상 그리고 나일론 소재의 특성상 삶지않게 되면 탄성이 지나치게 강화되어, 이를 바닥에 떨어트리거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쉽게 깨 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제품의 내구성이 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케이스를 끊는 물에 삶을 경우에는 나일론소재가 마치 칡뿌리 결이 엉키듯이 꼬이는 듯한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내구성이 강화되어 탄성력이 증가 되면서도 강도가 강화되는 특성이 있다.
이때, 100℃ 이상의 끊는 물에서 50분 내지 120분 동안 삶아준다. 40분도 채 삶지 않게 되면 강도는 높으나 내구성이 저하되어 쉽게 깨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150분을 초과하여 삶게 되면 성형시 함유된 토르마린과 제오라이트의 성분이 물에 의하여 분해되면서 물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제오라이트는 물로 배출되는 정도가 심하기 때문에, 기준치 이상으로 삶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 각 플레이트의 성형 및 삶기가 완료되면,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가 대응되도록 정렬하고, 진동융착기를 이용하여 압입한다. 진동에 의하여 체결돌기가 체결홈 내부에서 용융되어 긴밀하게 결합된다. 체결이 완료된 각 블럭의 마루패널은 이음돌기와 이음홈을 이용하여 가로 방향 혹은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습도 및 온도변화에 따라 자주 발생하는 휨 및 뒤틀림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나일론을 재료로 사출 성형하고, 성형시 끊는 물에 50분 이상 삶아주며, 원적외선 발생을 위하여 나일론 외에도 토르마린과 제오라이트를 더 혼합하여 성형하는 구성을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마루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마루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마루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상부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부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하부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절단홈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체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블럭의 이음상태 및 난방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마루패널의 제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마루패널 102: 이음돌기
104: 이음홈 110: 상부 플레이트
112: 체결돌기 120: 하부 플레이트
122: 체결홈 130: 완충홈
140: 절단홈 150: 난방장치

Claims (17)

  1. 바닥에 설치되는 마루패널에 있어서,
    상기 마루패널은,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로 사출 성형하되, 상기 바닥 면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열되도록 각 블럭 단위로 제작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장방형의 평판 플레이트이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대응되고, 상부 플레이트와 함께 이음홈을 형성하거나, 혹은 독자적으로 이음돌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가장자리에 단차면이 구비된 장방형의 평판 플레이트로서,
    상기 바닥과 접하는 저면에는, 아래에서 위로 전달되는 열의 일부를 일시 저장함으로써 평균적으로 열을 유지하고, 층간 소음과 진동을 저감하며, 울툴불퉁한 바닥에서도 수평을 유지하는 완충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패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 단위는 가로 방향에서 90㎜ 내지 100㎜이고, 길이 방향에서 600㎜ 내지 8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패널.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조립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저면과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각각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는 슬롯형태의 체결홈과 체결홈에 압입되는 체결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패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은, 진동에 의하여 체결돌기가 체결홈에서 용융되도록 하는 초음파 진동 융착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의 폭은 체결홈에 비하여 작고, 체결돌기의 높이는 체결홈의 깊이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체결돌기가 체결홈에 압입되기 쉽고, 압입될 때 측면방향으로 확장되면서 팽창력을 받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패널.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홈은 하부가 개방된 사각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패널.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 단위를 그 이하의 단위로 분할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길이 방향에서 45㎜ 내지 55㎜ 간격으로 가로 방향의 절단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패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패널은,
    나일론 수지를 주원료로 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토르마린이 더 혼합되어 조성되며, 상기 나일론 및 토르마린의 조성물 합을 100으로 볼 때, 상기 토르마린의 상대적 조성비는 6%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패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패널은,
    나일론 수지를 주원료로 하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토르마린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제오라이트가 더 혼합되어 조성되며, 상기 나일론, 토르마린 및 제오라이트의 조성물의 합을 100으로 볼 때, 상기 제오라이트의 상대적 조성비는 1%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패널.
  13.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내지 제 7 항 및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패널은 성형이 완료된 후, 100 이상의 끓는 물에서 50분 내지 120분 동안 삶아주는 과정을 거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패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패널은 하부에 난방용 전기필름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패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필름은, 얇은 필른에 탄소 발열체가 병렬적으로 연결된 면상발명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패널.
  16. 삭제
  17. 삭제
KR1020080059580A 2008-06-24 2008-06-24 조립식 마루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1062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580A KR101062634B1 (ko) 2008-06-24 2008-06-24 조립식 마루패널과 그 제조방법
PCT/KR2008/003609 WO2009157597A1 (en) 2008-06-24 2008-06-24 An assembly type panel for floor and a manufactu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580A KR101062634B1 (ko) 2008-06-24 2008-06-24 조립식 마루패널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180A KR20100000180A (ko) 2010-01-06
KR101062634B1 true KR101062634B1 (ko) 2011-09-07

