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372U - 조립식 마루 - Google Patents

조립식 마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372U
KR20200000372U KR2020180003656U KR20180003656U KR20200000372U KR 20200000372 U KR20200000372 U KR 20200000372U KR 2020180003656 U KR2020180003656 U KR 2020180003656U KR 20180003656 U KR20180003656 U KR 20180003656U KR 20200000372 U KR20200000372 U KR 202000003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bottom member
side bottom
long side
shor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495Y1 (ko
Inventor
권홍순
Original Assignee
권홍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홍순 filed Critical 권홍순
Priority to KR2020180003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495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3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3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4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마루는, 다수의 단위별 바닥판이 이웃한 상태로 상호 조립되는 직사각형태의 조립식 마루로서, 상기 단위별 바닥판의 측면 둘레를 따라 결속돌부와 결속요부가 순차 교번 형성되어, 상기 결속돌부와 상기 결속요부에 이웃한 단위별 바닥판의 결속요부와 결속돌부가 각각 상호 결속되며, 상기 단위별 바닥판은 장변 바닥부재 또는 단변 바닥부재 또는 장변 바닥부재와 단변 바닥부재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마루는, 단위별 바닥판 각각의 측면 둘레를 따라 결속돌부와 결속요부가 순차 교번 형성되어, 결속돌부와 결속요부에 이웃한 단위별 바닥판의 결속요부와 결속돌부가 각각 상호 결속되게 함으로써, 어느 방향으로도 단위별 바닥판들의 연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마루 {Fabricated floor}
본 고안은 조립식 마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단위별 바닥판을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 구성하는 조립식 마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예컨대 아파트나 빌라, 한옥 등의 마루를 시멘트가 아닌 목재로 적용한 것을 마루라 한다. 마루는 목재로 프레임을 조립하고 그 프레임의 상부에 목재판을 깔아 시공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목재로 프레임을 조립하고 목재판을 깔아 마루를 시공하는 경우 설치 후 분해하여 재사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목재로 프레임을 조립하는 작업이 숙련을 요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시공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루를 조립식으로 구비하여 작업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마루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062634호 및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9-0001254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는 정해진 방향으로만 패널 및 바닥재의 연결이 가능하여 시공 방향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62634호(2011.08.31)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9-0001254호(2009.02.04)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위별 바닥판 각각의 측면 둘레를 따라 결속돌부와 결속요부가 순차 교번 형성되어, 결속돌부와 결속요부에 이웃한 단위별 바닥판의 결속요부와 결속돌부가 각각 상호 결속되게 함으로써, 어느 방향으로도 단위별 바닥판들의 연결이 가능한 조립식 마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마루는, 다수의 단위별 바닥판이 이웃한 상태로 상호 조립되는 직사각형태의 조립식 마루로서, 상기 단위별 바닥판의 측면 둘레를 따라 결속돌부와 결속요부가 순차 교번 형성되어, 상기 결속돌부와 상기 결속요부에 이웃한 단위별 바닥판의 결속요부와 결속돌부가 각각 상호 결속되며, 상기 단위별 바닥판은 장변 바닥부재 또는 단변 바닥부재 또는 장변 바닥부재와 단변 바닥부재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돌부는 상기 단위별 바닥판의 측면에 상기 결속요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T" 자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일 수 있다.
상기 결속요부는 상기 단위별 바닥판의 측면에서 "└ ┘" 형상으로 돌출된 홈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마루는, 단위별 바닥판 각각의 측면 둘레를 따라 결속돌부와 결속요부가 순차 교번 형성되어, 결속돌부와 결속요부에 이웃한 단위별 바닥판의 결속요부와 결속돌부가 각각 상호 결속되게 함으로써, 어느 방향으로도 단위별 바닥판들의 연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식 마루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식 마루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마루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식 마루를 장변 바닥부재 또는 단변 바닥부재 또는 장변 바닥부재와 단변 바닥부재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식 마루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식 마루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마루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식 마루를 장변 바닥부재 또는 단변 바닥부재 또는 장변 바닥부재와 단변 바닥부재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조립식 마루(100)는 다수의 단위별 바닥판이 이웃한 상태로 상호 조립되어 설치 바닥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단위별 바닥판은 장변 바닥부재(110)와 단변 바닥부재(120)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거나, 장변 바닥부재 또는 단변 바닥부재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장변 바닥부재(110)와, 단변 바닥부재(120)의 표면에는 나무 무늬 등이 전사처리될 수 있으며, PS재질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변 바닥부재(110)와, 단변 바닥부재(120)는 제작시 그 상면에 원목 등을 적층시킨 후 나사로 체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장변 바닥부재(110)의 전면과 우측면을 일측이라 칭하고, 후면과 좌측면을 타측이라 칭하며, 단변 바닥부재(120) 역시 전면과 우측면을 일측이라 칭하고, 후면과 좌측면을 타측이라 칭한다.