Family

ID=4144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580A KR101062634B1 (ko) 2008-06-24 2008-06-24 조립식 마루패널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2634B1 (ko)
WO (1) WO20091575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372U (ko) 2018-08-07 2020-02-18 권홍순 조립식 마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5995A (zh) * 2015-04-27 2015-07-29 安徽美祥实业有限公司 一种橡胶地板的生产工艺
CN206128545U (zh) * 2016-03-31 2017-04-26 叶峰 一种三层实木复合地板
KR102613870B1 (ko) * 2021-12-02 2023-12-15 티에스아이(주) 완충판이 구비되는 바닥 완충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074B1 (ko) * 2007-09-06 2008-01-10 김부열 공기 정화 및 살균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층간 소음 저감패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919Y1 (ko) * 2000-07-20 2001-02-01 지경섭 용암석 원목타일
KR100507385B1 (ko) * 2002-05-13 2005-08-17 손삼수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KR200381740Y1 (ko) * 2005-01-14 2005-04-14 강병수 조립식 바닥판
KR100818349B1 (ko) * 2006-01-16 2008-04-02 박영민 면상 발열체가 적층된 조립식 바닥판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074B1 (ko) * 2007-09-06 2008-01-10 김부열 공기 정화 및 살균 기능을 갖는 건축물용 층간 소음 저감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372U (ko) 2018-08-07 2020-02-18 권홍순 조립식 마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180A (ko) 2010-01-06
WO2009157597A1 (en)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546B1 (ko) 엣지시트가 접착된 가구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3619964A (en) Flooring panels
KR101062634B1 (ko) 조립식 마루패널과 그 제조방법
KR101858939B1 (ko) 접착성이 향상된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US20100319282A1 (en) Floor Panel Containing A Polymer And Cork
CN103909550A (zh) 一种负离子功能保健型板材及其制造方法
RU2021124548A (ru) Панель пола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напольного покрытия
CN103255901B (zh) 多层实木复合地热地板及其生产工艺
KR100889879B1 (ko) 황토와 숯을 활용한 마루판 제조방법
KR20090127791A (ko) 목질재료 전기온돌 일체형판넬
US10060635B2 (en) Heat transfer through interior cladding of living spaces
KR20080082946A (ko) 방진온돌마루 및 그제조방법
KR20100033844A (ko) 조립식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204843Y1 (ko) 목재패널
KR200413534Y1 (ko) 면상 발열체가 적층된 조립식 바닥판재
JP2004351773A (ja) 竹繊維集成材とそれを用いた複合集成材
JP4602378B2 (ja) 温熱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95874B1 (ko) 석고 함유 난방용 바닥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08857A (ko) 황토와 활성탄을 이용한 단열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200250927Y1 (ko) 방염처리가 된 모자이크식 나무벽지
KR100850555B1 (ko) 소형 온열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87326B1 (ko) 골판지합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골판지합판
KR100818349B1 (ko) 면상 발열체가 적층된 조립식 바닥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717868B1 (ko) 건강 목재 패널
KR20110046145A (ko) 황토보드 및 이를 이용한 황토내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