장변 바닥부재(110)는 하방으로 원통 형상의 돌기(110a)가 설정간격마다 돌출 형성된 천장면과, 천장면의 가장자리 중 단변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단변 측벽(112a)과, 천장면의 가장자리 중 장변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장변 측벽(112b)으로 구성된다.
단변 측벽(112a)에는 결속돌부(114)와 결속요부(116)가 순차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결속돌부(114)와 결속요부(116)가 각각 1개씩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이때, 일측 단변 측벽(112a)에 결속돌부(114)와 결속요부(116)가 순서대로 형성된 경우, 타측 단변 측벽(112a)에는 상호 대향된 결속요부(116)와 결속돌부(114)가 순서대로 형성된다.
한편, 결속돌부(114)는 일측 단변 측벽(112a)과 이웃한 장변 바닥부재(110)의 타측 단변 측벽에 형성된 결속요부(11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평면 형상이 "T"자로 돌출 형성된다.
더욱이, 결속돌부(114)는 단변 측벽(112a)에 결속요부(116)의 폭에 대응하는 폭만큼 함몰 형성된 홈(114a) 전면 중앙에 돌출되어 결속요부(116, 126)와의 결합시 일자가 되면서 결합시 이웃한 장변 바닥부재(110) 또는 단변 바닥부재(120)와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속요부(116)는 단변 측벽(112a)의 하부에 평면 형상이 "└ ┘"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일측 단변 측벽(112a)과 이웃한 장변 바닥부재(110)의 타측 단변 측벽(112a)에 형성된 결속돌부(114)와 결속된다.
이때, 결속요부(116)는 단변 측벽(112a)보다 좀 더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결속홈부(114, 124)와의 결합시 일자가 되면서 결합시 이웃한 장변 바닥부재(110) 또는 단변 바닥부재(120)와의 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장변 측벽(112b)에는 결속돌부(114)와 결속요부(116)가 순차 교번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결속돌부(114)와 결속요부(116)가 각각 4개씩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여기서, 장변 측벽(112b)에 결속돌부(114)와 결속요부(116)가 순차 형성되면 단변 바닥부재(120)의 단변 측벽(122a)에 결속돌부(124)와 결속요부(126)가 교번 형성되어 단변 측벽(112a)과 장변 측벽(112b)을 따라 결속돌부(114)와 결속요부(116)가 순차 교번 형성되는 것이다. 결속돌부(114)와 결속요부(116)는 위에서 설명한 그것과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변 바닥부재(120)는 장변 바닥부재(110)의 구조와 동일하며, 장변 측벽(122b) 길이는 장변 바닥부재(110)의 장변 측벽(122b)의 길이에 절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고, 단변 바닥부재(120)의 단변 측벽(122a)은 장변 바닥부재(110)의 단변 측벽(112a)의 길이와 동일하도록 구성되며, 단변 바닥부재(120)의 단변 측벽(122a)은 장변 바닥부재(110)의 장변 측벽(122b)의 길이에 1/4에 해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변 측벽(122a)에는 결속돌부(124)와 결속요부(126)가 순차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결속돌부(124)와 결속요부(126)가 각각 1개씩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장변 측벽(122b)에는 결속돌부(124)와 결속요부(126)가 순차 교번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결속돌부(124)와 결속요부(126)가 각각 2개씩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한편, 설명하지 않은 부호 124a는 홈(114a)과 동일한 기능과 형상을 갖는 홈이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도 4(a)와 같이 세로 방향인 2개의 장변 바닥부재(110)의 사이에 4개의 단변 바닥부재(120)가 가로 방향으로 다수 배치되면서, 가로 방향인 2개의 장변 바닥부재(110)의 사이에 4개의 단변 바닥부재(120)가 세로 방향으로 다수 배치될 수 있다. 도 4(b)와 같이 가로 방향인 2개의 장변 바닥부재(110)의 사이 바깥쪽에 2개의 장변 바닥부재(110)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장변 바닥부재(110) 사이에 4개의 단변 바닥부재(120)가 가로 방향으로 다수 배치될 수 있다. 도 4(c)와 같이 2개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단변 바닥부재(120)를 일측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하면서 2개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단변 바닥부재(120)를 타측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4(d)와 같이 세로 방향의 단변 바닥부재(120)의 하부에 세로 방향의 장변 바닥부재(110)를 배치하고 단변 바닥부재(120)와 장변 바닥부재(110)의 양단에 세로 방향의 장변 바닥부재(110)를 각각 배치할 수 있다. 도 4(e), 도 4(f)와 같이 4개의 장변 바닥부재(110)를 서로 이웃시킨 상태에서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도 6(g)와 같이 2개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단변 바닥부재(120)를 일측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하면서 2개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장변 바닥부재(110)를 타측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한 후 단부에 장변 바닥부재(110)를 세로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장변 바닥부재(110) 및 단변 바닥부재(120)의 천장면에 형성된 다수의 원통 형상의 돌기(110a, 120a) 중 전부 또는 일부 돌기(110a, 120a) 하부에 높이조절부재가 결합되어 장변 바닥부재(110) 및 단변 바닥부재(12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원통 형상의 돌기(110a, 120a) 내주면에 높이 방향으로 다수의 결속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원통 형상의 돌기(110a, 120a) 하부에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결속홈의 위치와 각각 대응된 높이조절부재의 상면 가장자리에 직삼각 형상의 결속돌기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장변 바닥부재(110) 및 단변 바닥부재(120)의 전부 또는 일부 높이의 조절이 요구되면 해당 높이조절부재를 분리한 상태에서 높이를 조절할 위치의 높이조절부재에 형성된 결속돌기를 원통 형상의 돌기 내주면에 형성된 높이 방향의 결속홈 중 어느 하나에 결속시켜 높이조절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원통 형상의 돌기(110a, 120a) 천장면과 이와 대향된 높이조절부재의 상면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높이조절부재의 상승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마루(100)를 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4(a)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조립식 마루(100)를 조립하기 위해서 2개의 장변 바닥부재(110)와 4개의 단변 바닥부재(120)를 조합하여 정사각형상으로 조립한 후 각각의 정사각형상을 순차 연결하게 되며, 이는 단변 바닥부재(120) 4개를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전후에 장변 바닥부재(110)를 각각 연결하거나, 1개의 장변 바닥부재(110)에 4개의 단변 바닥부재(120)를 연결한 후 단변 바닥부재(120)에 다른 장변 바닥부재(110)를 연결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단변 바닥부재(120) 4개를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전후에 장변 바닥부재(110)를 각각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단변 바닥부재(120)의 일측 장변 측벽(122b)에 형성된 결속돌부(124)와 결속요부(126)에 다른 단변 바닥부재(120)의 타측 장변 측벽(122b)에 형성된 결속요부(126)와 결속돌부(124)를 각각 결속시켜 2개를 조합하며, 또 다른 단변 바닥부재(120)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결속돌부(124)와 결속요부(126)를 결속시켜 4개의 단변 바닥부재(120)를 서로 연결한다.
다음으로, 4개의 단변 바닥부재(120)의 전후에 단변 바닥부재(120)와 직교 방향으로 2개의 장변 바닥부재(110)를 각각 결속시키며, 이는 4개의 단변 바닥부재(120)의 일, 타측 단변 측벽(122a)에 형성된 결속돌부(124)와 결속요부(126)에 장변 바닥부재(110)의 타, 일측 장변 측벽(112b)에 형성된 결속요부(116)와 결속돌부(114)를 각각 결속시켜 2개의 장변 바닥부재(110)를 4개의 단변 바닥부재(120)의 전후에 각각 연결한다.
이렇게, 정사각형으로 조합된 2개의 장변 바닥부재(110)와 4개의 단변 바닥부재(120)를 조합한 다수의 조립식 마루(100)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 공간의 바닥 면적에 맞도록 구비한다. 이때, 장변 바닥부재(110)의 장변 측벽(112b)에 형성된 결속돌부(114) 및 결속요부(126)의 구비 수와, 장변 바닥부재(110)의 단변 측벽(112a)과 단변 바닥부재(120)의 장변 측벽(122b)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결속돌부(114, 124) 및 결속요부(126, 116))의 구비 수가 8개로 동일하면서 결속돌부(114, 124) 및 결속요부(116, 126)가 서로 대응되어 방향에 국한하지 않고 조립식 마루(1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조립식 마루 110: 장변 바닥부재
112a: 단변 측벽 112b: 장변 측벽
114: 결속돌부 116: 결속요부
120: 단변 바닥부재 122a: 단변 측벽
122b: 장변 측벽 124: 결속돌부
126: 결속요부

Claims (3)

  1. 다수의 단위별 바닥판이 이웃한 상태로 상호 조립되는 직사각형태의 조립식 마루로서,
    상기 단위별 바닥판의 측면 둘레를 따라 결속돌부와 결속요부가 순차 교번 형성되어, 상기 결속돌부와 상기 결속요부에 이웃한 단위별 바닥판의 결속요부와 결속돌부가 각각 상호 결속되며,
    상기 단위별 바닥판은 장변 바닥부재 또는 단변 바닥부재 또는 장변 바닥부재와 단변 바닥부재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돌부는 상기 단위별 바닥판의 측면에 상기 결속요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T" 자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요부는 상기 단위별 바닥판의 측면에서 "└ ┘" 형상으로 돌출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마루.
KR2020180003656U 2018-08-07 2018-08-07 조립식 마루 KR200493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656U KR200493495Y1 (ko) 2018-08-07 2018-08-07 조립식 마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656U KR200493495Y1 (ko) 2018-08-07 2018-08-07 조립식 마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72U true KR20200000372U (ko) 2020-02-18
KR200493495Y1 KR200493495Y1 (ko) 2021-04-08

Family

ID=6963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656U KR200493495Y1 (ko) 2018-08-07 2018-08-07 조립식 마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49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617Y1 (ko) * 2002-08-24 2002-11-08 이광은 인테리어용 조립식 원목 마루 판넬
KR100537152B1 (ko) * 2005-08-04 2005-12-16 조무영 조립식 바닥판
KR20090001254A (ko) 2007-06-29 2009-01-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패키지
KR101062634B1 (ko) 2008-06-24 2011-09-07 김승자 조립식 마루패널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617Y1 (ko) * 2002-08-24 2002-11-08 이광은 인테리어용 조립식 원목 마루 판넬
KR100537152B1 (ko) * 2005-08-04 2005-12-16 조무영 조립식 바닥판
KR20090001254A (ko) 2007-06-29 2009-01-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패키지
KR101062634B1 (ko) 2008-06-24 2011-09-07 김승자 조립식 마루패널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495Y1 (ko)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1453A (en) Supports for constructional or building elements
US5704180A (en) Insulating concrete form utilizing interlocking foam panels
US7334529B1 (en) Metal support base
US20080295440A1 (en) Building component
KR101691690B1 (ko) 벽돌 조적용 연결구
KR100718801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인코너 폼
KR102228059B1 (ko) 퍼즐형 매트 및 퍼즐형 매트 조립체
US6763644B1 (en) Construction block system
JP2010019075A (ja) 内装下地構造及び内装下地構造の形成方法
KR20200000372U (ko) 조립식 마루
KR101412414B1 (ko)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
EP2149651A1 (en) A system for lying wooden floors having a square or rectangle pattern without nails, screws or glue
KR101007895B1 (ko)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KR101290645B1 (ko) 타일몰딩장치
CN210049528U (zh) 一种组合式木质地板
JP7364422B2 (ja) 床構成ユニット
JP6945911B1 (ja) 透かしレンガ積み壁材の構築方法
JP2669145B2 (ja) 床構造
KR102127990B1 (ko) 벽체 방수패널
KR102406336B1 (ko) 벽체 고정용 프레임 보강재 구조체
US3348865A (en) Plaster frame
WO2023059174A1 (en) A joint for wall panels made of cross laminated timber
KR20170113783A (ko) 철근이 부착된 거푸집 일체형 벽체구조
JP2002309786A (ja) 組立小間及びそのための部材
KR200236235Y1 (ko) 천정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